KR20130141642A -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 Google Patents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642A
KR20130141642A KR1020137018635A KR20137018635A KR20130141642A KR 20130141642 A KR20130141642 A KR 20130141642A KR 1020137018635 A KR1020137018635 A KR 1020137018635A KR 20137018635 A KR20137018635 A KR 20137018635A KR 20130141642 A KR20130141642 A KR 2013014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lm
pipe member
cros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도이
키요즈미 사토우
세이지 카와키타
Original Assignee
세키수이주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수이주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수이주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4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4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 E04F10/0655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mechanisms for unrolling or balancing the blind acting on the movable end, e.g. front b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과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이프재를 용이하고 또한 강력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필름의 감아올림시에 있어서도 충분한 강도를 구비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농원예용 비닐 하우스의 측면에 설치되고, 비닐 하우스의 필름을 하단부로부터 권취해서 필름을 감아 올리기 위한 파이프로서, 단면 원형상의 파이프재가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접속되어서 이루어지고, 접속되는 한쪽의 파이프재의 단부는 그 내주면의 단면형상이 진원형 이외이며 또한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감합부를 구비하고, 접속되는 다른쪽의 파이프재의 단부는 그 외주면의 단면형상이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인 형상이며 또한 상기 감합부 내에 회동 불능하게 삽입되어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도록 했다.

Description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FILM ROLLING-UP PIPE}
본 발명은 농원예용 비닐 하우스에 사용하는 환기용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전부터 농원예용 비닐 하우스내의 기온이 지나치게 상승했을 경우, 상기 비닐 하우스를 구성하는 필름의 일부를 감아올려서 측벽을 개구시켜 환기를 행하고, 이것에 의해 비닐 하우스내의 온도를 컨트롤한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의 감아올림에 관해서는 장척의 파이프를 사용하고, 이것에 필름을 권취하도록 해서 필름을 감아 올린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비닐 하우스는 수십 미터 내지 그 이상의 전체 길이를 갖는 것이 많다. 그 때문에, 상기 필름 감아올림용 파이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소정 길이의 파이프재를 복수개 접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다.
이러한 필름 감아올림용 파이프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파이프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파이프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파이프재의 단부끼리를 열가소성 수지제의 이음매 부재를 통해 접속해서 구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6-280331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에 있어서는 필름의 감아올림시에 있어서 파이프가 회전할 때 파이프재끼리의 접속 부분의 강도에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전체 길이가 긴 비닐 하우스에 있어서는 파이프재의 접속 부분이 파손되어 버리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파이프에 있어서는 이음매 부재를 별도 부재로서 필요로 하므로 비용이 높아지고, 또 파이프재끼리의 연결에 있어서의 수고도 많이 걸렸다.
또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는 패커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는 걸림구 등을 이용해서 필름의 하단부를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고정하지만, 비닐 하우스의 전체 길이의 일방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다수의 파이프재를 순서대로 연결시킨 것에서는 필름을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 필름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되도록 파이프를 고정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작업으로 되어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필름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파이프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필름의 감아올림 작업이 잘 행해지지 않거나, 필름의 감아올림에 매우 큰 힘을 필요로 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의 설치 작업은 매우 신경을 사용하는 작업이며, 다대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이프재를 용이하고 또한 강력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필름의 감아올림시에 있어서도 충분한 강도를 구비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설정할 때에 매우 간단하게 필름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파이프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는 농원예용의 비닐 하우스의 측면에 설치되고, 비닐 하우스의 필름을 하단부로부터 권취하여 필름을 감아올리기 위한 파이프로서, 단면 원형상의 파이프재가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접속되는 한쪽의 파이프재의 단부는 그 내주면의 단면형상이 진원형 이외이며 또한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감합부를 구비하고, 접속되는 다른쪽의 파이프재의 단부는 그 외주면의 단면형상이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인 형상이며 또한 상기 감합부내에 회동 불능하게 삽입되어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의하면, 복수의 파이프재를 그 감합부와 삽입부를 접속함으로써 직접 접속하는 것이며, 또한 그 접속 개소의 단면형상이 진원형 이외의 점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필름의 감아올림시에도 충분한 강도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파이프에 있어서 필요로 된 이음매 