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418B1 - 아이피엘 기기 및 그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아이피엘 기기 및 그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418B1
KR101875418B1 KR1020170044626A KR20170044626A KR101875418B1 KR 101875418 B1 KR101875418 B1 KR 101875418B1 KR 1020170044626 A KR1020170044626 A KR 1020170044626A KR 20170044626 A KR20170044626 A KR 20170044626A KR 101875418 B1 KR101875418 B1 KR 10187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ltage
diode
commercial pow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628A (ko
Inventor
고영산
Original Assignee
(주)스킨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킨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스킨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7011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ectifiers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피엘 구동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아이피엘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구동 회로를 이용하여 110V 갖는 상용전원에서 사용할 경우 상용전원 피크 전압의 세 배까지 충전시키고, 220V 갖는 상용전원에서 사용할 경우 상용전원 피크 전압의 두 배까지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이피엘 구동 회로에는 제1단자가 상기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연결되며, 제1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제1캐패시터로 동작하고, 제2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제1다이오드로 동작하는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와,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의 제2단자와 상용전원의 제2단자 사이에 연결되며 제1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다이오드로 동작하고 제2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무한대 저항의 오픈 회로로 동작하는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피엘 기기 및 그 구동 회로{IPL APPARATUS AND DRIVING CIRCUIT THEREOF}
본 발명은 아이피엘 기기 및 그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되는 지역의 전압을 감지하고, 이에 적합하게 입력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아이피엘 기기 및 그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기기로는 레이저 기기가 초장기에 많이 도입되었다. 레이저 기기는 특정 질환을 치료하는 데 필요한 파장의 레이저를 선택한 후 치료코자 하는 해당 피부 부위에 국부 조사하는 기기로서 특정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그런데 레이저 기기는 부작용이 많으며 특히 여러 가지 피부 질환이 포함된 피부에 조사하기에는 어려운 기기이다. 즉, 각각의 질환에 따라 그에 적합한 레이저가 필요하기 때문에 얼굴에 주근깨나 잡티가 있고, 늘어난 혈관이 있으면서 또한 잔주름이나 늘어난 모공이 문제가 되어서 치료를 하고자 하면 서너 가지 레이저를 이용하여 치료를 해야 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파장의 빛을 한꺼번에 조사하여 여러 가지 질환을 가진 피부를 간편하게 치료하는 아이피엘(IPL, Intense Pulsed Light) 기기가 미국의 비터(bitter) 박사에 의해 개발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이피엘 기기는 350nm ~ 1200nm의 파장 빛을 방사시키는 램프 플래쉬를 이용하고 필터를 사용해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조절하게 되며, 조사 램프로는 통상 제논(zenon) 램프를 사용하여 수 초 동안 수 회 정도 피부에 조사하게 된다.
제논 램프를 원할하게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상용전원의 피크치보다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아이피엘 기기는 충전 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를 이용하여 충전 캐패시터를 상용전원의 피크치보다 높게 충전시킨 후, 제논 램프를 발광하는데 이용한다.
그런데 지역별(또는 국가별)로 사용하는 상용전원은 동일하지 않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경우는 통상 220V 교류 전원을 이용하고, 미국의 경우는 100V~120V(중간값으로 110V라 칭하기로 함)의 교류 전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논 램프를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한다. 통상 110V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지역에서 아이피엘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상용전원 피크치의 3배 전압까지 충전 캐패시터 충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비해 통상 220V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지역에서 아이피엘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상용전원 피크치의 2배 전압까지 충전 캐패시터 충전시키면 된다.
아이피엘 기기를 생산하는 생산자 입장에서는 수출국가의 상용 전원에 적합하게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를 적어도 두 가지 형태로 구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9106호 (2011.11.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프리 전압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되는 지역의 상용전원이 110V 이든 220V이든 구애받음이 없이 하나의 구동 회로로 구동가능한 아이피엘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1전압 또는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을 갖는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제1전압을 갖는 상용전원의 경우에는 상용전원 피크 전압의 3배까지 충전 캐패시터를 충전 가능하고, 제2전압을 갖는 상용전원의 경우에는 상용전원 피크 전압의 2배까지 충전 캐패시터를 충전 가능한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에 있어서, 제1단자가 상기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연결되며, 제1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제1캐패시터로 동작하고, 제2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제1다이오드로 동작하는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와,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의 제2단자와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와,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상기 상용전원의 제2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캐패시터와, 충전 캐패시터와,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및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의 제2단자와 상기 상용전원의 제2단자 사이에 연결되며, 제1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다이오드로 동작하고, 제2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무한대 저항의 오픈 회로로 동작하는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상기 구동 회로에서 충전 캐패시터의 제1단자는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연결되도록 구현하고, 스위치부는 제2사이리스터로 구성하며,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는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상기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1캐패시터와, 상용전원의 제1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술한 구동 회로에서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는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이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검출부와, 전압검출부의 출력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포토커플러와, 제1포토커플러가 온이 될 때 동작하는 제1사이리스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는 구체적으로 제1사이리스터의 애노드 단자는 상용전원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는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연결되도록 구현하였다.
