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464B1 - Led 구동 회로와 led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Led 구동 회로와 led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464B1
KR101331464B1 KR1020110121258A KR20110121258A KR101331464B1 KR 101331464 B1 KR101331464 B1 KR 101331464B1 KR 1020110121258 A KR1020110121258 A KR 1020110121258A KR 20110121258 A KR20110121258 A KR 20110121258A KR 101331464 B1 KR101331464 B1 KR 10133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signal
led
current
phase controlled
controlled di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555A (ko
Inventor
타케시 무라타
아츠시 카나모리
히로히사 와리타
히데오 마츠다
타카유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7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uck top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류 전압에 기초하여 전압을 수신해서 LED 부하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는,
LED 구동 회로에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특성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정 신호 발생부; 및
조정 신호를 수신해서 LED 부하를 구동하는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ED 구동 회로와 LED 조명 장치 {LED DRIVE CIRCUIT AND LED 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LED를 구동하는 LED(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는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LED는 낮은 전류 소비, 긴 수명, 등의 특성을 갖고 그 응용을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조명 장치 등으로 확산시키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8-235530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2006-319172호 공보 참조). 여기서, LED 조명 장치에는, 소망의 조도를 얻기 위해 복수의 LED가 많은 경우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조명 장치는 종종 상업용 교류 100 V 전원 장치를 사용하고; 백열등 등과 같은 일반적인 조명 장치 대신에 LED 조명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등을 고려하면, LED 조명 장치는 또한 일반 조명 장치처럼 상업용 교류 100 V 전원을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조광 제어 장치가 백열 램프에 적용된 경우에는, 스위치 소자(일반적으로 사이리스터 소자 또는 트라이액)를 교류 전원 공급 전압의 위상각에서 온 함으로써 그리고 단 하나의 볼륨 소자에 의해 백열 램프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조광 제어를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보통 백열 램프 광 제어장치)가 사용된다.
LED 조명 장치를 기존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각종 기술이 필요하고; 그리고 기술 중 하나로서의 설계 값은 사용되는 조광기에 크게 의존한다. 그러나, 많은 종류의 조광 장치가 존재해서 LED 조명 장치의 LED 구동 회로와 LED를 설계할 때에 어떤 종류의 조광 장치에 LED 조명 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상상하기 어려운 많은 경우가 존재한다.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고 조광 장치 내의 조광 특성이 적절하더라도 깜빡거림과 같은 오동작이 발생하고, 그 조광 특성이 다른 조광 장치 내에서 부적절한 경우가 있다. 게다가, 설계 값이 각종 종류의 조광 장치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LED의 전류 소비를 증가시키고 효율을 악화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된 경우에 있어서도 LED를 적절히 구동할 수 있는 LED 구동 회로 및 LED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LED 구동 회로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과 접속 가능하고 교류 전압에 의거하여 전압을 수신해서 LED 부하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이고,
LED 구동 회로에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특성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정 신호 발생부, 및
LED 조정 신호를 수신해서 LED 부하를 구동하는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가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특성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가 스위치의 전환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오프 시의 임피던스에 따른 전압을 갖는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있어서, 위상 제어식 조광기가 오프 상태에 있을 시에 조정부가 조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조정 신호에 따른 전류 차감양만큼 LED 부하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차감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전류 유지부의 유지 전류에 따른 전압을 갖는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조정 신호에 따른 조광 특성을 조정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전류 유지부의 전류가 공진하는 부분에서의 진폭, 공진 주파수, 공진 펄스수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조정 신호에 의거하여 조정부가 전류 차감 양과 전류 차감 시간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의거하여 위상 제어식 조광기가 온으로 되는 타이밍으로부터 LED 부하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차감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전류 유지부의 유지 전류에 따른 전압을 갖는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조정 신호에 의거하여 조정부가 전류 차감 양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의거하여 LED 부하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차감하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LED 부하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조정 신호 발생부가 포토다이오드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정 신호 발생부가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고, 외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복수 종류의 특성에 따른 각 조정 신호의 조합을 변경해서 발생시키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 장치는 상기 구성 중 어느 하나를 갖는 LED 구동 회로, 및 LED 구동 회로의 출력 측에 접속된 LED 