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827B1 - 온수 순환펌프 - Google Patents

온수 순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827B1
KR101869827B1 KR1020170034937A KR20170034937A KR101869827B1 KR 101869827 B1 KR101869827 B1 KR 101869827B1 KR 1020170034937 A KR1020170034937 A KR 1020170034937A KR 20170034937 A KR20170034937 A KR 20170034937A KR 101869827 B1 KR101869827 B1 KR 10186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housing
rotor
fluid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철
이경주
양현성
Original Assignee
뉴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모텍(주) filed Critical 뉴모텍(주)
Priority to KR102017003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04D29/242Geometry, shape
    • F04D29/245Geometry, shape for speci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순환펌프는 유체의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부상부 축 지지부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측에 대응되게 배치,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에 가장자리 부분이 개재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임펠러 수용홈 바닥부 중앙의 하부에 축 지지부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면과의 사이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동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와 상기 임펠러 수용홈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의 외주연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와 대응하는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수 순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날개편이 형성된 받침판에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유동로 내의 유체가 상측으로 배기 되도록, 상기 임펠러의 몸체에 상기 유동로와 연통 되는 복수의 수직 배출공을 뚫어 형성하되, 임펠러의 날개편이 형성된 받침판 하부와 회전자 수용공간을 가지는 회전자 수용부 상부 사이의 임펠러 몸체 측면에 복수의 수직 배출공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 배출공을 뚫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 순환펌프{Pump for Circulating Water}
본 발명은 온수 순환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 순환펌프 내부의 압력을 해소하게 하여 펌프 작동 시 발생하는 내부 압력에 의한 임펠러 상승을 저지하게 함과 동시에 펌프실 내 하부에 침입한 일부 유체 및 공기를 유체 배출구로 배출 시 발생하는 공기압력이 임펠러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함으로서 임펠러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여 원활한 유체 흐름을 확보하도록 하고, 임펠러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온수 순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용 보일러의 급수펌프로 이용하는 온수 순환펌프는 원심펌프를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온수 순환펌프는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0-120434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 스테이터와 회전자와의 전자기유도작용으로 회전자가 설치된 임펠러를 회전시켜 저주조 저부의 흡입구 측으로 유체(용수)가 유입된 후 펌핑 작용에 의해 임펠러 몸체의 날개편과 임펠러 상부커버 사이의 통로를 통해 토출 되고, 배출구로 경유하여 배출라인을 따라 유입된 유체는 가열수단의 가열작용에 따라 가열된 후 연결라인을 통해 온열매트 등의 사용처로 이송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특히,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임펠러 몸체의 외표면과 내부 하우징의 임펠러 수용홈 사이에 형성된 유동로 내의 유체가 상측으로 배기 되도록, 상기 유동로와 연통시킨 상기 임펠러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배출공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임펠러의 펌핑 작용시, 날개편과 임펠러 상부커버 사이의 통로를 통해 토출되는 온수의 일부(유체 일부) 및 이에 포함된 공기가 임펠러 몸체의 외표면과 내부 하우징의 임펠러 수용홈 사이에 형성된 유동로 및 임펠러 몸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배출공으로 유입되면서 상방으로 원활하게 배기 되므로 임펠러의 고속 회전시에도 유동로 내에 공동현상(cavitation)이 발생 되지 않게 되어 온수가 원활하게 순환되고, 임펠러의 상승 현상이 방지되므로 임펠러의 상승에 따라 상부 하우징의 내면이나 인접 부품에 접촉되어 발생 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유동로로 유입된 온수의 일부 및 공기는 임펠러 구동 시 임펠러에 상하로 관통되는 복수의 배출공을 통하여 상승 되면서 임펠러의 날개편에 의하여 배기 되게 되므로 배출공을 따라 상승하는 일부 온수의 압력이 임펠러의 날개편에 가해지게 되어 고속 회전 시 임펠러의 날개편 전, 후에 큰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임펠러의 날개편 회전을 저해하는 회전방해 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임펠러 회전력을 저하 시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 및 이로 인한 소음발생과 과도한 진동발생은 물론 임펠러 날개편의 파손을 가져와 임펠러의 내구성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4344호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7642호
본 발명은 펌프실 내부 상, 중, 하부 각각에 존재하는 압력을 균형적으로 유지하게 하게 하여 펌프 작동 시 발생하는 임펠러의 상승을 억제하게 하므로서 임펠러 상부 커버와 상부 하우징 내측과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로에 유입된 일부 온수 및 공기를 임펠러의 날개편과 관계없이 배출되도록 하여 유체의 흡입과 배출 수압차를 동일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임펠러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하여 임펠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원활한 유체의 흐름을 도모하여 기포발생에 의한 소음을 억제 시켜 온수 순환펌프의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유체의 흡입구(11) 및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부상부 축 지지부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10);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하측에 대응되게 배치,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20);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10)(20)에 가장자리 부분이 개재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임펠러 수용홈(31) 바닥부 중앙의 하부에 축 지지부(32)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30);
상기 내부 하우징(30)의 내면과의 사이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동로(40)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내부와 상기 임펠러 수용홈(31)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50); 및