전술한 구동 회로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합의 아이피엘을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피엘 기기용 그 구동 회로는 상용전원의 전압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리(free) 전압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피엘 기기용 그 구동 회로는 낮은 전압(110V)을 갖는 상용전원에 사용할 경우 충전 캐패시터에 대략 상용전원 피크 전압값의 세 배까지 충전할 수 있으며, 높은 전압(220V)을 갖는 상용전원에 사용할 경우 대략 상용전원 피크 전압값의 두 배까지 충전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이러한 충전 기능은 회로를 입력되는 상용전원의 전압값에 따라 회로를 변경함이 하나의 회로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의 경우에는 낮은 전압을 갖는 상용전원의 지역에 사용하는 아이피엘 구동 회로와 낮은 전압을 갖는 상용전원의 지역에 사용하는 아이피엘 구동 회로를 달리 구성하고, 판매되는 지역에 적합한 구동 회로를 갖는 제품을 공급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로 인해 두 가지 구동 회로를 설계하고, 제품 재고 관리 및 사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인력 낭비와 더불어 원가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피엘 기기용 그 구동 회로 및 이를 채택하는 아이피엘 기기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이피엘 기기에 사용되는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
도 2는 도 1에 제시된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의 일부 변형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의 일부 구성도.
도 4는 낮은 전압(110V)을 갖는 상용전원에서 사용될 경우 도 3의 등가 회로도.
도 5는 도 4의 회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높은 전압(220V)을 갖는 상용전원에서 사용될 경우 도 3의 등가 회로도.
도 7는 도 6의 회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의 일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압검출부와 포토커플러의 구성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의 일부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압검출부와 포토커플러의 구성 회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이피엘 기기에 사용되는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이다. 아이피엘 구동 회로는 상용전원(VmSinωt)을 입력받아 높은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배전압부(20)와, 제논램프(70)를 구동시키기 위한 충전 캐패시터(Co)와, 배전압부(20)와 충전 캐패시터(Co)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치부(SW)와, 스위치부(SW)를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유저인터페이스(50) 및 충전캐패시터(Co)에 축전된 전하를 이용하여 제논램프(70)를 트리거하고, 양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트리거부(60)로 구성된다. 배전압부(20), 제어부(30) 및 스위치부(SW)를 하나의 유닛으로 출력전압제어형 전원공급부(80)라고 호칭할 수도 있다. 출력전압제어형 전원공급부(80)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원하는 출력값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를 의미하는 구성부이다.
유저인터페이스(50)는 아이피엘 기기에 구비되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피부에 조사되는 광원의 세기 및/또는 간격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부이다. 제어부(30)는 유저인터페이스(50)로부터 입력되는 광원의 세기 및/또는 간격을 이용하여 충전 캐패시터(Co)의 충전전압을 설정하고, 스위치부(SW)를 제어하여 충전 캐패시터(Co)를 설정된 충전 전압까지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트리거부(60)를 제어하여 제논램프(70)를 트리거시키고 오프시키는 제어를 담당한다. 제논램프(70)의 발광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높은 전압(트리거 전압)을 인가하여야 한다. 트리거부(60)는 충전 캐패시터(Co)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제논램프(70)에 설치되는 트리거 소자(71)에 트리거 전압을 생성하여 인가하고, 충전 캐패시터(Co)에 충전된 전압을 이용하여 제논램프(70)의 양 단자에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부이다. 트리거 소자(71)는 제논램프(7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전선 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제논램프(70)의 외주면의 곡률을 따라 밀접하게 형성하는 얇은 두께를 갖는 프레이트(plate)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제시된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의 일부 변형례이다. 도 1의 회로도와 비교할 때, 스위치부(SW)를 사이리스터(SCR, 이하 'SCR'이라고 부르기로 함)로 구현하고, SCR의 게이트 단자에는 기준전압발생부(90)를 연결한 부분에 차이점이 있다. 기준전압발생부(90)는 충전 캐패시터(Co)가 충전되어야 하는 충전 전압값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충전 전압값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인터페이스(50)로부터 입력되는 광원의 세기 및/또는 간격을 이용하여 제어부(30)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고, 제어부(30)를 사용함이 없이 제너 다이오드와 분배 저항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제시된 구동 회로의 경우는 충전 캐패시터(Co)를 원하는 충전 전압까지 충전시키기 위하여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등의 복잡한 제어 방식으로 스위치부(SW)를 제어하여야 한다. 