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486B1 -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486B1
KR940006486B1 KR1019920000645A KR920000645A KR940006486B1 KR 940006486 B1 KR940006486 B1 KR 940006486B1 KR 1019920000645 A KR1019920000645 A KR 1019920000645A KR 920000645 A KR920000645 A KR 920000645A KR 940006486 B1 KR940006486 B1 KR 940006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output
voltage
power suppl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114A (ko
Inventor
정범용
Original Assignee
정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범용 filed Critical 정범용
Priority to KR101992000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486B1/ko
Publication of KR93001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 다이어 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전원회로 4 : 타이머 스타트회로
다 : 타이머 회로 라 : 승압회로
마 : 치료개시 표시회로 바 : 전위분배회로
사 : 고저항 접지회로 아 : 전압 보정 콘덴서
자 : 음극성 정류부 A : 전류 제한회로
B : 출력 표시 회로 C : 전위 출력부
1 : 비교부 2 : 구동부
3 : 스위칭 수단 4 : 트랜스
5, 6, 9 : 권선 10 : 정류회로
11 : 콘덴서 12, 13 : 오피 앰프
14, 15 : 트랜지스터 16 : 저항
17 : 제너다이오드 18 : 다이오드
21, 22 : 포토커플러 23, 24 : 발광다이오드
본 발명은 주로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전위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가정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를 1991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1186호로 출원한 바 있으며, 이에서는 음전위가 공급되는 출력단자에 접속된 저항과 병렬로 네온램프를 접속함으로써 인체로 음전위가 공급되는 경우에만 네온 램프의 점등이 이루어져 치료가 시작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에 의하여 설정시간 동안 작동이 개시되고 정지되도록 하며 전압을 감지하여 트랜스의 2차측 접속 상태를 자동 전화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네온 램프가 점등되는 것을 보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타이머를 조작하여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치료 시간을 임의로 조정하여 체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입력전압에 무관하게 마음놓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은 입력되는 전원 전압이 220V인 경우와 100V인 경우에 최종적으로 균일한 전원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릴레이 접점에 의한 접속의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접점의 절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채터링(CHATTERING) 발생시간동안은 전원 전압이 불안정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높은 전압이 순간적으로 발생되고 전위 출력부로 출력될 수도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더우기 릴레이에 의한 접점의 개폐가 반복되다보면 필연적으로 접점의 수명이 다하여 마멸이나 용착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인체에 공급되는 전위가 2배이상으로 증가할 우려가 상당히 높으며 이는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으므로 입력전원에 무관하게 안정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의 출현이 요청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같은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가 전압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도록 되어 있는 인체에 가하여 진다는 점을 감안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지나치게 높은 전압등 비정상적인 전압이 전위출력부로 출력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전원 전압을 복수개의 전압 비교부에 입력시켜 복수개의 구동부중 어느 하나의 구동부에서 출력전압이 발생하여 선정된 반도체로 된 스위칭소자가 턴온 되어 항상 일정한 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인 구성을 보였다.
