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312A -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 Google Patents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312A
KR20180123312A KR1020170057346A KR20170057346A KR20180123312A KR 20180123312 A KR20180123312 A KR 20180123312A KR 1020170057346 A KR1020170057346 A KR 1020170057346A KR 20170057346 A KR20170057346 A KR 20170057346A KR 20180123312 A KR20180123312 A KR 20180123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kin
current
volt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해용
김학준
김성은
윤영필
송주영
Original Assignee
(주)오스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스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오스힐
Priority to KR102017005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3312A/ko
Priority to PCT/KR2018/001016 priority patent/WO2018207996A1/ko
Publication of KR20180123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킨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와 접촉하여 펄스를 출력하는 피부 접촉 프로브, 및 상기 피부 접촉 프로브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값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로 출력되는 펄스는, 피부 내부에 전기천공을 형성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 및 피부에 미세전류를 전달하는 미세전류 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서로 상반되는 전류와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기능을 하나의 회로와 프로브에 통합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화장품 투입과 피부 리프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Skin booster with micro-current control means}
본 발명은 피부에 펄스를 가하는 스킨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기능을 하나의 회로와 프로브에 통합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스킨 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스킨 부스터(skin booster)는 약물이나 화장품을 피부에 투입시키기 위한 기기로써, 기존의 이온도입기와는 달리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을 사용하여 피부의 지질 이중층에 미세한 홀(pore)을 일시적으로 형성시켜서 약물이나 화장품의 유효성분을 직접적으로 전달시킨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피부에 통로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교류(AC) 형태의 펄스 전류를 피부에 인가시켜 주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3~10mA 정도의 전류를 필요로 한다.
한편, 미세전류(micro-current)는 1000uA 이하의 미세한 전류를 의미하며, 미세전류는 ATP를 증가시키고, 이 증가한 ATP는 또한 운동이 우리 몸의 근육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과 유사하게 안면 근육을 활성화 하여 탄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종래의 경우, 10mA 정도의 상대적으로 강하면서도 수 kHz의 중주파수가 필요한 일렉트로포레이션 방식과 수 백 uA로 미세한 전류값과 수십 Hz 정도의 저주파수가 필요한 미세전류 방식이 하나의 기기로 구현할 수 없었다. 이는, 전류와 주파수 특성이 상이한 두 기기의 회로가 통합되기 어렵기 때문이며, 하나의 회로로 통합되기 위해서는 출력 전압과 전류가 모두 제어 가능한 펄스 생성 회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한국공개특허 "피부 흡수 향상 장치(10-2004-00059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기능을 하나의 회로와 프로브에 통합한 스킨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피부와 접촉하여 펄스를 출력하는 피부 접촉 프로브; 및 상기 피부 접촉 프로브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값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로 출력되는 펄스는, 피부 내부에 전기천공을 형성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 및 피부에 미세전류를 전달하는 미세전류 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출력 제어부는, 펄스의 종류 및 출력 레벨에 따라 펄스의 전압을 승압하는 DC-DC 승압 컨버터; 상기 승압된 전압을 H 브릿지를 이용하여 양극펄스 및 음극펄스를 생성하는 H 브릿지 펄스 생성부; 및 펄스의 전류값을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DC-DC 승압 컨버터는, 펄스폭변조(PWM) 신호를 저항과 커패시터를 통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전달시키고, 인덕터와 다이오드를 통해 전압이 증폭되고 반파정류된 이후, 후단의 커패시터에 전하가 축적되어 직류 전압으로 정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DC-DC 승압 컨버터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의 전압을 10 내지 30 V의 전압으로 승압하고, 미세전류 펄스의 전압을 5 내지 15 V의 전압으로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H 브릿지 펄스 생성부는,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는 