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591B1 -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591B1
KR101869591B1 KR1020160008323A KR20160008323A KR101869591B1 KR 101869591 B1 KR101869591 B1 KR 101869591B1 KR 1020160008323 A KR1020160008323 A KR 1020160008323A KR 20160008323 A KR20160008323 A KR 20160008323A KR 101869591 B1 KR101869591 B1 KR 101869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saturated polyester
weight
resin
vinyl ester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488A (ko
Inventor
윤선아
이도형
박재영
박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6000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5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09D5/165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characterised by the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2Synthetic film-forming substance
    • C09D5/1668Vinyl-typ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 에스테르 수지, 체질안료, 유색안료 및 용제를 포함함으로써, 노르웨이 오프쇼어(off-shore) 도료 및 도장사양 시험규격인 NORSOK에 명시된 방청성, 내해수성 및 부착성 규격을 만족하면서, 개선된 저장성을 나타내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Anticorrosiv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unsaturated polyester and vinyl ester}
본 발명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도료는 도막의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우수하며, 후도막으로 도장이 되어도 건조성이 우수하여 후속 도장 작업 시 대기시간이 짧아 단시간 내에 후막도장이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건도막의 내 충격성이 뛰어나 잦은 충격이 가해지는 부위에 도장을 하여 소지를 보호하는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수지 특성상 철 소지와의 부착성 및 방청성이 열세하여 고성능의 방청성이 요구되는 부위에 그 적용이 제한적인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 에스테르 수지, 체질안료, 유색안료 및 용제를 포함함으로써, 노르웨이 오프쇼어(off-shore) 도료 및 도장사양 시험규격인 NORSOK에 명시된 방청성, 내해수성 및 부착성 규격을 만족하면서, 개선된 저장성을 나타내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방청용 코팅 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청용 코팅 조성물은 노르웨이 오프쇼어 도료 및 도장사양 시험규격인 NORSOK에 명시된 방청성, 내해수성 및 부착성 규격을 만족하면서, 개선된 저장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방청성, 부착성 등의 물성뿐만 아니라 현장 적용시 작업성이 우수하여 오프쇼어용 철구조물 또는 강판 자재에 방청용 도료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청용 코팅 조성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종래의 도료는 고고형분 도료로서, 1회 도장으로 후막의 도장을 얻을 수 있으며 경화가 빠르고 우수한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약품성을 가지고 있으나, 경화 중 체적수축이 크고 그에 따라 소지와의 부착력이 비교적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기본적인 부착성이 기존수지 대비 우수하나 저장성이 상대적으로 짧고, 점도도 낮아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의 방청용 코팅 조성물은 이러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비닐 에스테르 수지를 적절한 비율로 적용함으로써, 방청성, 부착성, 작업성 및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청용 코팅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30 내지 50 중량%, 비닐 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30 중량%, 체질안료 15 내지 40 중량%, 유색안료 0.1 내지 5 중량% 및 용제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합단위로서 (a)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성 알코올, (b)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및 (c) 불포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을 포함하며,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부가에 의한 에폭시 수지의 개환반응의 결과물 수지이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저장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점도는 25℃에서 V~W(Gardner 점도), 산가가 5 내지 25 mg KOH/g이고, 겔화 시간이 4 내지 5분이며, 피크시간은 7 내지 10분이고, 피크 온도는 175 내지 18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피크시간은 수지의 겔화 시간을 확인할 때 겔에서 고체로 넘어가는 온도부터 최고점에 다다르는 온도(피크온도)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점도가 해당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작업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산가가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 분자량이 낮고 미반응 모노머들이 존재하여 외관이 열악해지며, 산가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 분자량이 높아져 도료의 흐름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합단위로서 (a)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성 알코올, (b)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및 (c) 불포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a)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성 알코올은 2가 알코올, 3가 알코올, 4가 알코올 등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상기 다가 알코올류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메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네오펜틸글리콜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b)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은 예컨대 벤젠 디카르복시산, 나프탈렌 디카르복시산, 이소프탈릭산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c) 불포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은 말레산, 퓨마르산, 글루탄콘산, 트로마틴산 및 그 무수물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는 다음 반응식 1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07635417-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중합 단위의 수를 나타내는 2 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3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한다. 30 중량% 미만인 경우 저장성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방청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점도는 25 ℃에서 H~J(Gardener 점도), 산가가 6 내지 14 mgKOH/g이며, 겔화 시간은 11.5 내지 19 분이고, 피크시간은 5.5 내지 8.5 분이며, 피크온도는 160 내지 18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도가 해당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작업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산가가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 분자량이 낮고 미반응 모노머들이 존재하여 외관이 열악해지며, 산가가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 분자량이 높아져 도료의 흐름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부가에 의한 에폭시 수지의 개환반응의 결과물 수지일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에폭시 수지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에폭시 수지, 노볼락 에폭시 수지, 지방족(aliphatic) 에폭시 수지, 지환형(alicyclic)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가 사용된다.
