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662B1 -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662B1
KR102318662B1 KR1020210106418A KR20210106418A KR102318662B1 KR 102318662 B1 KR102318662 B1 KR 102318662B1 KR 1020210106418 A KR1020210106418 A KR 1020210106418A KR 20210106418 A KR20210106418 A KR 20210106418A KR 102318662 B1 KR102318662 B1 KR 102318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poration
current
unit
electrode pad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우
Original Assignee
(주)이지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템 filed Critical (주)이지템
Priority to KR102021010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6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52Body part for treatment of skin or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8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for particular medical treatments or effects
    • A61F2007/029Fat cell removal or destruction by non-ablative heat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피부관리를 위한 유효성분을 피부로 흡수시키는 전극 패드부, 및 전극 패드부의 동작 초기에 피부 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생성하여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며, 전극 패드부의 접촉 면적을 근거로 (기)생성한 전류를 증감하여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Device of Electroporation Pad for Slimm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슬리밍(slimming) 물질이 함유된 패치나 슬림 크림을 피부 내에 효과적으로 흡수시키기 위해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를 적용하여 특히 피부 접촉 면적이 큰 대형 패드에 사용 가능하도록 전류 증폭 회로를 구성하는 전류 증강 바디 패드로서 동작하는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의 예방과 치료 혹은 다이어트를 위해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최근에는 많은 여성들이 수술에 대한 부담감과 비용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슬리밍이나 안티 셀룰라이트 패치용품을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패치는 피부에 흡수를 촉진시키는 기능이 없는 수동적으로 흡수되는 형태이고 경우에 따라 흡수되는 분자 크기에 따라 피부 장벽으로 인해 흡수가 제한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초음파, 저주파나 피부 미용기, 이온 도입법 등이 사용되어 있지만, 이들 피부 미용기조차도 국소 부위에만 집중할 수 있거나, 활동하면서 사용할 수 없거나 이온화된 물질만 공급되어야 하는 제약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흡수되는 물질의 크기와 사용부위에 제한이 없이 허리 허벅지 등 대면적에서도 효과적으로 흡수 촉진이 가능한 슬리밍용 패치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30528호(2019.10.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90159호(2020.12.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68972호(2020.10.1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08539호(2020.09.21)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슬리밍 물질이 함유된 패치나 슬림 크림을 피부 내에 효과적으로 흡수시키기 위해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를 적용하여 특히 피부 접촉 면적이 큰 대형 패드에 사용 가능하도록 전류 증폭 회로를 구성하는 전류 증강 바디 패드로서 동작하는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피부관리를 위한 유효성분을 상기 피부로 흡수시키는 전극 패드부, 및 상기 전극 패드부의 동작 초기에 상기 피부 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며, 상기 전극 패드부의 접촉 면적을 근거로 상기 생성한 전류를 증감하여 상기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한 제1 전류를 상기 전극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로 출력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부, 및 상기 접촉 면적을 근거로 상기 제1 전류를 지정된 값의 제2 전류로 변환해 상기 전극부로 출력하는 전류 증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드부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온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는, 상기 제어장치의 양전극 및 음전극과 각각 자석식으로 접촉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드부의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음극 단자는 돌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장치의 상기 양전극 및 상기 음전극은 상기 돌기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극 패드부와의 연결이 감지될 때 상기 전극 패드부의 온도를 지정된 값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의 동작 후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미세전류에 의한 리프팅(lifting)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증폭하는 전류 증폭부, 및 상기 리프팅 동작을 위해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미세전류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의 구동방법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전극패드부가, 피부관리를 위한 유효성분을 상기 피부로 흡수시키는 단계, 제어장치가, 상기 전극 패드부의 동작 초기에 상기 피부 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며, 상기 전극 패드부의 접촉 면적을 근거로 상기 생성한 전류를 증감하여 상기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부, 허리 허벅지 등 대면적 패드를 부착하고 있으면 슬리밍 물질이 함유된 패치에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작용을 인가하여 넓은 면적에도 간편하게 통증 없이 슬리밍 크림이 넓은 면적에 골고루 흡수되어 슬리밍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렉트로포레이션 방법에 전류 증강 회로를 추가하여 접촉 면적이 커지더라도 전류출력값이 감쇠하지 않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제어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도 5의 일렉트로포레이션부의 회로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4의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도 1 내지 도 4의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4의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이하,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전극 패드부(110)와 제어장치(120)를 포함한다.
