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852B1 - 진공증착기법을 통해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 주얼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증착기법을 통해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 주얼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852B1
KR101868852B1 KR1020170169149A KR20170169149A KR101868852B1 KR 101868852 B1 KR101868852 B1 KR 101868852B1 KR 1020170169149 A KR1020170169149 A KR 1020170169149A KR 20170169149 A KR20170169149 A KR 20170169149A KR 101868852 B1 KR101868852 B1 KR 10186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color
base material
ox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도
Priority to KR102017016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n anti-friction or anti-adhesiv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15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colour of th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1Oxides of aluminium, magnesium or beryll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3Oxides of refractory metals or ytt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0Glass or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16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metallic substrates or on substrates of bor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23C14/28Vacuum evaporation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23C14/30Vacuum evaporation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electron bombard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18/00Other type of polymers
    • B05D2518/10Silicon-containing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주얼리의 제조방법은 챔버 내에 금속, 귀금속 및 비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모재를 장입하고 진공 상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로 플라즈마 형성을 위한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부 상에 스퍼터 내지 전자빔 증착을 시행하여 상기 모재의 표면 상에 산화물과 금속의 멀티레이어 필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 필름막이 코팅된 모재의 표면 상에 추가적으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필름막 및 발수 코팅막을 통해 독특한 디자인 색상 구현하는 것과 동시에 표면의 변색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진공증착기법을 통해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 주얼리의 제조 방법{Method for Fashion jewelry with luxury Multi color design by Vacuum Deposition Technologies}
본 발명은 진공증착기술을 통해 금속, 귀금속, 비금속의 표면 상에 산화물과금속성의 멀티레이어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멀티레이어 박막 상에 발수 코팅층을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금속, 귀금속이란 아름다운 금속광택을 가지면서 화폐, 장신구, 메달, 공예품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금속으로서, 금, 은, 백금, 이리듐, 로듐, 동 등이 있다. 이러한 금속, 귀금속은 대기 중의 산소, 수분, 이산화탄소 등과 반응하여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등의 부식 피막을 만들고 그 표면의 광택을 잃게 된다.
일례로, 은으로 된 귀금속을 외국에 수출하는 경우에는 배에 선적하여 이동하는데 보통 소요기간이 한 달 정도 걸린다. 이 기간 동안에는 귀금속은 산화가 일어나 현지에 도착할 즈음에는 검게 변하기 십상이다. 이후 현지에서는 은 세척제 등을 이용하여 산화된 은 귀금속을 세척한 다음 유통을 하지만, 이때 사용되는 세척제는 유독성이 있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세척제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채택한 방법이 귀금속 표면에 산화방지막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산화방지막은 산화 등에 의한 부식피막 생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세척제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산화방지막 형성 방법으로 종래에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들로는 백금 도금, 로듐 도금, 화이트골드 도금, OSP(Organic Solderability Preservative) 표면처리 등이 알려져 있다.
현재 귀걸이, 반지, 목걸이, 브로치 등을 포함하는 패션 주얼리는 일반적으로 표면이 도금으로 처리되어 있다.
도금의 경우는 또한 환경적으로 유해한 부산물이 필연적으로 생산된다. 또한, 상기 도금을 포함한 산화방지막 형성 방법들은 백금 도금이나 화이트골드 도금은 원재료의 단가가 높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영구적이지 않고, 로듐 도금과 OSP 표면처리는 산화방지막이 외부의 충격에 약하여 쉽게 벗겨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금을 수행하는 경우에 색상은 화이트 골드, 핑크 골드, 은의 소재가 적용되어 제품의 다양화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귀금속 상에 진공 도금을 수행하는 방안을 개시하는 특허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96159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74003호 등이 있다.
