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59B1 -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59B1
KR101870359B1 KR1020170012270A KR20170012270A KR101870359B1 KR 101870359 B1 KR101870359 B1 KR 101870359B1 KR 1020170012270 A KR1020170012270 A KR 1020170012270A KR 20170012270 A KR20170012270 A KR 20170012270A KR 101870359 B1 KR101870359 B1 KR 10187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asting
hull
support frame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경
Original Assignee
박상경
노근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경, 노근명 filed Critical 박상경
Priority to KR102017001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B24C3/0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 assembli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movabl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24C5/04Nozzles therefor
    • B63B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블라스팅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블라스팅 장치는, 지지 프레임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부 내측에 배치되며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챔버를 구비한 블라스팅 하우징과,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의 챔버 개방부 측이 선체(船體)의 피처리면과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탄력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접촉구를 구비한 하우징 밀폐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부 측에서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을 피처리면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이송부와,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의 개방부를 통해서 선체의 피처리면을 향하여 그리트(grit)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부, 그리고,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선체의 외부면 측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라스팅 장치{BL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선박들의 선체 외부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되거나, 각종 이물질들이 달라붙게 되므로 주기적인 표면 유지보수 작업이 요구된다.
선체 외부면의 유지보수 작업은 대부분 선체의 외부면(피처리면)을 향하여 그리트를 분사하는 블라스팅 작업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선박의 선체 외부면의 블라스팅 작업에 사용되는 블라스팅 장치로는, "특허등록 제10-1640564호의 블라스팅 장치."가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등록 제10-1640564호의 블라스팅 장치는, 블라스팅 하우징이 고소작업 차량이나, 리프팅 장치에 의해 단순하게 위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블라스팅 작업을 진행하는 구조이므로, 블라스팅 하우징이 불규칙하게 움직이면서 챔버의 분사구(개구부) 둘레부 측이 피처리면 측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블라스팅 하우징 측이 피처리면 측에 밀착되지 못하면, 블라스팅 작업 중에 발생하는 비산 먼지나 파편들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작업장 환경을 크게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것은 블라스팅 하우징이 피처리면 측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구조나 수단을 일체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스팅(blasting) 작업과 부합하는 작업 편의성, 생산성 및 안정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 내측에 배치되며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챔버를 구비한 블라스팅 하우징;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의 챔버 개방부 측이 선체(船體)의 피처리면과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탄력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접촉구를 구비한 하우징 밀폐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 측에서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을 피처리면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이송부;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의 개방부를 통해서 선체의 피처리면을 향하여 그리트(grit)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선체의 외부면 측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고정부;
를 포함하는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블라스팅 하우징이 놓여지는 지지 프레임부 측을 블라스팅을 위한 선체의 외부면 측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프레임 고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선체의 외부면(피처리면)의 블라스팅 작업시 한층 향상된 작업 편의성, 생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블라스팅 장치는, 지지 프레임부(2), 블라스팅 하우징(4), 하우징 밀폐부(6), 하우징 이송부(8), 노즐부(10), 및 프레임 고정부(12)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부(2)는 도 1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블라스팅 하우징(4)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내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금속 파이프나 바 등을 통상의 방법(예: 용접, 볼팅)으로 연결 결합하여 도면에서와 같은 프레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부(2)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블라스팅 위치로 옮겨질 수 있도록 셋팅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은 리프팅 장치(M)의 와이어(M1) 측에 매달린 상태로 배치되어 와이어(M1)의 와인딩 동작에 의해 블라스팅 처리를 위한 선체(S)의 피처리면(S1)과 대응하는 지점으로 위치가 옮겨질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블라스팅 하우징(4)은 선체(S) 외부면의 피처리면(S1)을 블라스팅 처리하기 위한 블라스팅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내측에 챔버(A)를 구비하고, 이 챔버(A)의 일면에 개방부(A1)가 형성된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라스팅 하우징(4)의 재질은 블라스팅 작업 중에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 등에 대응하는 내성을 갖는 금속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블라스팅 하우징(4)은 도 1에서와 같이 챔버(A)의 개방부(A1) 측이 피처리면(S1)을 향하는 상태로 지지 프레임부(2) 내측에 놓여진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블라스팅 하우징(4)의 하부 일측에는 배기관(A2)이 연결되며, 이 배기관(A2)은 블라스팅 작업시 챔버(A) 내부에 발생하는 비산 먼지나 각종 파편들을 흡입력으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밀폐부(6)는 블라스팅 하우징(4)의 챔버(A) 개방부(A1) 둘레 측이 피처리면(S1) 측에 탄력적인 접촉 상태로 밀착되어 챔버(A) 내부가 블라스팅 작업과 부합하는 밀폐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밀폐부(6)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탄성접촉구(B)를 구비하고, 이 탄성접촉구(B)는 챔버(A)의 개방부(A1) 둘레를 따라 덧대어진 상태로 셋팅된다.
