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763B1 - 예초기용 칼날구조 - Google Patents

예초기용 칼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763B1
KR101870763B1 KR1020170058330A KR20170058330A KR101870763B1 KR 101870763 B1 KR101870763 B1 KR 101870763B1 KR 1020170058330 A KR1020170058330 A KR 1020170058330A KR 20170058330 A KR20170058330 A KR 20170058330A KR 101870763 B1 KR101870763 B1 KR 101870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uxiliary
main
hold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시혁
Original Assignee
장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시혁 filed Critical 장시혁
Priority to KR1020170058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칼날의 하부에 동력전달부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보조칼날이 결합됨에 따라, 벌초 중에 동력전달부측에 감기는 풀이 보조칼날에 의해 자연적으로 절단되어, 벌초가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예초기용 칼날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초기용 칼날구조는 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결합되며, 풀을 베도록 이루어지는 예초기용 칼날구조에 있어서, 중심부에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력축과 연결되는 제 1연결홈이 형성되는 연결허브 및 상기 연결허브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칼날부가 형성되는 주칼날; 중심부에 상기 제 1연결홈과 동축을 갖는 제 2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허브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축과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 양단에서 절곡되면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폭방향 양단에 제 1보조커터날이 형성되는 절곡칼날부를 포함하는 보조칼날; 상기 주칼날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보조칼날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주칼날과 보조칼날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홀더부; 및 상기 하부홀더의 하방에서 상기 동력축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주칼날, 보조칼날 및 홀더부가 상기 동력축과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초기용 칼날구조{Blade structure for grass cutter}
본 발명은 곡식, 풀 또는 잡목 등의 초목을 절단하는 예초기용 칼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칼날의 하부에 동력전달부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보조칼날이 결합됨에 따라, 벌초 중에 동력전달부측에 감기는 풀이 보조칼날에 의해 자연적으로 절단되어, 벌초가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예초기용 칼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는 산소 주위의 잡초나 공원, 산림목장 등과 같은 넓은 장소의 잔디 등을 벌초할 때, 낫을 사용하던 예전 방식의 불편함을 개선하여 쉽게 벌초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예초기는 등이나 어깨 등에 멜 수 있는 동력장치, 동력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축 및 동력축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풀을 베는 커터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력장치의 동력에 의해 커터날이 회전되면서 풀의 중하부를 절단하게 되면서 벌초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커터날은 통상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에 칼날이 구성된 형태인 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커터날의 상면에 풀이 감기게 되고, 그 양이 많아지면 커터날의회전을 방해하기 때문에 절단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심한 경우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예초기용 칼날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46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금속재질의 직사각형 형상의 판으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부착구멍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측칼날판의 측면을 따라 좌회전방향으로 향하도록 칼날이 형성된 예취기 칼날에 대한 것으로서, 좌우측칼날판의 상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삽입홈에 상면 칼날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의 커터날은 상면에 상면 칼날이 직립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커터날의 상면측에 감기는 풀이 절단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동력축의 기어케이스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칼날이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커터날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풀이 기어케이스에 계속해서 엉키게 되는 현상이 여전히 발생되는 바, 벌초작업 중에 엉킨 풀을 제거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KR 20-0469468 Y1 2013.10.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칼날의 하부에 동력전달부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보조칼날이 결합됨에 따라, 벌초 중에 동력전달부측에 감기는 풀이 보조칼날에 의해 자연적으로 절단되어, 벌초가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예초기 칼날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초기용 칼날구조는 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풀을 베도록 이루어지는 예초기용 칼날구조에 있어서, 중심부에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력축과 연결되는 제 1연결홈이 형성되는 연결허브 및 상기 연결허브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칼날부가 형성되는 주칼날; 중심부에 상기 제 1연결홈과 동축을 갖는 제 2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허브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축과 결합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전후방향 양단에서 절곡되면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폭방향 양단에 제 1보조커터날이 형성되는 절곡칼날부를 포함하는 보조칼날; 상기 주칼날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보조칼날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주칼날과 보조칼날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홀더부; 및 상기 하부홀더의 하방에서 상기 동력축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주칼날, 보조칼날 및 홀더부가 상기 동력축과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절곡칼날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하여 절곡된 끝단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곡칼날부에는, 절곡된 끝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칼날부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칼날 및 보조칼날은, 회전방향을 향하고 있는 일측의 주커터날 및 제 1보조커터날이 무뎌지면, 상기 주칼날 및 보조칼날을 뒤집어 타측의 주커터날 및 제 2보조커터날이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벌초작업 시, 커터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주칼날의 