(특허문헌 1) KR 10-0996159 A
(특허문헌 2) KR 10-2001-0074003 A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진공증착 기술을 통해 금속, 귀금속 또는 비금속의 표면 상에 산화물과 금속을 포함한 멀티레이어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멀티레이어 박막 상에 발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독특한 디자인 색상을 구현하는 것과 동시에 표면의 변색을 방지하는 방안을 개발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주얼리의 제조방법은 챔버 내에 금속, 귀금속 및 비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모재를 장입하고 진공 상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로 플라즈마 형성을 위한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부 상에 스퍼터 내지 전자빔 증착을 시행하여 상기 모재의 표면 상에 산화물과 금속의 멀티레이어 필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 필름막이 코팅된 모재의 표면 상에 추가적으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필름막 및 발수 코팅막을 통해 독특한 디자인 색상 구현하는 것과 동시에 표면의 변색을 방지한다.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 필름막은 Al2O3, TiO2, SiO2, Sn, Ti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필름막을 채용하는 것으로서, 보는 각도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는 효과를 지닌 구조이다.
상기 발수 코팅막은 유무기 복합실란제를 사용하며, 동일한 챔버환경에서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 상에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상기 모재의 표면에 특수한 처리를 하여 상기 모재의 국부적인 곳에서만 증착이 진행되어 독특한 디자인을 형성한다.
상기 모재의 표면에 특수한 처리와 함께 지그 개발을 통해 점차적으로 색상이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준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챔버 내에 패션 쥬얼리로 이용될 수 있는 귀금속 재질을 갖는 모재를 장입하고 진공 상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로 플라즈마 형성을 위한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부 상에 스퍼터 내지 전자빔 증착을 시행하여 상기 모재의 표면 상에 산화물과 금속의 멀티레이어 필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 필름막이 코팅된 모재의 표면 상에 추가적으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필름막 및 발수 코팅막을 통해 독특한 디자인 색상을 구현하는 것과 동시에 표면의 변색을 방지하며, 상기 모재는 컬러가 구현되는 국부적인 엣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모재의 엣지 부분에만 연마를 하거나 표면 처리를 시행한 후 상기 시행하여 독특한 디자인을 형성하는 엣지 컬러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엣지 컬러가 필요 없는 곳에는 거칠기를 주어 컬러 생성을 방지하고, 상기 엣지 컬러가 형성되는 모재의 표면에 특수한 처리와 함께 지그 개발을 통해 점차적으로 색상이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도록 증착하고자 하는 귀금속의 기판 형태를 경사지도록 트위스트시켜 증발원으로부터의 거리를 다르게 조절하며, 상기 엣지컬러가 구현되는 모재의 부분에 종합적으로 5층 이상의 산화금속성의 멀티박막을 진행하여 그라데이션 컬러를 입힘으로써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주얼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귀금속 또는 비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모재 상에 진공 증착을 통해 산화물과 금속의 복합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진공 증착을 통해 모재의 표면 상에 산화물과 금속성의 멀티레이어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멀티레이어 박막 상에 발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독특한 디자인 색상을 구현하는 것과 동시에 표면의 변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Al2O3, TiO2, SiO2와 같은 산화물과 및 Ti, Sn, Ge등과 같은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독특한 디자인 색상을 구현하며, 상층은 발수코팅을 진행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패션 귀금속 중에서도 특히 귀걸이 분야를 주품목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팬던트, 브로치 및 반지형태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크롬이나 은 도금의 형태가 진공멀티증착을 통해 디자인이 우수한 독특한 제품으로 진화되며, 고객의 요구에 맞게 주문형으로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진공증착기법을 통한 독특한 패션주얼리의 제조 과정을 보이는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보는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궤적의 차이를 가함으로써 컬러가 다르게 보이는 실시예를 보인다.
도 3은 빛의 궤적의 차이를 가함으로써 컬러가 다르게 보이는 원리를 보인다.
도 4는 그라데이션 컬러를 통해 컬러의 진함 정도를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보인다.
도 5는 모재인 귀금속 상에 멀티 증착레이어 증착 후 발수 증착레이어를 추가한 상태의 실시예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귀금속 또는 비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모재 상에 진공 증착을 통해 산화물과 금속성 멀티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진공 멀티레이어 증착은 진공 챔버 내에 장입된 모재 상에 플라즈마를 형성하기 위한 반응 가스를 공급하고 스퍼터 내지 전자빔 증착 공정 등을 이용하여 금속, 귀금속의 표면 상에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 필름막을 형성한다.