전극 패드부(110)는 사용자들의 피부에 부착하여 앰플이나 크림 등의 유효성분의 흡수를 위한 부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일렉트로포레이션 기술로는 넓은 패드 면적의 흡수 촉진에 적합한 중주파(수) 파워를 제공할 수 없다. 여기서, 파워는 통상 전력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전력(P = VI)을 생성하기 위한 전압이나 전류를 의미하기도 하므로, 그러한 대상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드부(110)는 중주파 전압을 사용하면서 패드 전극면적이 기존의 패치보다는 물론 넓다. 물론 기존의 패치 제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들과 달리 슬리밍용 액티브 패치가 아니며, 패드 전극면적이 좁고, 대면적 패드 매칭기술도 없으며, 흡수촉진을 위한 기술도 없다. 대표적으로, 기존 기술은 저주파 자극기, 피부미용기(예: 이온도입기, 미세전류) 등을 나타낼 수 있다.
패치(patch)는 통상적으로 패시브 패치 즉 일반 화장품 패치나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같이 전기공급이 불필요한 것을 의미하며, 액티브 패치는 배터리 등의 전기적인 구동력으로 흡수력을 촉진하는 패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드부(110)는 사용자의 슬리밍(slimming)을 위한 액티브 패치로서 동작한다.
전극 패드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보호필름부 즉 제1 레이어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패치부 즉 제2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패치부는 온열 기능을 갖도록 도전물질이 코팅되거나, 열선을 포함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전극 패드부(110)의 외부로는 소위 '똑딱이'라는 불리는 형태의 체결부가 형성된다. 물론 해당 체결부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부(혹은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측에서 자석식으로 접촉하는 제어장치(120)와 도전한다.
제어장치(12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400)(혹은 외부 케이스)와, 그 본체부(400)의 내부에 구성되는 회로기판(410), 그리고, 회로기판(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400)의 하부로 노출되는 전극부(420)를 포함한다. 물론 전극부(420)는 도전성을 띠며 자석식으로 형성되어 전극 패드부(110)의 돌기부와 자력에 의한 접촉이 이루어진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석식의 결합은, 또 똑딱이 형태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며,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20)는 소형이나 대형의 전극 패드부(110)에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며, 가령 전극 패드부(110)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20)의 탈부착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어장치(120)를 구성하는 본체(400)의 외부로는 LED와 같은 상태 출력부와, 측정 시작 및 종료 등의 버튼이 구성된다. LED는 충전 및 동작 상태 표시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410)은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일렉트로포레이션과 미세전류, 그리고 온열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렉트로포레이션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의 바디케어 등을 위해 패드에 적용하고자 할 때, 패드전극 면적이 넓어지는 경우 중주파수 대역(예: 30㎑ ~ 100㎑)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대면적 패드에 중주파수 대역을 적용하면 유효성분의 투입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20)는 전류 증대 및 통증 감소를 위한 기술을 적용하여 전극이 넓어서 피부 접촉 면적이 커지더라도 전류 출력값이 감쇠하지 않아 일렉트로포레이션에 의한 흡수 촉진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20)는 일렉트로포레이션 동작,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해 생성된 전류의 증강, 미세전류에 의한 리프팅, 온열 동작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일렉트로포레이션(EP)이란 세포 내에 대한 유전자 도입법의 하나로서, 세포에 전기장(혹은 고전압)을 가하여 막의 투과성을 증가하고 DNA를 세포 내에 도입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기존 일렉트로포레이션 기기 또는 이온도입기의 경우 사용자의 피부 건조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흡수 촉진을 위한 주파수를 출력한다. 