이에 비해 도 2와 같이 SCR을 사용할 경우에는 간단한 방식으로 기준전압발생부(90)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CR은 제어가능한 정류소자의 일종으로, 아노드(anode) 단자 전압이 캐소드(cathode) 단자 전압보다 높고, 게이트 단자의 전압이 캐소드 단자 전압보다 높을 경우에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소자이다. 스위치부(SW)로는 SCR외에도 트라이액, BJT 또는 IGB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제시된 구성과 같이 스위치부(SW)로서 SCR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소자를 이용하여 스위치부를 구성하는 회로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의 일부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는 충전 캐패시터(Co) 후단의 회로 구성과, 제어부 및 인터페이스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먼저, 도 3에 제시된 회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제시된 아이피엘 구동 회로는 스위치부(SW)로는 SCR(SCR2)을 사용하였고, SCR2의 게이트에는 기준전압발생부(90)가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3에 도시된 아이피엘 구동 회로는 제1단자가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연결되는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100)와,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100)의 제2단자와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D2)와, 제2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와 상용전원의 제2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캐패시터(C2)와, 충전 캐패시터(Co)와, 제2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와 충전 캐패시터(Co) 사이에 구비되는 제2사이리스터(SCR2, 스위치부)와, 제2사이리스터(SCR2)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는 기준전압발생부(90)와,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100)의 제2단자와 상용전원의 제2단자 사이에 연결되며 상용전원이 낮은 전압(110V)일 경우에는 다이오드로 동작하고 상용전원이 높은 전압(220V)일 경우에는 무한대 저항의 오픈 회로로 동작하는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로 구성된다.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는 상용전원의 제2단자로부터 제1캐패시터(C1)의 제2단자 방향으로 순방향이 되도록 구비된다.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100)는 상용전원이 낮은 전압(110V)일 경우에는 캐패시터로 동작하고 높은 전압(220V)일 경우에는 다이오드로 동작하는 회로이다.
도 4는 낮은 전압(110V)을 갖는 상용전원에서 사용될 경우 도 3의 등가 회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용전원으로 110V 교류를 사용할 경우, 아이피엘 기기를 원할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상용전원 피크치의 3배까지 충전 캐패시터(Co)를 충전시킬 필요가 있다. 도 4는 상용전원 피크치의 3배까지 충전 캐패시터(Co)를 충전시키기 위한 등가회로이다. 상용전원이 110V 교류일 경우, 110V라는 것은 실효값(rms)를 표시하면, 피크 전압은 약 156V(110 * 1.414)가 된다. 상용전원을 VmSinωt 로 표기할 경우, Vm이 피크 전압을 나타내며, 약 156V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용전원이 낮은 전압(110V)일 경우,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100)는 제1캐패시터(C1)로 동작하게 되며,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는 D3으로 표시되는 제3다이오드로 동작하게 된다.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를 제3다이오드(D3)를 포함하는 회로로 구성할 경우, 상용전원이 낮은 전압(110V)일 경우에는 다이오드와 동일한 동작 특성을 보이므로 도 5의 설명에서 'D3로 표시된 제3다이오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회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먼저 상용전원으로부터 -사이클의 전원이 인가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 제3다이오드와 제1캐패시터(C1) 방향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면서 제1캐패시터(C1)에는 도면상 극성을 갖는 Vm의 전압이 충전된다(① 경로). 다음으로 상용전원으로부터 +사이클의 전원이 인가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 제1캐패시터(C1), 제2다이오드(D2) 및 제2캐패시터(C2)로 구성되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면서 제2캐패시터(C2)에는 도면상의 극성을 갖는 2Vm 전압이 충전된다(② 경로). 다음 상용전원으로부터 -사이클의 전원이 인가되면, ① 경로에 의해 제1캐패시터에 Vm이 충전된다. 이와 동시에 상용전원, 제2캐패시터(C2), 제2사이리스터(SCR2) 및 충전 캐패시터(Co)를 따른 ③ 경로가 형성되면서 충전 캐패시터(Co)에는 도면 상의 극성을 갖는 3Vm 전압까지 충전되는 것이다. 실질적인 아이피엘 구동 회로에서 충전 캐패시터(Co)의 용량이 제1캐패시터(C1) 및 제2캐패시터(C2)의 용량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충전 캐패시터(Co)를 3Vm 전압까지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도 5(a)~(c) 단계를 몇 번씩 반복하여야 하나, 궁극적으로 충전 캐패시터(Co)는 이론상으로는 468V(3*156)까지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정확하게는 도 5(a)에서도 도 5(c)에 도시된 ③ 경로에 의한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③ 경로는 아이피엘 기기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키는 초기에만 형성되는 패스이므로 무시할 수 있다.