상기 임펠러(50)의 외주연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자(60); 및 상기 회전자(60)와 대응하는 상기 내부 하우징(3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 사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수 순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50)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에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유동로(40) 내의 유체가 상측으로 배기 되도록, 상기 임펠러(50)의 몸체(51)에 상기 유동로(40)와 연통 되는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을 뚫어 형성하되, 임펠러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 하부와 회전자 수용공간을 가지는 회전자 수용부(61) 상부 사이의 임펠러 몸체(51) 측면에 상기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 배출공(52B)을 뚫어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임펠러의 받침판에 형성한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과 복수의 수직 배출공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 배출공을 뚫어 형성하여 제공하므로 펌프실 내부의 상부, 중간 및 하부 각각의 내부압력을 감소하게 함으로서 임펠러 구동시 발생하는 내부 압력에 의한 임펠러 상승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임펠러 상부 커버와 상부 하우징 내측과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임펠러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유동로에 침입한 일부 온수 및 공기를 임펠러 몸체 측방으로 배출시켜 배출구와 혼합시키면서 배출처리하게 함으로써, 임펠러 날개편이 회전 방해 압력 없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함은 물론 펌프 내부 수압차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임펠러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임펠러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임펠러의 날개편에 가해지는 유동로 내부의 온수에 의한 압력이 없으므로 상기 날개편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날개편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진동이나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로 내부의 일부 온수를 임펠러의 날개편과 관계없이 임펠러 구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임펠러 몸체 측면 방향으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면서 배출구를 통하여 혼합 배출하게 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기포발생에 의한 소음을 억제 시켜 펌프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임펠러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임펠러 측면을 본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임펠러 저면을 본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출구를 중심으로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로서, (a)는 임펠러의 사시도도 이고, (b)는 종단면도이며,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임펠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임펠러 측면을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임펠러 저면을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출구를 중심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로서, (a)는 임펠러의 사시도도이고, (b)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제시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온수 순환펌프(100)에 있어서, 유체의 흡입구(11) 및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부상부 축 지지부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10);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하측에 대응되게 배치,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20);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10)(20)에 가장자리 부분이 개재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임펠러 수용홈(31) 바닥부 중앙의 하부에 축 지지부(32)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30);
상기 내부 하우징(30)의 내면과의 사이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동로(40)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내부와 상기 임펠러 수용홈(31)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50); 및
상기 임펠러(50)의 외주연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자(60); 및 상기 회전자(60)와 대응하는 상기 내부 하우징(3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 사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수 순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50)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에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유동로(40) 내의 유체가 상측으로 배기 되도록, 상기 임펠러(50)의 몸체(51)에 상기 유동로(40)와 연통 되는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을 뚫어 형성하되, 임펠러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 하부와 회전자 수용공간을 가지는 회전자 수용부(61) 상부 사이의 임펠러(50)의 중간몸체(51d) 측면에 상기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 배출공(52B)을 뚫어 형성한 것으로, 펌핑 작용을 수행하는 펌프 부분과 모터 부분을 상, 하부 하우징(10)(20)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10)은 유체의 흡입구(11) 및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부에 상부 축 지지부가 형성된 것으로, 중앙에 원형 캡 형상으로 돌출된 중앙돌부가 형성되고, 그 주연부에 내부 하우징(30)과의 체결을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구(11)는 중앙돌부의 내측 일측방향에 파이프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배출구(12)는 임펠러(50)측 내부공간과 연통 되도록 흡입구(1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파이프 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20)은 상부 하우징(10)의 하측에 대응되게 배치, 설치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이 밀폐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내부 하우징(30)의 축 지지부(32)가 안착되고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홀부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하우징(30)은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에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중앙부에 임펠러(50)의 수용을 위한 임펠러 수용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임펠러 수용홈(31)의 바닥부 중앙의 하부에 축 지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하우징(30)은 하부 하우징(20)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주연 외측 부분에 스테이터(70)의 설치를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축 지지부(32)의 하부에는 하부 하우징(20)의 고정홀 측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축 지지부(32)의 내부에는 축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임펠러(50)는 상부 하우징(10)의 내부와 임펠러 수용홈(3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실질적인 펌핑 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임펠러 몸체(51)의 외면과 내부 하우징(30) 내면과의 사이에 유동로(40)가 형성된다.
