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313B1 - 베인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베인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313B1
KR101869313B1 KR1020160080496A KR20160080496A KR101869313B1 KR 101869313 B1 KR101869313 B1 KR 101869313B1 KR 1020160080496 A KR1020160080496 A KR 1020160080496A KR 20160080496 A KR20160080496 A KR 20160080496A KR 101869313 B1 KR101869313 B1 KR 10186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transmission pin
shaft
groove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430A (ko
Inventor
히로키 나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7000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높은 정숙성을 발휘 가능한 베인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제1 삽입통과구멍(61)내에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과, 탄성 부재로서의 제1 코일 스프링(91)이 설치되어 있다. 제1, 2 전달 핀(110, 120)은,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의 서로의 변위를 전달한다. 제1 코일 스프링(91)은, 제1, 2 전달 핀(110, 120)을 통하여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제1 전달 핀(110)은, 제1 베인(51)에 대하여 압압 지지되어 있다. 제2 전달 핀(120)은, 제2 베인(52)에 대하여 압압 지지되어 있고, 제1 전달 핀(110)과 극간(S1)을 가지면서 대면하도록 제1 베인(5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베인형 압축기{VAN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베인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종래의 베인형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베인형 압축기는 하우징과 로터(rotor)와 4매의 베인(vane)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에는, 실린더실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는, 실린더실 내에 회전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로터에는, 회전 축심을 향해 연장되는 2개의 제1 베인 홈과, 회전 축심을 향해 연장되고, 회전 축심에 대하여 각 제1 베인과 대칭을 이루는 2개의 제2 베인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베인 홈에는 제1 베인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 제2 베인 홈에는 제2 베인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터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연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1개의 연통구멍에 의해서, 제1 베인 홈과 제2 베인 홈이 연통(commucation)하고 있고, 다른 1개의 연통구멍에 의해서, 다른 한쪽의 제1 베인 홈과 제2 베인 홈이 연통하고 있다. 또한, 각 연통구멍에는,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로터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동공이(pistol)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제1 베인 홈에는 제1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고, 제2 베인 홈에는 제2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코일 스프링은, 제1 베인의 저면과 작동공이의 일단측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베인과 작동공이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2 코일 스프링은, 제2 베인의 저면과 작동공이의 타단측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2 베인과 작동공이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 홈에 매몰하는 제1 베인의 변위가 작동공이및 제1, 2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제2 베인으로 전달된다. 또한, 제2 베인 홈에 매몰하는 제2 베인의 변위가 작동공이 및 제1,2 코일 스프링을 통하여 제1 베인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1 베인이 제1 베인 홈에 대하여 출몰하고, 제2 베인이 제2 베인 홈에 대하여 출몰할 때의 제1 베인과 제2 베인의 거리의 변동은, 제1, 2 코일 스프링의 신축에 의해서 흡수된다.
이에 따라, 이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각 제1 베인을 제1 베인 홈에 대하여 출몰시킴과 함께, 각 제2 베인을 제2 베인 홈에 대하여 출몰시킨다. 이렇게 하여, 이 베인형 압축기에는, 실린더실의 일면, 실린더실의 내주면, 실린더실의 타면, 로터의 외주면 및 회전 축심 둘레에서 인접하는 2개의 베인에 의해서 압축실이 형성된다. 그리고, 로터의 회전에 의해서, 유체가 압축실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일본실용신안공개공보 소49-26104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과 작동공이가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베인 홈에 대하여 제1 베인이 출몰할 때에 제1 베인의 저면과 작동공이의 일단측이 충돌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제2 베인과 작동공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들 경우,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단속적으로 타음(打音)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높은 정숙성을 발휘 가능한 베인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실린더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실내에 회전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짝수개의 베인 홈이 형성된 로터와,
상기 각 베인 홈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실의 일면, 상기 실린더실의 내주면, 상기 실린더실의 타면, 상기 로터의 외주면 및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베인에 의해서 압축실이 형성되는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각 베인 홈은, 제1 베인 홈과, 상기 제1 베인 홈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베인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베인은, 상기 제1 베인 홈에 설치된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 홈에 설치된 제2 베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에는, 상기 제1 베인 홈과 상기 제2 베인 홈을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멍에는, 제1 전달 핀과, 제2 전달 핀과, 상기 제1 전달 핀 및 상기 제2 전달 핀을 통하여 상기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달 핀은, 상기 제1 베인에 대하여 압압 지지되고,
상기 제2 전달 핀은, 상기 제2 베인에 대하여 압압 지지되고, 상기 제1 전달 핀과 극간을 가지면서 대면하도록 상기 제1 베인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탄성 부재는, 제1 전달 핀을 통하여 제1 베인을 탄성 지지함과 함께, 제2 전달 핀을 통하여 제2 베인을 탄성 지지한다. 이에 따라, 제1 베인 홈에 매몰하는 제1 베인의 변위가 제1, 2 전달 핀 및 탄성 부재를 통하여 제2 베인에 전달된다. 또한, 제2 베인 홈에 매몰하는 제2 베인의 변위가 제1, 2 전달 핀 및 탄성 부재를 통하여 제1 베인에 전달된다.
여기서, 제1 전달 핀과 제2 전달 핀은, 극간을 가지면서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베인이 제1 베인 홈에 대하여 출몰하고, 제2 베인이 제2 베인 홈에 대하여 출몰할 때, 제1 전달 핀 및 제2 전달 핀은, 제1 베인과 제2 베인의 거리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을 적합하게 실린더실의 내주면에 가압할 수 있음과 함께, 작동시에 제1 전달 핀 및 제2 전달 핀이 로터의 회전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이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제1 전달 핀은, 탄성 부재에 의해서 압압 지지됨으로써, 제1 베인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동시에 제1 전달 핀과 제1 베인이 충돌하는 것에 의한 타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2 전달 핀은, 탄성 부재에 의해서 압압 지지됨으로써, 제2 베인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동시에 제2 전달 핀과 제2 베인이 충돌하는 것에 의한 타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높은 정숙성을 발휘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탄성 부재는, 제1 전달 핀 및 제2 전달 핀을 통하여 제1 베인과 제2 베인을 적합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인은, 제1 베인이 제1 베인 홈 내에 매몰하는 압압력에 의해 제2 베인 홈 내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베인은, 제2 베인이 제2 베인 홈 내에 매몰하는 압압력에 의해 제1 베인 홈 내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1 베인 홈에 대한 제1 베인의 변위를 제2 베인에 적합하게 전달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베인 홈에 대한 제2 베인의 변위를 제1 베인에 적합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1 베인에는, 회전 축심측의 저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설치된 제1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인에는, 회전 축심측의 저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설치된 제2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달 핀은, 제1 오목부내에 헐겁게 끼워진 제1 헐겁게 끼움부와, 제1 헐겁게 끼움부와는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부와, 제1 헐겁게 끼움부와 제1 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1 오목부가 오목하게 설치된 저면과 맞닿는 제1 플랜지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전달 핀은, 제2 오목부내에 헐겁게 끼워진 제2 헐겁게 끼움부와, 제2 헐겁게 끼움부와는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부와, 제2 헐겁게 끼움부와 제2 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오목부가 오목하게 설치된 저면과 맞닿는 제2 플랜지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통구멍은, 제1 오목부와 제2 오목부를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는, 제1 축부 및 제2 축부에 지지되어, 일단부가 제1 플랜지부와 맞닿고, 타단부가 제2 플랜지부와 맞닿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전달 핀의 제1 헐겁게 끼움부가 제1 오목부에 헐겁게 끼워짐으로써, 제1 베인에 제1 전달 핀이 위치 결정되면서 장착된다. 또한, 제2 전달 핀의 제2 헐겁게 끼움부가 제2 오목부에 헐겁게 끼워짐으로써, 제2 베인에 제2 전달 핀이 위치 결정되면서 장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베인에 제1 전달 핀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베인에 제2 전달 핀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를 코일 스프링으로 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제조를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은, 제1 전달 핀의 제1 축부와, 제2 전달 핀의 제2 축부에 각각 지지된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은, 제1 전달 핀을 통하여 제1 베인을 적합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전달 핀을 통하여 제2 베인을 적합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달 핀의 제1 플랜지부가 제1 베인의 저면에 맞닿는다. 