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943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943B1
KR101869943B1 KR1020170003405A KR20170003405A KR101869943B1 KR 101869943 B1 KR101869943 B1 KR 101869943B1 KR 1020170003405 A KR1020170003405 A KR 1020170003405A KR 20170003405 A KR20170003405 A KR 20170003405A KR 101869943 B1 KR101869943 B1 KR 101869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ire
monitoring member
auditor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웅
최황목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4Multi-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4Tyre sensors other than for detecting tyr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레드와 사이드 월을 구비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 월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월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 내에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서 볼 때 시각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시각 모니터링 부재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타이어 제조과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탄성 및 유연성이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즉 원형의 타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타이어를 자동차에 장착하여 사용 시, 주행의 안전을 위하여 적절한 타이어의 공기압 관리가 요구된다.
그러나, 타이어를 자동차에 장착 후 사용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자동차 주행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하는 바 타이어 공기압 관리 및 이를 통한 자동차 주행 안정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 공기압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자동차 주행 안정성을 향상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레드와 사이드 월을 구비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 월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월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 내에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서 볼 때 시각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시각 모니터링 부재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사이드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그루브와 인접한 영역과 상이한 색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서 볼 때 더 많은 영역이 인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시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트레드와 사이드 월을 구비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 그루브, 상기 그루브 내에 형성되어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청각적 신호를 발생하여 타이어 공기압을 고지할 수 있는 청각 모니터링 부재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복수 개로 형성된 그루브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공기의 흐름이 가능한 제1 홀 및 이와 이격되는 제2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함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의 증가를 통하여 청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길이의 일 영역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는 타이어 공기압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자동차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타이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일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타이어에 구비된 청각 신호 모니터링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SW), 그루브(150) 및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10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의 일 영역에는 트레드부(TD)가 형성되고 트레드부(TD)는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SW)은 트레드부(TD)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100)의 가장자리, 즉 휠(미도시)과 안정적 결합을 위한 비드부(BD) 영역과 트레드부(TD)의 사이에 사이드월(SW)이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150)는 사이드월(SW)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150)는 사이드월(SW)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150)는 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150)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150)는 트레드부(TD)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사이드월(SW)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루브(150)는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를 구비하고, 제1 단부(151)와 제2 단부(152)사이의 홈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그루브(15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그루브(150)는 0.7 내지 1.3 밀리미터의 깊이를 가질 수 있고, 홈의 폭도 0.7 내지 1.3 밀리미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150)의 내측 공간이 원과 유사한 경우 원의 반지름은 0.7 내지 1.3 밀리미터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1 밀리미터일 수 있다. 상기의 수치 범위에서 0.7 밀리미터 미만인 경우 그루브(150)의 크기가 작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용이하지 않고, 1.3 밀리미터를 초과할 경우 타이어(100)의 변형을 일으키거나 크랙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루브(150)의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는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는 서로 접하고 있을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사이의 공간의 단면이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후술할 공기압 변화에 따른 타이어의 모니터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그루브(150)에 형성된다.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그루브(150)의 내면에 형성되고 외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그루브(150)의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의 외곽으로 넘어서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그루브(150)의 공간, 즉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사이의 공간의 내측면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고, 박막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그루브(150)와 인접한 타이어의 영역, 즉 사이드월(SW)의 색과 다른색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유채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적, 녹 또는 청 계열 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랑색 계열일 수 있다. 후술하는대로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타이어의 공기압 감소에 따라 노출되어 시인되는데 시인성이 높도록 채도 또는 명도가 높을 수 있다.