부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구성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위상 제어식 조광기와 LED 구동 회로와 LED 모듈을 포함하는 부분을 임피던스에 의해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변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LED 전류 제어 장치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기준 조광 특성을 언급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조광 특성의 조정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변경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트라이액 전류의 공진 예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변경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LED 구동 회로 입력 전압의 파형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전류 차감 제어를 보여주기 위해 각 신호 파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포토다이오드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추가된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포토다이오드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추가된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포토다이오드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추가된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포토다이오드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추가된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외부 스위치를 써서 조정 신호의 조합을 변경시키는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은 위상 제어식 조광기(2), 다이오드 브리지(DB1), LED 모듈(3), 및 LED 구동 회로(4)를 포함한다. LED 구동 회로(4)는 LED 전류 제어 회로(5),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 및 전류 차감부(7)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에서, 교류 전원(1), 위상 제어식 조광기(2), 다이오드 브리지(DB1), LED 전류 제어 회로(5), 및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는 LED 모듈(3)은 서로 직렬로 접속되고,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와 전류 차감부(7)는 다이오드 브리지(DB1)과 LED 전류 제어 회로(5) 사이에 배열된다.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서, 반고정 레지스터(Rvar1)의 노브(도시되지 않음)가 어느 위치에 설정되면, 트라이액(Tri1)은 설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상각에서 온된다. 또한,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서, 콘덴서(C1)와 인덕터(L1)으로 이루어진 잡음 방지 회로가 배열되고, 위상 제어식 조광기(2)로부터 전기 공급 라인으로 리턴되는 단자 잡음은 잡음 방지 회로에 의해 감소된다. 게다가, LED 전류 제어 회로(5)는 소정 전류 이상의 전류가 LED 모듈(3)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회로부이다.
조정부로서의 전류 차감부(7)는 LED 구동 전류를 LED 모듈(3)에 공급하는 전기 공급 라인(LN1)으로부터의 전류를 차감한다.
위상 제어식 조광기가 오프 시에 있을 시에 임피던스를 자동적으로 검지하기 위해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는 교류 전원(1)이 10 V의 순시 값을 가질 때 LED 구동 회로(4)로의 입력 전압을 검지한다(여기서,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오프 시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 내의 전류 유지 수단인 TRIAC(Tri1)이 오프 시 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위상 제어식 조광기(2)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 10 V는 비제한적이다.
도 2는 임피던스에 의해 위상 제어식 조광기(2), 및 LED 구동 회로(4)와 LED 모듈(3)을 포함하는 부분(A)을 나타낸다. 교류 전원(1)이 10 V의 순시 값을 가질 때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가 다이오드 브리지(DB1)로부터의 출력 전압(VDR)을 검지하면,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가 오프 시의 임피던스를 계산하기 위해 식(1)을 사용한다. 여기서, 트라이액(Tri1)이 오프 시에 있을 때, 전류는 콘덴서(C1)를 거쳐 흐른다. 오프 시의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임피던스는 대체로 콘덴서(C1)의 임피던스와 같다.
Z1c = (10 - VDR) / VDR × Zd (1)
Z1c: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임피던스, Zd: 부분(A)의 임피던스(미리 결정된 값), VDR: 다이오드 브리지(DB1)로부터의 출력 전압.
그리고,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오프 시에 계산된 임피던스에 따라 조정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임피던스가 20 kΩ이면 2.0 V의 조정 신호가 발생되고, 임피던스가 40 kΩ이면, 1.0 V의 조정 신호가 발생된다. 조정 신호는 임피던스의 범위를 정의하는 표를 참조하여 결정되거나, 수학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정 신호는 교류 전원의 모든 기간에서 생성된다. 게다가, 조정 신호는 비휘발성 외부 저장 장치(EEPROM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번 임피던스를 검지할 필요가 없어지고 감지의 변동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류 차감부(7)는 생성된 조정 신호와,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전기 공급 라인(LN1)으로부터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오프 시간 동안 MOS 트랜지스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사용함으로서 전류를 차감한다. 예를 들어, 조정 신호가 2.0 V이면, 10 mA의 차감 양이 차감되고, 조정 신호가 1.0 V이면, 5 mA의 차감 양이 차감된다. 다시 말해,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오프 시간 동안의 계산된 임피던스가 작을수록, 전류 차감 양은 커진다. LED 구동 회로(4)에 적용된 전압이 50 V이면, LED 구동 회로(4)와 LED 모듈(3)로 생성된 부분(A)(도 2)의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다: 50 V/10 mA = 5 kΩ, 50 V/5 mA= 10kΩ. 이에 따라, LED 구동 회로(4)와 LED 모듈(3)로 이루어진 부분(A)(도 2)의 임피던스를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오프 시간 동안의 임피던스보다 작게 만드는 것이 가능해지고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오동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LED 구동 회로(4)와 LED 모듈(3)로 이루어진 부분(A)(도 2)의 임피던스가 높다면, 전압은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 적용되지 않고, 트라이액(Tri1)은 조광 노브 설정과,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위상각 사이의 관계가 벗어나도록 온되지 않는다.