음극펄스 및 양극펄스를 교대로 출력시키고, 상기 미세전류 펄스는 음극펄스 또는 양극펄스 중 하나만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H 브릿지 펄스 생성부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의 주파수를 1,000 내지 60,000 Hz로 제어하고, 미세전류 펄스의 주파수를 0.5 내지 600 Hz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제너다이오드와 멀티플렉서를 통해 결정되는 저항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의 전류를 2 내지 10 mA로 제어하고, 미세전류 펄스의 전류를 100 내지 300 uA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 제어부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부로 소정의 파장을 갖는 빛을 방출하는 광방출부를 더 포함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을 수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스킨 부스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상반되는 전류와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기능을 하나의 회로와 프로브에 통합하여, 하나의 기기에서 화장품 투입과 피부 리프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부스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제어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킨 부스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킨 부스터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 혹은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우선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부스터는, 피부와 접촉하여 펄스를 출력하는 피부 접촉 프로브, 및 상기 피부 접촉 프로브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값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로 출력되는 펄스는, 피부 내부에 전기천공을 형성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 및 피부에 미세전류를 전달하는 미세전류 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부스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 부스터(100)는 출력 제어부(110), 및 피부 접촉 프로브(120)로 구성되며, 전원부(130), 마이크로프로세서(140), 광제어부(150), 또는 광방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접촉 프로브(120)는 피부와 접촉하여 펄스를 출력한다. 출력 제어부(110)에서 생성된 펄스를 피부로 방출하거나 도포물 또는 피부부착물에 펄스를 가할 수 있다. 상기 피부로 출력되는 펄스는, 피부 내부에 전기천공을 형성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 및 피부에 미세전류를 전달하는 미세전류 펄스일 수 있다. 전극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2 개 이상의 전극으로 형성되어 바이폴라 형태의 두 개의 접점을 가지도록 두 개씩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원형, 반타원형, 원형, 돌기형, 또는 브러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출력 제어부(110)는 피부 접촉 프로브(120)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값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회로와 프로브로 일렉트로포레이션 기능과 미세전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출력 제어부(110)가 피부 접촉 프로브(120)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값을 제어한다. 일렉트로포레이션 모드와 미세전류 모드에서 각각 필요한 전압과 전류값을 설정하기 위해 부스트 방식의 DC-DC 승압 컨버터에 의해 전압 크기를 조절하고 H 브리지를 통해 펄스를 양극(positive)와 음극(negative) 형태로 출력시킨다. 출력된 펄스는 최종적으로 정전류 제어부를 통해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출력의 전류값을 조절한다.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출력 제어부(110)는 도 1과 같이, 구체적으로, DC-DC 승압 컨버터(210), H 브릿지 펄스 생성부(220), 및 정전류 제어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DC-DC 승압 컨버터(210)는 펄스의 종류 및 출력 레벨에 따라 펄스의 전압을 승압한다. 생성하고자 하는 펄스의 종류가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인지 미세전류 펄스인지 및 출력 레벨이 얼마인지에 따라 요구되는 펄스의 전압에 맞춰 입력받은 DC 전압을 DC 전압으로 승압한다.
이를 위하여, DC-DC 승압 컨버터(210)는 펄스폭변조(PWM) 신호를 저항과 커패시터를 통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전달시키고, 인덕터와 다이오드를 통해 전압이 증폭되고 반파정류된 이후, 후단의 커패시터에 전하가 축적되어 직류 전압으로 정류시킨다. 도 3의 회로를 참조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PWM(Pulse-Width Modulation) 출력에 의해 펄스폭이 변조된 신호가 커패시터 C1과 저항 R4의 병렬회로를 거쳐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 단에 연결된다. 이때 C1은 베이스 저항 R4가 Q4의 베이스단 전하에 의해 지연되는 현상을 개선한다. PWM 신호는 인덕터 L1과 정류 다이오드 D2를 거치면서 전압이 증폭되고 반파정류작용을 하며 C2의 커패시터에 전하가 축적되면서 펄스 형태의 전압이 직류 전압 형태로 정류된다. 이 때 1.5M옴의 저항 R7을 두어 승압된 출력이 C2에 축적이 된 채로 전원이 OFF될 때에 C2에 남아있던 전하를 강제적으로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전장치 기능의 저항이다.