또한, 제2 전달 핀의 제2 플랜지부가 제2 베인의 저면에 맞닿는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압압 지지됨으로써, 제1 플랜지부는 제1 베인의 저면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되고, 제2 플랜지부는 제2 베인의 저면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1 전달 핀을 제1 오목부로 압입하지 않아도, 제1 전달 핀이 제1 베인의 저면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달 핀을 제2 오목부에 압입하지 않아도, 제2 전달 핀이 제2 베인의 저면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2 오목부에 제1, 2 전달 핀을 압입하는 것에 의한 제1 베인이나 제2 베인의 변형 등도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때문에, 제조를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이 베인형 압축기에서는, 제1, 2 헐겁게 끼움부를 각각 제1, 2 오목부에 헐겁게 끼우는 구성인 점에서, 제1, 2 헐겁게 끼움부나 제1, 2 오목부의 치수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2 전달 핀이나 제1, 2 베인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제1 전달 핀에 있어서, 제1 헐겁게 끼움부와 제1 축부에서 지름이 상이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2 전달 핀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1 축부에는, 제2 전달 핀을 향하여 축경(縮徑)하는 제1 축경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축부에는, 제1 전달 핀을 향하여 축경하는 제2 축경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이 제1 축부와 제2 축부의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은, 제1 베인과 제2 베인을 적합하게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는, 연통구멍보다도 소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가 연통구멍의 내벽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인을 제1 베인 홈에 대하여 적합하게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제2 베인을 제2 베인 홈에 대하여 적합하게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우징에는 토출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인의 저면과 제1 베인 홈의 저면의 사이는 제1 배압실로 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인의 저면과 제2 베인 홈의 저면의 사이는 제2 배압실로 될 수 있다. 또한, 로터에는, 회전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이 압입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 및 로터에는, 토출실과, 제1 배압실 및 제2 배압실을 연통하는 배압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탄성 부재가 압압 지지함으로써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을 실린더실의 내주면으로 가압하는 것에 더하여, 제1 배압실 및 제2 배압실의 배압에 의해서도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을 실린더실의 내주면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베인 및 제2 베인을 적합하게 실린더실의 내주면으로 가압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실로부터 유체를 보다 새기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연통구멍은, 회전축을 관통하고, 배압 유로의 일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연통구멍을 배압 유로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배압 유로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제1 베인과 제2 베인은 동일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달 핀과 제2 전달 핀은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베인과 제2 베인을 공통화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전달 핀과 제2 전달 핀을 공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베인형 압축기의 제조를 용이화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 비용을 저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는, 높은 정숙성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베인형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베인형 압축기에 따른 것으로, 로터, 제1 베인, 제2 베인, 제1 전달 핀, 제2 전달 핀 및 코일 스프링 등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베인형 압축기에 따른 것으로, 도 1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베인형 압축기에 따른 것으로, 도 3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베인형 압축기에 따른 것으로, 도 2에 있어서의 영역(Q1)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베인형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3의 베인형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베인형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예 1~4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시예 1의 전동 베인형 압축기(이하, 간단히 압축기라고 한다)는, 본 발명의 베인형 압축기의 구체적 실시 형태의 일 예이다. 이 압축기는, 모터 하우징(1)과, 모터 기구(3)와,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와,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와, 실린더 블록(7)과, 커버(9)와, 압축 기구(13)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1), 제1, 2 사이드 플레이트(4, 5), 실린더 블록(7) 및 커버(9)는, 본 발명의 「하우징」의 일 예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지면 좌측인 모터 하우징(1)측을 압축기의 전측으로 하고, 도 1의 지면 우측인 커버(9)측을 압축기의 후측으로 한다. 또한, 도 1의 지면 상측을 압축기의 상측으로 하고, 도 1의 지면 하측을 압축기의 하측으로 한다. 그리고, 도 2 이후에서는, 도 1에 대응시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표시한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압축기는, 탑재되는 차량 등에 대응하여, 그 장착 자세가 적절히 변경된다.
모터 하우징(1)은, 전단측으로부터 후단측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단측이 저벽(1A)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음과 함께 후단측에 개구(1B)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모터 하우징(1)은, 내부에 흡입실을 겸하는 모터실(1C)을 형성하고 있다. 모터 하우징(1)은, 원통부(1D)를 갖고 있다. 원통부(1D)는, 회전축(19)의 회전 축심(X1)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원통부(1D)의 전측 주연(周緣)은, 저벽(1A)의 외주연에 접속하고 있다. 원통부(1D)에는, 외부와 모터실(1C)을 연통하는 흡입구(1E)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1E)에는, 도시하지 않는 배관에 의해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증발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저벽(1A)에는, 축지지부(1G)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축지지부(1G)에는, 베어링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 기구(3)는, 스테이터(15) 및 모터 로터(17)를 갖고 있다. 스테이터(15)는, 원통부(1D)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D) 내에는, 리드선(16C) 및 클러스터 블록(16)이 수용되어 있다.
클러스터 블록(16)은, 접속 단자(16A, 16B)를 갖고 있다. 접속 단자(16A)는, 저벽(1A)을 연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접속 단자(16B)는, 리드선(16C)을 통하여 스테이터(15)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15)에는, 도시하지 않는 급전 장치로부터 클러스터 블록(16) 및 리드선(16C)을 통하여 적절히 급전된다.
모터 로터(17)는, 스테이터(15) 내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 로터(17)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심(X1)을 축심으로 하는 회전축(19)을 삽입통과하고 있다. 회전축(19)의 전단부는, 베어링 장치(21)에 의해서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1)의 후단에는, 커버(9)가 복수의 도시하지 않는 볼트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커버(9)는, 후단측이 저벽(9D)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음과 함께 전단측에 개구(9E)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모터 하우징(1)의 개구(1B)에 커버(9)의 개구(9E)가 맞닿고, 모터 하우징(1) 및 커버(9)가 폐색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의 개구(1B)와, 커버(9)의 개구(9E)의 사이에는, 개스킷(22)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9)의 개구(9E)측에는, 회전축(19)의 회전 축심(X1)과 동축의 환상으로 오목하게 설치된 제1 단부(段部)(9F)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단부(9F)에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4)가 끼워맞춰져 있다. 모터 하우징(1)의 개구(1B)측에는, 회전축(19)의 회전 축심(X1)과 동축의 환상으로 오목하게 설치된 제2 단부(1H)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단부(1H)에도, 제1 사이드 플레이트(4)가 끼워맞춰져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4)는, 회전 축심(X1)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부재이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의 외주연은, 모터 하우징(1)의 제2 단부(1H)와, 커버(9)의 제1 단부(9F)에 의해서 전후로부터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의 외주면과 제1 단부(9F)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O링(23)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에는, 회전축(19)을 삽입통과시키는 축구멍(4A)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축구멍(4A)에는, 회전축(19)을 적합하게 슬라이드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도금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9) 내에는, 실린더 블록(7), 제2 사이드 플레이트(5) 및 블록(35)이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7)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볼트(25A∼25D)에 의해서,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린더 블록(7)은,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와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 전후로부터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는, 커버(9)의 내주면에 끼워맞춰져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는, 회전 축심(X1)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부재이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외주면과 커버(9)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0 링(24)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는, 회전축(19)을 삽입통과시키는 축구멍(5A)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축구멍(5A)에는, 회전축(19)을 적합하게 슬라이드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도금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9)의 후단부는, 축구멍(5A)에 의해서 축지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회전축(19)은, 모터 하우징(1)의 저벽(1A)과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축구멍(5A)에 의해서 양단이 축지지되고, 회전 축심(X1)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9)의 저벽(9D)측과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후면의 사이에는, 토출실(9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9)에는, 외부와 토출실(9A)을 연통하는 토출구(9B)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9B)에는, 도시하지 않는 배관에 의해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응축기가 접속되어 있다.