부재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부언해 두면,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있어서는 그 접속 개소의 단면형상이 진원형 이외의 점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접속 작업을 위해서 양손에 쥔 2개의 파이프재를 그 방향성을 특별히 고려하지 않고 그 축심 둘레로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90도의 범위로 회전시키면 상기 2개의 파이프재를 접속할 수 있어 작업에 필요로 하는 주의가 적어서 좋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있어서 단면 원형상의 파이프재는 합성수지 피복 금속 파이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통상 옥외에 설치되는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있어서 감합부의 외주면의 단면형상이 진원 이외이며, 파이프재의 단면 원형상의 부분에 있어서의 지름보다 큰 지름이 되는 팽경부를 구비하고 있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팽경부에 있어서 필름이 파이프에 권취되기 쉬워진다. 즉, 파이프재의 본체부분에 있어서의 단면 원형상의 부분에 있어서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한 팽경부와 파이프재의 자중에 의해 필름이 상기 팽경부에 있어서 파이프에 권취되기 쉬워진다. 또한, 이 팽경부는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설치하는 비닐 하우스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파이프재의 길이 마다 등간격으로 나타내어지므로, 필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밸런스 좋게 감아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있어서 파이프재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볼록조 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볼록조 또는 오목홈은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파이프재를 접속해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구성했을 때에 그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적선상으로 연장되는 한쌍(즉 2개)의 볼록조 또는 오목홈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는 이 볼록조 또는 오목홈이 표식이 되고, 이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따라 필름을 고정해 가기만 하면, 필름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있어서 파이프재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직선이 나타내어져 있고, 상기 한쌍의 직선은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나타내어진 직선을 따라 필름을 고정해 가기만 하면, 필름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의하면, 복수의 파이프재를 그 감합부와 삽입부를 접속함으로써 직접 접속하는 것이며, 또한 그 접속 개소의 단면형상이 진원형 이외의 점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름의 감아올림시에도 충분한 강도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종래의 파이프에 있어서 필요로 된 이음매 부재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비용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있어서 감합부의 외주면의 단면형상이 진원 이외이며, 파이프재의 단면 원형상의 부분에 있어서의 지름보다 큰 지름이 되는 팽경부를 구비하고 있도록 하면, 진원 이외가 아닌 파이프재의 단면 원형상의 부분에 있어서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구비한 팽경부와 파이프재의 자중에 의해 필름이 상기 팽경부에 있어서 파이프에 권취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있어서 파이프재의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볼록조 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볼록조 또는 오목홈은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도록 하거나, 또는 파이프재의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직선이 나타내어져 있고, 상기 한쌍의 직선은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도록 하면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 이 볼록조, 오목홈 또는 직선이 표식이 되고, 이 볼록조, 오목홈 또는 직선을 따라 필름을 고정해 가기만 하면, 필름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파이프를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비닐 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A)정면도 및 (B)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의 우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3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B)는 도 3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C)는 도 3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파이프재를 복수 접속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2개의 파이프재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단면도)이다.
도 8은 파이프재의 삽입부에 있어서의 내주면의 단면형상 및 감합부에 있어서의 외주면의 단면형상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파이프재에 있어서의 볼록조 대신에 오목홈을 형성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1)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 파이프(1)를 비닐 하우스의 측벽면에 설치한 사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1)는 비닐 하우스(H)의 측벽면에 설치된다. 파이프(1)는 비닐 하우스(H)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장설된 필름(F)의 하단부를 따라 대략 수평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1)의 일단부에는 회전 장치(S)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 장치(S)의 회전 핸들(S1)을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를 그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것에 의해 필름(F)을 감아올림하거나 또는 반대로 내리거나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이프(1)는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장척의 파이프재(10)를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접속해서 형성된다(도 6의 단면도를 아울러 참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파이프재(10)는 장척의 원통형상의 파이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그 일단부는 축경되어 삽입부(12)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단부에는 다른 파이프재(10)의 삽입부(12)가 삽입되는 감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재(10)의 길이는 통상 5m 정도의 것이 많이 사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5m보다 짧은 것, 또는 5m보다 긴 것이 적당히 사용된다. 