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797B1 -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797B1
KR101872797B1 KR1020170061701A KR20170061701A KR101872797B1 KR 101872797 B1 KR101872797 B1 KR 101872797B1 KR 1020170061701 A KR1020170061701 A KR 1020170061701A KR 20170061701 A KR20170061701 A KR 20170061701A KR 101872797 B1 KR101872797 B1 KR 101872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signal
reference voltage
zener diode
photocoupler
in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한
장민영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797B1/ko
Priority to US15/956,789 priority patent/US10277214B2/en
Priority to DE102018003592.2A priority patent/DE102018003592A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25Discriminating pulses
    • H03K5/1252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09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36Interface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6Bistable circuits
    • H03K3/3565Bistables with hysteresis, e.g. Schmitt trig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 또는 오프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서로 다른 기준 전압을 가지는 두개의 제너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전압이 증가하여 상기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고, 제 1 기준 전압 이상인 입력 전압이 감소하여 제 2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Digital signal output device }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 또는 오프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기준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1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고 기준 전압 미만의 전압이 인가되면 0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종래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오로지 기준 전압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입력 전압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디지털 신호가 출력 될 수 있다.
입력 전압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원치 않은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는 채터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기준 전압을 가지는 두개의 제너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시킬 필요가 있다.
나아가, 서로 다른 기준 전압을 가지는 두개의 제너다이오드 및 기준 전압이 더 작은 제너다이오드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의 수광부를 통해 입력 신호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 또는 오프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서로 다른 기준 전압을 가지는 두개의 제너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서로 다른 기준 전압을 가지는 두개의 제너다이오드 및 기준 전압이 더 작은 제너다이오드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의 수광부를 통해 입력 신호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과제는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 또는 오프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제안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만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전압이 증가하여 상기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고, 제 1 기준 전압 이상인 입력 전압이 감소하여 제 2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의 +단과 캐소드가 연결된 제 1 제너다이오드;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의 +단과 캐소드가 연결된 제 2 제너다이오드; 제 1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포함하는 제 1 수광부는 제 2 제너다이오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는 일단이 제 1 제너다이오드 및 제 2 제너다이오드의 에노드와 연결된 제 1 발광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제 2 포토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토 커플러는, 일단이 제 1 발광부의 타단과 연결된 제 2 발광부; 및 타단이 출력 저항에 연결된 제 2 수광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와 연결된 제 1 저항; 상기 제 2 제너다이오드와 연결된 제 2 저항;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기준 전압은 제 1 기준 전압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제너다이오드의 기준전압은 제 1 기준전압이고, 제 2 제너다이오드의 기준전압은 제 2 기준전압이다.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포토 커플러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고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고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된 발명은 서로 다른 기준 전압을 가지는 두개의 제너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은 서로 다른 기준 전압을 가지는 두개의 제너다이오드 및 기준 전압이 더 작은 제너다이오드에 연결된 포토 커플러의 수광부를 통해 입력 신호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은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 또는 오프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에 따른 출력 신호를 도시한다.
도 3은 제안된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제안된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에 따른 출력 신호를 도시한다.
도 5는 제안된 발명에 따른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도시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제안된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명세서 전체에서 신호는 전압이나 전류 등의 전기량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이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에 따른 출력 신호를 도시한다.
종래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전원과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 상기 저항의 타단과 연결되는 포토 커플러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포토 커플러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한다. 저항의 타단은 상기 발광부의 일단과 연결된다. 수광부는 출력 저항과 연결된다.
포토 커플러의 발광부는 전류가 흐를 때 소정의 빛을 출력 전기 신호로 생성하고, 포토 커플러의 수광부는 발광부의 빛을 입력 전기 신호로 수신 한다. 발광부의 기준치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발광부로 전류가 흘러 소정의 빛을 출력 전기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수광부는 수광 소자와 트랜지스터(BJT, FET 등)의 조합 형태로 구성되며, 수광 소자에 수신되는 입력 전기 신호가 없을 때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 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광부는 출력단에 위치한 출력 저항에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발광부는 전원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도 2에 따르면, 입력 전압이 포토 커플러의 기준 전압 이상이면, 종래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소정의 소스 전압을 출력한다. 입력 전압이 포토 커플러의 기준 전압 미만이면, 종래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0인 소스 전압을 출력한다.