도 6은 높은 전압(220V)을 갖는 상용전원에서 사용될 경우 도 3의 등가 회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용전원으로 220V 교류를 사용할 경우, 아이피엘 기기를 원할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상용전원 피크치의 2배까지 충전 캐패시터(Co)를 충전시킬 필요가 있다. 도 6는 상용전원 피크치의 2배까지 충전 캐패시터(Co)를 충전시키기 위한 등가회로이다. 상용전원이 220V 교류일 경우, 피크 전압은 약 311V(220 * 1.414)가 된다. 상용전원을 VmSinωt 로 표기할 경우, Vm이 피크 전압을 나타내며, 약 311V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용전원이 높은 전압(220V)을 가질 경우,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100)는 제1다이오드(D1)로 동작하게 되며,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는 무한대 저항의 오픈 회로로 동작하게 된다.
도 7는 도 6의 회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먼저 상용전원으로부터 +사이클의 전원이 인가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 제1다이오드(D1), 제2다이오드(D2) 및 제2캐패시터(C2) 방향의 전류 경로를 형성하면서 제2캐패시터(C2)에는 도면상 극성을 갖는 Vm의 전압이 충전된다(④ 경로). 다음으로 상용전원으로부터 -사이클의 전원이 인가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 제2캐패시터(C2) 및 충전 캐패시터(Co)로 구성되는 ⑤ 경로를 형성하면서 충전 캐패시터(Co)에는 도면상의 극성을 갖는 2Vm 전압까지 충전되는 것이다. 실질적인 아이피엘 구동 회로에서 충전 캐패시터(Co)의 용량이 제2캐패시터(C2)의 용량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충전 캐패시터(Co)를 2Vm 전압까지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도 7(a)~(b) 단계를 몇 번씩 반복하여야 하나, 궁극적으로 충전 캐패시터(Co)는 이론상으로 622V(2*311)까지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의 일부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에서는 충전 캐패시터(Co) 후단의 회로 구성과, 제어부 및 인터페이스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3에 제시된 회로와 비교할 때, 도 8에서는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100)와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를 구체적인 회로로 제시하였다.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100)는 제1캐패시터(C1) 및 제1캐패시터(C1)에 션트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다이오드(D1)로 구성하였다. 제1캐패시터(C1) 및 제1다이오드(D1)로 이루어진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100)는 낮은 전압(110V)를 갖는 상용전원일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극성의 Vm이 제1다이오드(D1)에 인가되므로 제1다이오드(D1)는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캐패시터로서의 기능을 하며, 높은 전압(220V)를 갖는 상용전원일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으로 작동되는 제1다이오드(D1)에 비해 제1캐패시터(C1)가 더 큰 임피던스를 갖게 되므로 제1다이오드(D1)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에 제시된 회로에서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는 전압검출부(VD), 제1포토커플러(PC1), 저항(r1) 및 제1사이리스터(SCR1)로 구성하였다. 도 8에서 제시된 회로소자들로 구성된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는 낮은 전압(110V)의 상용전원일 경우에는 전압 검출부(VD)에 의해 제1포토커플러(PC1)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절환되어, SCR1이 온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제3다이오드로 기능을 하며, 높은 전압(220V)의 상용전원일 경우에는 전압 검출부(VD)에 의해 제1포토커플러(PC1)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SCR1이 오프 상태로 유지되므로 무한대 저항의 오픈 회로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에 제시된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용전원의 양 단자에 션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검출부(VD)를 구비하고,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제1단자가 연결되는 제1캐패시터(C1)와, 상용전원의 제2단자와 제1캐패시터(C1)의 제2단자 사이에 설치되며 애노드 단자는 상용전원의 제2단자와 연결되며 캐소드 단자는 제1캐패시터(C1)의 제2단자와 연결되는 제1사이리스터(SCR1)와, 제1캐패시터 제2단자와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D2)와, 제2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와 제1사이리스터(SCR1)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구비되는 제2캐패시터(C2)와, 제2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와 충전 캐패시터(Co) 사이에 설치되는 제2사이리스터(SCR2, 스위치부)가 구비된다. 