여기에, 오동작을 저감하기 위해 전류 차감 양이 크게 되고 부분(A)(도 2)의 임피던스가 가능한 한 작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LED의 광 방출에 기여하지 않는 전류가 흐르므로 전기 공급의 효율 면에서 가능한 가장 작은 한계까지 차감 전류를 저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는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위상 제어식 조광기(2)의 임피던스는 소자에 의존하고, 예를 들어 LED 구동 회로(4)가 오프 시간 동안에 20 k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 접속된 경우에서는 사용자는 2.0 V의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위치(SW1)를 온시키고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고, LED 구동 회로(4)가 오프 시간 동안에 40 kΩ의 임피던스를 갖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 접속된 경우에서는 사용자는 1.0 V의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위치(SW1)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W2)를 온시킨다.
<제 2 실시형태>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에서, LED 구동 회로(8)는 LED 전류 제어 회로(9), 조광 특성 조정 신호 발생부(10), 및 조광 특성 조정부(11)를 포함한다.
도 5는 LED 전류 제어 회로(9)의 구성을 나타낸다. LED 전류 제어 회로(9)는 위상각 검출부(9a), 발진기(9b), 플립플롭(9c), 드라이버(9d), 비교기(9e), 기준 전압(9f), 파워 MOS(9g), 전류 검출 저항(9h), 인덕터(9i), 다이오드(9j), 및 콘덴서(9k)를 포함한다. 발진기(9b)가 높은 레벨이 됨으로써 플립플롭(9c)이 재설정되고,
Figure 112011091599380-pat00001
출력이 높은 레벨이 되어 파워 MOS(9g)가 온되고, 전류 검출 저항(9h)에 발생하는 전압이 기준 전압(9f)에 달하면 플립플롭(9c)이 설정되고, 파워 MOS(9g)가 오프되고, 전력 조정에 의한 조광을 행하기 위해 기준 전압(9f)은 위상각 검출부(9a)에 의해 검출된 위상각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위상각 검출부(9a)에 의한 검출 값은 조광 특성 조정부(11)에 의해 조정된다.
조광 특성 조정 신호 발생부(10)에는, 사용자가 누르기 가능한 스위치(도면에 나타내지 않음)가 제공되어 있다. 이 스위치가 눌러지면 조광 특성 조정 신호 발생부(10)는 그때의 LED 구동 회로(8)의 입력 전압을 평균화하고, 평균화된 입력 전압과 관련이 있는 조정 신호를 비휘발성 저장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한다. LED 구동 회로(8)로의 평균화된 입력 전압은 위상각을 나타낸다.
도 6은 위상각과 LED 모듈(3)로의 출력 전력의 상관 관계인 기준 조광 특성을 나타낸다. 스위치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2)가 최대 광량시 위상각(최소 위상각)에서 설정된 상태로 눌러지면, 조광 특성 조정 신호 발생부(10)는 LED 구동 회로(8)로의 입력 전압을 평균화하고, 평균화된 입력 전압으로부터 최대 광량 시간 위상각을 검지하고, 기준 조광 특성 내의 검지된 최대 광량 시간 위상각에 대응하는 출력 전력을 나타내는 조정 신호(V1)를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스위치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2)가 최소 광량 시간 위상각(최대 위상각)에서 설정된 상태로 눌러지면, 조광 특성 조정 신호 발생부(10)는 조정 신호(V2)를 발생시킨다. 조정 신호(V1, V2)는 스위치가 눌릴 때마다 순차적으로 덮어 써진다.