예를들면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안료 층 또는 염료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식 또는 박리를 대비하여 접착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그루브(150)의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의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할 때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타이어(100)의 외부에서 볼 때, 시각적으로 확인되지 않거나 아주 작게 인식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1에 비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타이어(100)를 장착한 자동차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자동차의 주행이 늘어남에 따라 타이어(100)의 공기압은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의 그루브(150)의 입구는 벌어질 수 있다. 즉,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또한, 타이어(100)의 외부에서 볼 때, 그루브(150)에 형성된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는 도 1 및 도 2에 비하여 더 많은 영역이 인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의 외부에서 사용자는, 예를들면 타이어(100)를 장착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타이어(100)의 관리자는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의 시각적 변화를 통하여 타이어(100)의 공기압 감소를 간접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을 유채색의 층으로 형성하여 시인 성을 향상할 수 있고, 공기압의 작은 변화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150)의 내부 공간에만, 즉 그루브(150)의 제1 단부(151) 및 제2 단부(152)를 넘어서지 않도록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를 형성하여 공기압 감소 전에는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거나 인식되더라도 아주 작게 인식되도록 하여, 공기압 감소 시 시각 모니터링 부재(160)의 시인 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타이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SW), 그루브(250) 및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20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의 일 영역에는 트레드부(TD)가 형성되고 트레드부(TD)는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SW)은 트레드부(TD)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200)의 가장자리, 즉 휠(미도시)과 안정적 결합을 위한 비드부(BD) 영역과 트레드부(TD)의 사이에 사이드월(SW)이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250)는 사이드월(SW)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250)는 사이드월(SW)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250)는 타이어(200)의 높이를 기준으로 타이어(200)의 높이를 기준으로, 75 내지 95 퍼센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5를 기준으로 비드부(BD)의 최단부로부터 트레드부(TD)의 최상면까지의 거리(EH)를 타이어의 높이라고 정의할 때, 비드부(BD)의 최단부로부터 그루브(250)까지의 거리(GH)는 거리(EH)의 75 내지 95 퍼센트일 수 있다.
거리(GH)가 거리(EH)의 75 퍼센트 미만인 경우, 그루브(250)는 타이어(200)의 기타 표식 모양 또는 문자 영역과 중첩되어 공기압 변화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할 수 없으므로 75 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거리(GH)가 거리(EH)의 95 퍼센트 초과인 경우, 그루브(250)는 타이어(200)의 트레드부(TD)와 중첩 또는 인접하여 타이어(200)를 자동차에 장착 후 사용시 사용자가 그루브(250) 및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를 확인하기 곤란하므로 95 퍼센트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루브(250)는 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방향으로의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그루브(250)의 길이(L)는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250)는 사이드월(SW)에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연결된 형태, 즉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250)는 트레드부(TD)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사이드월(SW)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그루브(250)는 도 2의 그루브(150)와 마찬가지로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제1 단부(미도시)와 제2 단부(미도시)사이의 홈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250)의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는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는 서로 접하고 있을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250)는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사이의 공간의 단면이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후술할 공기압 변화에 따른 타이어의 모니터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그루브(250)에 형성된다.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그루브(250)의 내면에 형성되고 외부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그루브(250)의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의 외곽으로 넘어서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그루브(250)의 공간, 그루브(250)의 내측면과 다른 색상을 갖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유채색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적, 녹 또는 청 계열 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노랑색 계열일 수 있다. 후술하는대로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타이어의 공기압 감소에 따라 노출되어 시인되는데 시인성이 높도록 채도 또는 명도가 높을 수 있다.
예를들면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안료 층 또는 염료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식 또는 박리를 대비하여 접착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그루브(250)의 길이 방향 전체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그루브(250)의 내측면의 폭에 모두 대응되도록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의 사이의 공간을 모두 채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200)의 공기압이 정상적일 때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는 타이어(200)의 외부에서 볼 때, 시각적으로 확인되지 않거나 아주 작게 인식될 수 있다.