연결허브측이 풀 등에 인접하게 되면, 보조칼날이 회전되면서 이를 절단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동력전달부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동력전달부에 풀이 엉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때문에, 엉킨 풀을 풀기 위해 벌초작업을 중단할 필요가 없어 벌초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칼날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곡식, 풀 또는 잡목 등의 초목을 절단하는 예초기용 칼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칼날(100)의 하부에 동력전달부(10)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조칼날(200)이 결합됨에 따라, 벌초 중에 동력전달부(10)측에 감기는 풀이 보조칼날(200)에 의해 자연적으로 절단되어, 벌초가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예초기용 칼날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 구조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칼날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풀을 베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주칼날(100), 보조칼날(200), 홀더부(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10)에는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동력축(PS)이 하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며, 노출된 상기 동력축(PS)의 상부에는 스플라인(11)이 형성되고, 하부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홀더부(300), 주칼날(100), 보조칼날(200) 및 고정부(400)는 상기 동력축(PS)에 결합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풀을 베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주칼날(100)은 실질적으로 풀을 베는 칼날로서, 연결허브(110) 및 칼날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허브(110)는 중심부에 상기 동력전달부(10)의 동력축(PS)이 관통 삽입되는 제 1연결홈(111)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칼날부(120)는 상기 연결허브(110)의 폭방향 일단에 구비되는 제 1칼날부(121)와 상기 연결허브(110)의 폭방향 타단에 구비되는 제 2칼날부(122)를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제 1칼날부(121)의 전후방향 끝단에는 제 1주커터날(130a, 130b)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제 2칼날부(122)의 전후방향 끝단에는 제 2주커터날(140a, 140b)이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주커터날(130)과 제 2주커터날(14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주커터날(130)이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 2주커터날(140)이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칼날(200)은 상기 동력전달부(10)측에 감기는 풀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210) 및 절곡칼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에는 상기 제 1연결홈(111)과 동축을 갖는 제 2연결홈(211)이 중심부에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210)는 상기 연결허브(110)의 하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동력축(PS)과 결합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몸체(210)는 상기 연결허브(11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연결홈(111)과 동축상에 상기 제 2연결홈(211)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축(PS)이 상기 제 1연결홈(111)과 상기 제 2연결홈(211)을 동시에 관통함에 따라, 상기 연결허브(110)의 하부에서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절곡칼날부(220)는 상기 동력전달부(10)측에 감기는 풀을 실질적으로 절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210)의 전후방향 양단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면서 돌출되도록 하며, 폭방향 양단에는 제 1보조커터날(221)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곡칼날부(220)는 상기 동력전달부(10)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도록 하여, 절곡된 끝단이 상기 동력전달부(10)의 상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10)에 감기는 풀들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절곡칼날부(220)의 절곡된 끝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수평으로 돌출되되, 폭방향 양단에 제 2보조커터날(231)이 형성되는 돌출칼날부(230)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벌초작업 중에 상기 동력전달부(10)에 엉키는 풀들이 더욱 원활하게 절단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조칼날(200)의 상단부는 고정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칼날(200)이 회전되는 경우, 회전에 의해 끝단이 계속해서 진동하게 되면서 상당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10)측으로 감기는 풀의 절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칼날(200)에는 끝단고정부(25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끝단고정부(250)는 상기 보조칼날(200)의 양측 상단부를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끝단고정부(250)의 일측은 상기 돌출칼날부(230)의 일측 상단과 힌지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고리부(251)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돌출칼날부(230)의 타측 상단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체결홈(252)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고리부(251)가 상기 체결홈(25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보조칼날(200)의 양측 상단부는 결속된 상태가 되며, 안정적인 상태에서 벌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홈(252)에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킹(미도시)이 상기 체결홈(252)의 내면을 따라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홈(252)에 삽입된 상기 고리부(251)가 패킹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홀더부(300)는 상기 주칼날(100)과 보조칼날(2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주칼날(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홀더(310)와 상기 보조칼날(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홀더(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홀더(310)는 중심부에 상기 동력축(PS)이 관통 삽입되는 제 3연결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주칼날(100)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홀더(310)의 상부는 동력전달부(1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홀더(310)의 하부에는 상기 제 3연결홈(311)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는 홀더결합부(312)가 구비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10)의 하부는 다수의 돌기(11)가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며, 상기 돌기(11)들은 상기 동력전달부(10)의 하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원형의 띠 형태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부홀더(310)의 