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005B1 -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 Google Patents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005B1
KR102134005B1 KR1020200021736A KR20200021736A KR102134005B1 KR 102134005 B1 KR102134005 B1 KR 102134005B1 KR 1020200021736 A KR1020200021736 A KR 1020200021736A KR 20200021736 A KR20200021736 A KR 20200021736A KR 102134005 B1 KR102134005 B1 KR 10213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ing
body plate
gearbox
bla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택
Original Assignee
김용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290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27411A/ko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택 filed Critical 김용택
Priority to PCT/KR2020/0054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511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이 지지봉과 예취날 사이로 침입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감겨진 이물질이 칼날의 절삭면에 의해 절삭됨과 동시에 방사상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이물질 감김을 방지하기 위한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바, 중앙에 동력축(2)과 회전결합되는 체결홀(13)을 갖는 몸체판(10); 및 상기 몸체판(10)에 돌출하여 설치되는 칼날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부(20)는 상기 체결홀 주위로 상기 기어박스(1)와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20)의 밑면은 상기 몸체판(10)에 고정되고, 상기 칼날부의 일측면은 칼날을 갖는 절삭면(21)으로 구성되어, 상기 동력축(2)에 회전 결합되어 예취날(3)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박스(1) 주위로 진입하는 풀과 같은 이물질을 절삭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예취기에 감김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A GRASS CUTTER AND THE DEVICE FOR PREVENTING GRASS ARRESTING USED THE SAME}
본 발명은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에 관한 것으로, 예취기로 풀을 벨 때, 예취기 예취날과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 및/또는 지지봉에 풀이나 잔가지, 노끈 혹은 비닐 등 (이하, '이물질'이라 함) 이 감기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감긴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예취기는 풀을 자르는 예취날과, 상기 예취날이 유동 없이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손으로 파지가능하게 형성된 파지봉과, 상기 파지봉과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동력을 예취날에 전달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예취날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예취날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전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예취날이 회전하여 풀을 자르는 과정에서 잘려진 풀이 날리면서 회전축에 엉키게 되어 예취기의 작동을 마비시키거나, 예취기를 사용한 후 상기 회전축에 엉킨 풀을 제거하는 작업을 해야하므로 그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 과다하게 풀이 엉키게 되면 예취기의 일부 부품이 훼손되어 훼손된 부품을 교체함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소모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296491호 (예취기의 풀엉김 방지구)와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종래기술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손으로 파지 가능한 봉 형태의 파지봉(2)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도록 기어박스(3)가 구비되며, 상기 기어박스(3)에 의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5)에 예취날(7)이 결합되어 예취날(7)이 회전됨으로써 예초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예취기의 회전축(5)에 풀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예취기의 풀엉킴 방지구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와 예취날(7) 사이에 구비되도록 판체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회전축(5)이 수용되어 회전되게 관통공(11)이 