종래의 고전압 일렉트로포레이션은 수백 또는 수킬로 볼트의 높은 전압을 사용하되 짧은 펄스 폭을 가지도록 하여 순간적으로 피부의 세포막 사이에 전기적인 천공을 유도하는 방식이라 지속적인 사용이 어렵고 얼굴 부위에 적용하기에는 통증을 동반한다. 나아가, 종래의 고전압 일렉트로포레이션은 고전압을 피부에 가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시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이 커져 짧은 시간만 사용해야 하지만, 이러한 사항은 고전압 일렉트로포레이션을 가정용으로 사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잘 지켜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가정용에 적합하지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부에 구멍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 초기에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은 하나 이상의 피크(peak to peak)를 갖는 복합 중주파수의 전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20)는 피하 지방을 분해하기 위해 사용할 때 단순히 열을 발생시키는 종래의 캐비테이션 방식과 달리 중주파수의 복합적인 자극을 이용하여 피부층 아래의 피하 지방에 고전압과 저전압으로 구성된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즉, 전압)를 가해 지방 세포에 손상(damage)을 주고, 이로 인해 지방 세포의 증식 활동을 억제하여 체내 대사작용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가령 전극 패드부(110)에 지방분해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일렉트로포레이션 펄스가 가해질 때 지방분해 성분의 투입이 촉진되고, 결과적으로 해당 부위의 지방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중주파수는 1㎑ ~ 4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어장치(120)는 피부층 아래까지 자극을 주어 지방 세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방식을 이용하며, 소형화 및 패치형이기 때문에 기기를 사용하면서 다른 활동도 할 수 있는 활동성이 생기고 지방 분해 성분의 투입 또는 동시에 진행 및 촉진되기 때문에 지방 분해에 더욱 효율적인 마사지기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장치(120)가 일렉트로포레이션 장치로서 동작하도록 중주파수 대역을 더 낮게 맞추면 지속적으로 문지르고 있는 것과 같은 사용감이 부여되어 효과를 더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제어장치(120)는 가령 대면(적) 전극 패드와 본체(400)가 연결되면 온열 기능으로 패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버튼을 누르면 패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하고 미연결시 경고음을 낸다.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20분 동안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이용하여 슬리밍 크림의 흡수가 촉진되도록 한다. 또한, 20분이 지나면 미세전류 리프팅 모드를 10분 동안 유지시켜준다. 사용 시간이 30분을 넘지 않도록 30분이 경과되면 전원이 자동 종료된다.
상기의 구성 결과, 기존에는 바디케어를 위해 일반 화장품 패치나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같이 전기 공급이 불필요한 패치나 패드들은 많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포레이션(EP) 슬리밍 패드는 배터리 등의 전기적인 구동력으로 슬림 크림의 흡수력을 촉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소형의 국소 부위 케어에만 효과적인 EP나 미세전류를 전류 증강 기술을 통해 복부나 허벅지와 같은 넓은 대형 면적에 적용할 수 있다.
