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993B1 -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993B1
KR101868993B1 KR1020170141025A KR20170141025A KR101868993B1 KR 101868993 B1 KR101868993 B1 KR 101868993B1 KR 1020170141025 A KR1020170141025 A KR 1020170141025A KR 20170141025 A KR20170141025 A KR 20170141025A KR 101868993 B1 KR101868993 B1 KR 10186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database
management system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캠
Priority to KR1020170141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은, 작업유형별 작업단가를 포함하는 발주처 정보, 납품처 정보, 및 필름유형 또는 필름규격을 포함하는 원자재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정보 관리 모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발주처, 납품처, 작업유형, 및 작업할 필름유형 또는 필름유형을 정의하는 작업 정보와, 상기 정보 관리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세부사항이 포함된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작업내역 관리 모듈;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내역서, 라벨 또는 거래명세서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쇄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 정보로부터 작업세부사항을 자동으로 채워 넣어 작업내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작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기초로 원자재 입고 요청, 작업 일정, 업체별 할인율 및/또는 작업 우선 순위 등을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써 작업 능률과 거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WORK MANAGEMENT TO MANUFACTURE PRINTED CIRCUIT BOARD }
실시예들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 정보로부터 작업세부사항을 자동으로 채워 넣어 작업내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작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기초로 원자재 입고 요청, 작업 일정, 업체별 할인율 및/또는 작업 우선 순위 등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작업 관리 기술에 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페놀(phenol) 수지 또는 에폭시(epoxy)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판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동박(copper foil)을 압착시킨 후, 다양한 종류의 부품으로 된 회로에 상응하는 패턴(배선)을 형성하고, 불필요한 부분은 부식시켜 동박을 제거함으로써 회로를 구성한 것을 지칭한다. 하드(hard) PCB의 경우, 원자재인 절연판의 위에 절연판 크기에 맞는 패턴 필름을 출력하고, 이를 코팅에 의하여 보호하는 등의 처리를 거쳐 최종 제품이 얻어지게 된다.
PCB 제작 관리를 위해서는, PCB의 작업유형별 작업단가나 원자재 단가 등을 통합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에서는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을 통하여 기업의 매출 현황이나 거래내역 등을 관리하고 있는데, 기존의 ERP 시스템은 하드 PCB 제작을 위한 원자재 관리나 작업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정보 입력 항목이나 정보 검색에 특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PCB 제작을 위한 작업내역을 관리하는 것이 수월하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18120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 정보로부터 작업세부사항을 자동으로 채워 넣어 작업내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작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기초로 원자재 입고 요청, 작업 일정, 업체별 할인율 및/또는 작업 우선 순위 등을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은, 작업유형별 작업단가를 포함하는 발주처 정보, 납품처 정보, 및 필름유형 또는 필름규격을 포함하는 원자재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정보 관리 모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발주처, 납품처, 작업유형, 및 작업할 필름유형 또는 필름유형을 정의하는 작업 정보와, 상기 정보 관리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세부사항이 포함된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작업내역 관리 모듈;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내역서, 라벨 또는 거래명세서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쇄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은, 완료된 작업내역에 대한 출고처리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출고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출고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통계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계 생성 모듈은, 업체별 거래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에 상응하는 업체별 할인율을 결정하고, 상기 업체별 할인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내역 관리 모듈은, 상기 작업내역 정보의 생성 시 발주처 또는 납품처에 상응하는 업체별 할인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업체별 할인율을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계 생성 모듈은, 원자재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향후 작업에 대한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내역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원자재 입고 요청서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계 정보는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작업내역 관리 모듈은, 상기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무일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근무일정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계 생성 모듈은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내역 관리 모듈은, 상기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작업유형별 작업단가를 포함하는 발주처 정보, 납품처 정보, 및 필름유형 또는 필름규격을 포함하는 원자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발주처, 납품처, 작업유형, 및 작업할 필름유형 또는 필름유형을 정의하는 작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작업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세부사항이 포함된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한 작업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내역서, 라벨 또는 거래명세서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완료된 작업내역에 대한 출고처리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출고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계 정보는 업체별 거래내역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상기 업체별 거래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에 상응하는 업체별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업체별 할인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발주처 또는 납품처에 상응하는 업체별 할인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업체별 할인율을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계 정보는 원자재 사용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상기 원자재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향후 작업에 대한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원자재 입고 요청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계 정보는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상기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무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근무일정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계 정보는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기록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상기 업체별 출고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 정보로부터 작업단가나, 필름유형이나 필름규격을 포함하는 원자재 기본정보 등 작업세부사항을 자동으로 채워 작업내역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작업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기초로 각 작업내역에 상응하는 작업내역서, 라벨 및 거래명세표 등을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화된 작업내역에 대한 다양한 통계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원자재 사용에 대한 통계를 기초로 원자재 사용량을 예측하여 자동으로 입고 요청서를 생성하거나,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를 기초로 최적화된 근무일정표를 자동 생성하거나, 발주처 업체별 거래내역에 기초하여 할인율을 결정하거나,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출고 기록 통계에 기초하여 출고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등 지능형 작업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작업 효율과 거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a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발주처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화면의 이미지이다.