또한, 도 8에 제시된 아이피엘 구동 회로는 제1캐패시터(C1)의 제1단자에서 제2단자를 순방향으로 하여 션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1)와, 전압검출부(VD)의 출력값에 따라 제1사이리스터(SCR1)을 온/오프 시키는 제1포토커플러(PC1)를 구비한다. 제1포토커플러(PC1)는 제1사이리스터(SCR1)의 애노드 단자와 게이트 단자 사이에 구비되며, 제1사이리스터(SCR1)의 캐소드 단자와 게이트 단자 사이에는 저항(r1)을 삽입 구비하였다. 저항(r1)은 제1사이리스트를 안정적으로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소자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는 스위치부(SW)로 제2사이리스터(SCR2)를 사용하였다. 사이리스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애노드 단자에 시간적으로 변하는 파형을 인가하여야 한다. 도 3 내지 도 8에 제시된 실시예의 회로에서 배전압용 캐패시터로 동작하는 제2캐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에 상용전압을 충접시켜 DC 바이어스된 충접 전압이 스위치부(SW)에 인가될 수 있도록 구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압검출부와 포토커플러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의 전압검출부를 나타내며, 도 9(b)는 제1사이리스터(SCR1), 저항(r1) 및 제1포토커플러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에 도시된 전압검출부 구성회로는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0.813R1 저항 및 R1 저항의 직렬 연결과, R2 저항 및 제너다이오드(ZD)의 직렬 연결로 분배되게 구성하고, 각각의 중간 단자에서 N1 단자와, N2 단자를 형성하였다. 이때 사용한 제너다이오드(ZD)의 제너 전압(Vz)은 91V 특성을 갖는 소자를 사용하였다. 0.813R1 저항은 R1 저항의 0.813배 되는 저항을 의미한다. 표 1은 상용전원으로 110V와 220V를 각각 사용할 경우, 도 9(a)에 도시된 전압검출부의 출력단자(N1, N2)에 인가되는 전압을 표시한다.
상용전원 실효값(rms) 110V 220V
N1 전압(V) 60.7 121
N2 전압(V) 91 91
전류 방향 N2 -> N1 N1 -> N2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원으로 110V가 인가될 경우, 전압검출부는 N2 단자에서 N1 단자 방향으로 전류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류 흐름에 의해 도 9(b)에 도시된 회로에서 포토다이오드가 온이 되면서, 포토 트랜지스터가 동작하게 되고, 포토 트랜지스터는 제1사이리스터(SCR1)를 온 상태로 절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회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CR1으로 표시된 다이오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원으로 220V가 인가될 경우, 전압검출부는 N1 단자에서 N2 단자 방향으로 전류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류 흐름에 의해 도 9(b)에 도시된 회로에서 포토커플러가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제1사이리스터(SCR1)도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회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대 저항의 오픈 회로처럼 동작하게 된다.
그런데 도 8에 제시된 회로를 실제 제작하여 사용해 본 결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순간 변동 또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원하는 동작 특성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상용전원이 불안정한 지역에서는 도 10과 같이 마이콤(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라 부르기도 함)이나 비교기를 추가하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아이피엘 구동 회로도의 일부 구성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에서는 충전 캐패시터(Co) 후단의 회로 구성과, 제어부 및 인터페이스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8에 제시된 회로와 비교할 때,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를 다른 실시예로 구현하고, 비교기를 추가한 점에 차이가 있다.
도 10에 제시된 회로에서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는 전압검출부(VD), 비교기(130), 제1포토커플러(PC1), 저항(r2), 저항(r3) 및 트라이액(TRIAC)으로 구성하였다.