도 7은 기준 조광 특성의 예를 나타낸다. 최소 위상각 45°와 최대 위상각 145°를 갖는 조광 장치(A)가 위상 제어식 조광기(2)으로서 접속된 경우, LED 모듈(3)을 위한 출력 전력은 최소 위상각에 대해 12 W를 갖는 반면에 출력 전력은 최대 위상각에 대해 0 W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 조광 특성은, 즉 P0 = -0.12X + 17.4 (P0: 출력 전력, X: 위상각)이고, 이는 기준 조광 특성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최소 위상각 30°와 최대 위상각 130°를 갖는 조광 장치(B)가 접속된 경우, 기준 조광 특성 내에서, LED 모듈(3)을 위한 출력 전력은 최소 위상각에 대해 13.8 W가 되는 반면에 출력 전력은 최대 위상각에 대해 1.8 W가 된다. 이에 따라 최소 위상각일 때의 LED의 밝기는 최대 위상각일 때의 LED의 밝기가 충분히 어둡지 않은 반면에 조광 장치(A)의 경우와 비교하면 너무 밝아진다. 이 때문에, 조광 특성을 최소 위상각 30°에 대해 출력 전력을 12 W가 되도록 그리고 최대 위상각 140°에 대해 출력 전력을 0 W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광 특성 조정부(11)는 조광 특성 조정 신호 발생부(10)로부터 상기된 조정 신호(V1, V2)를 수신하고, 조정 신호(V1, V2) 및 기준 조광 특성(도 7의 예에서 30°와 130°)으로 부터 최소 위상각과 최대 위상각을 검지한다. 그리고, 조광 특성 조정부(11)는 출력 전력이 검지된 최소 위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최대 출력 전력(도 7의 예에서 12 W)이 되도록, 출력 전력이 검지된 최대 위상각에 대해 미리 정해진 최소 출력(도 7의 예에서 0 W)이 되도록 조광 특성을 얻는다. 이 조정 후의 조광 특성은, 도 7의 예에서는, P0 = -0.12X + 15.6이 된다. 그리고, 조광 특성 조정부(11)는 얻어진 조광 특성이 달성되도록 위상각 검출부(9a)에 의해 검지된 값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 개의치 않고, 조광 특성을 적절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 조광 특성 조정 신호 발생부(10)는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구동 회로(8)가 최소 위상각 45°와 최대 위상각 145°를 갖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 접속된 경우에서, 사용자는 전압(V1, V2)을 갖는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위치(SW3)를 전압(V1)으로 변경하고 스위치(SW4)를 전압(V2)으로 변경하며, LED 구동 회로(8)가 최소 위상각 30°와 최대 위상각 130°를 갖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 접속된 경우에서, 사용자는 전압(V1', V2')을 갖는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위치(SW3)를 전압(V1')로 변경하고 스위치(SW4)를 전압(V2')으로 변경한다.
<제 3 실시형태>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LED 조명 시스템에서, LED 구동 회로(12)는 LED 전류 제어 회로(13),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 및 전류 차감부(15)를 포함한다. 게다가, 도 10은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의 구성을 나타낸다.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는 하이-패스 필터(14a), F-V 변환기(14b), 전류 전압 변환 회로(14c), 및 공진 펄스 카운터(14d)를 포함한다.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는 트라이액의 전류가 공진하는 부분으로부터 진폭, 주파수, 및 공진 펄스 수를 검지한다. 도 11에서 공진은 T1, T2의 기간에 발생하고 있다. 트라이액(Tri1)이 온될 때, 그러한 공진이 발생한다.
진폭에 대해서 말하자면, 전류 전압 변환 회로(14c)는 전기 공급 라인(LN1) 내에 흐르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그 후에 전류 진폭과 관련이 있는 조정 신호(제 1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게다가, F-V 변환기(14a)는 LED 구동 회로(12)로의 입력 전압으로부터 하이-패스 필터(14a)에 의해 추출된 고주파 성분의 공진 주파수를 전압(공진 주파수는 몇 킬로헤르츠에서 수십 킬로헤르츠 사이)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공진 펄스 카운터(14d)는 LED 구동 회로(12)로의 입력 전압으로부터 하이-패스 필터(14a)에 의해 추출된 고주파 성분의 공진 펄스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공진 펄스의 숫자를 공진 주파수로부터 변환된 전압으로 나눔으로서 얻어진 전압을 가진 조정 신호(제 2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광 장치(A)가 접속된 경우, 트라이액 전류의 공진부 조건 하에, 전류 진폭은 100 mA이고, 공진 주파수는 10 kHz이고, 공진 펄스 수는 5이며 0.5 V가 제 1 조정 신호로서의 출력이고, 5 V는 제 2 조정 신호로서의 출력이다. 게다가, 예를 들어, 표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광 장치(B)가 접속된 경우, 트라이액 전류의 공진부 조건 하에, 전류 진폭은 200 mA이고, 공진 주파수는 20 kHz이고, 공진 펄스 수는 5이고, 1 V가 제 1 조정 신호로서의 출력이고, 2.5 V는 제 2 조정 신호로서의 출력이다.