도 3b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원자재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화면의 이미지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작업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화면의 이미지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예시적인 작업내역서의 이미지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예시적인 작업 통계 정보의 이미지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1)은, 작업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20, 30, 40, 50, 60, 70)과, 작업내역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80)를 포함한다. 또한, 작업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10) 및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거나 소정의 정보를 인쇄물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1)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작업 관리 시스템(1)과 이에 포함된 각 부(unit) 또는 모듈(module)은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반드시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의 작업 관리 시스템(1)에 포함된 각 부 또는 모듈은 작업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드웨어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각각의 부 또는 모듈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작업 관리 시스템(1)은 작업내역의 세부사항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2)와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작업 관리 시스템(1)과 외부 서버(2) 사이의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작업 관리 시스템(1)과 외부 서버(2)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관리 시스템(1)은 정보 관리 모듈(20), 작업내역 관리 모듈(30) 및 인쇄 관리 모듈(40)을 포함한다.
정보 관리 모듈(20)은, 사용자로부터 작업유형별 작업단가를 포함하는 발주처 정보, 납품처 정보, 및/또는 원자재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보들은 입력부(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정보 관리 모듈(20)이 외부 서버(2)를 조회하여 수신한 것일 수도 있다.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은, 입력부(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업정보를 수신하고, 작업 정보와 함께, 정보 관리 모듈(20)에 의해 미리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세부사항이 포함된 작업내역을 생성한다. 이때, 작업세부사항은 데이터베이스(80)의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인쇄관리 모듈(40)은,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출력부(90)에 의하여 인쇄물 형태로 출력되기 위한 작업내역서, 라벨 및/또는 거래명세서 등을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정보 관리 모듈(20)이 사용자로부터 작업유형별 작업단가를 포함하는 발주처 정보, 납품처 정보, 및/또는 원자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할 수 있다(S1).
도 3a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발주처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화면의 이미지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화면의 영역(301)을 이용하여 PCB 제작을 의뢰한 발주처의 이름, 사업자 번호, 대표자명, 업태, 업종,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 담당자명, 이메일 주소 및/또는 결제 예정일을 포함하는 발주처 정보를 정보 관리 모듈(2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영역(302)을 이용하여 해당 발주처에 관련된 작업유형별 작업단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영역(303)을 이용하여 단가에 대한 변경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영역(302)에서 신규, 반복, 또는 코팅은 PCB를 제작할 절연판상에 이루어지는 필름 처리를 의미하며, 각 유형 뒤의 숫자는 대상이 되는 원자재 절연판의 지름을 인치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발주처 정보의 입력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발주처에 의하여 의뢰된 PCB를 제작 후 이를 수령할 납품처의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납품처 정보도 정보 관리 모듈(2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3b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원자재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화면의 이미지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원자재란 회로에 상응하여 패턴된 필름을 포함하는 PCB를 제작하기 위한 작업 대상물인 절연판, 필름, 코팅지 등을 지칭한다. 