종래에는, 입력 전압에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 전압은 포토 커플러의 기준 전압 미만 또는 이상이 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채터링 현상이 발생하여, 신호 왜곡이 발생한다. 도 2에 도시된 노이즈로 인한 채터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제안된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제안된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에 따른 출력 신호를 도시한다.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선박, 해양, 화공, 철강 등의 플랜트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노이즈가 많이 포함된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분야에 제안된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전압이 증가하여 상기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고, 제 1 기준 전압 이상인 입력 전압이 감소하여 제 2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한다.
즉,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제 1 기준 전압 이상인 입력 전압이 감소하여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 되더라도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한다. 입력 전압이 더 감소하여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한다. 디지털 신호는 도 3에 도시된 소스 전압에 해당되는 전압이다.
제 1 기준 전압은 제 1 제너다이오드(10)의 기준전압이다. 제 2 기준 전압은 제 2 제너다이오드(20)의 기준전압이다.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의 +단과 캐소드가 연결된 제 1 제너다이오드(10);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의 +단과 캐소드가 연결된 제 2 제너다이오드(20); 제 1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포함하는 제 1 수광부(60)는 제 2 제너다이오드(2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제너다이오드(10)의 캐소드는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의 +단과 연결된다. 제 2 제너다이오드(20)의 캐소드는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의 +단과 연결된다.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포함하는 제 1 수광부(60)는 제 2 제너다이오드(20)와 연결된다.
제너다이오드는 정방향에서는 일반 다이오드와 동일한 특성을 보이지만 역방향으로 전압을 걸면 일반 다이오드보다 낮은 특정 전압에서 역방향 전류가 흐르는 소자이다. 일반 다이오드는 역방향으로 전압을 걸어도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정류(rectifier) 및 검파 등을 위해 사용된다. 하지만 PN접합 다이오드에 불순물을 많이 첨가되면 제너 전압 혹은 항복 전압이라고 하는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브레이크 다운(breakdown)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급격하게 역방향 전류가 흐르게 된다.
포토 커플러의 발광부는 전류가 흐를 때 소정의 빛을 출력 전기 신호로 생성하고, 포토 커플러의 수광부는 발광부의 빛을 입력 전기 신호로 수신 한다. 발광부의 기준치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발광부로 전류가 흘러 소정의 빛을 출력 전기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수광부는 수광 소자와 트랜지스터(BJT, FET 등)의 조합 형태로 구성되며, 수광 소자에 수신되는 입력 전기 신호가 없을 때 트랜지스터를 턴-오프 제어 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광부는 출력단에 위치한 출력 저항(90)에 전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발광부는 전원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제 1 수광부(60)는 제 2 제너다이오드(20)의 캐소드 또는 애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수광부(60)는 제 2 제너다이오드(20)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제 1 제너다이오드(10)의 제 1 기준 전압 및 제 2 제너다이오드(20)의 제 2 기준 전압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세하게는, 제 1 기준 전압은 제 2 기준 전압보다 크다.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는 일단이 제 1 제너다이오드(10) 및 제 2 제너다이오드(20)의 에노드와 연결된 제 1 발광부(50)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노드 '가'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제너다이오드(10)의 에노드는 제 1 저항(30)을 경유하여 제 1 발광부(50)와 연결된다.
제 2 제너다이오드(20)의 에노드는 제 1 수광부(60) 및 제 2 저항(40)을 경유하여 제 1 발광부(50)와 연결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제 2 포토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토 커플러는, 일단이 제 1 발광부(50)의 타단과 연결된 제 2 발광부(70); 및 타단이 출력 저항(90)에 연결된 제 2 수광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포토 커플러가 포함하는 제 2 발광부(70)의 일단은 제 1 발광부(50)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 2 발광부(70)의 타단은 입력 전원의 -단자와 연결된다.