불포화 카르복시산으로서 프탈산, 무수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픽산, 메타아크릴산, 트리-멜리틱 안하이드라이드(Trimellitic anhyd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산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비닐 에스테르는 다음 반응식 2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007635417-pat00002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비닐 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10 중량% 미만인 경우 방청성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체질안료는 운모, 유리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운모는 살오름성, 방청성 및 내수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수분 함량이 0.5 중량% 이하, pH가 6 내지 8, 체잔분(325메쉬)이 10%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Fiberglass)은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수분 함량이 0.15 중량% 이하, 평균두께가 3 내지 7 ㎛, 입자분포 (45 내지 300 ㎛)가 65%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운모와 유리섬유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운모:유리섬유의 중량비는 1:1 내지 6:1일 수 있으며, 예컨대 운모는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유리섬유는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운모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살오름성, 방청성 및 내수성이 저하되고, 유리섬유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색안료는 은폐력 향상을 위해 사용되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이산화티타늄, 카본블랙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산화티타늄은 흡유량이 16 내지 22 이하이고, 착색력이 104 내지 113%이며, 체잔분(325메쉬)이 25 ppm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유색안료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한다. 0.1 중량% 미만인 경우 은폐력이 저하되고,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웨팅(Wetting)성 및 작업성 향상을 위해 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순도 99.6% 이상이고 TBC(4-Tert-BUTLYCATECHOL) 함량이 5 내지 20 ppm인 스티렌 모노머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1% 중량 미만)를 사용할 수 있다.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용제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웨팅성 및 작업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청용 코팅 조성물은 새깅방지제, 중합방지제, 소포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중합방지제는 pH가 4 내지 4.7이고, 순도99.4% 이하이며, 수분 함량이 0.5 중량% 이하인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청용 코팅 조성물은 코팅 도료의 주제부로 사용되어, 경화제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MEKPO,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과 경화제의 중량비 90 내지 100 : 1 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프로필렌글리콜 0.3몰, 네오펜틸글리콜 0.7몰, 이소프탈릭산 0.5몰 및 반응안정제로서 나프토빈 KX405(독일 메텔게젤샤프트 아게사 제품) 0.001몰을 첨가하였다. 그 후 계속해서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170~180℃에서 축합수가 유출되기 시작하여 210℃로 반응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축합수를 제거하면 반응물이 투명하게 된다. 이것을 질소가스 주입량을 증량시키면서 계속 반응시켜 산가 2~3에서 반응을 종료한 다음, 120℃이하로 냉각하여 전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전중합체에 프로필렌그릴콜 0.7몰, 네오펜틸글리콜 1.7몰, 테트라히드로 무수프탈산 0.6몰, 말레산 무수물 2.16몰, 반응안정제로서 나프토빈 KX405(독일 메텔게젤샤프트 아게사 제품) 0.002몰을 투입하여 교반시키면서 온도를 상승시켜 210℃로 반응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축합수를 제거하였다. 