슬리밍을 위한 크림이 아무리 효과 좋아도 피부 흡수가 안되면 슬리밍 효과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무선이라 붙인 상태에서 활동이 가능하다(예: 충전식). 또한 슬리밍과 리프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2단계(예: 흡수 촉진 + 리프팅) 자동 트리트먼트 코스를 진행할 수 있다. 피부 흡수도는 400% 이상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위에서와 같이 일렉트로포레이션 동작과 미세전류에 의한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렉트로포레이션 방법은 피부 내에 도입되는 물질이 피부상에 공급된 후, 전압 펄스를 피부에 인가하는 방법으로, 전압 펄스를 인가하는 것은 피부 내에 미시적 구멍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급된 물질은 미시적 구멍을 통해 피부 내에 도입된다. 이로 인해 일렉트로포레이션 방법은 기존의 이온 도입법에 대비하여, 물질의 전기적 중성 분자를 피부 내에 도입하는 능력을 갖는다. 물질은 단지 침투 대신에 피부 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도입되기 때문에, 이온 도입법과 비교하여 보다 큰 분자 질량을 갖는 분자가 도입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렉트로포레이션 방법도 피부접촉 면적을 넓게 하면 전류값이 줄어들어서 투입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렉트로포레이션 방법에 전류 증강 회로를 추가하여 접촉 면적이 커지더라도 전류출력값이 감쇠하지 않는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제어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6은 도 5의 일렉트로포레이션부의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도 4의 제어장치(120)는 일렉트로포레이션부(500, 510), 전극부(520), 미세전류생성부(530), 온도제어부(530), (메인)제어부(550), 상태출력부(560, 570), 버튼부(580), 배터리부(590), 전원제어부(595)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상태출력부(560, 570)나 버튼부(58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제어장치(120)가 구성되거나, 온도제어부(5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55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일렉트로포레이션부(500, 510)는 EP 전압출력부(500) 및 전류 증폭부(510)를 포함한다. EP 전압출력부(500)는 제어부(550)의 제어하에 동작하며, 사용자가 피부 관리나 바디케어를 시작하는 동작 초기에 제어부(550)의 제어하에 중주파 대역의 고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 후 저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EP 전압출력부(500)에서는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전압과 주파수를 생성 후 출력 전류가 전극부(520)로 전달된다. 전류 증폭부(510)는 일렉트로포레이션의 전류 출력을 증폭해 준다. 여기서, 전류를 증폭한다는 것은 전류의 양을 늘리거나 전류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상 전류의 양은 전류의 인가되는 시간을 늘리거나, 전류의 세기 즉 진폭의 크기를 늘리면 증가할 수 있다.
전류 증폭부(510)는 가령 전극 패드부(100)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질 때, 전류를 증폭시키기 위하여 도 6에서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C 소자 LM4871의 출력은 최대 3,000mW / 25,000 = 0.12에 해당한다. 패드 면적당 0.12 mW/㎟가 되는 것이다.
패드 면적이 가로, 세로 250×100 = 25,000mm2 라고 할 경우, 기존의 일렉트로포레이션의 회로에서는 패드 면적당 약 0.028mW/mm2의 출력을 전달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하는 전류 증폭 IC를 이용해서 패드 면적당 약 0.12mW/mm2 로 약 4.3배 정도의 출력을 증강시켜 대면적 전극 패드에 일렉트로포레이션의 중주파수 파워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전극 패드가 대면적으로 생성되는 경우에도 중주파수의 파워 즉 전압을 전달하여 흡수촉진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 증폭부(510)는 LM4871의 IC 소자를 기준으로, 3번 핀(pin)과 4번 핀이 도 5의 EP 전압출력부(500)의 출력단자에 연결된다. EP 전압출력부(500)에서 생성된 고전압의 펄스전압은 3번 핀과 4번 핀으로 입력된다. 또한, 바이패스 필터가 2번 핀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IC 소자의 5번 핀과 8번 핀은 전극부(520)의 양전극(부)과 음전극(부)로 각각 출력되며, 여기서 전극부의 양전극과 음전극은 도 4에서 볼 때, 자석식의 접점을 형성하는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전극 패드부(110)의 양단자(111) 및 음단자(113)에 전류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류 증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극부(520)는 자석으로 대면적 패드와 컨트롤러 즉 제어부(550)와 연결되며, 제어부(550)에서 대면적 패드가 연결되었는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세전류 생성부(530)는 대면적 패드에 미세전류(예: 1㎂ ~ 1000㎂)가 전달되도록 출력 전류를 증폭한다. 미세전류 생성부(530)는 사용자 피부의 리프팅 동작을 위해 가동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20)는 슬리밍과 리프팅을 동시에 수행하여 자동 트리트먼트 코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령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도는 400% 이상이 될 수 있다.
