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746B1 -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4746B1 KR101874746B1 KR1020170050832A KR20170050832A KR101874746B1 KR 101874746 B1 KR101874746 B1 KR 101874746B1 KR 1020170050832 A KR1020170050832 A KR 1020170050832A KR 20170050832 A KR20170050832 A KR 20170050832A KR 101874746 B1 KR101874746 B1 KR 1018747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relay switch
- alarm signal
- circuit
- hold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음식점이나 재래식 시장 등에서 두부를 제조하여 즉석에서 일반수요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에 있어서, 특히 두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마쇄, 끓임 및 성형을 일련의 공정으로 모든 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하되 땅콩을 이틀 정도 불려서 새싹이 살짝 발아된 상태에서 마쇄와 끓임 및 성형을 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 형상의 끓임솥(21)의 저부에는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노즐(23)과 바닥면 중앙에는 배출관이 장착되고 외벽의 일정부위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7)가 장착되고 상기 끓임솥(21)과 보일러를 연결하는 파이프(29)의 일정부위에는 분기관(24)을 설치하여 단부에 칼슘통(25)을 장착한 끓임장치(20)와; 상기 온도감지 센서의 결과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원통 형상의 끓임솥(21)의 저부에는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노즐(23)과 바닥면 중앙에는 배출관이 장착되고 외벽의 일정부위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7)가 장착되고 상기 끓임솥(21)과 보일러를 연결하는 파이프(29)의 일정부위에는 분기관(24)을 설치하여 단부에 칼슘통(25)을 장착한 끓임장치(20)와; 상기 온도감지 센서의 결과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형음식점이나 재래식 시장 등에서 두부를 제조하여 즉석에서 일반수요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마쇄, 끓임 및 성형을 일련의 공정으로 모든 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하되 땅콩을 이틀 정도 불려서 새싹이 살짝 발아된 상태에서 마쇄와 끓임 및 성형을 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재래식 방법에 의해서 제조하거나 각각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각 공정별로 작업을 진행하여 다량의 두부를 제조하여 이를 각 소매점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품의 특성상 짧은 시간 내에 유통시켜야하며, 위생상 각별한 신경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콩을 일정시간 물에 침지한 후, 마쇄에 적합하도록 콩을 부풀려서 콩에 미량의 물을 공급하면서 믹서를 이용하여 이를 미세하게 마쇄한 후, 마쇄한 내용물을 가제에 넣고 압축하여 콩즙과 찌꺼기(비지)를 분리한 후 콩즙만을 솥에 넣어 가열기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가열하고, 일정온도로 가열된 콩즙에 응고재인 칼슘을 일정량 첨가하게 되면 순두부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순두부를 성형틀에 넣고 상부에 중량의 물체를 올려놓으면, 순두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배출되어 두부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종래의 두부의 제조방법은 두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과 여러명의 작업인원이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모든 작업공정이 모두 수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서 위생상 매우 불결할 뿐만 아니라 유통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이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두부(tofu, soybean curd)는 콩 제품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가공식품으로서, 소화흡수율이 높은 단백질을 공급하는, 주요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두부는 세척한 콩을 물에 담가 불린 후, 물을 가하면서 분쇄하고, 이를 가열하며 여과하여, 액상 성분인 두유액을 수득한 다음, 가열된 두유액에 응고제를 넣어 응고시키고, 압축 및 탈수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두부는 콩으로부터 유래되는 단백질이 풍부한 대신, 푸른 채소에 있는 다양한 영양소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두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콩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없는 다양한 영양소를 포함하는 두부를 제조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4-0014639호에는 어성초와 녹차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4-0063104호에는 유산균과 칼슘을 이용한 두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3-0074560호에는 허브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436887호에는 한약재의 일종인 황기를 포함하여 물성과 영양성이 개선된 두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3-0038603호에는 다슬기를 포함하는 두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두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발아땅콩두부를 제공하여 물성과 영양성이 뛰어난 두부를 제공하고, 동시에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마쇄와 끓임 및 성형공정을 일련의 공정으로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두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일정시간 물에 침지하여 마쇄에 적합하도록 불린 콩을 호퍼로 투입하여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마쇄기에 의해서 