그 온도에서 유지 반응시키면서 질소를 증량 투입하여 산가 25이하에서 스티렌 단량체 희석점도가 3.2~3.4 포이즈가 될 때까지 반응시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73 중량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하이드로퀴논 0.001몰을 투입시켜 더 이상의 반응 진행을 중지시킨 다음, 이 수지를 170~180℃로 냉각시켜 스티렌 단량체의 전량에 희석시킨 다음, 40℃이하의 온도로 냉각하여 점도는 25 ℃에서 V~W(Gardner 점도), 산가가 5 내지 25 mg KOH/g인 불포화 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2. 비닐 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노볼락 에폭시 수지 DEN438(다우케미칼사 제품) 26 중량부, DEN431(다우케미칼사 제품) 4 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YD-134(국도화학 제품) 13 중량부를 투입하고 90℃ 승온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여기에 중합 금지제인 하이드로 퀴논 0.3중량부, 톨루엔 하이드로로 퀴논 0.1 중량부 및 열안정제 트리페닐안티모니 0.5중량부를 투입하고, 미리 드라핑 탱크에 투입한 메타아크릴산 20 중량부, 반응촉매 이메틸벤질아민 3중량부를 85~95℃를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적가하였다. 적가 완료후 110℃로 승온 유지하면서, 산가 14 이하, 스티렌 단량체 희석점도가 4.4 ~ 4.6 포이즈가 될 때까지 반응시키고 점도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105℃로 냉각시킨 후, 스티렌 모노머 10 중량부 및 첨가제를 투입하고, 30℃ 이하로 급속 냉각시킨 후, 스티렌 모노머 잔량을 및 첨가제를 투입하여, 점도는 25 ℃에서 H~J(Gardener 점도), 산가가 6 내지 14 mgKOH/g인 노볼락형 비닐 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3. 방청용 코팅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방청용 코팅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고, 물성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07635417-pat00003
수지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산가 25mgKOH/g 이하, 점도 V~W, 겔화시간 4~5분, 피크시간 7~10분, 피크온도 175 ~ 185℃)
수지2: 노볼락형 비닐 에스테르 수지(산가 6~14 mgKOH/g, 점도 H~J, 겔화시간 11.5~19분, 피크시간 5.5~8.5 분, 피크온도 160~185℃)
체질안료1: 운모(수분함량 0.5 중량% 이하, pH 6 ~ 8, 체잔분(325MESH) 10% 이하)
체질안료2: 유리섬유(Glass flake) (수분함량 0.15% 이하, 평균두께 3 ~ 7 ㎛, 입자분포(45~300 ㎛) 65% 이상)
유색안료: TiO2 (흡유량 16~22 이하, 착색력 104~113%, 체잔분(325MESH) 25 ppm 이하)
첨가제: 새깅방지제(Garamite 1958)
중합방지제: 하이드로퀴논
MEKPO: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Methyl ethyl ketone peroxide)
Figure 112016007635417-pat00004
※ 물성평가 시험/평가방법
1. 저장성
- 분석 대상 수지를 틴 캔에 약 70% 정도 채운 뒤 70℃ Oil Bath shaker에 약 70%정도 침지시킨 후 고정시킨다. 일정기간(12시간 단위)마다 틴 캔을 열어 수지 상태를 점검한다. 이때, 수지가 겔이 되어 유동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 시험을 종료한다.
2. 방청성
- 시편을 Scribe 내고 Salt Spray Chamber내에서 일정 시간동안 시험진행 한 후 Scribe Area의 발청 정도 확인한다.
- Salt Spray Chamber 내의 조건: Solution(5% NaCl 용액분무, pH: 6.5~7.2), 온도(약 35℃), 상대습도(95~98%)
- 평가방법: 시험 4,200시간 후 Rus Creepage 측정.
- 평가기준: 1mm~5mm(O), 6mm~8mm(O△), 8mm~ 10mm(△), > 10mm(X)
3. 부착성
- Pull off Adhesion Tester를 이용하여 도막의 부착력을 시험함
- 평가기준: 10MPa~15MPa(O), 5MPa~10MPa(O△), 3MPa~5MPa(△),
< 3MPa(X)
4. 작업성
- Airless 도장기를 이용하여 smooth steel panel에 도장하였을 시, 도장 패턴, 형성된 도막의 외관, 살오름성 등을 확인함.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청용 코팅 조성물인 실시예 1 및 2는 저장성, 방청성, 부착성 및 작업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적은 비교예 1 및 2의 경우 겔화 현상이 나타나고 작업성이 불량하였다. 또한 비닐 에스테르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 방청성, 부착성 및 작업성이 불량하였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 저장성 및 작업성이 불량함을 나타내었다.