형성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각각 모서리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회전축(5)에 풀이 엉키지 않도록 하는 경사판(20);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경사판(20)은 몸체(10)의 관통공(11)을 중심에 두고 서로 대각방향에서 마주하게 몸체(10)의 각각 모서리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쌍의 상향 경사판(21)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상향 경사판(21)과 상호 대칭되는 대각방향에서 관통공(11)을 중심에 두고 마주하게 몸체(10)의 다른 각각 모서리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쌍의 하향 경사판(2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20)은 몸체(10)의 수평선상에서 100°~ 120°(D)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수평길이방향으로 양측부에 형성되는 상향 경사판(21)과 하향 경사판(22) 사이 몸체(10)의 양측 일측부 또는 하향 경사판(22)이 형성되는 몸체(10)의 각각 일측부에 하부 내측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부(25)를 형성하여 예취날(7)의 몸체 양측부를 잡아줌으로써 고정되게 하고, 상기 상향 경사판(21)은 회전되는 예취날(7)의 절단부(7a) 측에 놓이게 설치하여 예초작업시 회전하는 예취날(7)이 풀을 절단할 때 상향 경사판(21)에서도 동시에 풀을 절단하게 함으로써 잘려진 풀이 회전축(5) 내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종래기술의 예취기의 풀엉김 방지구는, 예취기 지지봉과 예취기의 날 사이의 감김방지용 경사판 날의 안쪽 사이에 공간이 존재함으로써, 이 부위에 그대로 이물질이 감겨지게 되어 있어 예취기 사용시 예취기의 날 회전을 바로 멈추게 한다. 이런 현상은 일반적으로 풀이 우거지고 넝쿨이 있는 보통의 대부분의 환경에서 매우 자주 있으며, 특히 작업자가 예초를 신속하게 하려고 모터의 자전과 동시에 예취기 말단을 선회시키면서 작업시에는, 더욱 풀엉김이 자주 심하게 나타나는바, 작업 시 몇 걸음 지나지 않아 예취기의 날이 멈추곤 하여, 결국 작업을 어렵게 하거나 거의 불가능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제1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상기 경사판(20)의 상향 경사판(21)과 몸체(10)가 100°~ 120°(D)로 완만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도 3 참조), 더욱이 경사판과 예취날(7)이 맞닿으면서 하향 경사판(22)이 예취날(7)과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도 4 참조), 경사판(20)과 기어박스(3) 및/또는 파지봉(2) 간의 어느 정도의 이격 및 공간은 피할 수 없는바, 단순한 설계 변경만으로는 상술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회피할 수 없다.
한편, 이러한 제1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어느 정도 해결된 제2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736697호 (풀감김 방지용 예취기의 날) 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2 종래기술은, 예취기 지지봉과 예취기의 날 사이의 감김방지용 경사판 날의 안쪽 간에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감김방지용 수직날(40)의 측면날(46)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기어박스(10)와의 사이 공간이 보다 좁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측홀더(20)의 하측으로는 수평날(30)이 삽입되어 있고,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수평날(30)의 관통홈(39)을 통해 상기 측면날(46)이 상측으로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측면날과 기어박스 간의 간격이 어느 정도 이격되어야 하는 제1 종래기술의 문제점도 어느 정도 해결 가능하다.
회전축(12)에 삽입된 수직날(40)의 저면으로는 하측홀더(50)가 밀착되어 회전축(12)으로 삽입되며, 이 하측홀더(50)를 고정 밀착시키도록 안전판(60)이 회전축(1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위와 같이 순차적으로 회전축(12)에 삽입된 각각의 부속들은 너트와 같은 고정구(70)에 의해서 회전축(12)의 나사부(16)에 체결시켜 안전판(60)을 상향으로 밀어 각 부속들의 견고한 결합을 유도하게 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수직날(40)은 수평날(3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있어 수평날(30)이 회전을 하게 되면 같이 회전하여 종래 사용시 수평날(30)과 상측홀더(20) 사이로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바, 즉, 수직날(40)의 측면날(46)은 감겨진 풀 또는 감겨 지려고 하는 풀을 측면날(46)이 절단시켜 풀의 감김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에 의하더라도, 한여름의 억센 풀이나 두꺼운 넝쿨이 우거지고 여기에 더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노끈이나 비닐 등의 이물질까지 날리는 악조건의 환경에서라면, 더욱이 작업자가 예취기 말단을 선회시키면서 작업시에는, 수직날 위와 지지봉 사이의 커다란 빈 공간 사이로 무수히 들어가는 잘리지 않은 풀과 이물질 등이 빠른 회전으로 인해 기어박스 둘레로 순식간에 들어가 