즉, 임펠러 몸체(51) 상부 둘레와 상부 하우징(10) 및 내부 하우징(30) 사이에 형성한 유입홈(51b)를 통하여 일부 온수가 유동로(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50)는 임펠러 몸체(51), 임펠러 몸체(51)에 설치되는 임펠러 회전축(55), 임펠러 몸체(51)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임펠러 상부커버(56) 및 임펠러 하부커버(5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 몸체(5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에 상하로 축 삽입홀(51a)이 관통되고, 임펠러 몸체(51) 하방 둘레에 설치한 회전자 수용부(61)의 수용공간에 회전자(60)를 매입시켜 수용하는 한편, 임펠러 몸체(51)의 상부 받침판(54)에 복수의 날개편(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날개편(53)의 상면에는 임펠러 상부커버(56)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임펠러 회전축(55)은 그 외주면에 설치되어 축삽입홀(51a)에 삽입되는 축지지부재(51c)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임펠러 상부커버(56)는 원판 형상을 갖는 몸체의 저면에 날개편(53)에 형성된 체결공에 삽입되는 결합보스(56a)와, 흡입구(11)와 연통되는 관통홀(5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임펠러 하부커버(57)는 회전자 수용공간(51d')측이 밀폐되도록 임펠러 몸체(51)의 저부에 결합되는 구성되며, 57a는 회전축 통과구멍, 57b는 끼움돌기, 57c는 유체 통과구멍이다.
상기, 회전자(60)는 임펠러(50)의 외주연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N극 및 S극이 반복적으로 착자된 원형 링 형상의 마그네트로 구성되어 임펠러 몸체(51)의 회전자 수용부(61)의 수용공간에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스테이터(70)는 회전자(60)와의 전자기유도작용을 위해 회전자(60)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권선되는 코어(71), 코어(71)의 상측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코어 지지부재(72), 및 코어(71)의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코어 지지부재(73)로 구성되고, 코어(71)는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원형 링 형상을 갖는 몸체의 내측으로 다수의 코어 티스가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코어 지지부재(72, 73)는 링형 원판의 상면 및 하면으로 다수의 가이드 돌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종래의 펌프에서는 유체의 흡입과 배출을 수행함에 있어 흡입되는 일부 유체 및 유체에 포함된 공기가 유동로(40)로 침입하여 임펠러 몸체(51) 외측 하부에 집수 되는데, 상기 집수된 유체에 의하여 펌프 구동 시 기포가 발생하게 되어 이로 인한 소음과 과도한 진동이 발생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펌프 효율을 저하 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고, 특히 펌프 구동시 펌프실 내부의 압력차에 의하여 임펠러(50)가 상승 되어 임펠러(50)의 상부에 체결된 상부커버(56)의 상부면이 상부 하우징(10)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하여 이상소음이 발생 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임펠러(50)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에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유동로(40) 내의 유체가 상측으로 배기 되도록, 상기 임펠러(50)의 몸체(51)에 상기 유동로(40)와 연통 되는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을 뚫어 형성하되, 임펠러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 하부와 회전자 수용공간을 가지는 회전자 수용부(61) 상부 사이의 임펠러(50)의 중간몸체(51d)에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 배출공(52B)을 뚫어 형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으로 인하여 임펠러(50)의 날개부(53) 공간과 임펠러(50)의 중간몸체(51d) 둘레의 공간 및 하부 유동로(40) 내부의 압력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펌프실 내부의 압력을 해소 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펌프 가동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한 임펠러(50)의 상승을 억제 시킬 수 있어 임펠러(50)와 상, 하부 하우징(10)(20) 및 내부 하우징(30) 내부 구성요소 상호간의 접촉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여 이상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상기 임펠러(50)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에 뚫어 형성한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은 임펠러 몸체(51)의 축 삽입홀(51a)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는 지점에 복수 개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과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의 이격 각도를 120도로 설정하여 3개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 인하여 임펠러(50)가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으로 인하여 임펠러(50) 전체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어 임펠러(50)의 회전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은 날개편(53)과 날개편(53) 사이의 받침판(54)에 사다리꼴 형상의 유선형으로 뚫어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임펠러(50) 회전 시 상기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으로 인하여 회전력 저하를 방지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50)의 받침판(54)에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을 뚫어 형성하더라도 임펠러(50)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흡입구(11)로 흡입되는 유체는 날개편(53)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배출구(12)로 배출되므로 유입되는 유체가 내부 하우징(30) 내부로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배출공(52B)을 통하여 상승 되는 유동로(40) 내부의 유체와 흡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와를 혼합공간(S)에서 혼합하여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하게 할 수 있다.
