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875B1 -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875B1
KR101868875B1 KR1020170013939A KR20170013939A KR101868875B1 KR 101868875 B1 KR101868875 B1 KR 101868875B1 KR 1020170013939 A KR1020170013939 A KR 1020170013939A KR 20170013939 A KR20170013939 A KR 20170013939A KR 101868875 B1 KR101868875 B1 KR 10186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xt
received
operation comman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413A (ko
Inventor
이금구
성주연
추희정
문민정
오현주
곽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8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Abstract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재생 동기화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재생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고, 제2 디바이스도 재생 스케줄에 따른 재생이 가능하도록 제2 디바이스에 재생 스케줄을 전송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내용이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Method for play synchroniza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디바이스들을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의 등장으로 인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도 많아지게 되었다. 사용자는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에 파묻혀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근자에 이르러 더욱 가속화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고성능화와 다기능화는, 그 기여도를 한층 더 향상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며, 그 해법을 디지털 디바이스가 더욱 고성능화되고 다기능화되는 것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들이 상호 융합하여 기능함으로서,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지 못한 새로운 기능이 창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재생되도록 하는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동기화 방법은, 제1 디바이스가, 재생 스케줄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재생 스케줄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제2 디바이스도 상기 재생 스케줄에 따른 재생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상기 재생 스케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재생 동기화 방법은, 상기 재생 스케줄에 따른 재생에 필요한 컨텐츠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재생 동기화 방법은,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입력된 조작 명령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도 상기 조작 명령에 따른 재생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상기 조작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재생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상기 제2 디바이스도 상기 재생 스케줄에 따른 재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단계 수행 중에,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가 입력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입력된 컨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와 함께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도 입력된 컨텐츠를 현재 재생중인 컨텐츠와 함께 재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상기 입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재생 중인 내용이 다른 디바이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의 사용법을 아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재생 내용이 디바이스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도 동일하게 나타나게 되어, 디바이스의 사용법을 모르는 사용자도 자신의 디바이스를 통해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에 위치한 전자액자들이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에 위치한 전자액자들이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타임 라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모바일-폰을 이용한 텍스트 컨텐츠 생성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모바일 폰을 이용한 오디오 컨텐츠 생성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전자액자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7은 모바일-폰의 상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조작 명령 공유에 의한 전자액자들의 재생 동기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에 위치한 전자액자들이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여기서, 재생 동기화란, 복수의 전자액자들이 실시간으로 동일한 컨텐츠를 재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특히, 도 1에서는 어느 하나의 전자액자에서 입력된 조작 명령을 모든 전자액자들이 공유하여 재생 동기화가 수행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에 의해 마스터-전자액자(110)에 재생 동기화 명령이 입력되면(S205-Y),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슬레이브-전자액자(12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을 설정한다(S210).
S210단계에서의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조작명령을 입력받는다(S215).
S215단계에서 입력되는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은, 1) 선택된 컨텐츠 재생 명령, 2) 재생 일시 중지 명령, 3) 재생 정지 명령, 4) 다음 컨텐츠 재생 명령 및 5) 이전 컨텐츠 재생 명령, 6) 컨텐츠 전환시 시각효과 설정/편집 명령 등이 포함된다.
선택된 컨텐츠 재생은, a) 한 종류의 컨텐츠만을 재생하는 것은 물론, b) 다른 종류의 컨텐츠들을 함께 재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a)'의 예로, a1) 사진 컨텐츠만을 재생, 또는 b) 동영상 컨텐츠만을 재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b)'의 예로, b1) 사진 컨텐츠와 오디오 컨텐츠를 함께 재생, b2) 사진 컨텐츠와 텍스트 컨텐츠를 함께 재생, b3) 오디오 컨텐츠와 텍스트 컨텐츠를 함께 재생, 또는 b4) 사진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를 함께 재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컨텐츠는, c1) 사진 컨텐츠에 대한 부가 설명을 위한 텍스트가 수록된 컨텐츠 및 c2)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부가 설명이나 가사가 수록된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 컨텐츠에 수록되는 텍스트의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컨텐츠는, d1) 음악 컨텐츠 및 d2) 사진 컨텐츠에 대한 부가 설명을 위한 음성이 수록된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후자에서, 음성의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S215단계에서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이 입력되면(S215-Y),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입력된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과 이 조작명령 수행에 필요한 컨텐츠를 슬레이브-전자액자(120)로 전송한다(S220).