또한, 파이프재(10)의 원통형상의 외경은 20mm 정도의 것이 많지만, 이것도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삽입부(12) 및 감합부(13)는 모두 그 단면이 진원형상이 아니고, 변형되어서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점, 파이프(1)는 상술한 대로 복수개의 파이프재(10)를 그 길이 방향으로 접속함과 아울러 파이프(1)의 일단부에 설치한 회전 장치(S)에 의해 회전되어야 할 것이다. 그 때문에, 파이프(1)를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회전 장치(S)에 의해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 장치(S)에 접속된 파이프재(10)로부터 이것에 인접하는 파이프재(10)로, 그리고 또한 이것에 인접하는 파이프재(10)로 순서대로 회전 토크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 때, 파이프재(10)끼리를 접속하는 단부의 단면형상이 진원형상이면 회전 토크의 전달이 불충분하게 되므로 삽입부의 외경형상 및 감합부의 내경형상은 진원형상이 아닌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2개의 파이프재(10)를 접속해서 그 삽입부(12)와 감합부(13)를 접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그 둘레 방향으로 서로 회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파이프재(10)에 있어서는 파이프(1)에 필름(F)이 권취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또 파이프(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필름을 감아올릴 수 있도록 감합부(13)의 외주면의 타원형상의 단면에 있어서의 장축치수(L1)가 원통형상의 파이프재 본체(11)의 외형크기(L2)보다 커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파이프재(10)에 있어서 감합부(12)의 외주면의 단면형상이 진원 이외이며, 파이프재 본체(11)의 단면 원형상의 부분에 있어서의 외경(지름)보다 큰 지름이 되는 팽경부(131)를 구비하고 있도록 하면, 팽경부(131)에 있어서 필름(F)이 파이프(1)에 권취되기 쉬워 진다. 즉, 파이프재(10)의 단면 원형상의 부분(파이프재 본체(11))에 있어서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구비한 팽경부(131)와 파이프재(10)의 자중에 의해 필름(F)이 상기 팽경부(131)에 있어서 파이프(1)에 권취되기 쉽고, 또한 이 팽경부(131)는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1)를 설치하는 비닐 하우스(H)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파이프재(10)의 길이마다 등간격으로 나타나므로 필름(F)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밸런스 좋게 감아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삽입부의 외경형상 및 감합부의 내경형상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진원형상 이외이며, 인접하는 파이프재(10)에 회전 토크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이 점, 이 실시형태에 나타낸 타원형상이면 접속하는 2개의 파이프재(10) 중 1개를 그 둘레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도 마찬가지로 접속 가능하며, 파이프(1)의 설치 작업이 용이한 것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 삽입부(12)의 외경 단면형상 및 감합부(13)의 내경 단면형상은 모두 파이프재(10)의 축심(P)을 중심으로 해서 점대칭이 되도록 하면 좋고, 예를 들면 도 8의 (A)∼(F)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을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이프재(10)는 금속제의 파이프체의 삽입부(12)의 부분을 제외한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그 외주면이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피복되고, 합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금속제의 파이프체로서는 그 표면에 아연 도금이 실시된 강관이 사용되고, 또 합성 수지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염화 비닐 등이 적당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이 점, 비닐 하우스나 파이프(1)는 통상 옥외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파이프(1)의 표면을 아연 도금 등을 실시하거나 또는 합성 수지 재료로 피복함으로써 내부식성이 향상된다. 또한, 더욱 내부식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6,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부(13)의 선단부는 금속제의 파이프체를 넘어서 합성 수지층이 연설되어 플랩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파이프재(10)를 접속했을 때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랩부(132)가 인접해서 접속되는 파이프재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덮어서 밀폐하여 파이프재(10) 내로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12)의 단부의 내부 및 감합부(13) 내의 안쪽부에는 우레탄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밀폐재(21)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빗물 등의 침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합성 수지층의 표면에는 파이프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볼록조(14)이 2조 더 형성되어 있다.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볼록조(14)는 파이프재(10)의 축심(P)을 사이에 두고 정반대측(진반대측)으로 형성되어 있다(부언하면, 감합부에 있어서는 타원형상의 단축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복수의 파이프재(10)를 접속해서 파이프(1)를 형성했을 때에 파이프(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직선상의 볼록조(14)가 나타나게 된다. 이 점,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1)를 설치할 때에는 패커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는 걸림구 등을 이용해서 필름(F)의 하단부를 파이프(1)에 고정하지만, 비닐 하우스(H)의 전체 길이의 일방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다수의 파이프재(10)를 순서대로 연결하는 것에서는 필름(F)을 고정하는 작업에 있어서 종래의 파이프(1)에 있어서는 이 작업이 매우 곤란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파이프(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직선상의 볼록조(14)가 나타나도록 한 것으로, 이 볼록조(직선)(14)가 표식이 되고, 이 볼록조(14)를 따라 필름(F)을 고정해 가기만 하면, 필름(F)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파이프(1)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 볼록조(14)는 파이프재(1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절단선 없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직선상의 볼록조(14)가 이루어지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볼록조(14) 대신에 합성 수지층의 표층에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홈(15)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도 9의 단면도 참조), 또는 합성 수지층의 표면에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직선(도시 생략)을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상기 볼록조(14), 오목홈(15) 또는 직선은 모두 적어도 한쌍 형성되고, 파이프재(10)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정반대측에 형성된다. 