즉, 임펠러(50)의 고속 회전시에 유동로(40) 내에 체류하는 일부 유체 및 공기를 날개편(53)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과 이와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 배출공(52B)을 통하여 상승시키면서 흡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와 혼합하여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하게 함으로써 원활하게 유체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기포 발생 억제 및 공동현상 등으로 인해 임펠러(50)가 상승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동로(40) 내부의 유체가 임펠러(50)의 날개편(53)에 충돌없이 혼합공간(S)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과도한 진동이나 소음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임펠러(50)의 손상배제에 따른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며, 원활한 유체 흐름을 통하여 임펠러(50)의 상, 하부 수압차를 동일하게 할 수 있어 펌프 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배출공(52A) 및 수평 배출공(52B)은 임펠러(50)의 회전시에 편심 회전이 발생 되지 않도록 임펠러 몸체(51)의 축 삽입홀(51a)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는 지점에 예컨대 이격 각도를 120도로 설정하여 복수 개로 구성함으로써 구성부품의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7과 같이, 상기 수직 배출공(52A) 내부 둘레면에 나선형 배출 요홈(52A')을 형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동로(40) 내부의 유체 또는 유체를 포함한 공기는 상기 나선형 배출 요홈(52A')을 따라 더욱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로서, (a)는 임펠러의 사시도도이고, (b)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 8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임펠러(50)의 받침판(54)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압력 해소용 타공부(54A')를 형성하고, 상기 타공부(54A')는 복수의 미세구멍으로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도 8의 (c)와 같이 상기 임펠러(50)의 받침판(54)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에 미세망(54A")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는 흡입구(11)로 유입되는 유체 일부가 압력 해소용 타공부(54A') 또는 미세망(54A")을 통하여 내부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방지하면서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으로 인하여 임펠러(50)의 날개부(53) 공간과 임펠러(50)의 중간몸체(51d) 둘레의 공간 및 하부 유동로(40) 내부의 압력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펌프실 내부의 압력을 해소 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펌프 가동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한 임펠러(50)의 상승을 억제 시킬 수 있어 임펠러(50)와 상, 하부 하우징(10)(20) 및 내부 하우징(30) 내부 구성요소 상호간의 접촉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여 이상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가열된 온수를 사용처인 온열매트 등으로 순환시키는 펌핑작용을 수행하는 온수 순환펌프(100)를 설명하고 있으나, 온수가 아닌 유체를 흡입 및 배출을 수행하는 순환펌프에 적용 가능하고, 상기 온수 순환펌프에 부가되는 전원 공급에 따른 가열수단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온수 순환펌프 10 : 상부 하우징
11 : 흡입구 12 : 배출구
20 : 하부 하우징 30 : 내부 하우징
31 : 임펠러 수용홈 32 : 축 지지부
40 : 유동로 50 : 임펠러
51 : 몸체 51a : 축 삽입홀
51b : 유입홈 51c : 축 지지부재
51d : 중간 몸체 52A : 수직 배출공
52A' : 나선형 배출 요홈 53 : 날개편
54A : 압력 해소용 관통구멍 54A : 압력 해소용 타공부
55 : 임펠러 회전축 56, 57 : 상, 하부 커버
60 : 회전자 61 : 회전자 수용부
70 : 스테이터 71 : 코어
72, 73 : 상, 하부 코어 지지부재 80 : 회로기판
90 : 전원공급 콘넥터

Claims (5)

  1. 유체의 흡입구(11) 및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부상부 축 지지부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10);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하측에 대응되게 배치,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20);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10)(20)에 가장자리 부분이 개재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임펠러 수용홈(31) 바닥부 중앙의 하부에 축 지지부(32)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30);
    상기 내부 하우징(30)의 내면과의 사이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동로(40)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내부와 상기 임펠러 수용홈(31)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50); 및
    상기 임펠러(50)의 외주연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자(60); 및 상기 회전자(60)와 대응하는 상기 내부 하우징(3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 사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수 순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50)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에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을 뚫어 형성하고, 상기 유동로(40) 내의 유체가 상측으로 배기 되도록, 상기 임펠러(50)의 몸체(51)에 상기 유동로(40)와 연통 되는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을 뚫어 형성하되, 임펠러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 하부와 회전자 수용공간을 가지는 회전자 수용부(61) 상부 사이의 임펠러(50)의 중간몸체(51d) 측면에 상기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 배출공(52B)을 뚫어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수 순환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출공(52A)의 내측 둘레면에 나선형의 배출 요홈(52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수 순환펌프.