블록(35)은,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블록(35)에는, 원주형상을 이루고 축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油) 분리실(35A)이 형성되어 있다. 유 분리실(35A)에는, 원통형상의 통부재(53)가 고정되어 있다. 통부재(53)의 상단은 토출실(9A)로 열려 있다. 유 분리실(35A)의 하단은, 유 배출구(35B)에 의해서 토출실(9A)로 열려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 및 블록(35)에는, 통로(5B, 35C)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5B, 35C)는, 유 분리실(35A)과, 후술하는 토출 공간(37)을 연통한다. 이들 유 분리실(35A) 및 통부재(53)에 의해 오일 세퍼레이터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후면에 있어서의 축구멍(5A)을 둘러싸는 부위와, 회전축(19)의 후단면과, 블록(35)의 전면에 의해서, 급유실(8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는, 토출실(9A)의 저부와 연통하여 회전 축심(X1)에 근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통로(5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는, 제1 통로(5E)의 상단과 급유실(80)을 연통하는 제2 통로(5F)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린더 블록(7)은, 회전 축심(X1) 방향으로 통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린더 블록(7)은, 제1, 2 사이드 플레이트(4, 5)와 함께 내부에 실린더실(31)을 형성하고 있다.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의 단면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축심(X1)에 대하여 편심하는 진원(眞圓)이다. 실린더실(31)의 전면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린더실의 일면」에 상당하고 있고, 실린더실(31)의 후면이 본 발명의 「실린더실의 타면」에 상당하고 있다. 실린더실(31)의 전면, 내주면(31S) 및 후면 외, 제1, 2 베인(51, 52)에는, 로터(41)와 적합하게 슬라이드시키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은 도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2 베인(51, 52) 및 로터(41)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에는, 축방향으로 열려 모터실(1C)에 연통하는 흡입 통로(33A)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7)에는, 흡입 통로(33A)와 연통하는 흡입 통로(3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흡입 통로(33B)는, 실린더 블록(7)에 오목하게 설치된 흡입 포트(33C)에 의해서 실린더실(31)에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7)에는, 외주측으로 열리는 토출 공간(37)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토출 공간(37)은, 실린더실(31)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설치된 토출 포트(37A)에 의해서 실린더실(31)에 연통하고 있다. 토출 공간(37) 내에서는, 토출 포트(37A)를 개폐하는 토출 리드 밸브(39)와, 토출 리드 밸브(39)의 개도를 규제하는 리테이너(39A)가 볼트(39B)에 의해서 실린더 블록(7)에 고정되어 있다.
압축 기구(13)는, 실린더실(31), 로터(41) 및 제1, 2 베인(51, 5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로터(41)에는, 회전축(19)이 압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터(41)는 실린더실(31) 내에서 회전축(19)과 동기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로터(41)의 외주면(41S)의 단면 형상은, 회전 축심(X1)을 중심으로 하는 진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41)의 회전 방향(R1)은, 도 3 및 도 4의 지면을 향하여 반시계 방향이다.
로터(41)에는, 제1 베인 홈(41A) 및 제2 베인 홈(4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베인 홈(41A)과 제2 베인 홈(41B)은, 회전 축심(X1)을 통과하면서,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베인 홈(41B)은 제1 베인 홈(41A)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베인 홈(41A)과 제2 베인 홈(41B)은, 회전 축심(X1)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고 있다.
제1 베인 홈(41A)에는, 제1 베인(5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베인 홈(41B)에는, 제2 베인(52)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베인(51)은, 로터(41)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 선단부를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1 베인 홈(41A)에 대하여 출몰한다. 제2 베인(52)은, 로터(41)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 선단부를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2 베인 홈(41B)에 대하여 출몰한다. 이들의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은, 모두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베인(51)에 있어서 회전 축심(X1)측이 되는 저면(51S)에는, 오목부(51H)와 오목부(51J)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51H) 및 오목부(51J)는,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각 저면(51S)으로부터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저면(51S)에 있어서, 오목부(51J)는 오목부(51H)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의 오목부(51H) 및 오목부(51J)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오목부에 상당한다.
제2 베인(52)에 있어서 회전 축심(X1)측이 되는 저면(52S)에는, 오목부(52H)와 오목부(52J)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52H) 및 오목부(52J)는,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각각 저면(52S)으로부터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저면(52S)에 있어서, 오목부(52J)는 오목부(52H)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오목부(52H) 및 오목부(52J)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오목부에 상당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린더실(31)의 전면,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 실린더실(31)의 후면, 로터(41)의 외주면(41S) 및 제1, 2 베인(51, 52)에 의해서 압축실(30A) 및 압축실(30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로터(41) 및 회전축(19)에는, 제1 연통구멍(61)과 제2 연통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연통구멍(61) 및 제2 연통구멍(63)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통구멍에 상당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연통구멍(61)의 직경은 길이(L1)로 설정되어 있다. 제2 연통구멍(63)도 동일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연통구멍(61)과 제2 연통구멍(63)은, 함께 회전축(19)을 관통하여 회전 축심(X1)을 통과하면서,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일단측에서 제1 베인 홈(41A)의 저면과 연통하고 있고, 타단측에서 제2 베인 홈(41B)의 저면과 연통하고 있다. 즉, 제1 베인 홈(41A)과 제2 베인 홈(41B)은, 제1 연통구멍(61) 및 제2 연통구멍(63)에 의해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제2 연통구멍(63)은 제1 연통구멍(61)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통구멍(61)은, 일단측에서 제1 베인(51)의 오목부(51H)와 연통하고, 타단측에서 제2 베인(52)의 오목부(52H)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2 연통구멍(63)은, 일단측에서 제1 베인(51)의 오목부(51J)와 연통하고, 타단측에서 제2 베인(52)의 오목부(52J)와 연통하고 있다.
제1 베인(51)에는, 2개의 제1 전달 핀(110, 130)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베인(52)에는, 2개의 제2 전달 핀(120, 140)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각 제1, 2 전달 핀(110∼140)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각 제1, 2 전달 핀(110∼14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은, 제1 연통구멍(61)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제1 연통구멍(61)을 따르면서,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통구멍(61) 내에 있어서,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은, 회전 축심(X1)측이 되는 서로의 단부끼리 쌍방의 사이에 극간(S1)을 가지면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연통구멍(61) 내에는, 제1 코일 스프링(91)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1 전달 핀(130)과 제2 전달 핀(140)은, 제2 연통구멍(63)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제2 연통구멍(63)을 따르면서, 제1 전달 핀(130)과 제2 전달 핀(140)은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연통구멍(63) 내에 있어서, 제1 전달 핀(130)과 제2 전달 핀(140)은, 회전 축심(X1)측이 되는 서로의 단부끼리 쌍방의 사이에 극간(S2)을 가지면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연통구멍(63) 내에는, 제2 코일 스프링(9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에 상당한다.
여기서, 극간(S1)은 제1 베인(51) 및 제2 베인(52)이 변위해도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이 충돌하지 않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극간(S2)은, 제1 베인(51) 및 제2 베인(52)이 변위해도 제1 전달 핀(130)과 제2 전달 핀(140)이 충돌하지 않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극간(S1, S2)은, 제1, 2 베인(51, 52)의 위상에 의한, 제1 베인(51)의 저면(51S) 및 제2 베인(52)의 저면(52S)간의 거리의 변동폭과, 각 제1, 2 전달 핀(110∼140)과, 제1, 2 베인(51, 52)과, 제1, 2 베인 홈(41A, 41B) 등의 공차를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전달 핀(110)은,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헐겁게 끼움부(111)와, 제1 플랜지부(113)와, 제1 축부(115)를 갖고 있다. 제1 플랜지부(113)는, 제1 헐겁게 끼움부(111)와 제1 축부(11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헐겁게 끼움부(111)는, 제1 플랜지부(113)측으로부터 회전 축심(X1)과 떨어지는 방향에서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헐겁게 끼움부(111)는, 오목부(51H)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51H) 내에 헐겁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헐겁게 끼움부(111)의 축길이는 오목부(51H)의 깊이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113)는, 제1 전달 핀(110)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제1 헐겁게 끼움부(11)와 제1 축부(115)의 사이에 있어서 플랜지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113)에는, 제1 헐겁게 끼움부(111)측에 위치하는 제1 단면(113T)과, 제1 축부(115)측에 위치하는 제2 단면(113S)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단면(113T) 및 제2 단면(113S)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113)는, 직경이 길이(L2)로 설정되어 있고, 제1 헐겁게 끼움부(111) 및 제1 축부(115)보다도 대경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플랜지부(113)의 직경의 길이(L2)는, 제1 연통구멍(61)의 직경의 길이(L1)보다도 작아져 있다. 이에 따라, 제1 플랜지부(113)는, 제1 연통구멍(61)보다도 소경으로 되어 있다.