전류 진폭 [mA] 제 1 조정 신호[V]
조광 장치(A) 100 0.5
조광 장치(B) 200 1
공진 주파수 [kHz] 공진 주파수 전압 신호 [V] 공진 펄스의 수 제 2 조정 신호 [V]
조광 장치(A) 10 1 5 5
조광 장치(B) 20 2 5 2.5
여기에, 조정 신호가 교류 전원의 모든 기간 동안에 얻어지거나 전압이 LED 구동 회로(12)에 적용되었을 때 유지될 수 있다. 게다가, 조정 신호는 비휘발성 외부 조정 정치에 저장될 수 있다.
전류 차감부(15)는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로부터 수신된 제 1 조정 신호에 따라 전류 차감 양을 결정하고,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로부터 수신된 제 2 조정 신호에 따라 전류 차감 시간을 결정하고, 트라이액이 온되는 타이밍에 시작되는 MOS 트랜지스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전기 공급 라인(LN1)의 전류를 차감하기 위해 결정된 전류 차감 양과 전류 차감 시간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조광 장치(A)가 접속되었을 경우, 제 1 조정 신호 0.5 V가 수신되고 차감 양은 100 mA로 결정된다. 그리고 제 2 조정 신호 5 V가 수신되고 차감 시간은 0.5 ms로 결정된다. 게다가, 조광 장치(B)가 접속되었을 경우, 제 1 조정 신호 1 V가 수신되고 차감 양은 200 mA로 결정되고, 제 2 조정 신호 2.5 V가 받아지고 차감 시간은 0.25 ms로 결정된다. 전류 차감 양과 차감 시간은 조정 신호의 범위를 정의하는 표와 관련하여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수학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어떠한 위상 제어식 조광기(2)가 접속되었더라도, LED의 깜빡거림을 줄이고, 트라이액이 온되는 시간에 발생하는 트라이액의 전류의 공진을 억제함으로서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는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가 조광기(A)에 접속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제 1 조정 신호 0.5 V와 제 2 조정 신호 5 V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위치(SW5)를 전압 0.5 V로 변경하고 스위치(SW6)를 전압 5 V로 변경하고,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가 조광기(B)에 접속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제 1 조정 신호 1 V와 제 2 조정 신호 2.5 V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위치(SW5)를 전압 1 V로 변경하고 스위치(SW6)를 전압 2.5 V로 변경한다.
<제 4 실시형태>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LED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LED 구동 회로(16)는 LED 전류 제어 회로(17),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 및 전류 차감부(19)를 포함한다.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는 LED 구동 회로(16)로의 입력 전압이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에 적용되는 시간에 테스트 모드로 들어간다. 테스트 모드에 들어갈 때,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는 전류 차감부(19)가 전기 공급 라인(LN1)에서 전류를 차감하는 것을 시작하게 하고 LED 구동 회로(16)으로의 입력 전압을 감시하는 것을 시작하게 한다.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는 전류 차감부(19)에 의해 차감된 차감 양을 감소시키고, 입력 전압을 감시한다. 트라이액(Tri1)이 전류 차감에 의해 온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교류 전원과 같은 파형을 갖는 전압은 LED 구동 회로(16)로 입력되지만, 트라이액(Tri1)이 차감 양의 감소 덕분에 오프된다면, 입력 전압은 급격하게 감소한다(도 14 내의 시간 t1).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가 이 입력 전압의 급격한 감소를 검지한다면,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는 그때의 전류 차감 양은 트라이액(Tri1)의 고정 전류량이라고 판단하고, 유지 전류량에 대응하는 전압을 갖는 첫 번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고 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광 장치(A)의 경우, 유지 전류량이 20 mA로 정해지면,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신호 발생부(18)는 2 V의 제 1 조정 신호를 출력하고, 조광 장치(B)의 경우, 유지 전류량이 10 mA로 정해지면,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신호 발생부(18)는 1 V의 제 1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유지 전류 [mA] 제 1 조정 신호[V]
조광 장치(A) 20 2
조광 장치(B) 10 1
게다가,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는 LED 구동 회로(16)으로의 입력 전압이 급격히 감소할 때의 입력 전압에 의거하여 트라이액(Tri1)이 오프될 때부터 교류 전압이 0 V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간과 연관이 있는 제 2 조정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는 입력 전압이 적용된 시간 동안의 조정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다. 게다가,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가 눌러졌을 때,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조정 신호 발생부(18)는 테스트 모드로 들어가고 조정 신호를 비휘발성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전류 차감부(19)는 제 2 조정 신호를 받아 전류 차감 시간과 전류 차감 시작 전압을 결정하는 동안에 전류 유지 수단 유지 신호 발생부(18)로부터 제 1 조정 신호를 수신하고 전류 차감 양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조정 신호가 상기된 바와 같이 2 V이면, 전류 차감 양은 20 mA에서 결정된다, 제 1 조정 신호가 1 V이면 전류 차감 양은 10 mA에서 결정된다.