탄성접촉구(B)는 튜브나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질은 예를 들어, 고무나 우레탄,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밀폐부(6)는 도 3에서와 같이 블라스팅 하우징(4)이 피처리면(S1)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될 때, 탄성접촉구(B)가 피처리면(S1) 측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면서 챔버(A)의 개방부(A1)와, 피처리면(S1) 사이의 접촉 틈새가 밀폐 상태로 차단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우징 밀폐부(6)는 블라스팅 작업 중에 발생되는 비산 먼지나 각종 파편들이 블라스팅 하우징(4)의 챔버(A) 개방부(A1)와, 피처리면(S1) 사이의 접촉 틈새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하우징 이송부(8)는 블라스팅 하우징(4)을 지지 프레임부(2) 측에서 피처리면(S1)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이송부(8)는 블라스팅 하우징(4)의 챔버(A) 개방부(A1) 측이 피처리면(S1) 측에 밀착되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후술하는 프레임 고정부(12)의 작동과 연계하여 지지 프레임부(2)가 피처리면(S1) 측에 안정적인 고정 지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즉, 하우징 이송부(8)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지 프레임부(2) 내측에서 블라스팅 하우징(4)의 이송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되는 이송레일(C)과, 이 이송레일(C)의 레일구간을 따라 블라스팅 하우징(4)을 움직이기 위한 이송구동원(C1)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송레일(C)은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부(2) 내측에 서로 평행한 상태로 두 개가 배치되고, 레일구간을 따라 블라스팅 하우징(4)이 이동 가능하게 놓여진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이송구동원(C1)은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부(2) 측에서 이송레일(C)의 레일구간을 따라 피스톤 로드로 블라스팅 하우징(4)을 밀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이송부(8)는 지지 프레임부(2) 내측에 배치된 블라스팅 하우징(4)이 피처리면(S1)의 블라스팅 작업과 부합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지지 프레임부(2) 내에서 블라스팅 하우징(4)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 이송부(8)는 이송구동원(C1)으로 실린더를 사용하는 구동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모터 축과 연결된 볼스크류의 정,역방향 회전 동작으로 블라스팅 하우징(4)을 이동시키는 구동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노즐부(10)는 블라스팅 하우징(4)의 챔버(A)를 통해서 블라스팅 작업과 부합하는 상태로 그리트(W, grit)를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노즐부(10)는 도 2에서와 같이 노즐(D)을 구비하고, 이 노즐(D)은 블라스팅 하우징(4)의 외부면 중에서 챔버(A)의 개방부(A1) 반대면 측에 배치되어 개방부(A1) 측을 향하여 그리트(W)를 분사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노즐(D)은 통상의 방법으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서 압축공기의 분사 압력에 의해 그리트(W)를 분사할 수 있는 상태로 블라스팅 하우징(4) 측에 셋팅된다.
노즐(D)은 블라스팅 하우징(4) 측에 설치될 때, 예를 들어 작업자의 수조작, 또는 전동조작 방식에 의해 분사 각도나 분사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고정부(12)는 하우징 이송부(8)의 작동과 연계하여 지지 프레임부(2) 측을 피처리면(S1) 측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프레임 고정부(12)는 자력(磁力)을 이용하되, 접촉 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상태로 고정 지지력을 확보하여 지지 프레임부(2)가 피처리면(S1) 측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프레임 고정부(12)는 도 1에서와 같이 자력 고정구(E)와, 간격 유지구(F)를 구비하고, 자력 고정구(E)의 자력(磁力)으로 금속의 피처리면(S1) 측에 지지 프레임부(2)를 고정하되, 간격 유지구(F)에 의해 자력 고정구(E)와, 피처리면(S1)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비(非)접촉 상태로 고정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자력 고정구(E)는, 자석판을 사용하고, 지지 프레임부(2) 측에서 피처리면(S1)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자력이 작용하도록 셋팅된다.