온도 제어부(540)는 대면적 패드의 히팅 패드가 온열 기능이 동작되도록 온도를 제어해 준다. 온도 제어부(540)는 FET 등의 스위칭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550)의 제어하에 온/오프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일렉트로포레이션의 시간을 조절하여 사용자 피부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제어부(550)는 버튼부(580)를 통해 파워 온 동작이 있으면 상태 출력부(560, 570)를 통해 LED나 부저음으로 전원 및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전극은 자석으로 대면적 패드와 컨트롤러 즉 제어부(550)와 연결되므로, 대면적 패드가 연결되었는지 상태를 확인한다. 물론 이는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전류나 저항, 전압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감지하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연결이 감지되면 대면적 패드의 히팅 패드가 온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일렉트로포레이션부(500, 510)를 동작시켜 일렉트로포레이션에 의한 전류를 전극부(520)로 제공한다. 20분 동안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이용해 슬리밍 크림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또한, 제어부(550)는 20분 정도가 경과하면 미세전류 리프팅 모드(mode)로 10분 동안 유지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550)는 일렉트로포레이션부(500, 510)의 동작을 중단하고, 미세전류 생성부(530)의 동작을 가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가령 버튼부(580)를 통해 자동 트리트먼트 코스가 선택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촉진과 리프팅 동작은 별도 동작할 수 있지만, 가령 풀 코스와 같이 흡수 촉진 동작 이후에 이어서 리프팅 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바디 케어 또는 피부 관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태 출력부(560, 570)는 LED나 부저음으로 전원 및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버튼부(580)는 기기의 시작, 종료를 제어할 수 있으며, 특정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버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터리부(590)는 충전 배터리가 수납되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충전 아답터(597)가 연결될 수 있으며, 충전 아답터(597)는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류를 공급한다.
전원제어부(595)는 리튬폴리머 충전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며, 전원 버튼이 눌려지면 FET 소자에 의해 전원이 투입 및 제어된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4의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버튼을 누르면 패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하고 미연결시 경고음을 발생한다(S700, S710, S715).
또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대면 전극 패드와 본체가 연결되면, 온열 기능으로 패드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S720).
이어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대략 20분 정도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이용해서 슬리밍 크림의 흡수가 촉진되도록 슬리밍 동작을 수행한다(S730).
또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20분이 지나면 미세전류 리프팅 모드를 10분 동안 유지시켜준다(S740). 이러한 동작은 위의 슬리밍 동작의 중단 후에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동작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후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사용시간이 30분을 넘지 않도록 30분이 경과되며 전원을 자동 종료시킨다(S750).
도 8은 도 1 내지 도 4의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제어장치(120)는 도 8에서와 같이 변형된 형태의 제어장치(12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전극부(800), 제어부(810),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 및 미세전류 생성부(8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예: 버튼부, 음성수신부 등), 온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미세전류 생성부(8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제어장치(120')가 구성되거나,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8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극부(800)는 가령 도 1의 전극 패드부(110)에 연결되며 자석식으로 대면적 패드와 컨트롤러 즉 제어부(810)가 연결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810)에서 대면적 패드가 연결되었는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810)는 도 4의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 및 미세전류 생성부(830)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부(810)는 바디케어나 피부 관리 등을 위해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 및 미세전류 생성부(830)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는 연결되는 도 1 내지 도 4의 전극 패드부(110)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패드 면적의 크기에 따라 각각 고정적으로 기설정된 전류값으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지만, 기생성된 전류를 제공받아 증폭하는 것과 같이 가변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는지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패드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면적에 따라 전류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을 기설정된 크기의 중주파 대역의 전압을 사용할 때, 패드의 소형을 기준으로 하되, 대형일 때 전류를 증감시키는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한다.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는 앞서와 같이 EP 전압 출력부와 전류 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그러한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EP 전압 출력부가 대형 패드에 디폴트로 설정되어 중주파수의 전압을 출력하도록 설계되었다면 전류 증폭부는 전류 감소부가 될 수 있다. 전류 증폭부는 실질적으로 EP 전압 출력부가 소형 패드에 맞춰 설계되었기 때문에 전류 증폭을 통해 대형 패드에서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설계한다. 이는 전력 소모나, 상품의 판매 정도 등을 통해 결정되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는 펄스 형태의 고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전류 증폭부로 그에 상응하는 전류를 출력한다. 이때 전류 증폭부는 OA 앰프 등의 증폭회로를 통해 전류를 증폭하여 전극부(8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증폭회로는 전류를 순간적으로 부스트업시키는 부스팅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는 사용자의 피부에 슬리밍 크림 등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이를 위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해 피부에 구멍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크림의 흡수를 돕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흡수 촉진 동작은 대략 20분 정도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세전류 생성부(830)는 크림과 같은 유효성분의 흡수 촉진 동작 이외에 리프팅 동작을 위해 동작할 수 있다. 피부에 미세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미세전류 생성부(830)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와 별도로 분리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함께 동작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8의 전극부(800), 제어부(810), 일렉트로포레이션 전류증강부(820) 및 미세전류 생성부(8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도 4의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전극패드부(101)가, 피부관리를 위한 유효성분을 피부로 흡수시킨다.