콩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마쇄장치(10)와; 상기 마쇄장치와 연결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콩즙을 일정시간 끓여서 응고재인 칼슘을 첨가하여 순두부로 만드는 끓임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끓임장치(20)는, 원통 형상의 끓임솥(21)의 저부에는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노즐(23)과 바닥면 중앙에는 배출관이 장착되고, 외벽의 일정부위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7)가 장착되고, 상기 끓임솥(21)과 보일러를 연결하는 파이프(29)의 일정부위에는 분기관(24)을 설치하여 단부에 칼슘통(25)을 장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감지 센서의 검출결과 에러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콩을 마쇄하여 비지와 콩즙으로 분리하는 마쇄장치와 마쇄장치에서 마쇄된 공즙을 공급받아서 일정시간 끓인 후 응고재인 칼슘을 첨가하여 순두부를 만드는 끓임솥과 끓임솥에서 응고된 순두부를 성형틀에 넣고 승강작용을 하는 피스톤에 의해서 압축하여 두부를 만드는 성형기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두부를 제조하는데 있어 일련의 공정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두부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즉석에서 두부를 제조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고, 각 판매점에 공급하는 유통시간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항시 신선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아땅콩두부를 제공하여 물성과 영양성이 뛰어난 두부를 제공하고, 동시에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마쇄와 끓임 및 성형공정을 일련의 공정으로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두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
먼저,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일정시간 물에 침지하여 마쇄에 적합하도록 불린 콩을 호퍼로 투입하여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마쇄기에 의해서 콩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마쇄장치(10)와 ; 마쇄장치에서 공급된 콩즙을 일정시간 끓여서 응고재인 칼슘을 첨가하여 순두부로 만드는 끓임장치(20)와 ; 끓임장치에서 완성된 순두부를 배출구에 의해서 성형틀에 층만시켜서 이 성형틀을 재치판상에 적층하여 승강작용을 하는 피스톤에 의해서 압압하는 성형기(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마쇄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방형체의 함체(1)의 일측에는 마쇄기(A)에서 콩을 마쇄하면서 발생되는 껍질과 비지를 집적하기 위한 포집통(2)과 콩을 마쇄하기 위한 마쇄기(A)로 구성된 것이다.
포집통(2)의 구성은 단순히 마쇄기(A)의 작동에 의해서 생성되는 찌꺼기를 보관하는 것으로서 직방형체로서 하부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저부에 4개의 캐스터(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면 상부에는 손잡이(2b)가 외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마쇄기(A)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 원통 형상의 하우징(3)과 상부의 덮개(4)로 클립(3b)으로 결합한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3) 내부의 중앙 부위에는 격판(3a)을 구비하고 하부의 중공부에는 모우터(6)를 장착하고, 이 모우터축(6a)이 상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하고, 이 모우터축(6a)의 외주연에는 주연에 다수의 통공(7a)이 형성된 필터지지판(7)의 내측에는 메쉬가 고운 망사(8)를 일체로 구성하여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재치턱(7b)을 이용하여 하우징(3)의 상부에 재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필터지지판(7)의 내측에는 모우터(6)의 작동에 의해서 구동하는 하부 믹서판(16)이 체결볼트(9)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으며, 격판(3a)과 필터지지판(7) 사이의 일정부위에는 콩즙을 끓임솥(21)으로 이송하기 위한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덮개(4)의 저부에는 상부 믹서판(14)이 장착되어 콩을 미세한 입자로 마쇄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상부 외주연의 일정부위에 나사부(15a)와 내부가 중공 형상인 공급관(15)의 하단부에는 상부 믹서판(14)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장착판(17)이 일체로 구성되고, 장착판(17)의 상부에는 하부 믹서판(16)과 상부 믹서판(14)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탄력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8)이 외삽되고, 이 코일스프링(18)의 상부는 덮개(4)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턱(4a)에 의해서 지지되고 덮개(4)의 상면으로 돌출된 공급관(15)에는 간격조절레버(19)를 결합하여 상부 믹서판(14)을 상, 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덮개(4)의 일측부를 절개하여 토출구(4b)를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 믹서판(14,16)에 의해서 마쇄되어 원심력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되는 찌꺼기를 상기의 포집통(2)으로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쇄된 찌꺼기는 포집통(2)에 적층되고 콩즙은 별도로 설치되어있는 펌프에 의해서 끓임장치(20)로 이송하여 보일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로 적정온도로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 끓임장치(20)의 구성은 원통 형상의 끓임솥(21)과 상부에는 개폐가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는 덮개(22)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의 저면에는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를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공(23a)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노즐(23)이 배설되어 있다.