진공 멀티 증착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은 스퍼터링법, 화학기상증착법,원자층 증착법 및 전자빔 증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스퍼터링법은 플라즈마 상태에서 아르곤 이온을 생성시키기 위해 고전압을 타겟에 인가한 상태에서 아르곤 등의 비활성가스를 진공챔버 내로 주입시킨다. 이 때, 아르곤 이온들은 타겟의 표면에 스퍼터되고, 타겟의 원자들은 타겟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스퍼터링법에 의해 기판과 접착성이 우수한 고순도 박막을 형성할 수 있으나, 공정 차이를 갖는 고집적 박막을 스퍼터링법으로 증착하는 경우에는 전체 박막 위에서 균일도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워 미세한 패턴을 위한 스퍼터링법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다음으로, 화학기상증착법(CVD)은 가장 널리 이용되는 증착 기술로서, 반응가스와 분해가스를 이용하여 요구되는 두께를 갖는 박막을 기판상에 증착한다.
화학기상증착법은 먼저 다양한 가스들을 반응챔버로 주입시키고, 열, 빛, 플라즈마와 같은 고에너지에 의해 유도된 가스들을 화학반응시키므로써 기판상에 요 구되는 두께의 박막을 증착시킨다.
아울러, 화학기상증착법(CVD)에서는 반응에너지만큼 인가된 플라즈마 또는 가스들의 비(ratio) 및 량(amount)을 통해 반응조건을 제어하므로서 증착률을 증가시킨다.
한편, 반응들이 빠르기 때문에 원자들의 열역학적(Thermaodynamic) 안정성을 제어하기 매우 어렵고, CVD는 박막의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다소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원자층 증착법은 반응가스와 퍼지가스를 교대로 공급하여 원자층을 증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에 의해 형성된 박막은 고종횡비를 갖고 저압에서도 균일하며, 전기적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다.
최근에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캐패시터의 구조를 실린더(Cylinder), 핀(Pin), 적층(Stack) 또는 반구형 실리콘(HSG) 등의 복잡한 구조로 형성하여 전하저장 면적을 증가시키거나, 좁은 면적에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증착법을 이용한 캐패시터 형성이 요구되고 있다. 즉, 종횡비가 큰 구조에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원자층 증착법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원자층 증착법은 화학기상증착법(CVD)처럼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증착법이지만 각각의 가스가 챔버 내에서 혼합되지 않고 한개씩 펄스로 흘려진다는 점에서 CVD 방법과 구별된다.
원자층 증착법은 반응가스로서 A가스와 B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A가스 만을 주입한 상태에서 기판에 화학흡착된다. 챔버에 잔류한 미반응 A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아르곤이나 질소와 같은 비활성가스로 퍼지한 다음, B가스만을 주입하면 A가스와 B가스 사이의 반응은 화학흡착된 A가스가 있는 표면에서만 일어나 원자층의 박막이 증착된다. A가스와 B가스의 반응 후 챔버에 잔존하는 B가스 및 반응부산물을 퍼지시키는 과정들을 반복함으로써 박막의 두께를 원자층 단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귀금속을 코팅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금속, 귀금속 또는 비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모재를 진공 챔버 내에 배치한 후에, 배기부를 통해 진공 챔버 내 반응실 안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으로 만든다. 반응실 안으로 아르곤 가스를 공급하고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진행한다. 전처리 공정은 모재의 표면을 세정하여 뒤이어 형성되는 산화물과 금속의 복합막이 모재와 산화물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처리 공정을 진행한 후, 반응실 안으로 반응가스를 공급한다.
직류 또는 교류 전력을 공급하여 반응실 안에 플라즈마를 생성시킨다.
반응실 안에서 화학기상증착 반응이 일어나면서 귀금속의 표면에 Al2O3, TiO2, SiO2, Ti, Sn 등과 같은 산화물과 금속 복합박막이 형성된다.
상기 모재의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귀금속 상에 Al2O3, TiO2, SiO2와 같은 산화물은, 산화 등에 의한 부식피막의 생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더욱이, 금속성의 Ti, Sn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하며 독특한 디자인 색상으로 본 발명의 귀금속 등의 코팅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산화물과 금속성 복합박막은 외부의 충격에 매우 강하고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여 금속, 귀금속 또는 비금속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갖는 모재를 코팅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반응 챔버 내로 코팅을 요하는 모재를 제공한다.