단단히 감기면서 이물질의 말단이 도 6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향하여, 풀엉김 방지구로서의 수직날(40)과 기어박스(10) 사이로 인입됨으로써, 역시 기어박스 주위나 스프라인(14)에 감기는 현상을 원천 봉쇄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제1296491호 (예취기의 풀엉김 방지구) 대한민국 특허 제1736697호 (풀감김 방지용 예취기의 날)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예취기 날이 회전할 때에, i) 본 발명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및 제거날의 직각으로 세워진 날은 바깥의 이물질이 지지봉과 예취날 사이로 침입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ii) 직각으로 세워진 날의 안쪽에서는 혹시 감겨진 이물질이 칼날의 절삭면에 의해 절삭됨과 동시에, iii) 직각으로 세워진 칼날부의 절삭면보다 방사상 외측으로 향한 절삭반대면에 의해 절삭된 이물질이 방사상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이물질 감김을 방지하기 위한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직각으로 세워진 칼날부의 절삭면은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절삭 효율 및 위로 밀어내기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며, 더우기 상기 칼날부의 상면 역시 경사진 칼날로 형성하여 절삭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감김 방지 장치는 상하 제1 및 제2 몸체판으로 별도로 형성하되, 상측의 제1 몸체판의 일부를 절곡하여 칼날부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장치는, 중앙에 기어박스(1) 내의 동력축(2)과 회전결합되는 체결홀(13)을 갖는 몸체판(10); 및 상기 몸체판(10)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칼날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판(10)은, 상기 체결홀(13)의 반경보다 더 큰 내경의 기어박스 수용홈(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 수용홈(15)은, 상기 기어박스(1)를 감싸면서 상기 기어박스(1)와 약간의 틈을 두어 회전 시 상기 기어박스(1)와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상기 칼날부(20)는 상기 기어박스 수용홈(15) 주위로 상기 기어박스(1)와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20)의 밑면은 상기 몸체판(10)에 고정되고, 상기 칼날부의 일측면은 칼날을 갖는 절삭면(21)으로 구성되어, 상기 동력축(2)에 회전 결합되어 예취날(3)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박스(1) 주위로 진입하는 풀과 같은 이물질을 절삭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예취기에 감김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부(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절삭면(21)까지의 거리(d1)에 비하여, 상기 칼날부(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절삭면 반대쪽의 절삭반대면(22)까지의 거리(d2)가 보다 길게(d2>d1) 형성됨으로써, 상기 칼날부(20)가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칼날부(20)에 의해 절삭된 이물질이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판(10)은, 중앙에 동력축(2)과 회전결합되는 체결홀(13)을 갖는 강성 재질의 제1 몸체판(11)과, 상기 기어박스(1)를 감싸면서 약간의 틈을 두어 회전 시 기어박스(1)와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내측으로 기어박스 수용홈(15)이 형성된 제2 몸체판(1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판(11)과 제2 몸체판(12)은 고정결합되면서, 상기 제2 몸체판(12)에 상기 칼날부(20)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부(20)는, 상기 몸체판(10)과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평단면이 사다리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삭면(21)이 몸체판(10)과 예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부(20)의 상부면(23)은 칼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판(10)은, 회전축과 축결합되는 체결홀(13)을 내측에 갖는 도우넛 형상의 제1 몸체판(11)과, 체결홀(13)의 반경보다 더 큰 내경의 홀을 기어박스 수용홈(15)을 갖는 제2 몸체판(12)이 각각 형성되며, 제2 몸체판(20)의 내측 일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칼날부(20)를 단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칼날부(20)는 상호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칼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예취기용 감김방지를 포함하는 예취기가 개시되는바, 기어박스 내의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가지고 회전하는 예취기의 예취날(3)은, 기어박스와 축 결합되어 회전력을 가지면서 풀과 잡목 등을 베어 제거하고, 상기 예취기의 동력축(2)은 기어박스(1)와 