DC-DC 승압 컨버터(210)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의 전압을 10 내지 30 V의 전압으로 승압하고, 미세전류 펄스의 전압을 5 내지 15 V의 전압으로 승압할 수 있다. 부스트 컨버터에 의해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출력은 사용자로 입력받은 선택 레벨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렉트로포레이션(스킨 부스터): 10 V(레벨1), 20 V(레벨2), 30 V(레벨3)
미세전류: 5 V(레벨1), 10 V(레벨2), 15 V(레벨3)
H 브릿지 펄스 생성부(220)는 상기 승압된 전압을 H 브릿지를 이용하여 양극펄스 및 음극펄스를 생성한다. H 브릿지 펄스 생성부(220)는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는 음극펄스 및 양극펄스를 교대로 출력시키고, 상기 미세전류 펄스는 음극펄스 또는 양극펄스 중 하나만 출력시킨다. 일렉트로포레이션 모드에서는 전기 천공을 위해 음극펄스 및 양극펄스를 교대로 출력시키고, 미세전류 펄스는 음극펄스 또는 양극펄스 중 하나만 출력시킨다. 이를 통해, 하나의 회로 및 프로브로 일렉트로포레이션 기능과 미세전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H 브릿지 펄스 생성부(220)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의 주파수를 1,000 내지 60,000 Hz로 제어하고, 미세전류 펄스의 주파수를 0.5 내지 600 Hz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회로를 참조하면, 생성된 부스트 승압 전압은 Q2, Q3, Q5, Q6, Q7, Q8로 형성되는 H 브리지 회로를 통해 양극 펄스와 음극 펄스를 선택적으로 생성시켜 피부로 전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일렉트로포레이션 모드에서는 양극과 음극이 교대로 형성되는 교류 출력이 필요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출력 P1과 P2가 교대로 ON, OFF 되면서 양극 및 음극 펄스를 출력시킨다. 이때 주파수는 1000 ~ 60,000Hz의 중주파수 대역으로 제어된다. 미세전류 모드에서는 양극 또는 음극 펄스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직류 형태의 전압을 피부에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 P1 또는 P2를 LOW 상태로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출력만을 LOW/HIGH 상태로 제어하면서 미세전류 출력에 적합한 저주파수 대역인 0.5 ~ 600Hz로 제어한다.
정전류 제어부(230)는 상기 생성되는 펄스의 전류값을 제어한다.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와 미세전류 펄스에서 요구되는 전류값의 범위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바, 펄스의 전류값을 제어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전류 제어부(230)는 제너다이오드와 멀티플렉서를 통해 결정되는 저항에 따라 펄스의 전류값을 제어한다.
도 3의 회로를 참조하면, 일렉트로포레이션은 피부의 이중 인지질층에 전기적인 충격을 주어 일시적으로 통로(pathway)를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출력 전류가 최대 10mA 정도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의 전류값이 필요하고, 미세전류는 1000uA(0.1mA)이하의 낮은 전류가 필요하므로 출력 전류를 각 모드에 따라서 적절히 제어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Q1A의 트랜지스터와 제너다이오드 ZD1을 이용한 정전류회로를 통해 이를 구현한다. 전류값 Ic는 제너다이오드 전압인 Vzd1과 Q1A의 에미터(emitter)단 저항인 R21 ~ R28에 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즉, Ic = Vzd1/(R21~R28) 이다. 저항값 R21~R28은 총 8단계의 전류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4051 멀티플렉서를 통해 해당 저항이 선택이 되며 저항의 선택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출력인 A, B, C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정전류 제어부(230)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의 전류를 2 내지 10 mA로 제어하고, 미세전류 펄스의 전류를 100 내지 300 uA로 제어할 수 있다.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모드에서의 출력 전류를 각각 아래와 같이 설정된다.