제1 축부(115)는, 제1 플랜지부(113)측으로부터 회전 축심(X1)에 근접하는 방향, 즉, 제1 헐겁게 끼움부(111)와 역방향에서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축부(115)는, 제1 헐겁게 끼움부(111)와 동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축부(115)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X1)측에는, 제2 전달 핀(120)을 향하여 축경하는 제1 테이퍼면(115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테이퍼면(115A)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축경 부위에 상당한다. 또한, 제1 헐겁게 끼움부(111)와 제1 축부(115)를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1 전달 핀(110)과 마찬가지로, 제2 전달 핀(120)도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전달 핀(120)은, 제2 헐겁게 끼움부(121)와, 제2 플랜지부(123)와, 제2 축부(125)를 갖고 있다. 제2 플랜지부(123)는, 제2 헐겁게 끼움부(121)와 제1 축부(12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헐겁게 끼움부(121)는, 제2 플랜지부(123)측으로부터 회전 축심(X1)과 떨어지는 방향에서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헐겁게 끼움부(121)는, 오목부(52H)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52H) 내에 헐겁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헐겁게 끼움부(121)의 축길이는, 오목부(52H)의 깊이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123)는, 제2 전달 핀(120)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헐겁게 끼움부(121)와 제2 축부(125)의 사이에 있어서 플랜지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123)는, 제2 헐겁게 끼움부(121)측에 위치하는 제1 단면(123T)과, 제2 축부(125)측에 위치하는 제2 단면(123S)을 갖고 있다. 제1 단면(123T) 및 제2 단면(123S)에 대해서도,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123)는, 제1 플랜지부(113)와 동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플랜지부(123)에 대해서도, 제1 연통구멍(61)보다도 소경으로 되어 있다.
제2 축부(125)는, 제2 플랜지부(123)측으로부터 회전 축심(X1)에 근접하는 방향, 즉, 제2 헐겁게 끼움부(121)와 역방향에서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축부(125)는, 제2 헐겁게 끼움부(121)와 동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축부(125)에 있어서의 회전 축심(X1)측에는, 제1 전달 핀(110)을 향하여 축경하는 제2 테이퍼면(125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테이퍼면(125A)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축경 부위에 상당한다. 또한, 제2 헐겁게 끼움부(121)와 제2 축부(125)에 대해서도,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1 전달 핀(130)은, 제1 헐겁게 끼움부(131)와, 제1 플랜지부(133)와, 제1 축부(135)를 갖고 있다. 제1 플랜지부(133)에는, 제1 단면(133T)과 제2 단면(113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축부(135)에는, 제1 테이퍼면(13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테이퍼면(135A)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축경 부위에 상당한다. 제1 헐겁게 끼움부(131), 제1 플랜지부(133) 및 제1 축부(135)를 포함하는 제1 전달 핀(130)의 구성은, 제1 전달 핀(110)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제1 전달 핀(130)의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전달 핀(140)은, 제2 헐겁게 끼움부(141)와, 제2 플랜지부(143)와, 제2 축부(145)를 갖고 있다. 제2 플랜지부(143)에는, 제1 단면(143T)과 제2 단면(143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축부(145)에는, 제2 테이퍼면(14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테이퍼면(145A)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축경 부위에 상당한다. 제2 헐겁게 끼움부(141), 제2 플랜지부(143) 및 제2 축부(145)를 포함하는 제2 전달 핀(140)의 구성은, 제2 전달 핀(120)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제2 전달 핀(140)의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전달 핀(110)은 제1 헐겁게 끼움부(111)를 제1 베인(51)의 오목부(51H)에 헐겁게 끼움으로써, 제1 베인(51)에 위치 결정되면서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전달 핀(110)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오목부(51H)와 제1 헐겁게 끼움부(111)의 클리어런스는(clearance), 제1 플랜지부(113)가 제1 연통구멍(61)에 맞닿는 것보다도 먼저 제1 헐겁게 끼움부(111)가 오목부(51H)와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오목부(51H)와 제1 플랜지부(113)의 축심끼리의 거리, 제1 플랜지부(113), 제1 연통구멍(63), 오목부(51H) 및 제1 헐겁게 끼움부(111)의 직경을 공차를 포함하여 설정함으로써, 적절한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오목부(51J)와 제1 헐겁게 끼움부(131)의 클리어런스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1 헐겁게 끼움부(111)의 축길이는 오목부(51H)의 깊이보다도 짧기 때문에, 제1 전달 핀(110)에서는, 제1 플랜지부(113)의 제1 단면(113T)이 오목부(51H)의 연부(緣部;51E)에 면 접촉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전달 핀(130)은 제1 헐겁게 끼움부(131)를 제1 베인(51)의 오목부(51J)에 헐겁게 끼움으로써, 제1 베인(51)에 위치 결정되면서 장착되어 있다. 제1 헐겁게 끼움부(131)의 축길이에 대해서도 오목부(51J)의 깊이보다도 짧기 때문에, 제1 전달 핀(130)에 있어서도, 제1 플랜지부(133)의 제1 단면(133T)이 오목부(51J)의 연부(51F)에 면 접촉한다.
제2 전달 핀(120)은 제2 헐겁게 끼움부(121)를 제2 베인(52)의 오목부(52H)에 헐겁게 끼움으로써, 제2 베인(51)에 위치 결정되면서 장착되어 있다. 이 때, 제2 헐겁게 끼움부(121)의 축 길이는 오목부(52H)의 깊이보다도 짧기 때문에, 제2 전달 핀(120)에서는, 제2 플랜지부(123)의 제1 단면(123T)이 오목부(52H)의 연부(52E)에 면접촉한다. 제2 전달 핀(140)은 제2 헐겁게 끼움부(141)를 제2 베인(52)의 오목부(52J)에 헐겁게 끼움으로써, 제2 베인(52)에 위치 결정되면서 장착되어 있다. 제2 헐겁게 끼움부(141)의 축길이에 대해서도 오목부(52J)의 깊이보다도 짧기 때문에, 제2 전달 핀(140)에 있어서도, 제2 플랜지부(143)의 제1 단면(143T)이 오목부(52J)의 연부(52F)에 면 접촉한다.
제1 코일 스프링(91)은, 제1 연통구멍(61)내에 있어서,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코일 스프링(91)의 일단부측에는 제1 축부(115)가 삽입통과되어 있고, 타단부측에는 제2 축부(125)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코일 스프링(91)은, 제1 축부(115) 및 제2 축부(125)에 지지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로터(41)의 회전에 수반해 제1 베인 홈(41A) 및 제2 베인 홈(41B)에 침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코일 스프링(91)의 일단부측은 제1 플랜지부(113)의 제2 단면(113S)에 맞닿아 있고, 타단측은 제2 플랜지부(123)의 제2 단면(123S)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제1 코일 스프링(91)은,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의 사이에 있어서 압축 상태로 설치되고, 양단이 제1, 2 플랜지부(113, 123)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코일 스프링(91)은, 제1 전달 핀(110) 및 제2 전달 핀(120)을 통하여,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압 지지하고 있다.
제2 코일 스프링(93)은, 제2 연통구멍(63) 내에 있어서, 제1 전달 핀(130)과 제2 전달 핀(1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코일 스프링(93)의 일단부측에는 제1 축부(135)가 삽입통과되어 있고, 타단부측에는 제2 축부(145)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코일 스프링(93)에 대해서도, 제1 축부(135) 및 제2 축부(145)에 지지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로터(4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1 베인 홈(41A) 및 제2 베인 홈(41B)에 침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2 코일 스프링(93)의 일단부측은 제1 플랜지부(133)의 제2 단면(133S)에 맞닿아 있고, 타단측은 제2 플랜지부(143)의 제2 단면(143S)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제2 코일 스프링(93)은, 제1 전달 핀(130)과 제2 전달 핀(140)의 사이에 있어서 압축 상태로 설치되고, 양단이 제1, 2 플랜지부(133, 143)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코일 스프링(93)은, 제1 전달 핀(130) 및 제2 전달 핀(140)을 통하여,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압 지지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여,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은,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에 의해서, 서로 로터(41)의 직경 방향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압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코일 스프링(91)에 의해서 압압 지지됨으로써, 제1 전달 핀(110)에서는, 제1 플랜지부(113)의 제1 단면(113T)이 연부(51E)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달 핀(120)에서는, 제2 플랜지부(123)의 제1 단면(123T)이 연부(52E)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코일 스프링(93)에 의해서 탄성 지지됨으로써, 제1 전달 핀(130)에 있어서도, 제1 플랜지부(133)의 제1 단면(133T)이 연부(51F)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달 핀(140)에서는, 제2 플랜지부(143)의 제1 단면(143T)이 연부(52F)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각 제1 전달 핀(110, 130)은, 제1 베인(51)의 저면(51S)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제2 전달 핀(120, 140)에 대해서도, 제2 베인(52)의 저면(52S)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베인(51)의 저면(51S)과 제1 베인 홈(41A)의 사이는, 제1 배압실(49A)로 되어 있다. 제2 베인(52)의 저면(52S)과 제2 베인 홈(41B)의 사이는, 제2 배압실(49B)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회전축(19)에는 제1 연통로(5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9) 및 로터(41)에는 제2 연통로(5H)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통로(5G)는, 회전축(19)의 후단면으로부터 회전 축심(X1)을 따라서 전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연통로(5G)는 제1 연통구멍(61) 및 제2 연통구멍(63)과 연통하고 있다. 제2 연통로(5H)는 회전 축심(X1)의 직경 외방향으로 상하로 연장되어 있고, 제1 배압실(49A) 및 제2 배압실(49B)에 연통하고 있다. 제1, 2 통로(5E, 5F), 급유실(80), 제1, 2 연통로(5G, 5H) 및 제1, 2 연통구멍(61, 63)은, 본 발명의 「배압 유로」의 일 예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연통로(5G)가 제1, 2 연통구멍(61, 63)에 연통하는 경우에는, 제2 연통로(5H)의 형성을 생략해도 좋다.