사용자는 원자재의 이름, 규격, 단가 정보, 단가 변경 정보, 구입처명, 담당자명, 구입처/담당자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원자재 정보를 정보 관리 모듈(2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모듈(20)은 PCB 제작 과정의 관리를 위하여 각 작업유형, 각 발주처 또는 납품처 업체, 또는 각 원자재 등에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코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정보 관리 모듈(20)은 작업 관리 시스템(1)을 사용하는 담당자의 이름, ID, 비밀번호, 이메일 주소, 연락처, 등급, 부서, 직위 등과 같은 담당자 정보나, 작업 관리 시스템(1)을 사용하는 기업체의 회사명, 대표자명, 사업자 번호, 업태, 업종, 주소, 전화, 팩스, 이메일 주소 등과 같은 회사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더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관리 모듈(2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원자재의 일부 정보를 기초로 외부 서버(2)를 조회함으로써, 외부 서버(2)로부터 해당 원자재에 관련된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2)는 원자재 제조 업체 또는 제조 업체 관리 기관의 서버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필름의 모델명을 입력하면, 해당 모델명을 이용하여 정보 관리 모듈(20)에서 외부 서버(2)를 조회하여, 해당 모델명을 가지는 원자재 필름의 유형, 규격 및/또는 단가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자재에 관련된 기본 정보가 정보 관리 모듈(20)에 의하여 자동으로 획득되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정보를 입력하는 수고를 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은 사용자로부터 PCB 제작을 위해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 정보 및 정보 관리 모듈(20)에 의해 사전에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 또한,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은 생성한 작업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할 수 있다(S3). 일 실시예에서,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은 작성부(310), 검색부(320) 및 일정 편성부(33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는 작성부(310)를 통하여 작업 관리 시스템(1)에 작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작업 정보를 입력하는 예시적인 화면의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화면상의 영역(40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업 관리 장치(1)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영역(401-406)을 이용하여 작성하고자 하는 작업에 관련된 일련번호, 발주처, 납품처, 작업유형, 작업우선순위, 출력장비 등 작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영역(402, 403)을 이용하여 발주처와 납품처의 업체명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발주처와 납품처는 사전에 정보 관리 모듈(20)에 발주처 또는 납품처로 등록된 업체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새로운 업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정보 관리 모듈(20)에 미리 업체 정보가 입력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영역(404)을 통하여 PCB 제작과 관련하여 수행할 작업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PCB 제작 공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작업 유형은 1) 단순 출력 - 패턴이 지정되어 있는 필름의 출력 작업, 2) 신규 - 새로운 필름에 배열, 자삽가이드, 자삽홀, 인식마크, 미싱홀, 각홀 등 패턴을 형성하는 작업, 3) 반복 - 패턴이 작성된 필름을 재출력하는 작업, 4) 불량재처리 - 출력된 필름에서 불량이 발생하여 재출력하는 작업, 5) 자체재처리 - 출력된 필름이 수정 변경되어 재출력하는 작업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유형의 종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영역(405)을 통하여 현재 작성하는 작업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의 우선 순위는 a) 지급 - 출력 의뢰로부터 출고까지 1시간 이내인 경우, b) 일반 - 출력 의뢰로부터 출고까지 2시간 이내인 경우, 및 c) 익일 아침 - 익일 아침까지 출고가 이루어지면 되는 경우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선순위의 종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작업의 우선순위는 사용자의 입력을 기본으로 하되 통계 정보에 의한 데이터 또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영역(406)을 통하여 해당 작업에 사용되어야 하는 출력장비를 선택할 수 있다. 출력장비는 PCB용 패턴 필름의 출력을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LP9, LP9008, LP7008 등의 상용화된 장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는 작업에 사용될 원자재 정보로서 영역(407)을 이용하여 사용할 필름의 유형을 정의할 수 있고, 영역(408)을 이용하여 사용할 필름의 규격을 정의할 수 있으며, 영역(409)을 이용하여 각 필름의 사용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영역(407)을 이용하여 작업할 필름의 종류와 수량, 코팅 유무, 펀칭(punching) 크기, 검사 방법, 스케일(scale) 등의 원자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일부 항목을 입력하면, 정보 관리 모듈(2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나머지 작업세부사항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은 사용자가 필름의 양면 또는 단면 여부와, 필름의 종류를 내층, 패턴, 마스크, 실크, 제판 및 기타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면, 해당 유형의 필름에 대하여 정모 관리 모듈(20)에 의해 사전 지정된 마스크 종류, 코팅 유무, 펀칭 크기, 검사 방법 및 스케일을 적용하도록 작업세부사항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영역(408)을 이용하여 필름에 대하여 수행할 작업의 유형(예컨대, 신규, 반복, 코팅, 무료)과 필름 규격(예컨대, 16인치, 24인치, 28인치, 30인치, 32인치)을 입력할 수 있다.