또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피부 관리를 위한 유효성분을 피부로 흡수시키는 전극 패드부(110)의 동작 초기에 피부 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생성하는 전극 패드부(110)로 출력한다(S900).
나아가,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전극 패드부(110)의 접촉 면적에 따라 (기)생성한 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하여 전극 패드부(110)로 출력한다(S9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형 패드에 맞춰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의 크기를 결정하였기 때문에 전류를 증강하는 것이며, 만약 대형 패드에 맞춰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의 크기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소를 위하여 가령 유입된 일부 전류를 분류기에 의해 분류하여 일부를 바이패스(by-pass)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류의 증감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10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전극 패드부 120: 제어장치
300: 돌기부 400: 본체(부)
410: 회로기판 420: 전극부

Claims (8)

  1.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피부관리를 위한 유효성분을 상기 피부로 흡수시키는 전극 패드부; 및
    상기 전극 패드부의 동작 초기에 상기 피부 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며, 상기 전극 패드부의 접촉 면적을 근거로 상기 생성한 전류를 증감하여 상기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극 패드부와의 연결이 감지될 때 상기 전극 패드부의 온도를 지정된 값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의 동작 후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미세전류에 의한 리프팅(lifting) 동작을 수행하는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한 제1 전류를 상기 전극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부로 출력하는 일렉트로포레이션부; 및
    상기 접촉 면적을 근거로 상기 제1 전류를 지정된 값의 제2 전류로 변환해 상기 전극부로 출력하는 전류 증강부;를
    포함하는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드부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온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온열 소자를 포함하는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는, 상기 제어장치의 양전극 및 음전극과 각각 자석식으로 접촉하여 동작하는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드부의 상기 양극 단자와 상기 음극 단자는 돌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장치의 상기 양전극 및 상기 음전극은 상기 돌기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증폭하는 전류 증폭부; 및
    상기 리프팅 동작을 위해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미세전류 생성부;를
    포함하는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8.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전극패드부가, 피부관리를 위한 유효성분을 상기 피부로 흡수시키는 단계;
    제어장치가, 상기 전극 패드부의 동작 초기에 상기 피부 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에 의한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며, 상기 전극 패드부의 접촉 면적을 근거로 상기 생성한 전류를 증감하여 상기 전극 패드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극 패드부와의 연결이 감지될 때 상기 전극 패드부의 온도를 지정된 값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에 의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일렉트로포레이션의 동작 후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미세전류에 의한 리프팅(lifting)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10106418A 2021-08-12 2021-08-12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ctive KR10231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418A KR102318662B1 (ko) 2021-08-12 2021-08-12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418A KR102318662B1 (ko) 2021-08-12 2021-08-12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662B1 true KR102318662B1 (ko) 2021-10-28

Family

ID=7823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418A Active KR102318662B1 (ko) 2021-08-12 2021-08-12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646B1 (ko) * 2022-01-04 2022-07-27 (주)이지템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KR20230126841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기 자극을 이용한 전달 촉진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2543A (ja) * 2009-10-30 2011-05-12 Terumo Corp イオントフォレシスを利用したイオン性薬剤透過装置