즉, 감합부(13)의 단면도에 대응해서 말하면, 상술한 볼록조의 예와 같이 타원형상의 단축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도 좋고, 또는 파이프재(10)의 축심(P)을 중심으로 해서 점대칭이 되는 위치이면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은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에 대해서 일실시형태를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물론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형태 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1: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10: 파이프재
11: 파이프재 본체 12: 삽입부
13: 감합부 131: 팽경부
132: 플랩부 14: 볼록조
15: 오목홈 H: 비닐 하우스
F: 필름 S: 회전 장치

Claims (5)

  1. 농원예용의 비닐 하우스의 측면에 설치되고, 비닐 하우스의 필름을 하단부로부터 권취해서 필름을 감아 올리기 위한 파이프로서,
    단면 원형상의 파이프재가 그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접속되어서 이루어지고,
    접속되는 한쪽의 파이프재의 단부는 그 내주면의 단면형상이 진원형 이외이며 또한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인 형상으로 이루어진 감합부를 구비하고,
    접속되는 다른쪽의 파이프재의 단부는 그 외주면의 단면형상이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인 형상이며 또한 상기 감합부 내에 회동 불능하게 삽입되어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면 원형상의 파이프재는 합성 수지 피복 금속 파이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감합부의 외주면의 단면형상이 진원 이외이며, 파이프재의 단면 원형상의 부분에 있어서의 지름보다 큰 지름이 되는 팽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재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볼록조 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볼록조 또는 오목홈은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이프재의 외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직선이 나타내어져 있고, 상기 한쌍의 직선은 파이프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KR1020137018635A 2010-12-20 2011-02-07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KR201301416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3722 2010-12-20
JP2010283722A JP5819062B2 (ja) 2010-12-20 2010-12-20 フィルム巻き上げパイプ
PCT/JP2011/052551 WO2012086218A1 (ja) 2010-12-20 2011-02-07 フィルム巻き上げパイ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642A true KR20130141642A (ko) 2013-12-26

Family

ID=4631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8635A KR20130141642A (ko) 2010-12-20 2011-02-07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19062B2 (ko)
KR (1) KR20130141642A (ko)
WO (1) WO20120862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314A (ko) * 2014-12-31 2016-07-08 김진주 개폐비닐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0001B2 (ja) * 2015-04-06 2019-08-14 積水樹脂株式会社 フィルム巻き上げパイプの製造方法
JP6534923B2 (ja) * 2015-12-04 2019-06-26 株式会社山水 シート巻付体構成金属管および合成樹脂製シート巻付体
KR101833167B1 (ko) * 2017-03-02 2018-02-28 김명준 비닐하우스의 하이브리드 권취봉의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725Y2 (ko) * 1985-01-25 1992-02-28
JPH0947159A (ja) * 1995-08-09 1997-02-18 Fujipura Seiko Co Ltd 農芸用ハウスにおける換気用ビニール布の巻取管
JP3527602B2 (ja) * 1996-12-12 2004-05-17 積水樹脂株式会社 ビニールハウス換気用フィルム巻き上げパイ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314A (ko) * 2014-12-31 2016-07-08 김진주 개폐비닐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0269A (ja) 2012-07-12
JP5819062B2 (ja) 2015-11-18
WO2012086218A1 (ja)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1642A (ko) 필름 감아올림 파이프
JP5982103B2 (ja) 鋼管杭の連結構造
US8845406B2 (en) Vent sealing device and system
US8615943B2 (en) Adjustable roof jack
US6390139B1 (en) Conduit pipe for telecommunication cable
US20110036445A1 (en) Air sampling tube
JP2008164001A (ja) 保護用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33167B1 (ko) 비닐하우스의 하이브리드 권취봉의 구조
JP2013040536A (ja) 鋼管杭の連結構造
JP2013234570A (ja) 開口部形成具
JP4540459B2 (ja) 分岐用管継手の保護構造及びその敷設方法
JP2008075700A (ja) マリンホース用フロータ
JP6560001B2 (ja) フィルム巻き上げパイプの製造方法
US20170009924A1 (en) Retrofitted Pipe Conduit Addition Method And Assembly
JP4667972B2 (ja) フィルム巻き上げパイプ
JP5336211B2 (ja) 架空ケーブル防護管
KR20190001721U (ko) 캡 풀림 방지장치
JP5118160B2 (ja) 管端防食構造
JP4541946B2 (ja) 既設管路の補修構造
KR101034517B1 (ko) 결속부재가 구비된 합성수지 코로게이트관
JP5821106B2 (ja) 管継手
JP7280088B2 (ja) ビニールハウスのフィルム保護具
KR102516139B1 (ko)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JP2008113609A (ja) 大型ビニールハウス用支柱の先端保護具
JP2009263919A (ja) 竪樋継手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