이에서는 전원회로(가)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타이머 스타트회로(나)를 거쳐서 타이머회로(다)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타이머 스타트회로(나)는 승압회로(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며 승압회로(라)의 출력이 전압 조정부(카) 및 치료 개시 표시회로(마)에 인가됨과 동시에 전위 분배회로(바)에 인가되어 고저항 접지회로(사) 및 전압 보정 콘데서(아) 그리고 음극성 정류부(자)에 고압을 가하도록 하며 이들의 출력이 전류 제한회로(A) 및 출력 표시회로(B)를 거쳐서 전위 출력부(C)로 출력되도록 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전원회로(가)의 출력이 복수개의 비교부(1) 및 구동부(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턴온되는 스위칭소자(3)가 전원회로(가)의 트랜스(4) 권선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접속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원회로(가)에 전원이 투입되도록 하고 타이머 스타트회로(나)를 가동시키면 타이머회로(다)에 설정된 시간동안 승압회로(라)에 전력이 인가되어 승압회로(라)의 출력이 치료개시 접지회로에 표류부(자)를 통과하면서 전압 위상이 조정되고 다이오드에 의하여 음극성으로 정류된 출력이 저항으로 된 전류 제한회로를 흐르면서 생체에 전기가 흐르는 경우에만 네온 램프등으로 된 표시수단에 의하여 출력표시회로(B)가 현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것이며, 전위출력부(C)는 생체에 접촉되는 매트등에 음전위를 인가할 수 있도록 접속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원 전압이 110V 나 220V인 경우에는 입력되는 전압이 낮거나 높게 되므로 이는 어느 하나의 비교부의 출력을 하이레벨 상태로 하고 그러므로 어느 하나의 구동부가 작동을 하여 어느 하나의 포토커플러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게 되고 그 결과 어느 하나의 스위칭소자(3)가 턴온되면서 트랜스(4)의 복수개의 권선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인가되는 것이며 그 결과 입력 전압에 무관하게 항상 균일한 전압이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정상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제2도의 구체적인 회로에 의하여 도시하였다. 이에서는 트랜스(4)의 권선(5, 6)과 트라이액(7, 8)을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연결하고 트랜스(4)의 다른 권선(9)을 정류회로(10)에 접속하며, 정류회로(10)의 출력이 콘덴서(11)에서 평활되어 오피 앰프(12, 13) 및 트랜지스터(14, 15)의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접속하고 오피 앰프(12, 13)의 반전 입력단자와 전원 및 접지 사이에 저항(16)과 제너다이오드(17) 그리고 다이오드(18)를 접속하며, 트랜지스터(14, 15)의 콜렌터와 전원 사이에 포토커플러(21, 22)의 발광다이오드(23, 24)를 연결하며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라이액(25, 26)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220V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정류회로(10)의 출력 전압 자체가 높은 편이므로 저항(16)을 경유하여 제너다이오드(17)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너다이오드의 전압을 초과하게 되므로 턴온되고 이에 따라 오피 앰프(12)의 반전 입력단자가 인가되는 전압이 낮으므로 오피 앰프(12)의 출력은 하이레벨 상태가 되며 이는 트랜지스터(14)의 베이스에 하이레벨 전압으로 인가되어 트랜지스터(14)를 턴온시키므로 발광 다이오드(23)에 전류가 흘러 발광하게 되고 그 결과 포토커플러(8)의 트라이액(8)은 턴온되면서 트랜스(4)의 권선(6)에서 출력되는 100V의 전압이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도달하여 있게 되고 이때 사용자가 스타트 스위치(26)를 누르면 전원이 승압회로(라)의 트랜스 일차측에 인가되어 이차측에는 고압이 발생되고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은 타아머회로(다)에도 공급되어 타이머회로(다)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의 트라이액(25)이 턴온되면서 승압회로(라)에 연속적인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결과 전압 조정부(카)에서 적절히 조절된 전압은 분배회로(바)를 거쳐서 음극성 정류부(자)에서 음극성으로 정류되고 전류제한회로(A)에 의하여 최대 전류가 제한된 상태로 전위출력부(C)를 거쳐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220V가 인가되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음전위가 출력되는 것이고 타이머회로(다)로 설정한 시간동안 음전위에 의한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입력전압이 100V인 경우에는 정류회로(10)를 거쳐 제너다이오드(17)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서 제너다이오드(17)를 턴온시키지 못하므로 오피 앰프(12)의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매우 높은 상태가 되므로 그 출력은 낮은 로우레벨 상태가 되고 이는 트랜지스터(14)를 턴오프시켜 트라이액(8)을 턴오프 시키므로 트랜스(4)의 권선(6)에 의하여 공급되던 전원의 공급을 중단시키며 아울러 제너다이오드(17)가 턴오프됨에 따라 오피 앰프(13)의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던 로우레벨 전압을 하이레벨로 저하시켜 결국 오피 앰프(13)의 출력이 하이레벨로 되므로 발광다이오드(24)가 발광되면서 포토커플러(24)의 트라이액(7)을 턴온시키게 되며 그러므로 이번에는 트랜스(4)의 권선(5)이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인가되어 역시 100V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전술한 220V가 