도 10에서 낮은 전압(110V)의 상용전원이 인가될 경우 전압 검출부(VD)와 연결된 비교기(130)는 높은 전압을 출력하고 제1포토커플러(PC1)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절환되어, 트라이액(TRIAC)이 온 상태로 절환되고, 제3다이오드(D3)가 도통된다. 따라서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는 제3다이오드(D3)가 연결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비해, 도 10에서 높은 전압(220V)의 상용전원이 인가될 경우에는 전압 검출부(VD)와 연결된 비교기(130)는 낮은 전압을 출력하고 제1포토커플러(PC1)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트라이액(TRIAC)도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110)는 무한대 저항의 오픈 회로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에 제시된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용전원의 양 단자에 션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검출부(VD)를 구비하고,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제1단자가 연결되는 제1캐패시터(C1)를 구비한다. 상용전원의 제2단자와 제1캐패시터(C1)의 제2단자 사이에 직렬로 설치되는 트라이액(TRIAC)과 제3다이오드(D3)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트라이액(TRIAC)의 T1 단자는 제1캐패시터(C1)의 제2단자와 연결되며, T2 단자는 제3다이오드(D3)의 캐소드 단자와 연결되며, 제3다이오드(D3)의 애노드 단자는 상용전원의 제2단자와 연결된다. 제1캐패시터 제2단자와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D2)와, 제2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와 제3다이오드(D3)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구비되는 제2캐패시터(C2)와, 제2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와 충전 캐패시터(Co) 사이에 설치되는 제2사이리스터(SCR2, 스위치부)가 구비된다. 제1캐패시터(C1)의 제1단자에서 제2단자를 순방향으로 하여 션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1)가 구비된다. 전압검출부(VD)의 두 개의 출력단자(N1, N2)는 각각 비교기(130)의 - 입력단자 및 + 입력단자와 연결되며, 비교기(130)의 출력단자는 트라이액(TRIAC)을 온/오프 시키는 제1포토커플러(PC1) 입력과 연결된다. 제1포토커플러(PC1) 제1출력단자는 저항(r3)을 통해 트라이액(TRIAC)의 T2 단자와 연결되고, 제1포토커플러(PC1) 제2출력단자는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된다. 트라이액(TRIAC)의 T1 단자와 게이트 단자 사이에는 저항(r2)을 삽입 구비하였다. 저항(r2, r3)은 트라이액(TRIAC)을 안정적으로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소자이다.
도 10의 회로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적인 회로 동작 설명은 도 8과 유사하므로 도 8과 차이가 있는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전압검출부(VD)에서 낮은 상용전압(AC 110V)이 검출될 경우, 비교기(130)는 제1포토커플러(PC1)를 온 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신호에 의해 제1포토커플러(PC1)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트라이액(TRIAC)이 온 상태로 전환되면서 도 4에 제시된 등가회로와 같아지며, 도 5에 제시된 회로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전압검출부(VD)에서 높은 상용전압(AC 220V)이 검출될 경우, 비교기(130)는 제1포토커플러(PC1)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신호에 의해 제1포토커플러(PC1)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트라이액(TRIAC)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도 6에 제시된 등가회로와 같아지며, 도 7에 제시된 회로와 같이 동작하게 된다.
도 10 회로도에서 비교기(130)는 마이콤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이콤은 전압검출부(VD)로부터 검출된 전압을 입력받고, 검출된 전압이 낮은 값인지 높은 값인지를 판별하고, 판별에 따라 제1포토커플러(PC1)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일련의 처리 흐름을 저장하는 제어소자이다. 그런데 마이콤을 이용할 경우 상용전원에 포함된 노이즈가 전압검출부(VD)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전압검출부(VD)의 출력단자를 직접 마이콤의 입력단자에 연결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전압검출부와 포토커플러의 구성 회로도이다. 보다 적절하게는 도 11은 마이콤 또는 비교기를 추가할 경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일 실시예의 전압검출부 회로도 및 제1포토커플러를 도시하였다. 도 11(a)는 일 실시예의 전압검출부를 나타내며, 도 11(b)는 트라이액(TRIAC), 저항(r2, r3, r4) 및 제1포토커플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에 도시된 전압검출부 구성회로는 도 9(a)에 제시된 전압검출부의 출력단에 제2포토커플러(PC2)를 부가한 회로이다. N1단자와 N2단자 사이에 설치되는 제4다이오드(D4)는 제2포토커플러(PC2)를 구성하는 포토다이오드에 지나친 내압이 인가되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이다. 도 11(a)에 도시된 전압검출부의 출력단자(Min)는 상용전원과 전기적으로 독립되므로 상용전원에 포함된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 마이콤의 입력 단자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항(r5)는 포토커플러를 구성하는 포토 트랜지스터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소자로 설치된다.
