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649B1 -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649B1
KR101868649B1 KR1020137008473A KR20137008473A KR101868649B1 KR 101868649 B1 KR101868649 B1 KR 101868649B1 KR 1020137008473 A KR1020137008473 A KR 1020137008473A KR 20137008473 A KR20137008473 A KR 20137008473A KR 101868649 B1 KR101868649 B1 KR 101868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ad
absorbing pad
skin
fem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6390A (ko
Inventor
미아키 시바야
에이이치 다나카
소타 야마모토
요스케 미즈노
Original Assignee
카네카 코포레이션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나고야 다이가쿠
가꼬우호진 시바우라 고교 다이가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카 코포레이션,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나고야 다이가쿠, 가꼬우호진 시바우라 고교 다이가꾸 filed Critical 카네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10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8Shock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06Hi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 A61F2005/0183Hip protectors, e.g. for elderly peop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과제) 히프 프로텍터에 사용하는 충격 흡수 패드에 있어서 필요시되는, 대퇴골 경부 골절을 예방하는 충격 흡수력, 종일 사용에 불쾌감을 주지 않는 장착감, 통기성,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얇기, 착탈시에 위화감을 주지 않는 면방향의 유연성, 이상의 모든 것을 만족하는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충격 흡수 작용을 갖는 패드 본체 (11) 에, 최대 부분의 길이가 80 ㎜ 이하이고, 면적이 600 ㎟ 이상 5000 ㎟ 이하의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하고, 그 충격 회피부 (12) 가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응하도록 패드 본체 (11) 를 배치함으로써 대퇴골의 골절을 예방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IMPACT-ABSORBING PAD, CLOTHING FURNISHED WITH SAME AND METHOD FOR PREVENTING FEMORAL FRACTURES}
본 발명은 의류, 특히 속옷의 허리 부근의 적절한 부위에 장착함으로써, 전도 (轉倒) 시의 골절, 특히 골다공증 등의 환자가 전도했을 때의 골절을 미연에 예방하는 등의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충격 흡수재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특히 팬츠와 같은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자가 와병 생활을 하게 되는 하나의 요인으로서 전도에 의한 골절, 특히 대퇴골 경부 골절이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1). 고령자, 특히 고령 여성은 골다공증 등에 의해 뼈가 약해져 있어, 젊은 사람들은 골절되지 않을 정도의 가벼운 비틀거림에 의한 전도에 의해서도 골절이 발생할 리스크가 높다. 대퇴골 경부 골절의 발생율 추정의 조사 (비특허문헌 2) 에서는 1 년간의 대퇴골 경부 골절의 발생수는 1987년 53,200 명에서, 고령화를 반영하여 2007년에는 148,100 명으로 2 배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의료비의 증대나 고령자의 QOL 의 관점에서도 치료뿐만이 아니라 그 발생을 예방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대퇴골 경부 골절 예방에 대해 증거가 있는 개입법 (介入法) 으로는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약제의 투여와, 보호 도구로서의 히프 프로텍터를 들 수 있다 (비특허문헌 3). 히프 프로텍터는 언제 전도할지 모를 정도로 전도 리스크가 높은 고령자를 적용으로 하기 때문에, 종일 사용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돔형 부재를 갖는 히프 프로텍터 (특허문헌 1) 는 폴리프로필렌폼 등의 경질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경질 패드는 외력 확산형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면적을 늘리는 것과 동시에 소재가 갖는 탄성에 의한 외력 감쇠를 얻는 것으로, 충격 흡수 성능이 우수하다. 그러나, 경질 패드를 사용한 히프 프로텍터는 장착감이 나빠, 예를 들어 취침시 등에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벗어 버리고, 그 사이에 전도하여 골절될 우려가 있다. 한편, 장착감 향상을 위해서, 아크릴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연질 패드 (특허문헌 2) 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질 패드는 외력 흡수형으로, 외력은 소재의 변형에 의해 열변환되어 외력 감쇠가 얻어진다. 연질 패드를 사용한 히프 프로텍터는 경질 패드를 사용한 것에 비해 장착감이 향상되고 있지만, 충격 흡수 성능이 낮기 때문에, 패드가 두꺼워져 있다. 이들 연질 패드를 사용한 프로텍터를 착용하면, 그 위에 의복을 착용하였다고 하더라도, 외관에서부터 패드의 형상을 알 수 있어, 외관을 신경쓰는 고령 여성들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또, 통기성도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히프 프로텍터는 종일 착용의 필요성으로부터, 팬츠와 같은 속옷형인 것이 많다. 화장실에서나 옷을 갈아입을 때에 입고 벗는 경우, 경질 패드나 연질이라도 면방향의 유연성이 부족한 패드인 경우, 착탈하기 어려운 것이 많다. 개호 시설 등에서는 개호자가 화장실에서의 착탈을 돕는 경우가 있지만, 그 때에도 지금까지의 히프 프로텍터는 착탈이 어렵다는 점에서 평가가 좋지 않다.