이 압축기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15)에 급전이 행해지면, 모터 기구(3)가 작동하고, 회전축(19)이 회전 축심(X1) 둘레에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압축 기구(13)가 작동하여, 로터(41)가 실린더 블록(7) 내에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각 압축실(30A, 30B)이 용적의 확대와 축소를 반복한다. 이 때문에, 각 압축실(30A, 30B)은, 모터실(1C)로부터 흡입 통로(33A, 33B) 및 흡입 포트(33C)를 거쳐 저압의 냉매 가스를 흡입하는 흡입 행정을 행한다. 또한, 흡입 행정 후, 각 압축실(30A, 30B) 내에서 냉매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 행정을 행한다. 또한, 압축 행정 후, 각 압축실(30A, 30B)내의 고압의 냉매 가스를 토출 포트(37A), 토출 공간(37), 통로(5B, 35C)을 거쳐 토출실(9A)에 토출하는 토출 행정을 행한다. 이렇게 하여, 차실내의 공조가 행해진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통로(5B, 35C)로부터 유 분리실(35A)에 토출된 고압의 냉매 가스는 원심력에 의해서 윤활유를 분리한다. 윤활유는 토출실(9A) 내에 저류된다. 그리고, 윤활유는, 토출실(9A)내가 고압이기 때문에, 제1, 2 통로(5E, 5F), 급유실(80), 제1 연통로(5G) 및 제2 연통로(5H)를 거쳐, 제1, 2 배압실(49A, 49B)에 공급된다. 또한, 윤활유는, 제1 연통로(5G)로부터 제1 연통구멍(61) 및 제2 연통구멍(63)을 경유함에 의해서도, 제1, 2 배압실(49A, 49B)에 공급된다.
이들 사이, 이 압축기에서는, 회전축(19)의 회전에 수반하여 로터(41)가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회전 방향(R1)으로 90도 회전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2 베인(52)이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에 밀려 제2 베인 홈(41B)에 매몰하기 시작한다. 한편, 제1 베인(51)은, 제2 베인 홈(41)에 매몰한 제2 베인에 의해서 밀려나감으로써, 제1 베인 홈(41A)으로부터 돌출하기 시작한다.
즉, 제2 베인 홈(41B)에 매몰함에 따라서, 제2 베인(52)은,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각 제2 전달 핀(120, 140)을 각각 회전 축심(X1)측을 향하여 압압한다. 이에 따라, 제2 베인 홈(41B)에 매몰하는 제2 베인(52)은, 제1 베인 홈(41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제1 베인(51)을 압압한다. 이렇게 하여, 제2 베인 홈(41B)에 매몰하는 제2 베인(52)의 변위가 각 제1 전달 핀(110, 130), 각 제2 전달 핀(120, 140) 및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을 통하여 제1 베인(51)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제1 베인(51)은, 제2 베인(52)이 변위한 분만큼 제1 베인 홈(41A)으로부터 돌출하고,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으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로터(41)가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추가로 90도 회전하면, 제1 베인(51) 및 제2 베인(52)의 위치가 바뀌어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도 로터(41)가 추가로 회전함으로써, 제1 베인(51)이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에 밀려 제1 베인 홈(41A)에 매몰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베인 홈(41A)에 매몰하는 제1 베인(51)의 변위가 각 제1 전달 핀(110, 130), 각 제2 전달 핀(120, 140) 및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을 통하여 제2 베인(52)에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로터(41)의 회전에 의해서, 제1, 2 베인(51, 52)이 출몰을 반복한다.
여기서, 제1 코일 스프링(91)은, 제1 전달 핀(110)의 제1 축부(115)와 제2 전달 핀(120)의 제2 축부(125)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코일 스프링(93)은, 제1 전달 핀(130)의 제1 축부(135)와 제2 전달 핀(140)의 제2 축부(145)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은, 제1, 2 연통구멍(61, 63)내나 제1, 2 베인 홈(41A, 41B) 내에 있어서 자세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은, 각 제1 전달 핀(110, 130) 및 각 제2 전달 핀(120, 140)과 함께 제1 베인(51)의 변위를 제2 베인(52)에 적합하게 전달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베인(52)의 변위를 제1 베인(51)에 적합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제1 연통구멍(61) 내에 있어서,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은, 극간(S1)을 가지면서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연통구멍(63) 내에 있어서, 제1 전달 핀(130)과 제2 전달 핀(140)은, 극간(S2)을 가지면서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51)이 제1 베인 홈(41A)에 대하여 출몰하고, 제2 베인(52)이 제2 베인 홈(41B)에 대하여 출몰할 때,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의 신축에 의해서,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의 거리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작동시에 제1, 2 전달 핀(110, 120)끼리 충돌하지 않음과 함께, 제1, 2 전달 핀(130, 140)끼리 충돌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베인(51) 및 제2 베인(52)을 적합하게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으로 가압할 수 있음과 함께, 각 제1, 2 전달 핀(110∼140)이 작동시에 로터(4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51)이 제1 베인 홈(41A)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나 제2 베인(52)이 제2 베인 홈(41B)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는,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은, 일단부측이 제1 베인 홈(41A)내에 침입하고, 타단부측이 제2 베인 홈(41B) 내로 침입한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제1 베인(51)이 제1 베인 홈(41A)에 완전하게 매몰한 상태에서는, 제1 코일 스프링(91)의 일단부측은 제1 연통구멍(61) 내에 멈추고, 제2 코일 스프링(93)의 일단부측도 제2 연통구멍(63)내에서 멈춘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2 베인(52)이 제2 베인 홈(41B)에 완전하게 매몰한 상태에서는, 제1 코일 스프링(91)의 타단측은 제1 연통구멍(61)내에 멈추고, 제2 코일 스프링(93)의 타단부도 제2 연통구멍(63) 내에 멈춘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 베인(51)에 각 제1 전달 핀(110, 130)이 장착됨으로써, 제1 플랜지부(113, 133)가 연부(51E, 51F)에 각각 맞닿는다. 마찬가지로, 제2 베인(52)에 각 제2 전달 핀(120, 140)이 장착됨으로써, 제2 플랜지부(123, 143)가 연부(52E, 52F)에 각각 맞닿는다. 또한,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코일 스프링(91)이 압축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제1 전달 핀(130)과 제2 전달 핀(140)의 사이에 있어서, 제2 코일 스프링(93)이 압축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각 제1, 2 전달 핀(110∼140)이 제1, 2 베인(51, 52)의 각 저면(51S, 52S)으로부터 각각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고, 각 제1, 2 전달 핀(110∼140)이 로터(41)의 직경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작동시에 있어서, 각 제1 전달 핀(110, 130)에서는, 각 제1 헐겁게 끼움부(111, 131)가 각각 오목부(51H, 51J)의 저면에 충돌하여 타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각 제2 전달 핀(120, 140)에서도, 각 제2 헐겁게 끼움부(121, 141)가 각각 오목부(52H, 52J)의 저면에 충돌하여 타음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각 제1, 2 전달 핀(110∼140)이 제1, 2 베인(51, 52)의 각 저면(51S, 52S)으로부터 각각 이간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제1 플랜지부(113)의 제1 단면(113T)은, 제1 코일 스프링(91)에 의해서 압압 지지됨으로써, 연부(51E)와 면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제1 플랜지부(133)의 제1 단면(133T)에 대해서도, 제2 코일 스프링(93)에 의해서 압압 지지됨으로써, 연부(51J)와 면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작동시에 각 제1 플랜지부(113, 133)가 연부(51E, 51F), 즉, 제1 베인(51)의 저면(51S)에 충돌하여 타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제2 플랜지부(123, 14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서는, 제1 전달 핀(110)의 제1 플랜지부(113) 및 제2 전달 핀(120)의 제2 플랜지부(123)를 통하여, 제1 코일 스프링(91)이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압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1 전달 핀(130)의 제1 플랜지부(133) 및 제2 전달 핀(140)의 제2 플랜지부(143)를 통하여, 제2 코일 스프링(93)이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압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제1 플랜지부(113)의 제1 단면(113T)은, 연부(51E)에 대하여 면 접촉하고 있고, 제1 플랜지부(133)의 제1 단면(133T)도, 연부(51F)에 대하여 면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2 플랜지부(123)의 제1 단면(123T)은, 연부(52E)에 대하여 면 접촉하고 있고, 제2 플랜지부(143)의 제1 단면(143T)도, 연부(52F)에 대하여 면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이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의 양쪽에 직접 맞닿아 이들을 압압 지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 압축기에서는,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이 제1 베인(51)이나 제2 베인을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51)을 제1 베인 홈(41A)에 대하여 안정되게 출몰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2 베인(52)을 제2 베인 홈(41B)에 대하여 안정되게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51) 및 제2 베인(52)을 적합하게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에 가압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실(30A, 30B)로부터 냉매 가스를 새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압축기는, 높은 정숙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제1 헐겁게 끼움부(111, 131)가 각각 오목부(51H, 51J)에 헐겁게 끼워짐으로써, 제1 베인(51)에 각 제1 전달 핀(110, 130)이 장착된다. 