도 11(a)로 구성된 회로에서 입력전원으로 220V가 인가될 경우, N1 단자에서 N2 단자 방향으로 전류 흐름을 형성하게 되고, 제2포토커플러(PC2)가 온이되면서 출력단자(Min)에는 낮은 전압이 출력된다. 출력단자(Min)가 연결된 마이콤은 상용전원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었음을 판별하고, 마이콤의 출력단자(Mout)에는 제1포토커플러(PC1)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전압을 출력하게 되고, 트라이액(TRIAC)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1(a)로 구성된 회로에서 입력전원으로 110V가 인가될 경우, N2 단자에서 N1 단자 방향으로 전류 흐름을 형성하게 되고, 제2포토커플러(PC2)가 오프가 되면서 출력단자(Min)에는 높은 전압이 출력된다. 출력단자(Min)가 연결된 마이콤은 상용전원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되었음을 판별하고, 마이콤의 출력단자(Mout)에는 제1포토커플러(PC1)을 온 상태로 절환시키기 위한 전압을 출력하게 되고, 트라이액(TRIAC)은 온 상태로 절환하게 된다.
도 11(b)는 트라이액(TRIAC), 저항(r2, r3, r4) 및 제1포토커플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0을 구성하는 일부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1(b) 회로는 도 8(b)에 도시된 회로와는 달리 포토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가 접지단자와 연결되는 구성상의 차이점이 있다. 이는 비교기 또는 마이콤의 출력단자가 하나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1(b)에 제시된 회로는 제1포토커플러(PC1)를 구성하는 포토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를 도 9(b)와 같은 연결 형태로 사용할 경우 비교기 또는 마이콤이 부가되지 않은 도 8의 회로에서 제1사이리스터(SCR1), 제1포토커플러(PC1) 및 저항(r1)의 대체하는 회로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기술에서 상용전원은 지역에 따라 두 가지 전압(110V, 220V)이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동일 국가라 하더라도 세부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전압이 상이하고, 또한 다양한 범위의 전압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110V와 220V라는 전압은 설명의 편의상 특정한 전압값이라 이해되어져야 하며, 보편적으로는 제1전압과,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으로 표현되는 다른 전압값도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광의로 보면 마이콤 또는 비교기(130)는 제어소자에 속하는 회로소자로 이해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를 이용하여 제논램프를 구비하는 아이피엘 기기를 형성할 경우, 본체부와 핸드피스부로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1을 기준으로 본체부에는 배전압부(20), 제어부(30), 유저인터페이스(50), 충전 캐패시터 및 트리거부(60)를 구비하고, 핸드피스부에는 트리거 소자를 갖는 제논램프가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체부에서 생성된 램프 구동 전원은 케이블을 이용하여 핸드피스부로 공급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20: 배전압부 30: 제어부
50: 유저인터페이스 60: 트리거부
70: 제논램프 71: 트리거 소자
80: 출력전압제어형 전원공급부
100: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
110: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
130: 비교기
SW: 스위치부 VD: 전압검출부
PC1: 제1포토커플러 PC2: 제2포토커플러
SCR1: 제1사이리스터 SCR2: 제2사이리스터

Claims (17)

  1. 제1전압 또는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을 갖는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제1전압을 갖는 상용전원의 경우에는 상용전원 피크 전압의 3배까지 충전 캐패시터를 충전 가능하고, 제2전압을 갖는 상용전원의 경우에는 상용전원 피크 전압의 2배까지 충전 캐패시터를 충전 가능한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에 있어서,
    제1단자가 상기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연결되며, 제1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제1캐패시터로 동작하고, 제2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제1다이오드로 동작하는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와,
    상기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의 제2단자와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와,
    상기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상기 상용전원의 제2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2캐패시터와,
    충전 캐패시터와,
    상기 제2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의 제2단자와 상기 상용전원의 제2단자 사이에 연결되며, 제1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다이오드로 동작하고, 제2전압의 상용전원에서는 무한대 저항의 오픈 회로로 동작하는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캐패시터의 제1단자는 상기 스위치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기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2사이리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 선택 동작부는 상기 상용전원의 제1단자와 상기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1캐패시터와, 상기 상용전원의 제1단자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는 상기 상용전원의 전압이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전압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검출부의 출력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포토커플러와, 상기 포토커플러가 온이 될 때 동작하는 제1사이리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리스터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상용전원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2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와,
    제논램프와,
    상기 제논램프를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소자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논램프를 발광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아이피엘 기기.
  9. 제4항의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와,
    제논램프와,
    상기 제논램프를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소자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논램프를 발광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아이피엘 기기.