전류 차감 시간은 트라이액(Tri1)이 오프되고 교류 전압이 0 V가 되는 시간과 동시에 설정이다. 전류 차감 시작 전압은, 예를 들어 트라이액(Tri1)이 오프된 시간부터 교류 전압이 0 V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 0.5 ms이고 교류 전압이 실질적인 100 V가 되는 경우, 141×Sin(2π×50 Hz×0.5 ms) = 22 V로 설정된다.
그리고, 전류 차감부(19)는 결정된 전류 차감 양과, LED 구동회로(16)로의 입력 전압이 결정된 전류 시작 전압이 되는 시간에 시작되는 차감 시간에 따라 전기 공급 라인(LN1)으로부터 전류를 빼기 위해 MOS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한다. 도 15에서 전류는 오직 T3가 시작하는, 전류 차감 전압(Vs)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에만 차감된다. 이에 따르면 어떠한 위상 제어식 조광기(2)에 의해 깜빡거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효율 좋은 LED 구동 회로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난 위의 구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류 차감부(19)가 조광기(A)에 접속된 경우, 사용자는 2.0 V의 제 1 조정 신호 발생시키기 위해서 스위치(SW1)를 켜고 스위치(SW2)를 끌지도 모른다. 그리고 전류 차감부(19)가 조광기 B에 접속된 경우, 사용자는 1.0 V의 제 1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스위치(SW1)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W2)를 온시킬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한 실시형태>
그 다음에, 포토다이오드가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추가되는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에서 포토다이오드가 추가된 실시형태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포토다이오드(PD)와 저주파 통과 필터(20), 및 진폭 검지부(21)가 LED 구동 회로(4)에 추가된다.
LED 모듈(3)로부터의 광의 상태는 포토다이오드(PD)에 의해 검지된다. 가시적인 깜빡거림은 30 Hz정도, 또는 그 아래의 주파수를 갖는다. 그래서, 30 Hz의 컷 주파수를 갖는 저주파 통과 필터(20)가 포토다이오드(PD)의 출력의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진폭 검지부(21)는 깜빡거림이 저주파 통과 필터(20)에 의해 추출된 저주파 성분의 진폭이 미리 결정된 값을 넘었을 때 일어난다고 판단하고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로 진폭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는 발생한 조정 신호에 진폭 검지 신호를 더한 것을 보정한 조정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에 따르면 LED의 깜빡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 도 19에 나타난 제 3, 및 제 4 실시형태에 포토다이오드를 추가한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위와 같은 조정 신호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7은 포토다이오드가 제 2 실시형태에 더해진 실시형태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 조광 특성 조정부(11), 포토다이오드(PD) 내에서 흐르는 전류로부터 LED 모듈(3)을 위한 출력 전력을 계산하고, 계산된 출력 전력에 의거해서 LED 전류 제어 회로(9)의 위상각 검출부(9a)(도 5)에 의해 검지된 값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산출된 출력 전력이 목표전력에 일치하도록 제어되어, 보다 양호한 조광 특성이 된다.