상부에는 상기 돌기(11)들이 결합되는 돌기홈(313)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돌기(11)와 돌기홈(313)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부(10)와 상부홀더(31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홀더(320)는 중심부에 상기 동력축(PS)이 관통 삽입되는 제 4연결홈(321)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칼날(200)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홀더(320)의 상면에는 상기 홀더결합부(312)가 삽입 결합되는 홀더홈(322)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3연결홈(311)과 상기 제 4연결홈(321)의 내주면은 상기 동력축(PS)의 상부에 구성된 스플라인(1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310)는 상기 동력전달부(10)와 완전히 맞물린 상태로 결합되고, 이에 상기 주칼날(100)과 보조칼날(200)이 순차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더결합부(312)는 제 1연결홈(111) 및 제 2연결홈(211)을 관통하여 하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며, 상기 하부홀더(320)의 홀더홈(322)이 이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310)와 하부홀더(320)가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홀더부(300)는 상기 상부홀더(310)와 하부홀더(320)가 완전히 맞물린 상태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동력전달부(10)와 고정됨에 따라, 상기 주칼날(100)과 보조칼날(2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벌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주칼날(100), 보조칼날(200) 및 홀더부(300)가 상기 동력축(PS)과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캡(410)과 고정너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캡(410)은 상기 하부홀더(320)를 하부에서 감싸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동력축(PS)이 관통 삽입되는 제 5연결홈(411)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너트(420)는 상기 고정캡(4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축(PS)과 결합되면서, 상기 주칼날(100), 보조칼날(200) 및 홀더부(30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벌초과정 중에 동력전달부(10)에 감기게 되는 풀을 절단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상술하면, 벌초작업 시, 커터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주칼날(100)의 연결허브(110) 부분이 풀 등에 인접하게 되면, 풀이 절단되지 않고 상기 동력전달부(10)에 감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조칼날(200)이 상기 동력전달부(10)의 전후방향측을 감싸는 상태가 되며, 상기 보조칼날(200)이 상기 주칼날(100)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10)측으로 감기는 풀을 절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칼날(100)과 보조칼날(200)은 계속해서 사용하게 되면 커터날이 무뎌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칼날(100)의 전후방향 양단에 제 1주커터날(130) 및 제 2주커터날(140)이 구비되는 바, 회전방향을 향하고 있는 일측의 주커터날(130a, 140a)이 무뎌지면 상기 주칼날(100)을 뒤집은 상태, 즉, 타측의 주커터날(130b, 140b)이 회전방향으로 향하도록 결합하여 벌초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칼날(200) 또한 폭방향 양단에 제 1보조커터날(221) 및 제 2보조커터날(231)이 구비되어 있는 바, 회전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일측의 보조커터날(221a, 231a)이 무뎌지면, 타측의 보조커터날(221b, 231b)이 회전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벌초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조칼날(200)에는 채움부재(24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채움부재(240)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210)와 상기 절곡칼날부(220)가 결합되어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한다.
즉, 상기 채움부재(240)는 상기 보조칼날(200)과 주칼날(100)의 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상호 구성의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칼날(200) 및 주칼날(1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주칼날 110 : 연결허브
111 : 제 1연결홈 120 : 칼날부
121 : 제 1칼날부 122 : 제 2칼날부
130 : 제 1주커터날 140 : 제 2주커터날
200 : 보조칼날 210 : 몸체
211 : 제 2연결홈 220 : 절곡칼날부
221 : 제 1보조커터날 230 : 돌출칼날부
231 : 제 2보조커터날 240 : 채움부재
250 : 끝단고정부 251 : 고리
252 : 체결홈
300 : 홀더부 310 : 상부홀더
311 : 제 3연결홈 312 : 홀더결합부
320 : 하부홀더 321 : 제 4연결홈
322 : 홀더홈
400 : 고정부 410 : 고정캡
411 : 제 5연결홈 420 : 고정너트

Claims (4)

  1. 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풀을 베도록 이루어지는 예초기용 칼날구조에 있어서,
    중심부에 상기 동력전달부(10)의 동력축(PS)과 연결되는 제 1연결홈(111)이 형성되는 연결허브(110) 및 상기 연결허브(110)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되는 칼날부(120)가 형성되는 주칼날(100);
    중심부에 상기 제 1연결홈(111)과 동축을 갖는 제 2연결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허브(110)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축(PS)과 결합되는 몸체(210) 및 상기 몸체(210)의 전후방향 양단에서 절곡되면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폭방향 양단에 제 1보조커터날(221)이 형성되는 절곡칼날부(220)를 포함하는 보조칼날(200);
    상기 주칼날(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홀더(310)와 상기 보조칼날(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홀더(320)를 포함하며, 상기 주칼날(100)과 보조칼날(200)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홀더부(300); 및
    상기 하부홀더(320)의 하방에서 상기 동력축(PS)과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주칼날(100), 보조칼날(200) 및 홀더부(300)가 상기 동력축(PS)과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칼날부(220)는,
    상기 동력전달부(10)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절곡되어 끝단이 상기 동력전달부(10)와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곡칼날부(220)의 절곡된 끝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소정 길이 수평으로 돌출되면서 양단을 따라 제 2보조커터날(231)이 형성되는 돌출칼날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칼날(200)에는,
    일단이 상기 돌출칼날부(230)의 일측 상단과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고리부(251)가 형성되는 끝단고정부(250)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칼날부(230)에는,
    상기 고리부(251)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끝단고정부(250)에 의해 결속되도록 하는 체결홈(2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칼날(100) 및 보조칼날(200)은,
    회전방향을 향하고 있는 일측의 주커터날(130a, 140a) 및 제 1보조커터날(221a)이 무뎌지면, 상기 주칼날(100) 및 보조칼날(300)을 뒤집어 타측의 주커터날(130b, 140b) 및 제 2보조커터날(221b)이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칼날구조.