자력 고정구(E)는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지지 프레임부(2) 측에서 브라켓트(E1)의 일측 단부에 연결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트(E1)는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E2)의 구동에 의해 움직이면서 자력 고정구(E)를 피처리면(S1) 측을 향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력 고정구(E)가 지지 프레임부(2) 측에서 피처리면(S1) 측을 향하여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상태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면 자력 고정구(E)와 피처리면(S1)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자력에 의해 잡아당기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블라스팅 작업시 후술하는 간격 유지구(F)의 완충 작용과 연계하여 하우징 밀폐부(6)의 탄성접촉구(B)가 피처리면(S1) 측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밀착 상태로 이동될 때 밀착 접촉 부분의 마찰에 의해 연질의 탄성접촉구(B)가 쉽게 마모(변형, 손상)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도록 밀착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자력 고정구(E)의 자석판은 전자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별도의 스위칭 조작에 의해 금속 피처리면(S1)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셋팅될 수 있다.
자력 고정구(E)는 지지 프레임부(2) 측에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지점에 제공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 지지력 확보를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블라스팅 하우징(4)의 챔버(A) 개구부(A1)를 사이에 두고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간격 유지구(F)는 캐스터(caster, 로울러 또는 볼) 타입으로 형성되며, 자력 고정구(E)들의 자석판 둘레부 외측에서 피처리면(S1)과 대응하는 상태로 적어도 한개 이상이 각각 셋팅될 수 있다.
간격 유지구(F)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지 아암(F1) 측에 설치된 상태로 자력 고정구(E)의 둘레부 외측에 배치되어 일측(로울러나 볼 부분)이 피처리면(S1) 측과 서로 접촉될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된다. 이때, 간격 유지구(F)는 자력 고정구(E)가 피처리면(S1)과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간격이 좁혀질 때 자석판 표면보다 먼저 피처리면(S1) 측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셋팅된다.
그러면, 자력 고정부(E)와 피처리면(S1)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자력이 작용하더라도 간격 유지구(F)의 접촉 작용에 의해 자력 고정부(E) 측이 피처리면(S1) 측에 직접 달라붙지 않고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프레임 고정 지지를 위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간격 유지구(F)가 로울러 캐스터 타입의 구조일 때에는 피처리면(S1) 측과 로울러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 프레임부(2)의 수직방향 이동과 연계하여 로울러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셋팅된다.
간격 유지구(F)는 피처리면(S1) 측과 서로 접촉될 때 완충 작용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간격 유지구(F)가 설치되는 지지 아암(F1)의 단부 내측에 간격 유지구(F)와 대응하는 상태로 탄성부재(F2)를 설치하고, 이 탄성부재(F2)는 피처리면(S1) 측을 향하여 간격 유지구(F)를 탄력적으로 밀 수 있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그러면, 간격 유지구(F)들이 피처리면(S1) 측과 서로 접촉되거나 접촉 상태로 이동될 때 발생하는 접촉 충격이나 진동을 탄성부재(F2)에 의해 적절하게 완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고정부(12)는 자력(磁力)을 이용한 고정 지지 방식으로 지지 프레임부(2) 측이 선체(S)의 외부면 측에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지지 프레임부(2) 측에 블라스팅 하우징(4)이 놓여진 상태로 일련의 블라스팅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 편의성 및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에서와 같이 선체(S) 피처리면(S1)의 블라스팅을 위하여 지지 프레임부(2) 측에 놓여진 블라스팅 하우징(4)을 하우징 이송부(8)로 밀어서 챔버(A)의 개방부(A1) 측이 피처리면(S1) 측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셋팅할 때, 하우징 이송부(8)의 미는 힘에 의해 피처리면(S1)으로부터 지지 프레임부(2)가 뒤로 밀려나는 현상을 프레임 고정부(12)의 고정 지지 작용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블라스팅 작업시 지지 프레임부(2) 측에 놓여진 블라스팅 하우징(4)의 블라스팅 위치를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셋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선박의 선체(S) 외부면 블라스팅 작업들이 대부분 다단식 아암을 갖는 고소차량이나, 도 1에서와 같은 리프팅 장치(M)의 와이어(M1)에 의해 블라스팅 장치가 지면에서 들어 올려진 상태로 고소(高所) 지점에서 진행되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와 같이 프레임 고정부(12)에 의해 지지 프레임부(2)의 고정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서 블라스팅 작업 안정성 및 블라스팅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고정부(12)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 고정구(E)가 피처리면(S1) 측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도 