  10. 제5항의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와,
    제논램프와,
    상기 제논램프를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소자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논램프를 발광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아이피엘 기기.
  11. 제6항의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와,
    제논램프와,
    상기 제논램프를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소자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논램프를 발광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아이피엘 기기.
  12. 제7항의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와,
    제논램프와,
    상기 제논램프를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소자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논램프를 발광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아이피엘 기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검출부의 출력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포토커플러와, 상기 제1포토커플러가 온이 될 때 동작하는 트라이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 반응형 다이오드는 제3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액의 T1 단자는 상기 제1캐패시터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트라이액의 T2 단자는 상기 제3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3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상용전원의 제2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
  16. 제14항의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와,
    제논램프와,
    상기 제논램프를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소자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논램프를 발광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아이피엘 기기.
  17. 제15항의 아이피엘 기기용 구동 회로와,
    제논램프와,
    상기 제논램프를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소자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논램프를 발광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아이피엘 기기.
KR1020170044626A 2016-04-19 2017-04-06 아이피엘 기기 및 그 구동 회로 KR101875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744 2016-04-19
KR20160047744 2016-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628A KR20170119628A (ko) 2017-10-27
KR101875418B1 true KR101875418B1 (ko) 2018-07-09

Family

ID=6011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626A KR101875418B1 (ko) 2016-04-19 2017-04-06 아이피엘 기기 및 그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5418B1 (ko)
WO (1) WO2017183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472B1 (ko) * 2019-06-28 2021-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지 보호 장치
US11251609B2 (en) 2018-08-31 2022-02-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urge protection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410A (ko) * 2010-06-04 2011-04-27 고영산 싸이리스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레벨 조절이 가능한 아이피엘 기기
KR101078204B1 (ko) * 2011-01-06 2011-11-01 김성은 고효율 아이피엘 기기
KR20150089758A (ko) * 2014-01-28 2015-08-05 블루웰 주식회사 사용자 피부에 따라 램프 발광을 제어하는 ipl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4492B2 (en) * 2004-12-10 2009-02-24 Therative, Inc. Skin treatment device
KR200456424Y1 (ko) * 2011-01-27 2011-11-01 조성춘 전해콘덴서 폭발 방지 기능을 갖는 아이피엘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410A (ko) * 2010-06-04 2011-04-27 고영산 싸이리스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레벨 조절이 가능한 아이피엘 기기
KR101078204B1 (ko) * 2011-01-06 2011-11-01 김성은 고효율 아이피엘 기기
KR20150089758A (ko) * 2014-01-28 2015-08-05 블루웰 주식회사 사용자 피부에 따라 램프 발광을 제어하는 ipl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628A (ko) 2017-10-27
WO2017183813A1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106B1 (ko) 싸이리스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레벨 조절이 가능한 아이피엘 기기
KR101331464B1 (ko) Led 구동 회로와 led 조명 장치
US8896221B2 (en) Lighting device f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nd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same
EP0948245A2 (en) Dimmable ballast with complementary converter switches
KR101875418B1 (ko) 아이피엘 기기 및 그 구동 회로
KR20180123312A (ko)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KR20100023770A (ko)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광원을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어레인지먼트
JP2001351792A (ja) セラミック・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用高周波数電子安定器の電力調整回路
JP6344045B2 (ja) Led点灯回路及びled照明装置
JP2010274112A (ja) エネルギーレベル調節が可能なipl機器
US5189602A (en) High-voltage generator with selective half-bridge and full-bridge operation
KR101566780B1 (ko) 사용자 피부에 따라 램프 발광을 제어하는 ipl 장치
KR101683060B1 (ko) 아이피엘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아이피엘 기기
US20110029046A1 (en) Control circuit for flash lamps or the like
KR101974910B1 (ko)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기기
KR101666818B1 (ko) 아이피엘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아이피엘 기기
JP2017188341A (ja) 調光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KR20150129995A (ko) 방전 시동 전압 및 유지 전류 공급 유닛과 이 유닛을 구비한 피부 치료용 다파장 레이저 장치
EP4299027A1 (en) Hair treatment device
KR102460806B1 (ko) 아이피엘용 트리거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아이피엘 기기
KR20170072179A (ko)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기기
US20240172345A1 (en) Light turn-off fade time control
KR0156109B1 (ko) 고주파 가열장치
KR940006486B1 (ko)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SU1128944A1 (ru) Электрокоагул 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