타이어(200)를 장착한 자동차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자동차의 주행이 늘어남에 따라 타이어(200)의 공기압은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의 그루브(250)의 입구는 벌어질 수 있다. 즉,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또한, 타이어(200)의 외부에서 볼 때, 그루브(250)에 형성된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이 인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의 외부에서 사용자는, 예를들면 타이어(200)를 장착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타이어(200)의 관리자는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의 시각적 변화를 통하여 타이어(200)의 공기압 감소를 간접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을 유채색의 층으로 형성하여 시인 성을 향상할 수 있고, 공기압의 작은 변화도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250)의 내부 공간에만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를 형성하여 공기압 감소 전에는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가 시각적으로 인식되지 않거나 인식되더라도 아주 작게 인식되도록 하여, 공기압 감소 시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의 시인 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250)를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하고,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도 그루브(250)를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하여 자동차에 타이어를 장착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시각 모니터링 부재(260)를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일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타이어에 구비된 청각 신호 모니터링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SW), 그루브(350) 및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300)의 중심(AX)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의 외측의 일 영역에는 트레드부(TD)가 형성되고 트레드부(TD)는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SW)은 트레드부(TD)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300)의 가장자리, 즉 휠(미도시)과 안정적 결합을 위한 비드부 영역과 트레드부(TD)의 사이에 사이드월(SW)이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350)는 트레드부(TD)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350)는 트레드부(TD)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350)는 트레드부(TD)의 영역 중 피치를 구성하는 패턴들의 홈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그루브(350)는 타이어(300)의 트레드부(TD)에 영향을 주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350)는 타이어(300)의 중심(AX)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300)의 중심(AX)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그루브(350)를 형성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4개로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1개, 2개 또는 3개, 5개 이상으로 그루브(3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루브(350)는 일 방향의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그루브(350)의 길이(L)는 타이어(300)의 원주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그루브(350)는 도 2의 그루브(150)와 마찬가지로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제1 단부(미도시)와 제2 단부(미도시)사이의 홈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350)의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는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는 서로 접하고 있을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350)는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사이의 공간의 단면이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후술할 공기압 변화에 따른 타이어의 모니터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그루브(350)에 배치된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청각 신호를 발생하는 부재이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본체부(371), 제1 측면(372) 및 제2 측면(373)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제1 홀(IH) 및 제2 홀(OH)을 가질 수 있다.
제1 홀(IH) 및 제2 홀(OH)은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유도하는 구멍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홀(IH)은 공기의 유입, 제2 홀(OH)는 공기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체부(371)가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371)는 실린더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371)내부는 속이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그루브(350)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루브(350)의 내측 공간도 곡면을 갖고, 예를들면 원호 또는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의 본체부(371)가 그루브(350)에 대응될 수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그루브(350)의 입구의 단부, 즉 제1 단부(미도시)와 제2 단부(미도시)의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의 본체부(371)의 폭은 제1 단부(미도시)와 제2 단부(미도시)의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를 그루브(350)내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물질이 없이도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그루브(350)에서 분리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제1 홀(IH)은 곡선의 경계를 가질 수 있고, 원호를 포함하고, 구체적 예로서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홀(IH)은 본체부(37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IH)은 본체부(371)내부의 속이 빈 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2 홀(OH)은 곡선의 경계를 가질 수 있고, 원호를 포함하고, 구체적 예로서 활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홀(OH)은 제2 측면(373)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OH)은 본체부(371) 내부의 속이 빈 공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의 길이 방향(L1), 즉 본체부(371)가 기둥 형태인 경우 기둥의 높이에 대응하는 방향(L1)은 그루브(350)에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가 배치 시 그루브(350)의 길이(L)의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예를들면 호각 또는 호루라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타이어(300)의 공기압이 정상적일 때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타이어(3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예를들면 제1 홀(IH) 또는 제2 홀(OH)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제1 홀(IH) 및 제2 홀(OH)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타이어(300)를 장착한 자동차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자동차의 주행이 늘어남에 따라 타이어(300)의 공기압은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의 그루브(360)의 입구는 벌어질 수 있다. 