S220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는, S215단계에서 입력된 조작명령에 따라 다르며,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1) S215단계에서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서만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S220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는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
2) S215단계에서 선택된 다른 종류의 컨텐츠들에 대한 함께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S220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는 선택된 다른 종류의 컨텐츠들.
3) S215단계에서 다음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S220단계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는 다음 컨텐츠.
한편, S215단계에서 재생 일시 중지 명령, 재생 정지 명령, 이전 컨텐츠 재생 명령, 컨텐츠 전환시 시각효과 설정/편집 명령이 입력된 경우, S220단계에서 컨텐츠는 전송되지 않고, 조작명령만 전송된다.
S220단계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의 조작명령&컨텐츠 전송이 완료되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S215단계에서 입력된 조작명령을 수행한다(S225).
그리고, SS225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슬레이브-전자액자(120)도 S220단계에서 수신한 조작명령을 수행한다(S230).
S225단계와 S230단계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서는 동일한 내용의 재생이 수행되므로, 양자의 컨텐츠 재생이 동기화되었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기화된 재생 중에, 슬레이브-전자액자(120)의 사용자에 의해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이 입력되면(S235-Y),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입력된 컨텐츠 재생 관련 조작명령을 마스터-전자액자(110)로 전송한다(S240).
S240단계에서 슬레이브-전자액자(120)와 마스터-전자액자(110) 간의 조작명령 전송이 완료되면,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S235단계에서 입력된 조작명령을 수행한다(S245).
그리고, SS245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마스터-전자액자(110)도 S240단계에서 수신한 조작명령을 수행한다(S250).
이에 의해,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양방향 재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2. 타임 라인 공유를 통한 전자액자들의 재생 동기화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에 위치한 전자액자들이 재생 동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서의 재생 동기화는 타임 라인을 전자액자들이 공유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전자액자(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타임 라인이 생성되면(S305), 마스터-전자액자(110)는 S305단계에서 생성된 타임 라인을 저장한다(S310).
타임 라인이란, 컨텐츠들의 재생순서 및 재생간격 등이 컨텐츠의 종류 마다 설정된 재생 스케줄의 일종에 해당한다. 도 3에는 타임 라인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타임 라인은, 사진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및 텍스트 컨텐츠를 조합하여 혼합 재생할 수 있도록 한 타임 라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타임 라인은,
1) 비디오 효과로, 사진-1(P1) → 사진-2(P) → 사진-3(P3) → ... → 사진-100(P100)이 재생되고,
2) 자막 효과로, 사진-1(P1) 재생시 텍스트-1(T1)이, 사진-3(P3) 재생시 텍스트-3(T3)이, ... , 사진-100(P100) 재생시 텍스트-100(T100)이 각각 함께 재생되며,
3) 오디오 효과로, 사진-2(P2) 재생시 오디오-2(A2)가, ... , 사진-100(P100) 재생시 오디오-100(A100)이 각각 함께 재생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후, 마스터-전자액자(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재생 동기화 명령이 입력되면(S315-Y),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슬레이브-전자액자(12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을 설정한다(S320).
S320단계에서의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S310단계에서 저장된 타임 라인과 타임 라인에 따른 재생에 필요한 컨텐츠들을 슬레이브-전자액자(120)로 전송한다(S325).
S325단계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로부터 슬레이브-전자액자(120)로 타임 라인&컨텐츠 전송이 완료되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S310단계에서 저장된 타임 라인에 따라 컨텐츠 재생을 수행한다(S330).
그리고, S330단계가 수행되는 중에, 슬레이브-전자액자(120)도 S325단계에서 수신한 타임 라인에 따라 컨텐츠 재생을 수행한다(S335).
S330단계와 S335단계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 의해 수행되는 컨텐츠 재생의 기초가 되는 타임 라인은 동일한 것이므로, 양자의 컨텐츠 재생은 동기화되었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기화된 재생 중에,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에는 조작 명령이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S340).