이 노즐(23)은 일직선의 바아나 내주연을 따라서 원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내부의 콩즙에 수증기의 열이 균등하게 미칠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는 것이다.
상기의 노즐(23)의 외측 단부는 보일러와 연결된 파이프(29)의 중간의 일정부위를 분기하여 분기관(24)을 배설하고 분기관(24)의 상부에는 칼슘을 저장하기 위한 칼슘통(2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끓임솥(21)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내부의 내용물을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성형틀(31)에 이송하기 위한 배출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벽의 일정부위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27)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온도감지센서(27)는 칼슘통(25)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28)와 연결되어 자동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끓임솥(21)에 충만되어 있는 콩즙을 일정온도로 가열하고 이 콩즙에 응고재인 칼슘을 혼합하여 순두부를 만드는 것으로서, 이 칼슘의 공급은 상기와 같이 온도감지센서(27)의 감지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28)의 자동개폐시스템을 응용하거나 아니면 일정온도로 숙성되었을 경우 인위적으로 밸브(28a)를 개방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끓임솥(21)에서 응고된 순두부를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출구(26)에 장착되어 있는 밸브(26a)를 개방하면 내부의 순두부를 배출시켜 성형기(30)에 구비되어 있는 성형틀(31)에 담아서 승강 작용을 하는 실린더(33)의 단부에 구비된 압압판(33a)에 의해서 압축하는 것으로서, 본 성형기(3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는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공압장치(35)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콤푸레셔(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 함체(34)의 상부에는 성형틀을 올려놓기 위한 재치판(36)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상, 하로 작동하는 공압장치(3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마쇄장치(10), 끓임장치(20) 및 성형기(30)로 구성되어 일공정으로 두부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콩의 마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물 속에 침지하여 부풀린 다음 콩을 마쇄기(A)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호퍼(H)로 공급하면 공급관(15)을 통하여 하부 믹서판(16)의 상부로 낙하하게 되면, 하우징(3)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우터(6)가 작동하면서 모우터축(6a)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하부 믹서판(16)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하부 믹서판(16)과 상부 믹서판(14)의 사이로 공급되는 콩을 미세하게 마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쇄되면서 콩즙은 망사(8)와 필터지지판(7) 상의 통공(7a)을 통하여 격판(3a) 상부에 외측으로 장착되어 있는 배출구(11)로 배출되어 펌프의 가동에 의해서 끓임솥(21)으로 이송하게 되며, 망사(8)에 의해서 차단된 찌꺼기(비지)는 하부 믹서판(16)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하여 덮개(4)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토출구(4b)로 배출되어 함체(1)의 일측에 구비되어있는 포집통(2)에 적층되는 것이다.
마쇄장치(10)에서 공급되는 콩즙은 끓임솥(21)에 일정량 충만되면 끓임솥(21)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보일러를 가동하여 이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파이프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23)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공(23a)으로 분사되어 끓임솥(21)의 내부의 피가열물인 콩즙을 대략 100℃까지 상승할 때까지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일정온도로 가열되면 끓임솥(21)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는 온도감지센서(27)가 이를 감지하여 보일러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중지시킴과 동시에 칼슘통(25)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28)를 가동하여 칼슘이 파이프(29)와 노즐(23)을 경유하고, 대략 10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콩즙과 혼합되어 순두부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의 순두부는 끓임솥(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출구(26)에 장착되어있는 밸브(26a)를 개방하면 순두부가 배출구(28)를 따라서 성형틀(31)에 담아서 이 성형틀을 2개 적층하여 재치판(36) 상에 올려놓고 상부의 공압장치(35)를 가동하면 실린더가 하강하면서 압압판(33a)이 성형틀(31)의 상판을 압착하여 내용물을 압축시키면 수분이 배출되어 두부가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온도감지센서(27)가 에러이면 솔레노이드밸브의 가동 시기가 에러가 발생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칼슘을 투입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감지센서(27)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유무를 확실하게 파악하여 온도감지센서(27)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외부로 에러신호를 출력하여 온도감지센서를 고장수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온도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결과를 입력받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어부(100)는 온도감지센서(27)의 측정결과 온도감지센서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되 에러요인을 해제시킬때까지 연속적으로 경보음을 출력하며, 에러요인을 해소하지 않으면 수동으로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계속적으로 경보음을 출력한다.