제 2 수광부(80)의 타단은 출력 저항(90)과 연결된다.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10)와 연결된 제 1 저항(30); 및 상기 제 2 제너다이오드(20)와 연결된 제 2 저항(40);을 포함한다. 제 1 제너다이오드(10)의 애노드와 제 1 저항(30)의 일단이 연결된다. 제 2 제너다이오드(20)의 애노드와 제 2 저항(40)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제 2 기준 전압은 제 1 기준 전압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기준 전압이 제 1 기준전압 보다 작음에 따라 구현된 히스테리시스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한다.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미만이라는 것은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라는 것이다. 도 3의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를 참조하면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미만 인 경우 제 1 제너다이오드(10) 및 제 2 제너다이오드(20)에 전류가 흐를 수 없기 때문에 제 1 포토 커플러 및 제 2 포토 커플러도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포토 커플러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고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 전압이 증가하다가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 되면, 제 2 제너다이오드(20)로는 전류가 흐를 수 있으나, 제 1 포토 커플러가 오프 상태이기 때문에 제 2 제너다이오드(20)와 연결된 제 1 수광부(60)로 전류가 흐를 수 없다. 결과적으로 제 2 제너다이오드(20)로 전류가 흐를 수 없다.
또한 입력 전압은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기 때문에 제 1 제너다이오드(10)로도 전류가 흐를 수 없다.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이면 제 1 제너다이오드(10)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상기 전류는 제 1 제너다이오드(10), 제 1 저항(30), 제 1 포토 커플러의 제 1 발광부(50) 및 제 2 포토 커플러의 제 2 발광부(70)를 경유하여 흐른다.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10)로 전류가 도통됨에 따라 제 1 포토 커플러 및 제 2 포토 커플러 모두 온된다.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됨에 따라 제 2 제너다이오드(20)와 연결된 제 1 수광부(60)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입력 전압은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기도 하기에, 전류는 제 2 제너다이오드(20) 및 제 1 수광부(60)를 통해 흐른다.
제 2 포토 커플러도 온됨에 따라 제 2 수광부(80)로 전류가 흐르고 소스 전압 및 출력 전압이 출력된다. 소스 전압이 출력된다는 것은 디지털 신호 1이 출력된다는 것이다.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고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되어 있다는 것은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인 시점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인 시점에서 다시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면서 제 2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가 디지털 신호 1을 출력 한다.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 되면, 제 1 제너다이오드(10)로 전류가 흐를 수 없게 된다. 입력 전압은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기 때문에 제 2 제너다이오드(20)로 전류가 흐를 수는 있다.
이때 제 1 포토 커플러는 이미 온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제너다이오드(20), 제 1 수광부(60), 제 2 저항(40), 제 1 발광부(50), 제 2 발광부(70)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수광부(80)로도 전류가 흘러서 디지털 신호 1이 출력된다.
제 1 포토 커플러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고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한다는 것은 전술하였다.
제안된 발명에 따른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전압의 레벨이 동일하더라도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 또는 오프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 처럼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보다 낮은 경우라도, 입력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보다 높다면,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와 동일한 소스 전압이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2와 비교 했을 때 도 4에서는 채터링 현상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기준 전압은 14~15V이고 제 2 기준 전압은 9~10V인 경우 채터링 현상을 방지하기 용이하다.
도 5는 제안된 발명에 따르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히스테리시스 밴드는 각각 다른 레벨을 가지는 문턱 전압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두 개의 제너 다이오드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전술한 제 1 제너다이오드(10)의 제 1 기준 전압 및 제 2 제너다이오드(20)의 제 2 기준 전압에 의해 히스테리시스 밴드가 형성된다. 제너 다이오드의 문턱 전압에 따라 히스테리시스 밴드의 형태는 가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신호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채터링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의 입력 전압 레벨에 따라 제너 다이오드를 변경하여 히스테리시스 밴드를 변화시킬 수 다. 나아가, 채터링 제거를 위한 별도의 부가회로가 필요 없다.