또한, 제2 헐겁게 끼움부(121, 141)가 각각 오목부(52H, 52J)에 헐겁게 끼워짐으로써, 제2 베인(52)에 각 제2 전달 핀(120, 140)이 장착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오목부(51H, 51J)에 각 제1 전달 핀(110, 130)을 압입하고, 오목부(52H, 52J)에 각 제2 전달 핀(120, 140)을 압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베인(51)에 각 제1 전달 핀(110, 130)을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제2 베인(52)에 각 제2 전달 핀(120, 140)을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오목부(51H, 51J, 52H, 52J)에 각 제1, 2 전달 핀(110∼140)을 각각 압입함에 의한 제1, 2 베인(51, 52)의 변형 등도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조를 용이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각 제1, 2 헐겁게 끼움부(111, 121, 131, 141)를 오목부(51H, 51J, 52H, 52J)에 헐겁게 끼우는 구성이므로, 압입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여, 각 제1, 2 헐겁게 끼움부(111, 121, 131, 141)나 오목부(51H, 51J, 52H, 52J)의 치수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각 제l, 2 전달 핀(100∼140)이나 제1, 2 베인(51, 52)의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전달 핀(110)에는 제1 테이퍼면(115A)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전달 핀(130)에는 제1 테이퍼면(135A)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달 핀(120)에는 제2 테이퍼면(125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전달 핀(140)에는 제2 테이퍼면(14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1 전달 핀(110)의 제1 축부(115)와 제2 전달 핀(120)의 제2 축부(125)의 사이에 제1 코일 스프링(91)이 끼워넣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달 핀(130)의 제1 축부(135)와 제2 전달 핀(140)의 제2 축부(145)의 사이에 제2 코일 스프링(93)이 끼워넣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은,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적합하게 탄성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각 제1 플랜지부(113, 133)가 제1, 2 연통구멍(61, 63)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각 제2 플랜지부(123, 143)가 제1, 2 연통구멍(61, 63)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동시에 제1, 2 플랜지부(113, 123)가 제1 연통구멍(61)의 내벽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2 플랜지부(133, 143)가 제2 연통구멍(63)의 내벽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도, 이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51)을 제1 베인 홈(41A)에 대하여 적합하게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제2 베인(52)을 제2 베인 홈(41B)에 대하여 적합하게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제1 플랜지부(113)가 제1 전달 핀(110)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플랜지부(123)가 제2 전달 핀(120)의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1, 2 플랜지부(113, 123)의 형성, 나아가서는, 제1, 2 전달 핀(110, 120) 형성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제1, 2 전달 핀(130, 14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제1, 2 통로(5E, 5F), 급유실(80), 제1, 2 연통로(5G, 5H) 및 제1, 2 연통구멍(61, 63)을 거쳐, 토출실(9A) 내의 고압의 냉매 가스가 제1, 2 배압실(49A, 49B)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이 압축기에서는,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이 압압 지지함으로써 제1, 2 베인(51, 52)을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에 가압하는 것에 더하여, 제1 배압실(49A) 및 제2 배압실(49B)의 배압에 의해서도 제1, 2 베인(51, 52)을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에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51) 및 제2 베인(52)을 적합하게 실린더실(31)의 내주면(31S)에 가압할 수 있음과 함께, 압축실(30A,30B)로부터 냉매 가스가 새기 어렵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압축기에서는, 제1, 2 연통구멍(61, 63)이 회전축(19)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 연통로(5G)와 연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2 연통구멍(61, 63)이 배압 유로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배압 유로의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이 동일 형상인 것 외, 각 제1, 2 전달 핀(110∼140)이 동일 형상이다. 이 때문에,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공통화할 수 있음과 함께, 각 제1, 2 전달 핀(110∼140)을 공통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압축기에서는, 제조를 용이화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 비용을 저렴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예 2)
도 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시예 2의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1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연통로(5G)를 없애고 있다. 제1 사이드 플레이트(4)의 후면에, 환상홈(4C)이 회전 축심(X1) 둘레로 원환상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전면에, 환상홈(4C)과 전후에서 쌍을 이루는 환상홈(5C)이 회전 축심(X1) 둘레로 원환상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에는, 제1 통로(5E)의 상단과 환상홈(5C)을 연통하는 제2 통로(305F)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로(305F)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5)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 전방 상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실시예 2의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한다.
실시예 2의 압축기에서는, 토출실(9A) 내에 저류된 윤활유는, 제1, 2 통로(5E, 305F), 환상홈(5C)을 거쳐, 제1 배압실(49A) 및 제2 배압실(49B)에 공급된다. 또한, 환상홈(4C)에 의해, 제1 배압실(49A) 및 제2 배압실(49B)이 연통함으로써, 제1 배압실(49A)과 제2 배압실(49B)의 압력차가 조정된다. 상기 구성인 실시예 2의 압축기도,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시예 3의 압축기에서는, 실시예 1의 제1 전달 핀(110, 130)에 대신하여 제1 전달 핀(310, 330)을 채용함과 함께, 제2 전달 핀(120, 140)에 대신하여 제2 전달 핀(320, 340)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각 제1, 2 전달 핀(310∼340)도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1 연통구멍(61) 내에 있어서, 제1 전달 핀(310)과 제2 전달 핀(320)은, 회전 축심(X1)측이 되는 단부가 쌍방의 사이에 극간(S1)을 가지면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통구멍(63)내에 있어서, 제1 전달 핀(330)과 제2 전달 핀(340)은, 회전 축심(X1)측이 되는 단부가 쌍방의 사이에 극간(S2)을 가지면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전달 핀(310)은, 제1 헐겁게 끼움부(311)와, 제1 원통부(313)를 갖고 있다. 제1 헐겁게 끼움부(311)는, 실시예 1의 제1 헐겁게 끼움부(111)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1 원통부(313)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1 헐겁게 끼움부(311)와 역방향에서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원통부(313)는, 제1 헐겁게 끼움부(311)보다도 대경이고 또한 제1 연통구멍(61)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원통부(313)에는, 제1 베인(51)측에 위치하는 제1 단면(313T)과, 제1 단면(313T)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면(313S)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2 단면(313T, 313S)은 모두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전달 핀(320)은, 제2 헐겁게 끼움부(321)와, 제2 원통부(323)를 갖고 있다. 제2 헐겁게 끼움부(321)는, 실시예 1의 제2 헐겁게 끼움부(121)과 동일한 구성이다. 제2 원통부(323)도 바닥이 있는 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2 헐겁게 끼움부(321)와 역방향에서 로터(4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원통부(323)는, 제2 헐겁게 끼움부(321)보다도 대경이고 또한 제1 연통구멍(61)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통부(323)에는, 제2 베인(52)측에 위치하는 제1 단면(323T)과, 제1 단면(323T)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단면(323S)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2 단면(323T, 323S)에 대해서도, 모두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전달 핀(330)은, 제1 헐겁게 끼움부(331)와, 제1 원통부(333)를 갖고 있다. 제1 원통부(333)에는, 제1 단면(333T) 및 제2 단면(333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전달 핀(340)은, 제2 헐겁게 끼움부(341)와, 제2 원통부(343)를 갖고 있다. 제2 원통부(343)에는, 제1 단면(343T) 및 제2 단면(343S)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달 핀(330)의 구성은 제1 전달 핀(310)과 동일하고, 제2 전달 핀(340)의 구성은 제2 전달 핀(320)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제1, 2 전달 핀(330, 340)의 각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각 제1 전달 핀(310, 330)은, 제1 헐겁게 끼움부(311, 331)를 각각 제1 베인(51)의 오목부(51H, 51J)에 헐겁게 끼움으로써, 제1 베인(51)에 위치 결정되면서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원통부(313)의 제1 단면(313T)은 오목부(51H)의 연부(51E)에 면 접촉하고, 제1 원통부(333)의 제1 단면(333T)은 오목부(51J)의 연부(51F)에 면 접촉하고 있다.