모재 상에 금속 선구물질의 분자층을 형성하도록 반응 챔버 내로 금속, 귀금속 등을 포함한 모재의 기화된 선구물질을 펄싱하고, 기화된 과잉 금속, 귀금속 드의 선구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반응 챔버를 정화한다.
다음으로 공급된 모재 상에 산소를 함유 반응 가스의 펄스를 제공한다.
금속, 귀금속 상의 선구물질층과 산소 간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과잉의 산소 함유 가스 및 가스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해 반응 챔버를 정화한다. 이후, 바람직한 두께가 달성될 때까지 펄싱 및 정화 단계를 반복한다.
모재의 표면 상에 코팅된 산화물 박막 상에 별도의 발수 코팅을 행한다.
상기 발수 코팅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금속 파우더, 발수성 폴리머 및 휘발성 솔벤트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생성하고, 상기 혼합 용액을 소정의 플레이트가 수용된 용기에 붓는다. 혼합 용액이 든 용기에서 휘발성 솔벤트를 증발시키고, 금속 파우더와 발수성 폴리머가 코팅된 플레이트를 용기에서 꺼내는 단계를 통해 발수성 표면을 제조한다.
여기서, 금속 파우더는 휘발성 솔벤트에 용해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파우더는 마이크로 스케일 입자 또는 나노 스케일 입자가 될 수 있다. 또한, 발수성 폴리머는 발수성 고분자가 될 수 있다.
상기 발수 코팅 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발수 특성을 가진 금속, 귀금속 표면의 제조 방법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표면처리대상물의 표면에 알루미나 파우더를 샌드블라스팅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요철을 형성하는 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요철에 아르곤 이온빔을 조사하여 나노 크기의 돌기를 형성하는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 돌기에 화학기상증착(CVD) 공정을 통해 코팅층을 형성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빔 증착법을 이용하여 금속 내지 귀금속을 증착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진공챔버 내로 증착을 요하는 금속, 귀금속을 제공한다. 챔버내로 아르곤 가스를 공급하고 플라즈마를 생성시키는 전처리 공정을 진행한다. 전처리 공정은 금속, 귀금속의 표면을 세정하여 뒤이어 형성되는 산화물과 금속의 복합막이 금속, 귀금속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처리 공정을 진행한 후, 챔버 내로 반응가스를 투입하면서 금속, 귀금속의 표면에 Al2O3, TiO2, SiO2, Ti, Sn 등과 같은 산화물과 금속 복합박막이 형성된다. 그와 동시에 동일한 챔버 환경속에서 발수증착을 금속, 귀금속의 표면 상에 코팅된 산화물과금속 복합박막 상에 발수 코팅을 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귀금속의 표면 상에 특정한 컬러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보는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궤적의 차이를 가함으로써 컬러가 다르게 보이는 공법을 적용한다.
상기 내용과 관련하여 서로 상이한 굴절율을 가진 물질을 멀티 레이어로 구성 시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계면에서 굴절과 반사가 진행됨으로써 보는 각도에 따라서 굴절과 반사가 달라지게 되어 실제로 컬러가 변화되어 보인다.
반면에, 단일막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적층되는 수가 1개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2층막의 경우에도 적층되는 수가 2개이므로 물질에 따른 굴절과 계면에서의 반사의수가 적어 보는 각도에 따른 컬러의 변화가 적다.
본 발명에서는 5층 이상의 적층으로 진행 시에 컬러의 변화가 소비자에게 느끼는 정도로 파악된다.
일 예를 들어, 핑크 컬러의 경우에 정면 색상은 핑크이나 측면의 색상은 노란색을 이룬다
엣지 컬러는 귀금속 에지 부위에 blue color를 구현하는 것처럼 특정 부위의 표면 처리를 통해서 그 부위만 선별적으로 컬러를 구현한다.