이때, 조작 명령에 따른 재생은 타임 라인에 따른 재생 보다 우선 순위를 두어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명령에 따른 재생이 완료된 후 일정 시간 동안 다른 조작 명령이 없으면 다시 타임 라인에 따른 재생이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에는 조작 명령 공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내용으로부터 유추가능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S325단계에서 수신한 타임 라인을 저장한다. 이에 따라, 슬레이브-전자액자(120)는 추후에도 저장된 타임 라인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3. 모바일-폰을 이용한 텍스트 컨텐츠 생성
텍스트 컨텐츠는, 사진 컨텐츠의 부가 설명을 위한 텍스트가 수록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고 전술한 바 있다.
이와 같은, 텍스트 컨텐츠는 사용자가 마스터-전자액자(110)에 표시되는 텍스트 입력용 자판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130)을 통해서도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폰(130)을 이용한 텍스트 컨텐츠 생성 시기에 대한 제한은 없다. 재생 동기화 이전에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재생 동기화가 시작된 이후에도 생성가능하다.
도 4에는 재생 동기화가 시작된 이후에, 모바일-폰(130)을 이용한 텍스트 컨텐츠 생성을 상정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모바일-폰(130)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 컨텐츠를 수신하여 현재 재생 중인 사진 컨텐츠에 중첩하여 표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이 텍스트 컨텐츠를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 전송하여,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도 동일한 사진 컨텐츠에 동일한 텍스트 컨텐츠가 중첩하여 표시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5. 모바일-폰을 이용한 오디오 컨텐츠 생성
오디오 컨텐츠는, 사진 컨텐츠의 부가 설명을 위한 음성이 수록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고 전술한 바 있다.
마스터-전자액자(110)에 마이크로-폰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마스터-전자액자(110)에 마이크로-폰이 없다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130)을 이용하여 오디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폰(130)을 이용한 오디오 컨텐츠 생성 시기에 대한 제한은 없다. 재생 동기화 이전에 생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재생 동기화가 시작된 이후에도 생성가능하다.
도 5에는 재생 동기화가 시작된 이후에 모바일-폰(130)을 이용한 오디오 컨텐츠 생성을 상정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마스터-전자액자(110)는 모바일-폰(130)을 통해 생성된 오디오 컨텐츠를 수신하여 현재 재생 중인 사진 컨텐츠와 함께 재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스터-전자액자(110)는 이 오디오 컨텐츠를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 전송하여, 슬레이브-전자액자(120)에도 동일한 사진 컨텐츠와 함께 동일한 오디오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6. 기타
위 실시예들에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의 재생 동기화는 사용자의 재생 동기화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개시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 다르게 구현가능하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마스터-전자액자(110)의 재생 동기화 기기로 슬레이브-전자액자(120)를 미리 설정해 놓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재생 동기화 명령이 없어도 양자 간의 재생 동기화 이루어지도록 구현가능하다. 이 경우는, 마스터-전자액자(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재생과 관련한 조작명령'이나 '타임라인에 따른 재생 명령' 입력만으로,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 간의 재생 동기화가 수행된다.
7. 디바이스들의 상세 구성
7.1 전자액자
도 6은 마스터-전자액자(110)와 슬레이브-전자액자(120)의 상세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양자를 '전자액자'로 통칭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액자는 컨텐츠 재생부(101), 터치 스크린(102), 제어부(103), 저장부(10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를 구비한다.
컨텐츠 재생부(101)는 전자액자 본연의 기능을 담당하는 블럭으로, 저장부(104)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재생한다.
터치 스크린(132)은 컨텐츠 재생부(101)에서 재생되는 컨텐츠와 GUI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기능과, 터치를 통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의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저장부(104)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외부기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는 주변의 모바일-폰(130) 및 다른 전자액자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됨은 물론, 컨텐츠가 저장된 외부기기 또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네트워크와도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이 수행되도록, 컨텐츠 재생부(101), 터치 스크린(102), 저장부(10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를 제어한다.
7.2 모바일-폰
도 7은 모바일-폰(13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130)은 이동 통신부(131), 터치 스크린(132), 제어부(133), 저장부(13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5)를 구비한다.
이동 통신부(131)는 모바일-폰(130) 본연의 기능과 부수적 기능을 담당하는 블럭으로, 이동 전화 통화, SMS, DMB 방송 수신, 촬영 등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132)은 이동 통신부(131)의 이동 전화 통화, SMS 제공에 필요한 화면, DMB 방송, 컨텐츠 및 전술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기능과, 터치를 통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의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132)에 디스플레이되는 GUI에는, 전자액자로 전송할 텍스트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텍스트 입력용 자판 화면이 포함된다.