일렉트로포레이션(스킨 부스터): 2 mA(레벨1), 5 mA(레벨2), 10 mA(레벨3)
미세전류: 100 uA(레벨1), 200 uA(레벨2), 300 uA(레벨3)
마이크로프로세서(처리부, 140)출력 제어부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입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방출부(160)는 피부로 소정의 파장을 갖는 빛을 방출한다. 펄스뿐만 아니라, 광을 이용할 수 있다. 광원은 LED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일렉트로포레이션 기능의 효율을 증대하는 파장 또는 미세전류 기능의 효율을 증대하는 파장을 가지는 빛일 수 있다. 피부로 방출되는 빛의 파장은 감염방지를 위한 파장 또는 약물침투를 위한 파장일 수 있으며, 400nm 내지 470 nm의 파장일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킨 부스터의 블록도이다.
헤드부는 피부에 접촉되는 헤드부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브와 LED 빛을 전달하는 LED 파티션이 있어서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의 출력 펄스와 LED에 의한 광출력을 피부에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는 일렉트로포레이션 모드와 미세전류 모드에서 각각 필요한 전압과 전류값을 설정하기 위해 부스트 방식의 DC-DC 승압 컨버터에 의해 전압 크기를 조절하고 H 브리지를 통해 펄스를 양극(positive)와 음극(negative) 형태로 출력시킨다. 출력된 펄스는 최종적으로 정전류 제어부를 통해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출력의 전류값을 조절한다.
전체적인 제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이루어지며 3.7V 단일 셀의 리튬폴리머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 제어부 회로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킨 부스터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기기 본체에는 두 개의 버튼이 있어서, 하나는 스킨부스터 버튼(530)이고 다른 하나는 미세전류 버튼(540)이다. 스킨 부스터 버튼(530)을 누르면 일렉트로포레이션 출력이 피부 접촉 프로브(510)로 출력되며 3단계로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3단계의 세기 조절은 LED 인디케이터(520)에 LED가 들어오는 개수로 표현이 된다. 스킨 부스터 기능을 작동시키면 프로브에 위치한 LED 파티션(550)과 LED 인디케이터(520)가 청색으로 들어온다. 미세전류 버튼(540)을 누르면 미세전류 출력이 프로브(510)를 통해 나오며, LED인디케이터(520)와 LED 파티션(550)에는 녹색 불이 들어온다. 전원은 스킨 부스터 버튼(530)을 누르면 들어오고, 버튼 조작이 없을 경우 10분 후 자동으로 전원이 OFF 되거나, 스킨 부스터 버튼(530)을 3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강제로 전원을 OFF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스킨 부스터
110: 출력 제어부
120: 피부 접촉 프로브
130: 전원부
140: 마이크로프로세서
150: 광제어부
160: 광방출부

Claims (11)

  1. 피부와 접촉하여 펄스를 출력하는 피부 접촉 프로브; 및
    상기 피부 접촉 프로브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출력값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로 출력되는 펄스는,
    피부 내부에 전기천공을 형성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 및 피부에 미세전류를 전달하는 미세전류 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부는,
    펄스의 종류 및 출력 레벨에 따라 펄스의 전압을 승압하는 DC-DC 승압 컨버터;
    상기 승압된 전압을 H 브릿지를 이용하여 양극펄스 및 음극펄스를 생성하는 H 브릿지 펄스 생성부; 및
    펄스의 전류값을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킨 부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승압 컨버터는,
    펄스폭변조(PWM) 신호를 저항과 커패시터를 통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전달시키고, 인덕터와 다이오드를 통해 전압이 증폭되고 반파정류된 이후, 후단의 커패시터에 전하가 축적되어 직류 전압으로 정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승압 컨버터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의 전압을 10 내지 30 V의 전압으로 승압하고, 미세전류 펄스의 전압을 5 내지 15 V의 전압으로 승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 브릿지 펄스 생성부는,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는 음극펄스 및 양극펄스를 교대로 출력시키고, 상기 미세전류 펄스는 음극펄스 또는 양극펄스 중 하나만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H 브릿지 펄스 생성부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의 주파수를 1,000 내지 60,000 Hz로 제어하고, 미세전류 펄스의 주파수를 0.5 내지 600 Hz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제너다이오드와 멀티플렉서를 통해 결정되는 저항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부는,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의 전류를 2 내지 10 mA로 제어하고, 미세전류 펄스의 전류를 100 내지 300 uA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부스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출력 제어부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스킨 부스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로 소정의 파장을 갖는 빛을 방출하는 광방출부를 더 포함하는 스킨 부스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을 수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스킨 부스터.