<다른 실시형태>
조정 신호 발생부로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스위치(SW7),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 조광 특성 조정 신호 발생부(10), 및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를 갖는 조정 신호 발생부(22)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접속된 조광기에 따라 사용자는 임피던스 조정 신호 발생부(6), 조광 특성 조정 신호 발생부(10), 및 공진 방지 조정 신호 발생부(14)로부터의 출력인 각각의 조정 신호들의 조합을 변경하기 위해 외부 스위치(SW7)를 사용한다. 이에 따르면, 어떠한 위상 제어식 조광기가 접속되었더라도, 조광 특성과 깜빡거림의 조정을 한번에 그리고 쉽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한 LED 구동 회로를 갖는 LED 조명 장치로서 예를 들어, 다이오드 브리지, LED 구동 회로, 및 LED 모듈을 포함하는 LED 전구 등이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류 전압에 의거하여 전압을 수신해서 LED 부하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로서,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특성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정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조정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LED 부하를 구동하는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신호 발생부는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오프 시의 임피던스에 따른 전압을 갖는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가 오프 상태에 있을 시에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조정 신호에 따른 전류 차감 양만큼 상기 LED 부하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6.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류 전압에 의거하여 전압을 수신해서 LED 부하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로서,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특성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정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조정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LED 부하를 구동하는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신호 발생부는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최대 광량시 위상각과 최소 광량시 위상각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조정 신호에 따른 조광 특성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8.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류 전압에 의거하여 전압을 수신해서 LED 부하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로서,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특성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정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조정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LED 부하를 구동하는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신호 발생부는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전류 유지부의 전류가 공진하는 부분에서의 진폭, 공진 주파수, 공진 펄스 수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신호 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조정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조정부는 전류 차감 양과 전류 차감 시간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위상 제어식 조광기가 온으로 되는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LED 부하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 공급 라인으로부터 전류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회로.
  10. 삭제
  11. 삭제
  12.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류 전압에 의거하여 전압을 수신해서 LED 부하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로서,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특성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정 신호 발생부,
    상기 조정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LED 부하를 구동하는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부,
    상기 LED 부하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출력으로부터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로우패스 필터, 및
    상기 로우패스 필터로 추출된 저주파 성분에 기초하여 상기 LED 부하의 깜빡거림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진폭 검지 신호를 상기 조정 신호 발생부에 출력하는 진폭 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신호 발생부는 상기 진폭 검지 신호에 의거하여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13. 위상 제어식 조광기에 접속가능하고 교류 전압에 의거하여 전압을 수신해서 LED 부하를 구동하는 LED 구동 회로로서,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특성에 따른 조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조정 신호 발생부, 및
    상기 조정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LED 부하를 구동하는 특성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신호 발생부는 외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접속된 위상 제어식 조광기의 복수 종류의 특성에 따른 각 조정 신호의 조합을 변경해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구동 회로.
  14. 제4항 내지 제9항 및 제1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LED 구동 회로, 및
    상기 LED 구동 회로의 출력 측에 접속된 LED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장치.
KR1020110121258A 2010-11-19 2011-11-18 Led 구동 회로와 led 조명 장치 KR101331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58433 2010-11-19
JP2010258433A JP5476279B2 (ja) 2010-11-19 2010-11-19 Led駆動回路およびled照明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555A KR20120054555A (ko) 2012-05-30
KR101331464B1 true KR101331464B1 (ko) 2013-11-20

Family

ID=4606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258A KR101331464B1 (ko) 2010-11-19 2011-11-18 Led 구동 회로와 led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97808B2 (ko)
JP (1) JP5476279B2 (ko)
KR (1) KR101331464B1 (ko)
CN (1) CN102573214B (ko)
TW (1) TWI4518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15412D0 (en) * 2012-08-30 2012-10-17 Marula Led Pty Ltd Circuit to keep electronic transformers working while under loaded
JP6301364B2 (ja) * 2013-01-03 2018-03-28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動作している調光器の存在の検出
USRE48956E1 (en) 2013-08-20 2022-03-0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Interference-resistant compensation for illumination devices using multiple series of measurement intervals
US9578724B1 (en) 2013-08-20 2017-02-21 Ketra, Inc.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avoiding flicker
USRE48955E1 (en) 2013-08-20 2022-03-01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Interference-resistant compensation for illumination devices having multiple emitter modules