5에서와 같이 캐스터 타입의 간격 유지구(F) 일측(로울러 또는 볼 부분)이 피처리면(S1) 측에 선 접촉 또는 점 접촉되면서 피처리면(S1)과 자력 고정구(E)가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비(非) 접촉 상태로 고정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적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프레임 고정부(12)는 지지 프레임부(2)를 고정 지지할 때 피처리면(S1) 측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접촉 충격이나 마모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처리면(S1)의 손상이나 변형 등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고정부(12)는 자력 고정구(E)와 피처리면(S1)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구(F)가 캐스터 타입으로 형성되므로, 지지 프레임부(2)가 피처리면(S1) 측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도 블라스팅 작업과 부합하는 방향(수직방향)으로 이동성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프레임 고정부(12)에 의해 지지 프레임부(2)가 피처리면(S1) 측에 고정 지지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리프팅 장치(M)의 와이어(M1)를 풀림 상태로 조작하면, 지지 프레임부(2)가 피처리면(S1) 측에서 자중(自重)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이와 연계하여 캐스터 타입의 간격 유지구(F)의 로울러나 볼이 피처리면(S1) 측에 간격 유지가 가능하게 접촉 지지된 상태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고정부(12)의 작용들에 의하면, 대략 수직방향을 이루는 피처리면(S1) 측에 지지 프레임부(2)를 고정 지지함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부(2)가 피처리면(S1)으로부터 뒤로 밀려나는 방향으로는 이동을 제한하고, 피처리면(S1)의 표면을 따라서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안정성 확보는 물론이거니와, 특히 연속적인 블라스팅 작업과 부합하는 고정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S) 외부면을 블라스팅 처리할 때, 피처리면(S1) 측에 지지 프레임부(2) 및 블라스팅 하우징(4)이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단순하게 고소 차량이나, 리프팅 장치들에 의해 위로 들어 올려진 상태로 옮겨지면서 블라스팅 작업을 진행하는 일반 블라스팅 장치들과 비교할 때 한층 향상된 작업 편의성과 안정성 그리고, 블라스팅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2: 지지 프레임부 4: 블라스팅 하우징 6: 하우징 밀폐부
8: 하우징 이송부 10: 노즐부 12: 프레임 고정부
A: 챔버 W: 그리트

Claims (10)

  1. 지지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 내측에 배치되며 일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챔버를 구비한 블라스팅 하우징;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의 챔버 개방부 측이 선체(船體)의 피처리면 측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탄력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접촉구를 구비한 하우징 밀폐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 측에서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을 선체의 피처리면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이송부;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의 개방부를 통해서 선체의 피처리면을 향하여 그리트(grit)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노즐부;
    상기 지지 프레임부를 자력(磁力)을 이용하여 선체의 외부면 측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부 측을 선체의 피처리면 측에 고정 지지하기 위한 자력(磁力)을 발생하는 자력 고정구와, 이 자력 고정구 측과 선체의 피처리면 측이 서로 비(非)접촉된 상태를 이루도록 간격 유지가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자력 고정구 측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구를 구비한 프레임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자력 고정구는,
    상기 선체의 피처리면 측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자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자석판을 사용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부 측에서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움직이는 브라켓트 측에 연결 고정된 상태로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의 챔버 개방부의 둘레부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피처리면 측을 향하여 간격이 좁혀지거나 벌어지는 상태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고정부의 간격 유지구는,
    로울러 캐스터나, 볼 캐스터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자력 고정구가 자력에 의해 선체의 피처리면 측으로 이동될 때 탄성부재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상기 피처리면 측에 완충 상태로 접촉되면서 상기 자력 고정구와 상기 피처리면이 서로 탄력적으로 비접촉된 상태를 이루도록 간격 유지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스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부는,
    금속 파이프나, 바를 연결 결합하여 내측에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이 놓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프레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블라스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은,