작업 관리 시스템(1)의 작성부(31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발주처, 납품처, 작업유형, 및 작업할 필름유형 또는 필름유형을 정의하는 작업 정보를 기초로, 작업세부사항이 포함된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며(S2), 생성된 작업내역을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한다(S3). 이때 작업내역이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 외에도, 이러한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8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작성부(310)에 의하여 자동 생성된 작업세부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성부(310)는 사용자가 입력된 작업 유형(예컨대, 신규, 반복, 코팅, 무료)과 필름 규격(예컨대, 16인치, 24인치, 28인치, 30인치, 32인치)과 데이터베이스(80)에 사전에 저장된 작업 단가를 기초로 자동으로 작업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작성부(310)는 생성된 작업내역을 출력부(90)에 의하여 인쇄 가능한 작업내역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4).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예시적인 작업내역서의 이미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내역서는 발주처명, 납품자명, 작업 구분, 모델명, 우선순위, 출력 사양, 출력 장비, 필름 코팅 사양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작업내역서는 규정된 작업 외 추가 작업의 내용이나 금액 정보, 원자재 사용 내역 정보 및/또는 발주처의 필름 의뢰 내용이나 작업 시 유의사항과 같은 참고사항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성부(310)는 해당 작업내역에 부여된 작업 우선 순위에 따라 작업내역서의 형식, 색상, 배열 등을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써 작업내역서를 보고 작업 우선 순위를 한 눈에 판별할 수 있도록 작업내역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성부(310)는, 작업 우선 순위가 "지급(출력 의뢰로부터 출고까지 1시간 이내인 경우)"일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붉은 색을 배경색으로 작업내역서를 생성하고, 작업 우선 순위가 "일반(출력 의뢰로부터 출고까지 2시간 이내인 경우)"일 경우 작업내역서의 배경색을 녹색으로 생성하며, 작업 우선 순위가 "익일 아침(익일 아침까지 출고가 필요한 경우)"일 경우 작업내역서의 배경색을 청색으로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작성부(310)는 작업내역서 외에도 생성된 작업내역을 기초로 하며 출력부(90)에 의하여 인쇄되기 위한 라벨 및/또는 거래명세서 등을 더 출력할 수도 있다(S4). 라벨은 필름이 사용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패턴 및 마스크로 분리된 2 장의 라벨 또는 1장의 통합 라벨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거래내역서는 세금계산 내역을 포함하는 거래명세서표나 엑셀(excel) 파일 형태의 거래내역표 등일 수 있으며, 거래명세서는 발주처에서 의뢰한 작업 건 별로 또는 작업 일시별로 생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작성부(310)는 데이터베이스(80)의 작업내역과 별도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원하는 형태의 라벨을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관리 시스템(1)의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은 검색부(320)를 더 포함한다. 검색부(320)는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작업내역을 사용자가 작업 번호, 모델명, 발주처명, 작업내역 작성일시, 출고일시, 담당자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관리 시스템(1)은 마감 관리 모듈(50)을 더 포함한다. 마감 관리 모듈(50)은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작업내역에 연관된 발주처, 작업 시작일, 작업 마감일, 청구금액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거래내역 발송이 종료된 작업내역에 대한 사용자의 마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발주처나 기간을 설정하여 작업내역을 조회하고, 조회된 하나 이상의 작업내역에 대한 마감 또는 마감해제를 선택할 수 있다. 마감 입력이 수신된 작업내역은 데이터베이스(80)에서 수정 또는 변경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되며, 통계 정보, 예컨대, 발주처별 월별 거래내역 등의 산출을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작업 관리 시스템(1)은 출고 관리 모듈(60)을 더 포함한다. 출고 관리 모듈(60)은, 사용자로부터 완료된 작업내역에 대한 출고처리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출고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작업내역을 갱신하도록 구성된다(S5). 사용자는 작업이 완료된 제품을 출고할 때 입력부(10)를 통하여 출고처리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입력부(10)에 구비된 바코드(barcode) 스캐너(scanner)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제품의 바코드를 스캔함으로써 출고자, 출고시각 등을 포함하는 출고처리 정보를 입력한다. 출고 관리 모듈(60)은 사용자가 입력한 출고처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80)에 실시간 반영하는 한편, 출고 완료된 작업내역에 대하여 모델명, 발주처명, 납품처명 등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관리 시스템(1)은 통계 생성 모듈(70)을 더 포함한다. 통계 생성 모듈(70)은,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통계 생성 모듈(70)에 의하여 생성된 통계 정보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원자재 입고 요청, 작업 일정, 업체별 할인율 및/또는 작업 우선 순위 등을 자동 조절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통계 생성 모듈(70)은, 생성하는 통계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할인율 산출부(710), 원자재 사용량 산출부(720), 작업통계 산출부(730) 및 출고기록 산출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할인율 산출부(710)는,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거래내역을 발주처 또는 납품처 업체별로 분류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에 상응하는 업체별 할인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S7-1). 예를 들어, 할인율 산출부(710)는 업체별 거래량에 기초하여 거래량을 하기 표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작업 수량에 따른 복수 개의 구간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간에 상이한 할인율을 부여함으로써, 거래량이 많은 업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할인율을 부여할 수 있다.