회전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예취날(3)과 상기 기어박스 사이에 상기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4)를 두고 예취날(3)을 고정 결합하되, 상기 예취기의 동력축(2)을 회전시켜 상기 예취날(3)과 함께 상기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4)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칼날은 예취기 동력용 파이프와 예취기의 날 사이의 풀의 직각으로 세워진 날 바깥으로 감김을 방지하고, 안으로 예취기 동력전달용 지지봉(파이프)과 홀더의 측면의 감긴 풀 등을 절삭하여 비스듬히 베어 배출하여 풀이 감기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직날 위와 지지봉 사이의 커다란 빈 공간 사이로 무수히 들어가는 잘리지 않은 풀과 이물질 등이 빠른 회전으로 인해 기어박스 둘레로 순식간에 들어가 단단히 감기는 풀을 즉시 날카로운 날들이 베어 배출하도록 작동한다. 즉, 회전하는 예취용 날이 끼이지 않게 방지하거나 제거하며, 풀이 우거지고 넝쿨이 있는 일반적인 대부분의 작업 시 풀이나 넝쿨의 감김을 예방하고, 감기는 동시에 회전하는 날들이 즉시 감긴 부분을 절삭 배출하여, 어떤 환경에서도 풀이나 넝쿨로 끼어서 예취기 날이 멈추는 것을 방지하며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예취기의 날이 항상 순조롭게 회전하게 하여 제 속도를 유지하게 하며 작업을 계속하게 할 수 있어, 작업 중 풀의 감김과 끼임으로 인한 멈추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계속적인 예취작업을 능률적으로 지속할 수 있게 하여, 친환경 예취작업 및 충전예취기 등의 예취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더불어 이로 인한 작업능률에 따른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에 의한 예취기의 풀엉킴 방지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예취기의 풀엉킴 방지구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예취기의 저면 사시도 및 경사판의 경사진 각도를 알 수 있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예취기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5는 제2 종래기술에 따른 풀감김 방지용 예취기의 날의 분해도.
도 6은 도 5의 풀감김 방지용 예취기의 날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도 5의 풀감김 방지용 예취기에 적용된 수평날의 평면도.
도 8은 도 5의 풀감김 방지용 예취기에 적용된 수직날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배면도.
도 12는 도 10의 A-A선 절단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예취기날과 고정된 칼날부 회전으로 인해 생긴 원기둥 형상의 빈 공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추가적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말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4)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A-A선 절단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의 기어박스(1)에 회전결합되어 예취날(3)과 함께 회전하는 몸체판(10) 및 몸체판(10)에 결합되는 칼날부(20)로 구성된다.
기어박스 내의 모터나 기타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가지고 회전하는 예취기의 예취날(3)은, 기어박스와 축 결합되어 회전력을 가지며 풀과 잡목 등을 베어 제거한다. 예취기는, 엔진이나 모터 등에서 얻는 힘으로, 예취기 지지봉(7) 끝에 지지되는 예취기 동력축(2)을 회전시키는데, 예취기 동력축(2)은 기어박스(1)와 일체를 이루거나 기타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감김 방지장치(4)를 두고 예취날(3)을 나사(6)로 고정 결합하되, 상기 예취기 동력축(2)을 회전시켜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4)와 같이 축결합되어 회전하는 예취날(3)을 회전시킨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미 도시된 동력원에 회전결합되어 회전하는 예취날(3)은 풀이 우거지고 넝쿨이 있는 일반적인 대부분의 작업 시 풀이나 넝쿨이 감기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가 상기 동력원에 회전결합되어 상기 예취날(3)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다른 기존의 예취기의 감김방지구는, 예취기 지지봉와 예취기의 날 사이의 감김방지용 날의 안쪽 (도 21의 "Y" 참조) 에서는, 그대로 풀이 감겨지게 되어 있어, 예취 시 예취기의 날 회전을 바로 멈추게 한다. 이런 현상은 일반적으로 풀이 우거지고 넝쿨이 있는 보통의 대부분의 환경에서 매우 자주 있어, 작업 시 몇 걸음 지나지 않아 예취기의 날이 멈추곤 하여 작업을 어렵게 하거나 거의 불가능케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4)의 몸체판(10)에는, 예취날(3)의 나사 고정 구멍과 같은 크기의 고정용 중심 구멍인 체결홀(13)이 있고, 상기 몸체판(10)의 일측 면에는 칼날부(20)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예취날(3)을 조립할 때 칼날부(20) 방향을 기어박스(1) 쪽으로 하고,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4)를 기어박스(1)와의 사이에 두고 예취날(3)을 나사(6)로 고정 결합하여, 예취기를 사용하여 예초 작업을 하게 된다.