Claims (6)

  1. 산가가 5 내지 25 mg KOH/g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닐 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중합단위로서 (a)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성 알코올, (b)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및 (c) 불포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무수물을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부가에 의한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개환반응의 결과물 수지인, 방청용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겔화 시간이 4 내지 5분이며, 피크시간은 7 내지 10분이고, 피크 온도는 175 내지 185℃인, 방청용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산가가 6 내지 14 mgKOH/g이며, 겔화 시간은 11.5 내지 19 분이고, 피크시간은 5.5 내지 8.5 분이며, 피크온도는 160 내지 185℃인, 방청용 코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100 중량%를 기준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30 내지 50 중량%, 비닐 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30 중량%, 체질안료 15 내지 40 중량%, 유색안료 0.1 내지 5 중량% 및 용제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KR1020160008323A 2016-01-22 2016-01-22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KR101869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323A KR101869591B1 (ko) 2016-01-22 2016-01-22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323A KR101869591B1 (ko) 2016-01-22 2016-01-22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488A KR20170088488A (ko) 2017-08-02
KR101869591B1 true KR101869591B1 (ko) 2018-06-21

Family

ID=5965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323A KR101869591B1 (ko) 2016-01-22 2016-01-22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498B1 (ko) * 2021-04-08 2023-03-06 (주)켐베이스 기계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광경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957A (ja) * 1998-08-28 2000-03-07 Hitachi Chem Co Ltd ビニル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1226523A (ja) * 2000-02-17 2001-08-21 Tamada Kogyo Kk 防錆添加剤、該防錆添加剤を含む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による防錆構造
JP2001279190A (ja) 2000-01-28 2001-10-10 Dainippon Toryo Co Ltd 防汚塗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9575B2 (ja) * 2004-06-02 2009-11-04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塗装方法
JP5346522B2 (ja) * 2008-08-21 2013-11-20 昭和電工株式会社 防食塗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食塗膜構造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2957A (ja) * 1998-08-28 2000-03-07 Hitachi Chem Co Ltd ビニル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1279190A (ja) 2000-01-28 2001-10-10 Dainippon Toryo Co Ltd 防汚塗料組成物
JP2001226523A (ja) * 2000-02-17 2001-08-21 Tamada Kogyo Kk 防錆添加剤、該防錆添加剤を含む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による防錆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488A (ko)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8273A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US20080085965A1 (en) Thermosetting Powder Coating Composition
CA2440440A1 (en) Adhesion promoter additive comprising an unsaturated, amorphous polyester
WO2015061309A1 (en) Container coating compositions
JP4540711B2 (ja) 水性塗料組成物及び塗装鋼板
KR101227146B1 (ko) 1액형 수분산 에폭시 수지의 제조방법
JP2683845B2 (ja) 上塗り塗膜形成方法
KR101869591B1 (ko)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방청용 코팅 조성물
KR101783122B1 (ko) 카르복실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도료 조성물
US11021613B2 (en) Aqueous polyester dispersions, articles having a coating formed from such aqueous dispersions, and methods of coating
JPS6036237B2 (ja) 反応性の硬化できるバインダ−混合物及び硬化された物の製造法
EP0669383B1 (en) Curable compositions with improved adhesion and their use for coating substrates
KR20170088489A (ko) 에폭시-폴리에스테르계 분체도료 조성물
JP2010132910A (ja) 塗料用樹脂組成物および塗装金属板
KR20170139115A (ko) 단일-성분의 높은 항-부식성 속건성 에폭시 코팅 조성물
EP3166983A1 (en) Curable film-form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mitigating dirt build-up on a substrate
JPS59176361A (ja) 防食ライニング組成物
JPS59123574A (ja) 防食被覆方法
JP2004231853A (ja) 塗料組成物
US3845002A (en) Sealer composition of a methacrylate copolymer,an epoxy resin,polymethyl methacrylate and an organic plasticizer
CN111133068A (zh) 水性防锈涂料组合物、防锈涂膜、带有防锈涂膜的基材和带有防锈涂膜的基材的制造方法
JPH028789B2 (ko)
KR102514941B1 (ko) 도료 조성물
EP2586839B1 (en) A method for coating a coil of metal
JP2022181899A (ja) ビニル変性エポキシエステル樹脂、樹脂組成物、塗料および当該塗料で塗装した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