KR1020170057346A 2017-05-08 2017-05-08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KR20180123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46A KR20180123312A (ko) 2017-05-08 2017-05-08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PCT/KR2018/001016 WO2018207996A1 (ko) 2017-05-08 2018-01-23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46A KR20180123312A (ko) 2017-05-08 2017-05-08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12A true KR20180123312A (ko) 2018-11-16

Family

ID=6410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346A KR20180123312A (ko) 2017-05-08 2017-05-08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123312A (ko)
WO (1) WO201820799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263B1 (ko) * 2020-01-09 2020-11-13 엄용언 냉온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피부미용장치
KR20200129503A (ko)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엘림텍 전기자극을 이용한 약물전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약물전달 시스템
KR102318662B1 (ko) * 2021-08-12 2021-10-28 (주)이지템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30057B1 (ko) * 2020-11-30 2021-11-23 오철현 피부 케어 최적화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55584B1 (ko) * 2022-02-28 2023-07-20 농업회사법인 팜팜(주) 전기천공을 이용하여 과채류에 천연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6307A (zh) * 2018-05-17 2019-11-26 成都市土鳖格局医疗科技有限公司 视觉功能治疗仪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5761B2 (en) * 2001-04-06 2003-03-18 Mattioli Engineering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kin absorption enhancement
WO2008048632A1 (en) * 2006-10-17 2008-04-24 Vgx Pharmaceuticals, Inc. Electropor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for electroporation of cells in mammals
US9415203B2 (en) * 2009-08-28 2016-08-16 Caci Microlift Limited Electrostimulation devices
KR102599318B1 (ko) * 2011-06-28 2023-11-07 이노비오 파마수티컬즈, 인크. 최소 침습 피부 전기천공 장치
KR101723420B1 (ko) * 2015-12-31 2017-04-05 (주)오스힐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스킨 부스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503A (ko)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엘림텍 전기자극을 이용한 약물전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약물전달 시스템
KR102178263B1 (ko) * 2020-01-09 2020-11-13 엄용언 냉온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피부미용장치
KR102330057B1 (ko) * 2020-11-30 2021-11-23 오철현 피부 케어 최적화를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18662B1 (ko) * 2021-08-12 2021-10-28 (주)이지템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555584B1 (ko) * 2022-02-28 2023-07-20 농업회사법인 팜팜(주) 전기천공을 이용하여 과채류에 천연 첨가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07996A1 (ko)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312A (ko)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US9764133B2 (en)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972016B2 (en)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454667B1 (ko) 승압회로를구비한전기수송주입장치
AU2013207901B2 (en)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06035335A3 (en) Defibrillator having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for transcutaneous pacing
CN215542205U (zh) 传感装置、电子雾化装置的驱动电路以及电子雾化装置
KR102023654B1 (ko) 고주파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휴대용 고주파 두피 마사지기
JP6063174B2 (ja) 美容機器
CN112426627B (zh) 一种双相恒流型心脏除颤器
KR101871844B1 (ko)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5418B1 (ko) 아이피엘 기기 및 그 구동 회로
JP5008755B2 (ja) イオン導入器
JP4583045B2 (ja) イオン導入器
CN115606873A (zh) 一种系统控制电路、指示组件及电子雾化装置
CN102580245A (zh) 重复脉冲型神经磁刺激发射源
JP7046306B2 (ja) 低周波治療装置
KR102557821B1 (ko) 스위치드 커패시터 기반 전기 자극 장치 및 방법
CN215498236U (zh) 一种高强度磁场脉冲产生控制电路
CN217307655U (zh) 一种电脉冲电路
Rapp et al.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Control for Efficient Electrical Stimulation
JP3640110B2 (ja) 低周波治療器
JP2759715B2 (ja) 低周波治療器
WO2023225045A1 (en) Multi-modal skin treatment device
CN1155421C (zh) 镜架式电睡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