저장부(104)는 모바일-폰(130)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5)는 주변의 전자액자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5)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컨텐츠와 오디오 컨텐츠를 주변의 전자액자에 전송한다.
제어부(13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계들이 수행되도록, 이동 통신부(131), 터치 스크린(132), 제어부(133), 저장부(13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5)를 제어한다.
7.3 다른 디바이스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전자액자와 모바일-폰(130)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들은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들로 대체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삭제

Claims (13)

  1.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텍스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텍스트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조작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조작 명령에 따라 재생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조작 명령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2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수신된 텍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텍스트 및 상기 수신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정보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수신된 텍스트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상기 수신된 텍스트를 오버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조작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조작 명령에 따라 재생하도록 상기 조작 명령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디바이스.
  9. 제2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제1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한 텍스트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2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조작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조작 명령에 다라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디바이스.
  13.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제1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텍스트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170013939A 2017-01-31 2017-01-31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186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939A KR101868875B1 (ko) 2017-01-31 2017-01-31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939A KR101868875B1 (ko) 2017-01-31 2017-01-31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670A Division KR101703260B1 (ko) 2016-08-10 2016-08-10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413A KR20170016413A (ko) 2017-02-13
KR101868875B1 true KR101868875B1 (ko) 2018-06-19

Family

ID=5815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939A KR101868875B1 (ko) 2017-01-31 2017-01-31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87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277A (ja) * 2001-01-22 2002-08-02 Nec Corp 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システム。
JP2003337783A (ja) * 2002-05-20 2003-11-28 Nec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6268442A (ja) * 2005-03-24 2006-10-05 Seiko Epson Corp 画像合成表示装置と携帯端末装置と画像合成表示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画像合成表示方法
JP2008135995A (ja) 2006-11-28 2008-06-12 Sharp Corp 録画装置、録画システム、録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録画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9100470A (ja) * 2007-09-28 2009-05-07 Fujifilm Corp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方法
JP2013005995A (ja) * 2011-06-27 2013-01-10 Terumo Corp 体温測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277A (ja) * 2001-01-22 2002-08-02 Nec Corp 情報再生方法及び情報再生システム。
JP2003337783A (ja) * 2002-05-20 2003-11-28 Nec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6268442A (ja) * 2005-03-24 2006-10-05 Seiko Epson Corp 画像合成表示装置と携帯端末装置と画像合成表示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画像合成表示方法
JP2008135995A (ja) 2006-11-28 2008-06-12 Sharp Corp 録画装置、録画システム、録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録画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9100470A (ja) * 2007-09-28 2009-05-07 Fujifilm Corp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方法
JP2013005995A (ja) * 2011-06-27 2013-01-10 Terumo Corp 体温測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413A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4495B2 (ja) 再生同期化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デバイス{Methodforplaysynchronizationanddeviceusingthesame}
US11758329B2 (en) Audio mixing based upon playing device location
US20090132924A1 (en) System and method to create highlight portions of media content
CN109151565B (zh) 播放语音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216675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of playing dynamic audio-video menu
CN101232611B (zh) 图像处理设备及其方法
JP2018502533A (ja) メディア同期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359199B2 (ja) コメント配信システム、端末、コメン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39819A (ja) 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受信再生装置、再生方法
JP200518418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番組視聴システム
KR101868875B1 (ko)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1703260B1 (ko) 재생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CN105810221A (zh) 一种无线同步音频播放系统
CA2985731A1 (en) Voice/manual activated and integrated audio/video multi-media, multi-in terface system
JP2009130644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8252160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80106710A (ko) 화상 통신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방법
KR20190081163A (ko) 입체 음향 컨텐츠 저작 툴을 이용한 선택적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JP2005117149A (ja) 携帯電話機
KR101880609B1 (ko)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1763894B1 (ko) 연동기능 자동 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JP2010206414A (ja) 同期記録再生装置、同期記録再生方法、同期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20190082056A (ko) 입체 음향 컨텐츠 저작 툴을 이용한 선택적 광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WO2015075768A1 (ja) 映像再生装置、映像配信装置、及び映像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