즉,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4)를 예취날(3)과 나사로 고정 결합 회전시키므로 풀을 벨 때에도 같은 방향으로 같이 회전한다. 그러나 예취기 지지봉(7)은 그 위에 멈추어 있는 상태이므로, 예취 작업 시 풀이나 끈 등이 멈춰 감겨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예취날(3)과 나사(6)로 고정 결합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4)는, 고정용 중심 구멍인 체결홀(13)이 관통되어 도우넛 형상을 갖는, 비교적 얇은 강철판 등의 솔리드한 강성 재질의 제1 몸체판(11)을 포함하고, 여기에 기어박스(1)를 위로 감싸며 약간의 틈을 두어 기어박스(1)와 회전 시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역시 내측으로 기어박스 수용홈(15)이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 하면, 일정 두께와 강도를 가진 제2 몸체판(12)을 겹치되, 상기 제1 몸체판(11)과 제2 몸체판(12)은 스폿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몸체판(12)에는 몸체판과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평단면이 사다리꼴의 형상인 칼날부(20)를 돌설되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되, 상기 칼날부의 밑면은 몸체판(10)에 고정되고, 상기 칼날부의 일측면은 칼날을 갖는 절삭면(21)으로, 그 반대쪽의 절삭반대면(22)은 수직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칼날부(20)의 상부면(23)은 상기 몸체판(10)과 평행하게 구성하면 되나, 반드시 그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부면 역시 칼날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삭면(21)이 몸체판(10)과 수직을 이루지않고 예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우인바, 칼날부(20)가 몸체판(10) 및 예취날(3)과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봉과 예취날 사이의 넓은 공간("Y")에 진입하는 이물질을 절단하는데 더 효율적이면서, 아울러 설령 이물질이 절단되지 않더라도 상방향으로 쳐올리게 되므로, 이물질의 감김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삭면이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추후 제2 실시예로 후술한다.
특히 중요한 점은, 상기 절삭면(21)이 이물질을 절삭함에도 불구하고 주로 많이 있는 긴 풀이나 줄기, 노끈이나 혹은 비닐 등의 이물질이 계속 자리하는 경우 역시 기어박스 주위를 휘감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상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절삭반대면(22)까지의 거리(d2)가, 상기 가상의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절삭면(21)까지의 거리(d1) 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칼날부(20)가 상기 수용홈(15)의 접선 방향과 비스듬하게 배치될 경우, 상기 절삭면(21)에 의해 절삭된 이물질이 상기 칼날부의 몸체에 의해 (즉, 절삭반대면의 편차 d1~d2 에 의해), 절삭된 이물질이 즉각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4)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는 확실한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몸체판(10)은, 회전축과 축결합되는 체결홀(13)을 내측에 갖는 도우넛 형상의 제1 몸체판(11)과, 그보다 더 큰 내경의 홀을 기어박스 수용홈(15)으로 갖는 제2 몸체판(12)이 각각 형성된 후에 (각각의 외경은 동일함), 스폿 용접 등으로 결합되어 제작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수용홈(15)과 체결홀(13)을 갖는 내측의 단면이 계단 형상이면서 전체적으로도 도우넛 형상을 하는 몸체판(10)을 단일 몸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몸체판(11)과 제2 몸체판(12)을 별도로 형성하되, 제2 몸체판(20)의 내측을 천공할 시에, 칼날부(20)에 해당하는 부위를 남겼다가, 이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칼날부(20)를 형성함으로써, 제2 몸체부(12)와 칼날부(20)가 일체인 경우 (도 12 참조), 용접이 불필요하므로 제작이 용이하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한편, 칼날부(20)의 절삭면(21)은 이물질을 절단하기에 유리하도록 끝을 예리하게 연마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제2 