발주처 또는 납품처 거래량 할인율
0 ~ A 0 %
A ~ B 2 %
B ~ C 5 %
C ~ D 7 %
D 초과 10 %
상기 표 1에서 각 거래량 구간을 정의하는 수량 A 내지 D는 사용자에 의하여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할인율 산출부(710)에 저장된 소정의 규칙에 의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할인율 산출부(710)에서는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전체 작업내역을 기초로 업체별 평균 거래수량을 산출하고, 할인율을 적용하기 위한 거래량 구간을 정의하는 A 내지 D를 예컨대 각각 업체별 평균 거래수량의 120%, 150%, 170% 및 200 %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업체별 할인율은 전체 작업에 일괄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작업 유형에 따라 신규 작업의 경우와 반복 작업의 경우에 대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표 1에 기재된 거래수량의 구분 방법이나 각 거래수량별 할인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의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할인율 산출부(710)에 의하여 부여된 할인율은 데이터베이스(8)에 저장되며, 추후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업 정보를 기초로 작업내역을 생성할 때,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작업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S7-2).
한편, 원자재 사용량 산출부(720)는, 데이터베이스(80)의 작업내역을 기초로 작업에 소요되는 각 원자재의 사용 데이터를 산출하며, 원자재 사용 데이터를 기초로 향후 작업에 대한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S8-1).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는, 과거의 원자재 사용량 변화 추이를 기초로 연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5주간 원자재 사용량이 주간 3%의 증가율로 증가하여 왔다면, 바로 전 주의 원자재 사용량의 103%를 다가오는 주의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는 특정 일시나 요일을 기준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월 말(예컨대, 25일부터 말일) 또는 매 주 금요일 등 특정 구간 동안 다른 일자에 비하여 작업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면, 다른 일자 대비 해당 구간의 거래량 증가율을 산출하고, 통상의 작업량에 이러한 거래량 증가율을 곱함으로써 다가올 해당 구간(즉, 월말 또는 금요일 등)의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앞에 기재한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산출 방법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원자재 사용량 산출부(720)에 의하여 산출된,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은 데이터베이스(8)에 저장된다.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은,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과 현재 원자재 잔여량을 비교하여, 원자재 잔여량과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사이의 차이가 소정의 문턱값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원자재 입고 요청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S8-2).
한편, 작업통계 산출부(730)는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작업내역을 작업 유형별 또는 작업 일시별로 구분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계 정보에는, 작업 유형 또는 일시에 따라 구분된 각 특성을 가지는 작업의 절대량과, 이들 사이의 상대적인 비율 또는 증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의 일정 편성부(330)는,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무일정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근무일정 정보가 작성부(310)에 의한 작업내역 생성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S9-1, S9-2). 이의 일 예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의해 출력되는 예시적인 작업 통계 정보의 이미지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통계 산출부(730)에 의하여 산출되는 통계 정보의 일 예는, 주간의 필름 작업량(601), 야간의 필름 작업량(602) 및 주간과 야간을 합게한 필름 작업량(603)을 포함하며, 각각의 작업량은 작업의 유형(예컨대, 신규, 반복, 코팅, 무료) 및 필름 규격(예컨대, 16인치, 24인치, 28인치, 30인치, 32인치) 별로 구분되어 있다. 일정 편성부(330)는, 이러한 통계 정보를 활용하여, 작업량이 주간 또는 야간 중 어느 한 쪽에 지나치게 치중되지 않도록 작업일시를 자동으로 결정하며, 이와 같이 자동 결정된 작업일시를 반영하여 작업내역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출고기록 산출부(740)는, 데이터베이스(80)의 작업내역을 기초로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기록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한다(S10-1). 표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업체별 할인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업체별 출고기록에 기초하여 출고량을 복수 개의 구간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간에 상이한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출고량이 많은 업체의 제품이 더 높은 우선순위로 출고되도록 할 수 있다.