KR1020170058330A 2017-05-10 2017-05-10 예초기용 칼날구조 KR10187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30A KR101870763B1 (ko) 2017-05-10 2017-05-10 예초기용 칼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330A KR101870763B1 (ko) 2017-05-10 2017-05-10 예초기용 칼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763B1 true KR101870763B1 (ko) 2018-06-26

Family

ID=6278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330A KR101870763B1 (ko) 2017-05-10 2017-05-10 예초기용 칼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312B1 (ko) 2019-11-05 2020-03-27 박석민 초목 절단 파쇄 성능이 향상된 트랙터용 제초기 및 그 제초기를 이용한 초목 절단 파쇄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801B2 (ja) * 1985-12-10 1994-10-12 俊男 青野 回転鋸刃
KR101296491B1 (ko) * 2011-12-19 2013-08-13 박학제 예초기의 풀엉킴 방지구
KR200469468Y1 (ko) 2011-08-18 2013-10-14 이정훈 예취기용 안전 칼날
KR101374398B1 (ko) * 2012-07-30 2014-03-17 박학제 예초기용 커터
KR20140003296U (ko) * 2014-05-08 2014-06-02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예초기 커터 부양구조
JP6079801B2 (ja) * 2015-02-27 2017-02-15 Tdk株式会社 非可逆回路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801B2 (ja) * 1985-12-10 1994-10-12 俊男 青野 回転鋸刃
KR200469468Y1 (ko) 2011-08-18 2013-10-14 이정훈 예취기용 안전 칼날
KR101296491B1 (ko) * 2011-12-19 2013-08-13 박학제 예초기의 풀엉킴 방지구
KR101374398B1 (ko) * 2012-07-30 2014-03-17 박학제 예초기용 커터
KR20140003296U (ko) * 2014-05-08 2014-06-02 대성하이텍 주식회사 예초기 커터 부양구조
JP6079801B2 (ja) * 2015-02-27 2017-02-15 Tdk株式会社 非可逆回路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312B1 (ko) 2019-11-05 2020-03-27 박석민 초목 절단 파쇄 성능이 향상된 트랙터용 제초기 및 그 제초기를 이용한 초목 절단 파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75721A1 (en) String trimmer head and spool
US20170273237A1 (en) Mulching insert and system for mounting a mulching insert to a lawn mower
US10149433B2 (en) Combination blade and cord weed cutter-trimmer head device
KR101870763B1 (ko) 예초기용 칼날구조
US20160219783A1 (en) Rotating body, mower, and grass-mowing method
KR101514057B1 (ko) 예초기
US20100122516A1 (en) Adapter for landscape trimmers
CN210183903U (zh) 可快速更换刀头的移动割草机器人
CA2111125C (en) Spindle for mower deck
US20220272897A1 (en) Cutting assembly and lawn mower
JP2007244299A (ja) 回転刃
KR101736697B1 (ko) 풀감김 방지용 예초기의 날
KR101855588B1 (ko) 가지 절단장치용 절단 가이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지 절단장치
KR100870994B1 (ko) 예초기용 커터날
JP3175261U (ja) 草刈り刃
US11641796B2 (en) Lawn mower and cutting blade thereof
JP2005118003A (ja) 巻付き防止部材、刈刃及びそれらを備えた刈払機
KR101885613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원형 예초기 칼날
JP5097969B1 (ja) 草刈刃および草刈機
KR102134005B1 (ko)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CN205830359U (zh) 一种带分草器的后开门割草机
KR101161631B1 (ko) 예초용 커터
JP3140635U (ja) 草刈機用補助刃
CN213784209U (zh) 割草机
CN105875019B (zh) 用于垄间杂草清楚的割草刀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