몸체판(12)을 얇은 (일례로 십분의 수 mm) 강판으로 하면서, 칼날부(20)와 단일체인 제2 몸체부(12)의 일부를 절곡하여 칼날부(2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로 절삭면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연마 공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에 의하면,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하게 되는바, i) 예취날(3)과 함께 회전하는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4)의 칼날부(20)가 돌설되어 있어, 바깥에서 상기 사이공간("Y")으로 진입하는 이물질의 감김을 베어 방출함으로써, 이물질의 감김을 일차적으로 방지하고; ii) 추가적으로, 수용홈(15)에 기어박스의 일부가 수용됨과 동시에 칼날부는 수용홈에 인접하여 돌설됨으로써,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이동하는 칼날부(20)와 기어박스(1) 간의 틈이 최소화되므로, 이물질의 감김을 더욱 억제하며, iii) 더욱이, 상기 칼날부(20)가 상기 수용홈(15)의 접선 방향과 비스듬하게 배치될 경우, 상기 절삭면(21)에 의해 절삭된 이물질이 상기 칼날부 자체에 의해 감김방지 장치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더욱 감김 형상이 방지된다는 보다 확실한 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iv) 마지막으로, 본 제1 실시예의 경우, 절삭면(21)이 몸체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있어, 이물질을 예취기 상측으로 밀어내는 특장점까지 구비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몸체판(10)과 칼날부(20)를 일체로 절곡하여 형성하는 경우, 제조가 용이하면서 내구성이 커지는 장점이 존재하기도 한다.
도 21 내지 도 24는, 상술한 본 발명의 장점을 또다른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는바, 즉, 칼날부(20)가 수용홈(15)의 접선 방향과 비스듬하게 배치될 경우, 절삭면(21)에 의해 도 22 및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칼날부의 회전으로 인하여 가상의 입체기둥의 빈 공간 (도 22 및 도 23의 "V" 참조) 이 형성되는바, 이 빈 공간으로 인하여, 이물질 다발이 기어박스 및 지지봉으로부터 이격됨으로, 확실하게 이물질의 감김 형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제2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4')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16 내지 도 18에서 보듯이, 그리고 상기 간략히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4')의 경우에는, 칼날부(20)의 절삭면(21)이 몸체판(10)과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는바, 부드러운 풀을 예초할 시에는 오히려 절삭 효율이 좋아서, 제1 실시예에 비하여 예초 효율 및 감김방지 기능에 있어 더 유리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
이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4")에 대하여,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상술하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19 및 도 20에서 보듯이, 그리고 상기 간략히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의 변형예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4")의 경우에는, 칼날부(20)의 절삭면(21)은 물론 상부면(23) 역시 예리한 칼날 형상을 이루게 되어, 상부면의 칼날도 절삭을 행하게 되므로, 가지가 많은 관목들을 정리할 경우나 경사지에서 예초를 행할 경우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에 의하면, 위로 경사진 날로 예취기 지지봉(7)와 예취날(3) 사이 공간("Y")에 끈이나 풀의 이물질("W")이 감겨 끼이더라도, 경사진 날로 감긴 풀을 절삭하여 바깥으로 경사지게 각도를 둔 절삭면(21)으로 날의 윗부분에 감긴 풀 등을 비스듬히 베어 바깥으로 베어 배출하게 한다. 이때 칼날부(20)가 중심에서 뒤로 쳐져 형성되어 예취날(3)이 회전하는 동안 칼날부(20)가 일정 폭을 가지며 회전하므로, 원주를 따라 빈 공간("V")이 생기는바, 예취기 지지봉(7)과 기어박스(1)에 의해서 "B" 방향으로 감겨 하방으로 눌리는 풀이나 끈이 예취날(3)을 누르는 힘이 상실되고, 따라서 절삭 배출작업이 잘 일어난다. 더욱이, 본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는 예취기 지지봉(7)와 예취날(3) 사이의 절삭된 이물질 잔해의 배출이 쉽게 된다.