출고기록 산출부(740)에 의하여 산출된 각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는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다. 작업내역 관리 모듈(30)은, 작업내역을 생성함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고려하여, 소정의 기준값 이상으로 높은 가중치가 부여된 업체를 발주처 또는 납품처로 하는 작업일 경우 출고 우선순위의 단계를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것에 비하여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다(S1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작업 우선순위를 "일반(출력 의뢰로부터 출고까지 2시간 이내인 경우)"으로 지정하였더라도, 해당 작업의 발주처가 기준값 이상으로 높은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가 부여된 업체일 경우 자동으로 작업 우선순위를 "지급(출력 의뢰로부터 출고까지 1시간 이내인 경우)"으로 변경하여 작업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통계 생성 모듈(70)에 의하여 생성되는 통계 정보는 전술한 예시적인 정보들 외에도 일일 매출 현황, 기간별 매출량과 매출액 대비 원자재 사용량 및/또는 사용액 및 영업 이익을 포함하는 매출 상세 통계 등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에 있어 활용 가능한 임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기록매체에는 PCB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며,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작업유형별 작업단가를 포함하는 발주처 정보, 납품처 정보, 및 필름유형 또는 필름규격을 포함하는 원자재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정보 관리 모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발주처, 납품처, 작업유형, 및 작업할 필름유형 또는 필름유형을 정의하는 작업 정보와, 상기 정보 관리 모듈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세부사항이 포함된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작업내역 관리 모듈;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내역서, 라벨 또는 거래명세서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쇄관리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통계 생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며 복수 개의 단계로 구분되는 작업 우선순위를 포함하며,
    상기 통계 생성 모듈은,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업체별 출고량을 복수 개의 구간별로 구분하고, 출고량이 더 많은 구간에 더 높은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구간 각각에 상응하는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함으로써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작업내역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상기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상기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업 우선순위에 비해 작업 우선순위를 한 단계 증가시켜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완료된 작업내역에 대한 출고처리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출고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된 출고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생성 모듈은, 업체별 거래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에 상응하는 업체별 할인율을 결정하고, 상기 업체별 할인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작업내역 관리 모듈은, 상기 작업내역 정보의 생성 시 발주처 또는 납품처에 상응하는 업체별 할인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업체별 할인율을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생성 모듈은, 원자재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향후 작업에 대한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작업내역 관리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원자재 입고 요청서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내역 관리 모듈은, 상기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무일정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근무일정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작업 관리 시스템에, 작업유형별 작업단가를 포함하는 발주처 정보, 납품처 정보, 및 필름유형 또는 필름규격을 포함하는 원자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발주처, 납품처, 작업유형, 및 작업할 필름유형 또는 필름유형을 정의하는 작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작업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세부사항이 포함된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생성한 작업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내역서, 라벨 또는 거래명세서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에 대한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통계 정보는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업체별 출고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며 복수 개의 단계로 구분되는 작업 우선순위를 포함하고,
    상기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업체별 출고량을 복수 개의 구간별로 구분하고, 출고량이 더 많은 구간에 더 높은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가 부여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구간 각각에 상응하는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함으로써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상기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발주처 또는 납품처의 상기 업체별 출고 우선순위 가중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업 우선순위에 비해 작업 우선순위를 한 단계 증가시켜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완료된 작업내역에 대한 출고처리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출고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업체별 거래내역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업체별 거래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발주처 또는 납품처에 상응하는 업체별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업체별 할인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발주처 또는 납품처에 상응하는 업체별 할인율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업체별 할인율을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원자재 사용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원자재 사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향후 작업에 대한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예측된 원자재 사용량 정보에 기초하여, 원자재 입고 요청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는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작업유형별 또는 작업일시별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무일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이, 상기 근무일정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