KR101235784B1 (ko) * 2009-06-01 2013-02-21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KR20180123312A (ko) * 2017-05-08 2018-11-16 (주)오스힐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KR102030528B1 (ko) 2018-03-29 2019-11-08 주식회사 지씨에스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27098B1 (ko) * 2018-03-02 2020-06-26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구 제품
KR20200108539A (ko) 2019-03-11 2020-09-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기
KR102168972B1 (ko) 2019-07-22 2020-10-22 정대권 일렉트로-포레이션 기반의 두피 관리기
KR102190159B1 (ko) 2018-06-29 2020-12-11 (주)더마테크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84B1 (ko) * 2009-06-01 2013-02-21 이지훈 미세전류 자극용 매트
JP2011092543A (ja) * 2009-10-30 2011-05-12 Terumo Corp イオントフォレシスを利用したイオン性薬剤透過装置
KR20180123312A (ko) * 2017-05-08 2018-11-16 (주)오스힐 미세전류 조절 수단을 구비한 스킨 부스터
KR102127098B1 (ko) * 2018-03-02 2020-06-26 (주)제니스타 미세전류 인가 구조의 건강 침구 제품
KR102030528B1 (ko) 2018-03-29 2019-11-08 주식회사 지씨에스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90159B1 (ko) 2018-06-29 2020-12-11 (주)더마테크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108539A (ko) 2019-03-11 2020-09-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기
KR102168972B1 (ko) 2019-07-22 2020-10-22 정대권 일렉트로-포레이션 기반의 두피 관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646B1 (ko) * 2022-01-04 2022-07-27 (주)이지템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KR20230126841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기 자극을 이용한 전달 촉진 장치
KR102816727B1 (ko) 2022-02-24 2025-06-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기 자극을 이용한 전달 촉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662B1 (ko)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020193844A1 (en) Combination electrode-battery assembly for a miniature wireles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uro or muscular-stimulation unit
KR20100056849A (ko)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을 동시 적용한 전기치료기
WO2018128024A1 (ja) 電気治療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23654B1 (ko) 고주파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휴대용 고주파 두피 마사지기
KR102104871B1 (ko) 펄스 미세 전자기장 방식의 키성장 보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212235628U (zh) 可穿戴骶丛神经刺激器
KR20200005899A (ko) 휴대용 미세 전류 기기
KR101121681B1 (ko)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패드 및 이를 구비한 다주파수 다전극 심부투열 장치
GB2620511A (en) Device and method for unattended treatment of the patient
US8275461B2 (en) Pain relieving waveform system and method
KR10151255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접속단자에 연결시켜 피부 표면에 부착된 전극 패드로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커넥터 기기
CN110721404B (zh) 可穿戴骶丛神经刺激器及其电刺激方法
CN211536220U (zh) 中频电刺激可穿戴终端及中频电刺激可穿戴系统
JP7070089B2 (ja) 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KR20190074620A (ko) 마스크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저주파 자극 시스템
KR100649935B1 (ko) 고주파 전기 발모기
CN209952058U (zh) 电刺激装置
KR20230090487A (ko) 피부 부착형 고주파 자극기
TWM535092U (zh) 行動智能無線低週波電療按摩裝置
KR20200062497A (ko) 휴대용 복합 미세 전류 기기
KR100895050B1 (ko) 이온, 초음파 및 저주파 동시작동 피부미용기 및 그의동시작동방법
KR100522079B1 (ko) 조합형 피부 자극기
KR20200105553A (ko) 광원을 구비한 휴대 일체형 복합 전기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RO137883A0 (ro) Dispozitiv pentru diminuarea senzaţiilor de durere prin electrostimularea trans tegumentară cu micro curenţ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