1 : 기어박스 2 : 동력축
3 : 예취날 4 : 감김 방지장치
5 : 와셔 6 : 나사
7 : 예취기 지지봉 8 : 고정턱
9 : 홀더 10 : 몸체판
11 : 제1 몸체판 12 : 제2 몸체판
13 : 체결홀 15 : 수용홈
20 : 칼날부 21 : 절삭면
22 : 절삭반대면 23 : 상부면
B : 하방 압력 방향 V : 빈 공간
W : 기어박스에 감진 이물질
Y : 지지봉과 예취날 사이 공간

Claims (9)

  1. 중앙에 기어박스(1) 내의 동력축(2)과 회전결합되는 체결홀(13)을 갖는 몸체판(10); 및
    상기 몸체판(10)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칼날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판(10)은, 상기 체결홀(13)의 반경보다 더 큰 내경의 기어박스 수용홈(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 수용홈(15)은, 상기 기어박스(1)를 감싸면서 상기 기어박스(1)와 약간의 틈을 두어 회전 시 상기 기어박스(1)와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상기 칼날부(20)는 상기 기어박스 수용홈(15) 주위로 상기 기어박스(1)와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20)의 밑면은 상기 몸체판(10)에 고정되고, 상기 칼날부의 일측면은 칼날을 갖는 절삭면(21)으로 구성되어,
    상기 동력축(2)에 회전 결합되어 예취날(3)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박스(1) 주위로 진입하는 풀과 같은 이물질을 절삭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예취기에 감김을 방지하되,
    상기 몸체판(10)은, 상기 체결홀(13)을 갖는 강성 재질의 제1 몸체판(11)과, 상기 기어박스 수용홈(15)이 형성된 제2 몸체판(1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판(11)과 제2 몸체판(12)은 고정결합되면서, 상기 제2 몸체판(12)에 상기 칼날부(20)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절삭면(21)까지의 거리(d1)에 비하여, 상기 칼날부(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절삭면 반대쪽의 절삭반대면(22)까지의 거리(d2)가 보다 길게(d2>d1) 형성됨으로써, 상기 칼날부(20)가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칼날부(20)에 의해 절삭된 이물질이 방사상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20)는, 상기 몸체판(10)과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평단면이 사다리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21)이 몸체판(10)과 예각을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20)의 상부면(23)은 칼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7. 중앙에 기어박스(1) 내의 동력축(2)과 회전결합되는 체결홀(13)을 갖는 몸체판(10); 및
    상기 몸체판(10)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칼날부(20);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판(10)은, 상기 체결홀(13)의 반경보다 더 큰 내경의 기어박스 수용홈(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 수용홈(15)은, 상기 기어박스(1)를 감싸면서 상기 기어박스(1)와 약간의 틈을 두어 회전 시 상기 기어박스(1)와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상기 칼날부(20)는 상기 기어박스 수용홈(15) 주위로 상기 기어박스(1)와 인접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20)의 밑면은 상기 몸체판(10)에 고정되고, 상기 칼날부의 일측면은 칼날을 갖는 절삭면(21)으로 구성되어,
    상기 동력축(2)에 회전 결합되어 예취날(3)과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박스(1) 주위로 진입하는 풀과 같은 이물질을 절삭하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예취기에 감김을 방지하되,
    상기 몸체판(10)은, 상기 체결홀(13)을 내측에 갖는 도우넛 형상의 제1 몸체판(11)과, 상기 기어박스 수용홈(15)을 갖는 제2 몸체판(12)이 각각 형성되며, 제2 몸체판(20)의 내측 일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칼날부(20)를 상기 제2 몸체판(12)과 단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20)는 상호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칼날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
  9.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예취기로서, 기어박스 내의 동력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가지고 회전하는 예취기의 예취날(3)은, 기어박스와 축 결합되어 회전력을 가지면서 풀과 잡목 등을 베어 제거하고, 상기 예취기의 동력축(2)은 기어박스(1)와 회전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예취날(3)과 상기 기어박스 사이에 상기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4)를 두고 예취날(3)을 고정 결합하되, 상기 예취기의 동력축(2)을 회전시켜 상기 예취날(3)과 함께 상기 예취기용 감김 방지장치(4)가 같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KR1020200021736A 2019-06-14 2020-02-21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KR10213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5485 WO2020251161A1 (ko) 2019-06-14 2020-04-27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1142 2019-06-14