타이어(300)의 외부에서 볼 때, 그루브(360)에 배치된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노출되고, 예를들면 제1 홀(IH) 또는 제2 홀(OH)은 외부의 공기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의 공기의 흐름을 통하여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는 청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의 외부에서 사용자는, 예를들면 타이어(300)를 장착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타이어(300)의 관리자는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의 청각적 변화를 통하여 타이어(300)의 공기압 감소를 간접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의 제1 홀(IH) 또는 제2 홀(OH)이 타이어의 공기압 감소 시 외부의 공기와 용이하게 접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청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60 dB(decibel)의 소리를 발생할 수 있고, 공기압의 작은 변화도 청각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350)내에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를 배치 시에, 그루브(350)의 길이 방향과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의 길이 방향이 나란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공기압 감소 시 제1 홀(IH)이 외부에 노출되어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어서 청각 신호 발생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350)를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복수 개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그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의 전체적인 영역 별로 공기압 감소 시의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의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일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SW), 그루브(450) 및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4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의 외측의 일 영역에는 트레드부(TD)가 형성되고 트레드부(TD)는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월(SW)은 트레드부(TD)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400)의 가장자리, 즉 휠(미도시)과 안정적 결합을 위한 비드부(BD) 영역과 트레드부(TD)의 사이에 사이드월(SW)이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450)는 사이드월(SW)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루브(450)는 사이드월(SW)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50)는 타이어(400)의 높이를 기준으로 타이어(400)의 높이를 기준으로, 75 내지 95 퍼센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루브(450)는 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방향으로의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그루브(250)의 길이(L)는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그루브(450)의 길이는 적어도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의 길이와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50)는 사이드월(SW)에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어 연결된 형태, 즉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그루브(450)는 도 2의 그루브(150)와 마찬가지로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제1 단부(미도시)와 제2 단부(미도시)사이의 홈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450)의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는 서로 마주볼 수 있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는 서로 접하고 있을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50)는 제1 단부(미도시) 및 제2 단부(미도시)사이의 공간의 단면이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후술할 공기압 변화에 따른 타이어의 모니터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그루브(450)에 배치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50)를 일 방향, 예를들면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하고, 복수의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를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450)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그루브(450)를 타이어의 트레드부(TD)를 중심으로 양쪽의 서로 마주보는 사이드월(SW)에 형성할 수 있고, 이에 각각 대응하도록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를 배치할 수도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청각 신호를 발생하는 부재이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도 11의 청각 모니터링 부재(370)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본체부(471), 제1 측면(미도시) 및 제2 측면(473 )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제1 홀(IH) 및 제2 홀(OH)을 가질 수 있다.
제1 홀(IH) 및 제2 홀(OH)은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유도하는 구멍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홀(IH)은 공기의 유입, 제2 홀(OH)는 공기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체부(471)가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471)는 실린더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홀(IH)은 곡선의 경계를 가질 수 있고, 원호를 포함하고, 구체적 예로서 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홀(OH)은 곡선의 경계를 가질 수 있고, 원호를 포함하고, 구체적 예로서 활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의 길이 방향, 즉 본체부(471)가 기둥 형태인 경우 기둥의 높이에 대응하는 방향은 그루브(450)에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가 배치 시 그루브(450)의 길이(L)의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예를들면 호각 또는 호루라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타이어(400)의 공기압이 정상적일 때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타이어(4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예를들면 제1 홀(IH) 또는 제2 홀(OH)이 그루브(45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제1 홀(IH) 및 제2 홀(OH)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타이어(400)를 장착한 자동차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자동차의 주행이 늘어남에 따라 타이어(400)의 공기압은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의 그루브(460)의 입구는 벌어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타이어(400)의 외부에서 볼 때, 그루브(460)에 배치된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노출되고, 예를들면 제1 홀(IH) 또는 제2 홀(OH)은 외부의 공기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의 공기의 흐름을 통하여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는 청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은 도 15의 타이어의 외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홀(IH)은 그루브(450)의 입구, 즉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사이의 벌어진 틈으로 통하여 노출되어 공기와 접하고, 제2 홀(OH)은 그루브(450)의 길이(L) 방향의 공간을 통하여 공기의 흐름과 접할 수 있다.