각 제2 전달 핀(320, 340)은, 제2 헐겁게 끼움부(321, 341)를 각각 제2 베인(52)의 오목부(52H, 52J)에 헐겁게 끼움으로써, 제2 베인(52)에 위치 결정되면서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원통부(323)의 제1 단면(323T)은 오목부(52H)의 연부(52E)에 면 접촉하고, 제2 원통부(343)의 제1 단면(343T)은 오목부(52J)의 연부(52F)에 면 접촉하고 있다.
제1 코일 스프링(91)은, 제1 전달 핀(310)의 제1 원통부(313) 내 및 제2 전달 핀(320)의 제2 원통부(323)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코일 스프링(91)의 일단부측은 제1 원통부(313)의 제2 단면(313S)에 맞닿고, 타단부측은 제2 원통부(323)의 제2 단면(323S)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제1 코일 스프링(91)은, 제1 전달 핀(310)과 제2 전달 핀(320)의 사이에 있어서 압축 상태로 설치되어, 제1, 2 전달 핀(310, 320)을 통하여,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제2 코일 스프링(93)은, 제1 전달 핀(330)의 제1 원통부(333) 내 및 제2 전달 핀(340)의 제2 원통부(343)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코일 스프링(93)의 일단부측은 제1 원통부(333)의 제2 단면(333S)에 맞닿고, 타단부측은 제2 원통부(343)의 제2 단면(343S)에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제2 코일 스프링(93)은, 제1 전달 핀(330)과 제2 전달 핀(340)의 사이에 있어서 압축 상태로 설치되고, 제1, 2 전달 핀(330, 340)을 통하여,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실시예 3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각 제1, 2 전달 핀(310∼340) 및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을 통하여, 제1 베인(51)의 변위가 제2 베인(52)에 전달됨과 함께, 제2 베인(52)의 변위가 제1 베인(51)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제1 코일 스프링(91)에 의해서 압압 지지됨으로써, 제1 전달 핀(310)에서는, 제1 원통부(313)의 제1 단면(313T)이 연부(51E)에 면 접촉한 상태로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전달 핀(320)에서는, 제2 원통부(323)의 제1 단면(323T)이 연부(52E)에 면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제1 전달 핀(310)은 제1 베인(51)의 저면(51S)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고, 제2 전달 핀(320)은 제2 베인(52)의 저면(52S)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제2 코일 스프링(93)에 의해서 탄성 지지된 제1, 2 전달 핀(330, 34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와같이, 이 압축기에 대해서도,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실시예 4의 압축기에서는, 각 제1 전달 핀(110, 130)에 있어서, 각각 제1 테이퍼면(115A, 135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각 제2 전달 핀(120, 140)에 있어서도, 각각 제2 테이퍼면(125A, 145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 압축기에서는, 상기의 제1, 2의 코일 스프링(91, 93)에 대신하여, 제1, 2 고무 블록(491, 493)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제1, 2 고무 블록(491, 49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에 상당한다.
제1 고무 블록(491)은, 제1 연통구멍(61) 내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연통구멍(61)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고무 블록(491)은, 제1 전달 핀(110)의 제1 축부(115)와, 제2 전달 핀(120)의 제2 축부(12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고무 블록(491)에는,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는 제1 걸어맞춤구멍(491H)과, 제2 걸어맞춤구멍(491J)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고무 블록(493)은, 제2 연통구멍(63) 내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연통구멍(63) 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고무 블록(493)은, 제1 전달 핀(130)의 제1 축부(135)와, 제2 전달 핀(140)의 제2 축부(14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고무 블록(493)에 대해서도, 서로 대향하여 연장되는 제1 걸어맞춤구멍(493H)과, 제2 걸어맞춤구멍(493J)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전달 핀(110)은, 제1 헐겁게 끼움부(111)가 제1 베인(51)의 오목부(51H)에 헐겁게 끼워짐과 함께, 제1 축부(115)가 제1 고무 블록(491)의 제1 걸어맞춤구멍(491H)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제1 축부(115)의 선단은 제1 걸어맞춤구멍(491H)의 저면(491S)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전달 핀(120)은, 제2 헐겁게 끼움부(121)가 제2 베인(51)의 오목부(52H)에 헐겁게 끼워짐과 함께, 제2 축부(125)가 제1 고무 블록(491)의 제2 걸어맞춤구멍(491J)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제2 축부(125)의 선단에 대해서도, 제2 걸어맞춤구멍(491J)의 저면(491T)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전달 핀(130)에 대해서도, 제1 전달 핀(110)과 마찬가지로, 제1 축부(135)가 제2 고무 블록(493)의 제1 걸어맞춤구멍(493H)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2 전달 핀(140)에 대해서도, 제2 전달 핀(120)과 마찬가지로, 제2 축부(145)가 제2 고무 블록(493)의 제2 걸어맞춤구멍(493J)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축부(135)의 선단은 제1 걸어맞춤구멍(493H)의 저면(493S)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고, 제2 축부(145)의 선단은 제2 걸어맞춤구멍(493J)의 저면(493T)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제1, 2 고무 블록(491, 493)은, 각 제l, 2 전달 핀(110∼140)을 통하여,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제1 고무 블록(491)은 압축한 상태로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달 핀(110)과 제2 전달 핀(120)은, 제1 걸어맞춤구멍(491H)의 저면과 제2 걸어맞춤구멍(491J)의 저면의 사이의 거리에 상당하는 극간(S1)을 가지면서 대면하여 배치된다. 제2 고무 블록(493)에 대해서도 동일하고, 제1 전달 핀(130)과 제2 전달 핀(140)은, 극간(S2)을 가지면서 대면하여 배치된다. 실시예 4의 압축기에 있어서의 다른 구성은, 실시예 1, 2의 압축기와 동일하다.