이와 같이, 제안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안된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제안된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장치"나 "시스템"이라 함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모두 포함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정보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제체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모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 등으로 알려진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 또는 선험적,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정보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정보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와 DVD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예를 들어, 정보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정보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이하, 상기 기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명세서에 기술한 시스템과 방법이 포함하는 구성들을 구현할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제안된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안된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제안된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제안된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제안된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제안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안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실시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제안된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제안된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 1 제너다이오드
20: 제 2 제너다이오드
30: 제 1 저항
40: 제 2 저항
50: 제 1 발광부
60: 제 1 수광부
70: 제 2 발광부
80: 제 2 수광부
90: 출력 저항

Claims (11)

  1. 입력 전압이 증가하여 상기 입력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 이상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고,
    제 1 기준 전압 이상인 입력 전압이 감소하여 제 2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하며,
    제 1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포함하는 제 1 수광부는 제 2 제너다이오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의 +단과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 1 제너다이오드;
    입력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의 +단과 캐소드가 연결된 상기 제 2 제너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는
    일단이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 및 상기 제 2 제너다이오드의 에노드와 연결된 제 1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제 2 포토 커플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토 커플러는,
    일단이 상기 제 1 발광부의 타단과 연결된 제 2 발광부; 및
    타단이 출력 저항에 연결된 제 2 수광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는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와 연결된 제 1 저항;
    상기 제 2 제너다이오드와 연결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 전압은 상기 제 1 기준 전압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너다이오드의 기준전압은 상기 제 1 기준전압이고, 상기 제 2 제너다이오드의 기준전압은 상기 제 2 기준전압인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고 상기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0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10. 삭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토 커플러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 이상이고 상기 제 1 기준 전압 미만이면 디지털 신호 1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KR1020170061701A 2017-05-18 2017-05-18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KR101872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701A KR101872797B1 (ko) 2017-05-18 2017-05-18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US15/956,789 US10277214B2 (en) 2017-05-18 2018-04-19 Digital signal output device
DE102018003592.2A DE102018003592A1 (de) 2017-05-18 2018-05-03 Digitalsignal-Ausgabe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701A KR101872797B1 (ko) 2017-05-18 2017-05-18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797B1 true KR101872797B1 (ko) 2018-06-29

Family

ID=6278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701A KR101872797B1 (ko) 2017-05-18 2017-05-18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77214B2 (ko)
KR (1) KR101872797B1 (ko)
DE (1) DE1020180035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738A (ko) * 2020-05-29 2021-12-07 (주)진광전기 발광 및 수광 소자를 이용한 이중화 전원 장착된 전원 절환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133B1 (ko) 2005-11-29 2006-04-05 주식회사 다스텍 잡음신호 카운터 장치