상기 엣지 컬러는 증착의 경우에 nm의 단위의 두께로 제어하기 때문에 다른 표면처리법인 도금, 도료 등과는 다르게 표면 형상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상기 엣지 컬러는 표면 상태가 거친정도에 따라서 컬러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컬러를 띄게 하고자 하는 부위에만 연마를 하거나 국소부위 표면처리를 진행한 후 증착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표면 거칠기는 일반적으로 ㎛단위이므로, 역으로 컬러가 필요 없는 곳에는 거칠기를 주어 컬러 생성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그라데이션 컬러는 컬러의 진함 정도를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라데이션 컬러는 증착하고자 하는 금속, 귀금속 또는 비금속성의 기판 형태를 경사지도록 트위스트시켜 증발원(Al2O3, TiO2, Ti)으로부터의 거리를 다르게 조절하게 되면 기판에 도달하는 기화된 물질의 두께가 변화게 되어 점차적으로 다른 컬러인 그라데이션 컬러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각각의 특성에 맞는 제품을 만들 수도 있지만, 종합적으로 5층 이상의 산화금속성의 멀티박막을 특정부위의 표면처리가 된 곳에만 진행하여 그라데이션 컬러를 입히게 되면 독특한 디자인의 패션주얼리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기존 다른 공법의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다.
기존의 도금 공법은 금속 고유의 색상만 구현 가능한 방식으로 다양한 컬러개발에 한계가 있게 된다. 즉, 기존의 색상 외에 건메탈 및 블랙 계열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도료 공법은 소위 물감과 같은 채색은 가능하나 광택적인 부분에서 주얼리 적용에 한계가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구현한 제품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귀금속은 모재로서 일반적으로 로듐 도금이나 은 등을 사용한다.
상기 모재의 표면 상에 Al2O3, TiO2, Ge, Sn, Ti 등으로 구성된 멀티 증착레이어를 증착한다.
상기 멀티 증착레이어 상에는 발수증착레이어를 추가적으로 코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귀금속 상에 진공 멀티 증착을 통해 산화물과금속 복합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진공 멀티 증착을 통해 금속, 귀금속의 표면 상에 산화물과 금속 복합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산화물과금속 복합박막 상에 발수증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독특한 디자인 색상을 구현하는 것과 동시에 표면의 변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Al2O3, TiO2, SiO2와 같은 산화물 및 Ti, Sn과 같은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색상을 구현하며, 상층은 발수증착을 진행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챔버 내에 패션 쥬얼리로 이용될 수 있는 귀금속 재질을 갖는 모재를 장입하고 진공 상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로 플라즈마 형성을 위한 반응 가스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챔버 내부 상에 스퍼터 내지 전자빔 증착을 시행하여 상기 모재의 표면 상에 산화물과 금속의 멀티레이어 필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 필름막이 코팅된 모재의 표면 상에 추가적으로 발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필름막 및 발수 코팅막을 통해 독특한 디자인 색상을 구현하는 것과 동시에 표면의 변색을 방지하며,
    상기 모재는 컬러가 구현되는 국부적인 엣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모재의 엣지 부분에만 연마를 하거나 표면 처리를 시행한 후 상기 시행하여 독특한 디자인을 형성하는 엣지 컬러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엣지 컬러가 필요 없는 곳에는 거칠기를 주어 컬러 생성을 방지하고,
    상기 엣지 컬러가 형성되는 모재의 표면에 특수한 처리와 함께 지그 개발을 통해 점차적으로 색상이 변화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주도록 증착하고자 하는 귀금속의 기판 형태를 경사지도록 트위스트시켜 증발원으로부터의 거리를 다르게 조절하며,
    상기 엣지컬러가 구현되는 모재의 부분에 종합적으로 5층 이상의 산화금속성의 멀티박막을 진행하여 그라데이션 컬러를 입힘으로써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주얼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 필름막은 Al2O3, TiO2, SiO2, Sn, Ti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필름막을 채용하는 것으로서, 보는 각도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는 효과를 지닌 구조인,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주얼리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코팅막은 유무기 복합실란제를 사용하며,
    동일한 챔버환경에서 상기 산화물과 금속 멀티레이어 상에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주얼리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70169149A 2017-12-11 2017-12-11 진공증착기법을 통해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 주얼리의 제조 방법 KR101868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49A KR101868852B1 (ko) 2017-12-11 2017-12-11 진공증착기법을 통해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 주얼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149A KR101868852B1 (ko) 2017-12-11 2017-12-11 진공증착기법을 통해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 주얼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852B1 true KR101868852B1 (ko) 2018-06-19