삭제
삭제
한편, 에러상황이 발생하면 경보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에러상황을 경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 마쇄장치
20: 끓임장치
30: 성형기
1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20: 끓임장치
30: 성형기
1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Claims (4)
- 일정시간 물에 침지하여 마쇄에 적합하도록 불린 콩을 호퍼로 투입하여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마쇄기에 의해서 콩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마쇄장치(10)와; 상기 마쇄장치와 연결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 파이프를 통해 공급된 콩즙을 일정시간 끓여서 응고재인 칼슘을 첨가하여 순두부로 만드는 끓임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끓임장치(20)는, 원통 형상의 끓임솥(21)의 저부에는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수증기를 분사하는 노즐(23)과 바닥면 중앙에는 배출관이 장착되고, 외벽의 일정부위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7)가 장착되고, 상기 끓임솥(21)과 보일러를 연결하는 파이프(29)의 일정부위에는 분기관(24)을 설치하여 단부에 칼슘통(25)을 장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감지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도감지 센서의 검출결과 에러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0832A KR101874746B1 (ko) | 2017-04-20 | 2017-04-20 |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0832A KR101874746B1 (ko) | 2017-04-20 | 2017-04-20 |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4746B1 true KR101874746B1 (ko) | 2018-07-04 |
Family
ID=6291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0832A KR101874746B1 (ko) | 2017-04-20 | 2017-04-20 |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47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3304B1 (ko) * | 2018-07-05 | 2019-03-28 |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에너지솔루션 | 녹차재배를 위한 차양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4278A (ja) * | 2004-03-24 | 2005-10-06 | Nof Corp | 温度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装置 |
-
2017
- 2017-04-20 KR KR1020170050832A patent/KR1018747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4278A (ja) * | 2004-03-24 | 2005-10-06 | Nof Corp | 温度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3304B1 (ko) * | 2018-07-05 | 2019-03-28 | 주식회사 제이피케이에너지솔루션 | 녹차재배를 위한 차양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72405B2 (en) | Fully automatic electric coffee maker | |
WO1990002507A1 (en) | Coffee maker | |
JP6076333B2 (ja) | 飲料を製造する装置及び方法 | |
CN105433806B (zh) | 一种智能全自动咖啡萃取机 | |
US20240017222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suspension | |
CN102132738B (zh) | 豆浆制造方法及应用该方法的豆浆制造装置 | |
KR101874746B1 (ko) | 발아땅콩두부 제조장치 | |
KR101165525B1 (ko) | 두부 제조기 | |
KR101496342B1 (ko) | 더치커피 추출장치 | |
KR100282842B1 (ko) | 두부제조기 및 두부 제조방법 | |
JPS60188034A (ja) | 豆腐製造装置 | |
KR102221851B1 (ko) | 풍미가 향상된 커피머신 | |
KR200218794Y1 (ko) | 두부 제조장치 | |
KR100226631B1 (ko) | 가정용 두부 제조기 | |
JP2639454B2 (ja) | 家庭用全自動豆腐製造機における豆乳製造装置 | |
TWI526180B (zh) | Food and beverage making machine | |
KR20040041290A (ko) | 가정식 자동 즉석 두부제조기 | |
JP2012105604A (ja) | 豆乳製造装置 | |
KR200477416Y1 (ko) | 스팀의 유입량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생두부 제조장치 | |
KR200474823Y1 (ko) | 청정 유기농 두부 제조기 | |
KR20050032271A (ko) | 가정용 두유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두유제조방법 | |
JPH0646315Y2 (ja) | 蒸気式煮沸抽出装置 | |
KR200316798Y1 (ko) | 두부 제조기 | |
KR100614519B1 (ko) | 치즈 제조기 | |
KR200337424Y1 (ko) | 자동두부제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