KR101070034B1 (ko) 2009-07-15 2011-10-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원장치용 교류 검출회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566A (ja) * 1982-07-07 1984-01-18 Toshiba Corp 電圧検出装置
JPS61265883A (ja) * 1985-05-20 1986-11-25 Olympus Optical Co Ltd 半導体レ−ザ駆動装置
JPH01173913A (ja) * 1987-12-26 1989-07-10 Toshiba Corp ヒステリシス付き電圧比較回路
KR940006486B1 (ko) 1992-01-17 1994-07-21 정범용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US5675276A (en) * 1995-09-27 1997-10-07 Analog Devices, Inc. Gate driver circuit and hysteresis circuit therefor
KR200183632Y1 (ko) 1996-09-04 2000-06-01 김유운 연축전지의 과방전 방지 장치
KR19980030299U (ko) 1996-11-29 1998-08-17 양재신 차량 오디오 스피커 자동 조절장치
US6188764B1 (en) * 1998-05-27 2001-02-13 Actiontec Electronics, Inc.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for use with a telephone appliance
US6407605B1 (en) * 1999-11-01 2002-06-18 Wabash Technology Corporation Variable hysteresis circuit
KR20020019627A (ko) 2000-08-08 2002-03-13 이형도 더블러 회로의 구동방법
JP2007538253A (ja) * 2004-05-18 2007-12-27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電力擾乱検出回路及び方法
JP5264262B2 (ja) * 2008-04-14 2013-08-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入力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0050820A (ja) * 2008-08-22 2010-03-04 Oki Data Corp ゼロクロス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10030805A (ko) 2009-09-18 2011-03-24 심동빈 포토커플러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KR20110074202A (ko) 2009-12-24 2011-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털 신호 입력 회로
US9086711B2 (en) 2013-01-14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Single-ended high voltage input-capable comparator circuit
DE102014101353B4 (de) * 2014-02-04 2018-01-2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Weitbereichs-Eingangsschaltung
JP2016025617A (ja) * 2014-07-24 2016-02-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ュミットトリガ回路及び電源監視装置
DE102014012664A1 (de) * 2014-08-22 2016-02-25 Eaton Protection Systems Ip Gmbh & Co. Kg Versorgungsspannungsdetektion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Detektion einer Versorgungsspannung
US9652787B2 (en) 2014-09-29 2017-05-16 Ebay Inc. Generative grammar models for effective promotion and advertising
AT516568B1 (de) * 2014-11-21 2017-03-15 Bernecker + Rainer Industrie-Elektronik Ges M B H Vorrichtung und ein Verfahren zur sicheren Ansteuerung eines Halbleiterschalters eines Wechselrichters
KR101748727B1 (ko) 2015-07-15 2017-06-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133B1 (ko) 2005-11-29 2006-04-05 주식회사 다스텍 잡음신호 카운터 장치
KR101070034B1 (ko) 2009-07-15 2011-10-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원장치용 교류 검출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738A (ko) * 2020-05-29 2021-12-07 (주)진광전기 발광 및 수광 소자를 이용한 이중화 전원 장착된 전원 절환 방법 및 시스템
KR102361171B1 (ko) 2020-05-29 2022-02-10 (주)진광전기 발광 및 수광 소자를 이용한 이중화 전원 장착된 전원 절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003592A1 (de) 2018-11-22
US20180337664A1 (en) 2018-11-22
US10277214B2 (en)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3870B2 (en) Power switch system
US9083181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for light source driving module and related backlight module
CA2980314C (en) Digital signal input circuit
CN101770246B (zh) 风扇调速控制电路及调速风扇设备
CN111937265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72797B1 (ko) 디지털 신호 출력 장치
CN112130050B (zh) 一种igbt退饱和故障的检测装置
KR20210120092A (ko) 충전 회로 및 전자 장치
CN116405554A (zh) 一种网络通信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2017079398A (ja) 電子制御装置
EP3576344A1 (en) Powered device used for power over ethernet
CN106356683A (zh) 一种保护装置和移动终端
CN210781058U (zh) 提示装置和电子设备
CN105243833A (zh) 电力抄表终端
US20130038142A1 (en) Electrical adapter power rating determination
TW201249042A (en) Protecting circuit
US11418052B2 (en) Power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9207144A (ja) パワー半導体スイッチのドライバ回路内部で信号電圧伝送するための回路と方法
CN110110567B (zh) 基于扫描设备的控制系统和方法
JP2012531162A (ja) 標準光カプラのマルチビット使用
KR102208629B1 (ko) 마이컴 리셋 회로
CN116319624B (zh) 一种报文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4980435B (zh) 补光灯接口极性自适应装置、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546616B (zh) 过流自保护安全输出电路及其使用方法、激光雷达
CN109445424B (zh) 检测电路和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