  14. 삭제
  1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8항, 제9항 또는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방법을 실행하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41025A 2017-10-27 2017-10-27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86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025A KR101868993B1 (ko) 2017-10-27 2017-10-27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025A KR101868993B1 (ko) 2017-10-27 2017-10-27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993B1 true KR101868993B1 (ko) 2018-06-20

Family

ID=6276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025A KR101868993B1 (ko) 2017-10-27 2017-10-27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9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454B1 (ko) * 2019-07-17 2020-08-07 권재용 제지 공정에 사용되는 화학 약품의 유통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2183956A (zh) * 2020-09-10 2021-01-05 胜宏科技(惠州)股份有限公司 一种PCB创建工程Inplan 物料的系统及方法
KR102525625B1 (ko) * 2022-12-01 2023-04-26 주식회사 에프엔에이치 사용자를 위한 정산 처리 시스템 제공 방법
KR102626117B1 (ko) * 2023-07-13 2024-01-17 (주)알엠에이 물류환경에 따른 최적 생산 시뮬레이션 방법
CN117555307A (zh) * 2024-01-11 2024-02-13 中南大学 铝合金构件多源异构生产数据采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120A (ko) 1997-08-26 1999-03-15 윤종용 인쇄회로기판의 버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10084924A (ko) * 2001-04-24 2001-09-07 김영삼 배분율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KR20090096000A (ko) * 2008-03-07 2009-09-10 신동옥 온라인을 통한 금형 제작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08171A (ko) * 2010-07-16 2012-01-30 보성테크 주식회사 실시간 smt 생산 라인 자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6424A (ko) * 2015-06-08 2015-10-15 주식회사 페라솔루션 자동화 플랫폼을 이용한 인쇄물 생산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120A (ko) 1997-08-26 1999-03-15 윤종용 인쇄회로기판의 버전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10084924A (ko) * 2001-04-24 2001-09-07 김영삼 배분율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KR20090096000A (ko) * 2008-03-07 2009-09-10 신동옥 온라인을 통한 금형 제작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08171A (ko) * 2010-07-16 2012-01-30 보성테크 주식회사 실시간 smt 생산 라인 자재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6424A (ko) * 2015-06-08 2015-10-15 주식회사 페라솔루션 자동화 플랫폼을 이용한 인쇄물 생산관리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454B1 (ko) * 2019-07-17 2020-08-07 권재용 제지 공정에 사용되는 화학 약품의 유통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N112183956A (zh) * 2020-09-10 2021-01-05 胜宏科技(惠州)股份有限公司 一种PCB创建工程Inplan 物料的系统及方法
KR102525625B1 (ko) * 2022-12-01 2023-04-26 주식회사 에프엔에이치 사용자를 위한 정산 처리 시스템 제공 방법
KR102626117B1 (ko) * 2023-07-13 2024-01-17 (주)알엠에이 물류환경에 따른 최적 생산 시뮬레이션 방법
CN117555307A (zh) * 2024-01-11 2024-02-13 中南大学 铝合金构件多源异构生产数据采集系统
CN117555307B (zh) * 2024-01-11 2024-04-09 中南大学 铝合金构件多源异构生产数据采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993B1 (ko) 인쇄회로기판 제작을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181107B2 (en) Using consumption data and an inventory model to generate a replenishment plan
CA2747928C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ufacturing estimation production assembly and inventory management
US80278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demand for configurable products
US20190332991A1 (en) Inventory management apparatus, inventory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80319923A1 (en) Investment Analysis and Planning System and Method
US10002364B2 (en) Consumption-driven forecasting using multi-level heterogeneous input data
CN110276571A (zh) 货物调度方法和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6503352A (ja) プランニング、スケジューリングおよびサプライ・チェーン・マネジメントを改善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370757B2 (ja)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JP5439275B2 (ja) 情報処理装置、原価見通し算出方法、および原価見通し算出プログラム
JP2019008501A (ja) 生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生産管理方法
WO2016079843A1 (ja) 生産計画調整支援装置および生産計画調整支援方法
US201402786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ments of parts and labor costs in a facilities management computing environment
US200401227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riorities of manufacturing orders
KR102047277B1 (ko) TaaS 기반의 자산조달관리 장치
US20170124634A1 (en) EZCloud Sales (ECS)
JP2005029368A (ja) 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JP2021072022A (ja) 在庫評価装置
JP2016184250A (ja)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Luo et al. A Case Study of Supply Chain Management in a Manufacturing Company in China
JP3853649B2 (ja) 生産管理支援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17314587A (zh) 一种销售订单状态跟踪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4300734B2 (ja) 生産計画システム
JP2001026307A (ja) 拠点間在庫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