KR1020190071142 2019-06-14
KR1020190082909 2019-07-09
KR1020190082912 2019-07-09
KR1020190082909A KR20200027411A (ko) 2018-09-01 2019-07-09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KR1020190082912A KR20200027412A (ko) 2018-09-01 2019-07-09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644A Division KR20200143644A (ko) 2019-06-14 2020-06-01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005B1 true KR102134005B1 (ko) 2020-07-15

Family

ID=716035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736A KR102134005B1 (ko) 2019-06-14 2020-02-21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KR1020200065644A KR20200143644A (ko) 2019-06-14 2020-06-01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644A KR20200143644A (ko) 2019-06-14 2020-06-01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134005B1 (ko)
WO (1) WO2020251161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3230U (ko) * 1985-08-14 1987-02-27
JPS62128720U (ko) * 1986-02-03 1987-08-14
JPS6445929U (ko) * 1987-09-18 1989-03-22
JPH0351240U (ko) * 1989-09-22 1991-05-17
EP2311306A1 (en) * 2009-10-14 2011-04-20 Honda Motor Co., Ltd. Bush cutter
KR101296491B1 (ko) 2011-12-19 2013-08-13 박학제 예초기의 풀엉킴 방지구
JP2015226529A (ja) * 2014-06-02 2015-12-17 株式会社トリガー 刈払い用回転刃
KR101736697B1 (ko) 2016-11-15 2017-05-17 김재희 풀감김 방지용 예초기의 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6707A2 (en) * 2013-07-12 2015-01-15 Excel Industries, Inc. Mower cutting chamber with adjustable discharge geometry
KR101585520B1 (ko) * 2015-09-10 2016-01-14 강광원 예초기의 커팅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3230U (ko) * 1985-08-14 1987-02-27
JPS62128720U (ko) * 1986-02-03 1987-08-14
JPS6445929U (ko) * 1987-09-18 1989-03-22
JPH0351240U (ko) * 1989-09-22 1991-05-17
EP2311306A1 (en) * 2009-10-14 2011-04-20 Honda Motor Co., Ltd. Bush cutter
KR101296491B1 (ko) 2011-12-19 2013-08-13 박학제 예초기의 풀엉킴 방지구
JP2015226529A (ja) * 2014-06-02 2015-12-17 株式会社トリガー 刈払い用回転刃
KR101736697B1 (ko) 2016-11-15 2017-05-17 김재희 풀감김 방지용 예초기의 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644A (ko) 2020-12-24
WO2020251161A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7561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3708967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4268964A (en) Apparatus for cutting, trimming and edging vegetation and the like
US4172322A (en) Rotary cutting assembly
US4104797A (en) Rotary cutting assembly
WO2000048449A1 (en) Rotary blade for trimmers and brush cutters
US7587828B2 (en) Cutting head for a brush cutter, edge trimmer or similar
DE2411602A1 (de) Vorrichtung zum schneiden bzw. maehen von pflanzen und dergl
KR200386346Y1 (ko) 예초기용 커터 어셈블리
KR102134005B1 (ko)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예취기
EP0435795A1 (fr) Fil de coupe multiple pour débroussailleuses et taille-bordures
KR20200027405A (ko) 예취기용 감김방지 장치
US5904033A (en) Vine cutter
US6286605B1 (en) Cutting system
JP5097969B1 (ja) 草刈刃および草刈機
GB1583521A (en) Rotary cutting assembly
KR101870763B1 (ko) 예초기용 칼날구조
KR20200045130A (ko) 예초기
KR102574531B1 (ko) 안전판을 구비한 예초기 헤드
JPH0191709A (ja) コード式刈取装置のコード自動繰出し構造
JP3183863U (ja) インパクト機能を有するナイロンコードカッター
KR200478522Y1 (ko) 수초 제거기
KR101270059B1 (ko) 예초기용 플레이트
BE844621R (fr) Tondeuse a gazon
KR200413466Y1 (ko) 예초기용 칼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