Family

ID=6279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149A KR101868852B1 (ko) 2017-12-11 2017-12-11 진공증착기법을 통해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 주얼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8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072B1 (ko) * 2018-12-27 2019-05-27 주식회사 알도 다양한 기판에 적용이 가능한 증착멀티컬러 패션주얼리의 제조방법
KR20210000337A (ko) * 2019-06-24 2021-01-05 (주)세경하이테크 다양한 금속 그라데이션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
CN113718218A (zh) * 2021-08-25 2021-11-30 广东顺德周大福珠宝制造有限公司 贵金属首饰加工方法和贵金属首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292A (ko) * 2007-08-23 2009-02-26 재단법인 송도테크노파크 고분자 재료의 금속 질감을 부여하기 위한 다층 박막 구조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25473A (ko) * 2007-09-06 2009-03-11 (주)테라플라즈마 물리적 증착 기법을 이용한 3차원 코팅용 장치
KR20100069191A (ko) * 2008-12-16 2010-06-24 주식회사 메코하이텍 금속의 멀티칼라 코팅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소재
KR20170114570A (ko) * 2016-04-05 2017-10-16 주식회사 화진 그라데이션층과 무늬층을 구비한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292A (ko) * 2007-08-23 2009-02-26 재단법인 송도테크노파크 고분자 재료의 금속 질감을 부여하기 위한 다층 박막 구조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25473A (ko) * 2007-09-06 2009-03-11 (주)테라플라즈마 물리적 증착 기법을 이용한 3차원 코팅용 장치
KR20100069191A (ko) * 2008-12-16 2010-06-24 주식회사 메코하이텍 금속의 멀티칼라 코팅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금속소재
KR20170114570A (ko) * 2016-04-05 2017-10-16 주식회사 화진 그라데이션층과 무늬층을 구비한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072B1 (ko) * 2018-12-27 2019-05-27 주식회사 알도 다양한 기판에 적용이 가능한 증착멀티컬러 패션주얼리의 제조방법
KR20210000337A (ko) * 2019-06-24 2021-01-05 (주)세경하이테크 다양한 금속 그라데이션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
KR102214941B1 (ko) * 2019-06-24 2021-02-15 (주)세경하이테크 다양한 금속 그라데이션 색상의 표현이 가능한 터치 윈도우용 데코필름
CN113718218A (zh) * 2021-08-25 2021-11-30 广东顺德周大福珠宝制造有限公司 贵金属首饰加工方法和贵金属首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850B1 (ko) 은의 보호 피복
KR101868852B1 (ko) 진공증착기법을 통해 고품격 멀티컬러 디자인을 갖는 패션 주얼리의 제조 방법
JP2619838B2 (ja) セラミックスコーティング金属板
GB2455993A (en) Article coated by ALD and CVD/PVD
GB2172613A (en) Member provided with a gold or gold alloy coating
CN101628492A (zh) 一种镀膜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287903B1 (ko) 색상을 가지는 표면처리물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1305357A (zh) 鍍膜件及其製造方法
WO2006013115A1 (en) Method for the protection/selective colouring of an end­product
WO2008007165A1 (en) Surface treatment for titanium or titanium-alloys
US20120164478A1 (en) Process for coating parts made of aluminium alloy and parts of obtained therefrom
US9663852B2 (en) Coated article with dark color
EP2186927B1 (en) Coated article with black color
KR20170119263A (ko) 도금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207853A (ja) 装飾皮膜を有する被加工物
JP2019048417A (ja) 黒色蒸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247904A1 (en) Method of surface-treating a solid substrate
JP2007254851A (ja) 金属酸化物被膜及び金属酸化物被膜被覆部材
US10202679B2 (en) Coated article having a vivid color
CN107815657B (zh) 一种颜色可调的氧化铝陶瓷涂层及其制备方法
CN115821261B (zh) 表面改性和颜色改变方法以及物品
CN218969344U (zh) 铝合金制品
KR100319188B1 (ko) 금속제품의장식용발색제조방법
JP7196288B2 (ja) 銀変色から保護された銀メッキ表面を含む基材およびそのような基材の製造方法
JPH04337083A (ja) 複合多層膜およびそ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