이 때, 그루브(450)의 길이(L)를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의 길이보다 길도록 하여 제2 홀(OH)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50)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 예를들면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길게 폐곡선이 되도록 형성하고,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를 복수 개 구비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그루브(450)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50)는 트레드부(TD)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사이드월(SW)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양쪽의 그루브(450)에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를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의 외부에서 사용자는, 예를들면 타이어(400)를 장착한 자동차의 운전자 또는 타이어(400)의 관리자는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의 청각적 변화를 통하여 타이어(400)의 공기압 감소를 간접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의 제1 홀(IH) 또는 제2 홀(OH)이 타이어의 공기압 감소 시 외부의 공기와 용이하게 접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청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60 dB(decibel)의 소리를 발생할 수 있고, 공기압의 작은 변화도 청각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450)내에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를 배치 시에, 그루브(450)의 길이 방향과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의 길이 방향이 나란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공기압 감소 시 제1 홀(IH)이 외부에 노출되어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어서 청각 신호 발생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450)를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복수 개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그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의 전체적인 영역 별로 공기압 감소 시의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그루브(450)에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를 형성하고, 그루브(450)의 내측에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들에서의 시각 모니터링 부재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즉, 그루브(450)에 시각 모니터링 부재를 형성한 후에, 그 위에 다시 청각 모니터링 부재(47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공기압 감소 시 청각적 신호 및 시각적 신호를 발생하여 모니터링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제공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제공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타이어
TD: 트레드부
SW: 사이드월
BD: 비드부
150, 250, 350, 450: 그루브
160, 260: 시각 모니터링 부재
370, 470: 청각 모니터링 부재

Claims (13)

  1. 트레드와 사이드 월을 구비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이드 월에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월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 내에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서 볼 때 시각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시각 모니터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내측면 중 바닥면,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의 영역과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사이드 월의 표면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부로 일 영역이 제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선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시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사이드월의 색과 다른 색을 갖고 상기 그루브의 내측면과 모두 접하고 상기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타이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의 사이드월 영역에 형성되는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그루브와 인접한 영역과 상이한 색을 갖는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서 볼 때 더 많은 영역이 인식되는 타이어.
  6. 삭제
  7. 트레드와 사이드 월을 구비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타이어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 그루브;
    상기 그루브 내에 형성되어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청각적 신호를 발생하여 타이어 공기압을 고지할 수 있는 청각 모니터링 부재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그루브 내에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를 배치 후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 변화 전에,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내측면의 바닥면과 접하고,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내측면의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측면의 양쪽 단부와 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사이드 월의 표면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부로 일 영역이 제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본체부,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홀 및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의 본체부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양쪽 단부 및 상기 양쪽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곡선의 경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상기 제1 홀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그루브의 양쪽 단부의 사이의 영역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타이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트레드부에 형성되는 타이어.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복수 개로 형성된 그루브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는 타이어.
  10. 삭제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타이어의 사이드월에 형성되는 타이어.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이 감소함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의 증가를 통하여 청각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어.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청각 모니터링 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길이의 일 영역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타이어.
KR1020170003405A 2017-01-10 2017-01-10 타이어 KR101869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05A KR101869943B1 (ko) 2017-01-10 2017-01-10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05A KR101869943B1 (ko) 2017-01-10 2017-01-10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943B1 true KR101869943B1 (ko) 2018-06-21

Family

ID=6280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405A KR101869943B1 (ko) 2017-01-10 2017-01-10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9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035A (ja) * 2003-05-28 2004-12-1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異常変形報知具
KR20070055133A (ko) * 2005-11-25 2007-05-3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KR20130001617A (ko) * 2011-06-27 2013-01-04 이세희 사이드월의 형상변형을 통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을 구비하는 타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2035A (ja) * 2003-05-28 2004-12-1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タイヤ異常変形報知具
KR20070055133A (ko) * 2005-11-25 2007-05-3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입 타이어
KR20130001617A (ko) * 2011-06-27 2013-01-04 이세희 사이드월의 형상변형을 통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을 구비하는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21523A1 (en) Pneumatic tire
WO2016072181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2016113003A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6021300A1 (ja) 非空気入りタイヤ
US20170174007A1 (en) Pneumatic tire
JP2016113078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869943B1 (ko) 타이어
JP2013112045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504032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88907B1 (ko)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JP2010052453A (ja) プレキュアトレッドおよびこれを用いた更生タイヤ
US10857840B2 (en) Pneumatic tire
JP201415924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75900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7076529A (ja) タイヤ
US20180170119A1 (en) Pneumatic tire
JP2014213789A (ja) 非空気入りタイヤ
US10647153B2 (en) Tire rim structure and tire
JP3130375U (ja) 乗用車用タイヤの使用限度・残溝1.6ミリ〈スリップサイン〉
US11964516B2 (en) Pneumatic tire
KR101901400B1 (ko) 타이어
KR101877893B1 (ko) 타이어
IT201900001733A1 (it) Struttura di cerchione per veicoli a motore
JP6522936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JP2019099077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