공급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정상 작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입력전압에 따라 얻어지는 초기의 출력전압이 매우 안정되게 공급되는 것이어서 입력전원의 초기 인가시에는 채터링으로 인하여 이상고압이 발생할 우려나 릴레이 접점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용착되거나 마멸등에 의하여 오동작할 가능성의 히박하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사용의 안정성을 크게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음전위 치료기로써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원회로(가)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타이머 스타트회로(나)를 거쳐서 타이머회로(다)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타이머 스타트회로(나)는 승압회로(라)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며 승압회로(라)의 출력이 전압 조정부(카) 및 치료 개시 표시회로(마)에 인가됨과 동시에 전위 분배회로(바)에 인가되어 고저항 접지회로(사) 및 전압 보정 콘덴서(아) 그리고 음극성 정류부(자)에 고압을 가하도록 하며 이들의 출력이 전류 제한회로(A) 및 출력 표시회로(B)를 거쳐서 전위 출력부(C)로 출력되도록 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전원회로(가)의 출력이 복수개의 비교부(1) 및 구동부(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턴온되는 스위칭소자(3)가 전원회로(가)의 트랜스(4) 권선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접속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2. 제1항에 있어서, 트랜스(4)의 권선(5, 6)의 트라이액(7, 8)을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연결하고 트랜스(4)의 다른 권선(9)을 정류회로(10)에 접속하며, 정류회로(10)의 출력이 콘덴서(11)에서 평활되어 오피 앰프(12, 13) 및 트랜지스터(14, 15)의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접속하고 오피 앰프(12, 13)의 반전 입력단자와 전원 및 접지 사이에 저항(16)과 제너다이오드(17) 그리고 다이오드(18)를 접속하며, 트랜지스터(14, 15)의 콜렉터와 전원사이에 포토커플러(21, 22)의 발광 다이오드(23, 24)를 연결하여 타이머 스타트회로(나)에 전원 공급을 위한 트라이액(25, 26)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KR1019920000645A 1992-01-17 1992-01-17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KR94000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645A KR940006486B1 (ko) 1992-01-17 1992-01-17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645A KR940006486B1 (ko) 1992-01-17 1992-01-17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114A KR930016114A (ko) 1993-08-26
KR940006486B1 true KR940006486B1 (ko) 1994-07-21

Family

ID=1932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645A KR940006486B1 (ko) 1992-01-17 1992-01-17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797B1 (ko) 2017-05-18 2018-06-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114A (ko) 1993-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634A (en) Start-up circuit for switch mode power supply
KR20020072127A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JPS62295398A (ja) ガス放電ランプを作動させる方法およびガス放電制御装置
EP0592977B1 (en) Single transformer switching regulator
JPH03503592A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及びフィードバックの制御機能を備えたdc/dcコンバータ
US5168435A (en) Converter
US5550463A (en) Power supply connected in parallel with solid state switch for phase control of average power to a load
US6650070B1 (en) Point of use lighting controller
KR890012435A (ko) 부하 피딩 회로장치
EP0652631A2 (en) AC/DC power supply
KR940006486B1 (ko)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KR20010051491A (ko) 전기기기의 저소비전력 대기전원회로
US5045758A (en) Solid state regulated power supply for luminescent lamp
KR970001897Y1 (ko) 220v 전원 공급회로
KR940003282B1 (ko)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JPH0260466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H066993B2 (ja) 比例弁駆動制御回路
KR940006485B1 (ko)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KR930006830Y1 (ko) 밧데리 충전 제어장치
JPS57202698A (en) Electrical current supply device for x-ray emitting filament
JPH043589Y2 (ko)
JP2533115Y2 (ja) 電源装置
JPH0340079Y2 (ko)
KR930004818Y1 (ko) 수평 스타트 회로 제어장치
KR890000287Y1 (ko) 전원제어용 집적회로의 발열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