AU2014353729B2 (en) * 2013-11-19 2019-10-03 Hyun Chang Lee Mobile electric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KR102246647B1 (ko) * 2014-06-12 2021-04-3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교류구동 발광소자의 조명장치
US9557214B2 (en) 2014-06-25 2017-01-31 Ketra, Inc.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 illumination device over changes in temperature, drive current, and time
KR20170041196A (ko) * 2014-06-25 2017-04-14 케트라, 인코퍼레이티드 온도 및 구동 전류의 변화, 및 시간에 따라서 led 조명 디바이스를 캘리브레이션 및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led 조명 디바이스
US9510416B2 (en) 2014-08-28 2016-11-29 Ketra, Inc. LED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accurately controlling the intensity and color point of the illumination device over time
US9392660B2 (en) 2014-08-28 2016-07-12 Ketra, Inc. LED illumination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for accurately characterizing the emission LEDs and photodetector(s) included within the LED illumination device
US20160113076A1 (en) * 2014-10-20 2016-04-21 Energy Focus, Inc. Led lamp with dual mode operation
JP6837218B2 (ja) * 2017-01-30 2021-03-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点灯装置、照明器具及び看板
US11272599B1 (en) 2018-06-22 2022-03-08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Calibration procedure for a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
WO2020151465A1 (zh) * 2019-01-25 2020-07-30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电路、一种光源频闪的检测装置、方法及光电检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869A (ko) * 2004-12-22 2006-06-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조명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70017092A (ko) * 2004-05-19 2007-02-08 괴켄 그룹 코포레이션 동작 시 트라이액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도 조정 가능 회로
JP2010165645A (ja) 2009-01-19 2010-07-29 Jimbo Electric Co Ltd Led照明システム
KR20100100623A (ko) * 2009-03-06 2010-09-1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Led 구동 회로, led 램프,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8399B2 (en) * 2001-03-13 2006-05-02 Color Kinetic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to lighting devices
JP2006319172A (ja) 2005-05-13 2006-11-24 Wako Denken Kk Ledランプ調光用アダプタ装置
US7902769B2 (en) * 2006-01-20 2011-03-08 Exclara, Inc. Current regulator for modulating brightness levels of solid state lighting
JP2008235530A (ja) 2007-03-20 2008-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4972536B2 (ja) * 2007-12-25 2012-07-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調光装置
US20110109239A1 (en) * 2008-07-03 2011-05-12 MERSTech, Inc Illumination control device
JP5495009B2 (ja) * 2009-07-14 2014-05-21 ミネベア株式会社 照明装置
US8222832B2 (en) * 2009-07-14 2012-07-17 Iwatt Inc. Adaptive dimmer detection and control for LED lamp
US8492988B2 (en) * 2009-10-07 2013-07-23 Lutron Electronics Co., Inc. Configurable load control device for light-emitting diode light sources
JP5708371B2 (ja) 2010-10-28 2015-04-3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照明用電源装置および保持電流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092A (ko) * 2004-05-19 2007-02-08 괴켄 그룹 코포레이션 동작 시 트라이액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용 조도 조정 가능 회로
KR20060071869A (ko) * 2004-12-22 2006-06-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조명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0165645A (ja) 2009-01-19 2010-07-29 Jimbo Electric Co Ltd Led照明システム
KR20100100623A (ko) * 2009-03-06 2010-09-1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Led 구동 회로, led 램프,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1803B (zh) 2014-09-01
JP5476279B2 (ja) 2014-04-23
CN102573214A (zh) 2012-07-11
TW201233234A (en) 2012-08-01
US20120126708A1 (en) 2012-05-24
JP2012109168A (ja) 2012-06-07
US9497808B2 (en) 2016-11-15
KR20120054555A (ko) 2012-05-30
CN102573214B (zh)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464B1 (ko) Led 구동 회로와 led 조명 장치
US8643301B2 (en) LED driver circuit and LE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US8421360B2 (en) Load deter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same
JP5579477B2 (ja) 過電流防止式電源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1273996B1 (ko) Led 구동 회로, led 조명등 기구, led 조명 기기, 및 led 조명 시스템
US20140035463A1 (en) Led lamp and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the led lamp
JP4656200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US20080074058A1 (en) Dc/dc converter and controller thereof
EP2603056A2 (en) Lighting apparatus and illuminating fixture with the same
JP2016510496A (ja) 発光ダイオードの点滅周波数を変換する電源回路
US20160262234A1 (en) Circuit assembly for operating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cascade of leds
JP6340988B2 (ja) 停電補償機能付き照明装置、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及びバッテリ放電制御ユニット
US20210092816A1 (en) Stabilizing System and Current Controller thereof
JP2014216320A (ja) 光源を駆動する回路および方法
EP3772871A1 (en) Stabilization system and current controller thereof
JP4656201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4459192B2 (ja)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US9198249B1 (en) Lighting system including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lighting appliance
JP5386421B2 (ja) 照明器具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発光モジュール
JP2011086587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0277731A (ja) 点灯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WO2017086149A1 (ja) 照明装置
JP2013152890A (ja) Led駆動回路およびled照明機器
JP2017120725A (ja) 電源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4022161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