이 압축기에서는, 각 제1, 2 전달 핀(110∼140) 및 제1, 2 고무 블록(491, 493)을 통하여, 제1 베인(51)의 변위가 제2 베인(52)에 전달됨과 함께, 제2 베인(52)의 변위가 제1 베인(51)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압축기에 있어서도, 제1, 2 고무 블록(491, 493)에 의해서 압압 지지됨으로써,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동일하게, 각 제1 전달 핀(110, 130)은 제1 베인(51)의 저면(51S)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고, 각 제2 전달 핀(120, 140)은 제2 베인(52)의 저면(52S)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이 압축기에 대해서도, 실시예 1의 압축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 1∼4에 입각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1∼4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에서는,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의 사이에, 2개의 제1 전달 핀(110, 130)과, 2개의 제2 전달 핀(120, 140)과, 제1, 2 코일 스프링(91, 93)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베인(51)과 제2 베인(52)의 사이에, 제1 전달 핀(110), 제2 전달 핀(120) 및 제1 코일 스프링(91)만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3개 이상의 제1 전달 핀과, 3개 이상의 제2 전달 핀과, 3개 이상의 코일 스프링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2∼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 각 제1 전달 핀(110, 13O)을 제1 베인(51)의 오목부(51H, 51J)에 각각 압입함으로써, 각 제1 전달 핀(110, 130)을 제1 베인(51)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해도 좋다. 또한, 각 제2 전달 핀(120, 140)을 제2 베인(52)의 오목부(52H, 51J)에 각각 압입함으로써, 각 제2 전달 핀(120, 140)을 제2 베인(52)으로부터 이간하지 않는 상태로 해도 좋다. 실시예 2∼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1, 2, 4에서는, 제1 플랜지부(113)는 오목부(51H)의 연부(51E)에 면 접촉하고 있고, 제2 플랜지부(123)는 오목부(52H)의 연부(52E)에 면 접촉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플랜지부(113)는, 연부(51E) 이외의 개소에서 제1 베인(51)의 저면(51S)에 맞닿고, 제2 플랜지부(113)는, 연부(52E) 이외의 개소에서 제2 베인(52)의 저면(52S)에 맞닿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 1, 2 플랜지부(133, 14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3의 각 제1, 2 원통부(313, 323, 333, 34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1∼3에 있어서, 제1 코일 스프링(91)을 분할하여 2개의 코일 스프링로 해도 좋다. 제2 코일 스프링(9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1∼4의 각 구성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압축기를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은 차량 등의 공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31 : 실린더실
1, 4, 7, 5, 9 : 하우징(1 : 모터 하우징, 4 : 제1 사이드 플레이트, 7 : 실린더 블록, 5 : 제2 사이드 플레이트, 9 : 커버)
X1 : 회전 축심
41 : 로터
30A, 30B : 압축실
41A : 제1 베인 홈
41B : 제2 베인 홈
51 : 제1 베인
51S : 제1 베인의 저면
52 : 제2 베인
52S : 제2 베인의 저면
61, 63 : 연통구멍(61 : 제1 연통구멍, 63 : 제2 연통구멍)
91, 93 : 코일 스프링(91 : 제1 코일 스프링, 93 : 제2 코일 스프링)
491, 493 : 탄성 부재(491 : 제1 고무 블록, 493 : 제2 고무 블록)
51H, 51J : 제1 오목부
52H, 52J : 제2 오목부
51E, 51F, 52E, 52F : 연부
110, 130, 310, 330 : 제1 전달 핀
120, 140, 320, 340 : 제2 전달 핀
111, 131, 311, 331 : 제1 헐겁게 끼움부
113, 133 : 제1 플랜지부
115, 135 : 제1 축부
S1, S2 : 극간
121, 141, 321, 341 : 제2 헐겁게 끼움부
123, 143 : 제2 플랜지부
125, 145 : 제2 축부
115A, 135A : 제1 테이퍼면(제1 축경 부위)
125A, 145A : 제2 테이퍼면(제2 축경 부위)
9A : 토출실
49A : 제1 배압실
49B : 제2 배압실
19 : 회전축
5E, 5F, 310, 5G, 5H, 61, 63 : 배압 유로(5E : 제1 통로, 5F : 제2 통로, 310 : 급유실, 5G : 제1 연통로, 5H : 제2 연통로, 61 : 제1 연통구멍, 63 : 제2 연통구멍)

Claims (9)

  1. 실린더실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실내에 회전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짝수개의 베인 홈이 형성된 로터와,
    상기 각 베인 홈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베인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실의 일면, 상기 실린더실의 내주면, 상기 실린더실의 타면, 상기 로터의 외주면 및, 상기 회전 축심 둘레에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베인에 의해서 압축실이 형성되는 베인형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각 베인 홈은, 제1 베인 홈과, 상기 제1 베인 홈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베인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베인은, 상기 제1 베인 홈에 설치된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 홈에 설치된 제2 베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에는, 상기 제1 베인 홈과 상기 제2 베인 홈을 연통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멍에는, 제l 전달 핀과, 제2 전달 핀과, 상기 제1 전달 핀 및 상기 제2 전달 핀을 통하여 상기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전달 핀은, 상기 제1 베인에 대하여 압압 지지되고,
    상기 제2 전달 핀은, 상기 제2 베인에 대하여 압압 지지되고, 상기 제1 전달 핀과 극간을 가지면서 대면하도록 상기 제1 베인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토출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베인의 저면과 상기 제1 베인 홈의 저면의 사이는 제1 배압실로 되고,
    상기 제2 베인의 저면과 상기 제2 베인 홈의 저면의 사이는 제2 배압실로 되고,
    상기 로터에는, 상기 회전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이 압입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로터에는, 상기 토출실과, 상기 제1 배압실 및 상기 제2 배압실을 연통하는 배압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인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베인형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인은, 상기 제l 베인이 상기 제1 베인 홈 내에 매몰하는 압압력에 의해 제2 베인 홈 내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제1 베인은, 상기 제2 베인이 상기 제2 베인 홈 내에 매몰하는 압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베인 홈 내로부터 돌출하는 베인형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l 베인에는, 상기 회전 축심측의 저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설치된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베인에는, 상기 회전 축심측의 저면으로부터 오목하게 설치된 제2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달 핀은, 상기 제l 오목부내에 헐겁게 끼워진 제1 헐겁게 끼움부와, 상기 제1 헐겁게 끼움부와는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l 축부와, 상기 제1 헐겁게 끼움부와 상기 제1 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l 오목부가 오목하게 설치된 상기 저면과 맞닿는 제1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제2 전달 핀은, 상기 제2 오목부내에 헐겁게 끼워진 제2 헐겁게 끼움부와, 상기 제2 헐겁게 끼움부와는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부와, 상기 제2 헐겁게 끼움부와 상기 제2 축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오목부가 오목하게 설치된 상기 저면과 맞닿는 제2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연통구멍은,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를 연통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축부 및 상기 제2 축부에 지지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부와 맞닿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플랜지부와 맞닿는 코일 스프링인 베인형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부에는, 상기 제2 전달 핀을 향하여 축경하는 제1 축경 부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축부에는, 상기 제l 전달 핀을 향하여 축경하는 제2 축경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베인형 압축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플랜지부는, 상기 연통구멍보다도 소경인 베인형 압축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멍은,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고, 상기 배압 유로의 일부로 되어 있는 베인형 압축기.
  9.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인과 상기 제2 베인은 동일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1 전달 핀과 상기 제2 전달 핀은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는 베인형 압축기.
KR1020160080496A 2015-06-30 2016-06-28 베인형 압축기 KR101869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1712A JP6464942B2 (ja) 2015-06-30 2015-06-30 ベーン型圧縮機
JPJP-P-2015-131712 201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30A KR20170003430A (ko) 2017-01-09
KR101869313B1 true KR101869313B1 (ko) 2018-06-20

Family

ID=5781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496A KR101869313B1 (ko) 2015-06-30 2016-06-28 베인형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64942B2 (ko)
KR (1) KR1018693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8744A (ja) 2008-12-10 2010-06-24 Panasonic Corp ベーンロータリ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3292A (en) * 1948-02-21 1953-03-31 Voznica Karel Rotary compressor for gas or liquids with rotor eccentrically mounted in cylindrical housing
JPS5030650Y1 (ko) * 1969-11-28 1975-09-08
JPS5139204Y2 (ko) 1972-06-05 1976-09-25
JPS51338U (ko) * 1974-06-18 1976-01-06
JPS60132086A (ja) * 1983-12-19 1985-07-13 Toyoda Autom Loom Works Ltd ベ−ン圧縮機
JPH0746785Y2 (ja) * 1989-01-31 1995-10-25 光洋精工株式会社 ベーンポンプ
JPH10103267A (ja) * 1996-09-26 1998-04-21 Mikuni Corp バキュームポンプ
JP2010084575A (ja) * 2008-09-30 2010-04-15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ータリー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8744A (ja) 2008-12-10 2010-06-24 Panasonic Corp ベーンロータリ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64942B2 (ja) 2019-02-06
KR20170003430A (ko) 2017-01-09
JP2017014980A (ja)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2907B2 (en) Vane-type compressor having an oil supply channel between the oil resevoir and vane angle adjuster
US20050220655A1 (en) Rolling piston and gas leakage preventing apparatus for rotary compressor having the same
US11710992B2 (en) Motor and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US20100296959A1 (en) Rotary-type fluid machine
US10087934B2 (en) Vane compressor
KR101869316B1 (ko) 베인형 압축기
US9885359B2 (en) Motor-driven compressor
US8251682B2 (en) Multi stage rotary expand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with the same
KR101710350B1 (ko) 저배압 회전식 압축기
KR102269944B1 (ko) 압축기
KR101869313B1 (ko) 베인형 압축기
WO2011080924A1 (ja) ベーン型圧縮機の潤滑オイル供給構造
AU2018310263B2 (en) Oldham's ring and scroll compressor
JP6091303B2 (ja) ローリングピストン形圧縮機
KR20190038341A (ko) 베인형 압축기
JPWO2016017281A1 (ja) 回転式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60281717A1 (en) Rotary compressor
KR101750683B1 (ko) 압축기
CN111379699A (zh) 压缩机
JP2016125403A (ja) ベーン型圧縮機
JP6843307B1 (ja) ロータリ圧縮機
US20220307501A1 (en) Electric compressor
JP7047792B2 (ja) 圧縮機
JP2016125402A (ja) ベーン型圧縮機
JP2016125401A (ja) ベーン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