    상기 지지 프레임부 내측에서 상기 챔버의 개방부 측이 선체의 피처리면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블라스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밀폐부는,
    탄성 재질의 튜브나, 링 형태로 상기 탄성접촉구가 형성되며,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의 챔버 개방부 둘레부 측에 상기 탄성접촉구가 덧대어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블라스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이송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부 측에서 이송구동원으로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을 선체의 피처리면을 향하여 밀거나 당기는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블라스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블라스팅 하우징의 일측에서 압축공기의 분사 압력으로 상기 챔버를 통해서 상기 개방부 측을 향하여 그리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블라스팅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12270A 2017-01-25 2017-01-25 블라스팅 장치 KR10187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70A KR101870359B1 (ko) 2017-01-25 2017-01-25 블라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70A KR101870359B1 (ko) 2017-01-25 2017-01-25 블라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359B1 true KR101870359B1 (ko) 2018-06-28

Family

ID=6278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70A KR101870359B1 (ko) 2017-01-25 2017-01-25 블라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3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468B1 (ko) 2018-11-15 2020-03-06 (주)대영에스씨티 이동형 워터젯 장치
KR20220123863A (ko)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대불조선 공정 개선을 위한 추적식 블라스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918A (ja) * 2005-09-12 2007-03-29 Hitachi Plant Kensetsu Soft:Kk スポンジブラスト装置
KR20100092179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블라스팅장치
KR101622759B1 (ko) * 2015-12-09 2016-05-19 신창근 친환경 광폭 와류 블라스팅 인젝트 집진 챔버를 이용한 블라스팅 인젝트 집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5918A (ja) * 2005-09-12 2007-03-29 Hitachi Plant Kensetsu Soft:Kk スポンジブラスト装置
KR20100092179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블라스팅장치
KR101622759B1 (ko) * 2015-12-09 2016-05-19 신창근 친환경 광폭 와류 블라스팅 인젝트 집진 챔버를 이용한 블라스팅 인젝트 집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468B1 (ko) 2018-11-15 2020-03-06 (주)대영에스씨티 이동형 워터젯 장치
KR20220123863A (ko)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대불조선 공정 개선을 위한 추적식 블라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2721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rticulated suction gripper assembly
KR101870359B1 (ko) 블라스팅 장치
US8894468B2 (en) Fluid jet receptacle with rotatable inlet feed component and related fluid jet cutting system and method
EP3391994A1 (en) Wire saw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workpiece
CN104475402B (zh) 用于磁钢的双面激光清洗装置
JP6474205B2 (ja) 吸着定盤及び溶接ロボットシステム
US9597773B2 (en) Blast treatment device and blast treatment method
CN102548713A (zh) 用于喷射磨料的机器
JP2004533331A (ja) エアギャップ磁気可動式ロボット
JP2007075946A (ja) スポンジブラスト装置及びその方法
EA030217B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робот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в тесных пространства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конструкций
CN105150060A (zh) 一种用于大型工件的机器人自动打磨装置
CN104526158A (zh) 用于环形磁钢的激光清洗装置
US20170008151A1 (en) Method for shot peening a pipe inner wall of a curved workpiece having a workpiece bore, and blasting nozzle unit and blasting chamber system therefor
US11161219B2 (en) Device for cleaning adhesive surfaces using solid carbon dioxide
JP2000302071A (ja) 作業用自走車
JP4751982B2 (ja) スポンジブラスト装置
CN113787464B (zh) 喷砂机构及喷砂设备
CN217168122U (zh) 一种机器人用液压阀体夹具防护装置
CN210310625U (zh) 微型磁力履带车
KR101400019B1 (ko) 블라스팅 장치
KR102385313B1 (ko) 무반동 쇼트 블라스트 장치
CN113664731A (zh) 一种工件喷丸过程防氧化的喷丸装置
KR100533664B1 (ko) 표면흡착이동로봇
CN210937758U (zh) 一种焊接机器人焊接线缆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