  3. 유체의 흡입구(11) 및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중앙부 내부상부 축 지지부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10);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하측에 대응되게 배치,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20);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10)(20)에 가장자리 부분이 개재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임펠러 수용홈(31) 바닥부 중앙의 하부에 축 지지부(32)가 형성된 내부 하우징(30);
    상기 내부 하우징(30)의 내면과의 사이에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동로(40)가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10)의 내부와 상기 임펠러 수용홈(31)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임펠러(50); 및
    상기 임펠러(50)의 외주연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자(60); 및 상기 회전자(60)와 대응하는 상기 내부 하우징(30)과 상기 하부 하우징(20) 사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수 순환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50)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압력 해소용 타공부(54A')를 형성하고, 상기 타공부(54A')는 복수의 미세구멍으로 형성하고,
    상기 유동로(40) 내의 유체가 상측으로 배기 되도록, 상기 임펠러(50)의 몸체(51)에 상기 유동로(40)와 연통 되는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을 뚫어 형성하되, 임펠러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 하부와 회전자 수용공간을 가지는 회전자 수용부(61) 상부 사이의 임펠러(50)의 중간몸체(51d) 측면에 상기 복수의 수직 배출공(52A)과 연통하는 복수의 수평 배출공(52B)을 뚫어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수 순환펌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50)의 날개편(53)이 형성된 받침판(54)에 복수의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에 미세망(54A")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수 순환펌프.
  5. 제 1항에 있어서, 압력해소용 관통구멍(54A), 수직 배출공(52A) 및 수평 배출공(52B)은 임펠러 몸체(51)의 축 삽입홀(51a)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는 지점에 복수 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온수 순환펌프.
KR1020170034937A 2017-03-20 2017-03-20 온수 순환펌프 KR10186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37A KR101869827B1 (ko) 2017-03-20 2017-03-20 온수 순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37A KR101869827B1 (ko) 2017-03-20 2017-03-20 온수 순환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827B1 true KR101869827B1 (ko) 2018-06-21

Family

ID=6280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937A KR101869827B1 (ko) 2017-03-20 2017-03-20 온수 순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8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642A (ja) 2008-06-30 2010-01-14 Nidec Sankyo Corp ポンプ装置
KR101204344B1 (ko) 2010-11-26 2012-11-27 (주) 아이에스-텍 온수 순환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642A (ja) 2008-06-30 2010-01-14 Nidec Sankyo Corp ポンプ装置
KR101204344B1 (ko) 2010-11-26 2012-11-27 (주) 아이에스-텍 온수 순환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600B1 (ko) 온수 순환펌프
US20140000664A1 (en) Washing apparatus and drain pump
KR101869953B1 (ko) 온수 순환펌프
US20190309754A1 (en) Water pump
KR101812033B1 (ko) 전이상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온수 순환 펌프
KR101827295B1 (ko) 온수 순환 펌프
KR101712604B1 (ko) 원심펌프
KR101869827B1 (ko) 온수 순환펌프
US20220163050A1 (en) Electric Water Pump
CN116249835A (zh) 离心式血液泵
JP7224773B2 (ja) 自吸式ポンプ
CN110832207B (zh) 排水泵
JP2013047502A (ja) ポンプ
JP7006195B2 (ja) 送風機
JP5867723B2 (ja) 自吸式ポンプ
JP2008150961A (ja) ポンプ
JP2020112136A (ja) ボルテックスポンプ
JP7330508B2 (ja) 羽根車及び水中ポンプ
CN114060286B (zh) 二级离心泵
JP2000080996A (ja) 排水ポンプ
CN212838558U (zh) 泵装置
JP2017180374A (ja) ポンプ装置
KR101905781B1 (ko) 원심형 혈액 펌프
JP7020276B2 (ja) ポンプ
JP2007132299A (ja) 遠心式ポンプとその制御システム、遠心式ポンプの設置方法および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