히프 프로텍터에 사용하는 패드에 있어서, 대퇴골 경부 골절을 예방하는 충격 흡수력, 종일 사용에 불쾌감을 주지 않는 장착감, 통기성,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얇기, 착탈시에 위화감을 주지 않는 면방향의 유연성이 요구되고 있는데,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현재로는 발견되지 않은 것이 실상이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9-5088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68409호
Lauritzen JB, 하야시 야스후미, 오리모 하지메:히프 프로텍터에 의한 전도·골절의 예방. Osteoporosis Japan, 10:149-157, 2002. 제 5 회 대퇴골 경부 골절 전국 빈도 조사 성적 하라다 아츠시:운동기 불안정증과 향후의 전개, 정형·재해 외과 50:27-35, 2007
히프 프로텍터에 사용하는 충격 흡수 패드에 있어서 필요시되는, 대퇴골 경부 골절을 예방하는 충격 흡수력, 종일 사용에 불쾌감을 주지 않는 장착감, 통기성,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얇기, 착탈시에 위화감을 주지 않는 면방향의 유연성, 이상의 모든 것을 만족하는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충격 흡수 패드는 충격 흡수 작용을 갖는 패드 본체에, 최대 부분의 길이가 80 ㎜ 이하이고, 면적이 600 ㎟ 이상 5000 ㎟ 이하의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를 형성하고, 그 충격 회피부가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드 본체를 배치함으로써 대퇴골의 골절을 예방하는 것이다.
이 충격 흡수 패드에서는 충격 흡수 패드의 충격 회피부가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면하도록, 대퇴골 대전자부의 측방의 몸의 측면에 충격 흡수 패드를 장착함으로써, 전도시 등에 있어서의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한 충격력을, 패드 본체 및 그것에 대면하는 대퇴골 대전자부의 주변 부분에 작용시켜 흡수하고, 충격 회피부에 의해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해 직접적으로 충격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퇴골 경부의 골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충격 회피부는 8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대퇴골 대전자부가 패드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전도시의 충격력이 대퇴골 대전자부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80 ㎜ 이하로 설정하게 된다. 또, 대퇴골 대전자부를 둘러싸고 패드 본체가 배치되도록 충격 회피부의 면적은 600 ㎟ 이상 5000 ㎟ 이하로 설정하게 된다. 충격 회피부는 관통 구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오목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오목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개구측을 대퇴골 대전자부측으로 향하여 충격 흡수 패드를 장착하게 된다. 충격 회피부의 내측은 공동 (空洞) 으로 구성하는 것이 경량화나 통기성의 향상을 위해 바람직한데, 패드 본체보다 연질인 부재를 충격 회피부에 충전한 것도 본 발명의 범주이다. 또한, 합계 면적이 600 ㎟ 이상 5000 ㎟ 이하가 되도록 가늘고 긴 슬릿상의 관통 구멍이나 오목부를 복수 병설하여, 충격 회피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충격 회피부의 내주면을 신체에 대한 장착면측으로 감에 따라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면으로 구성하여, 대퇴골 대전자부측으로 감에 따라 충격력이 연속적 혹은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 본체의 두께를 13 ㎜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패드 본체의 두께는 13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 흡수 패드의 라인이 의류의 표면에 노출되어 의류의 외관을 저해함과 함께, 충격 흡수 패드의 면방향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장착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13 ㎜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 회피부의 상단으로부터 패드 본체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10 ㎜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가 10 ㎜ 미만인 경우에는 패드 본체에 의한 충격력의 흡수 작용 및 패드 본체에 의한 충격력의 확산 작용이 작아져, 충격 흡수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10 ㎜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충격 흡수 패드를 인체에 적용했을 때의 인체의 헤드부측을 상측, 다리측을 하측이라고 정의하고,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패드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충격 회피부의 하방에, 상기 충격 회피부의 하단으로부터 5 ㎜ 이상 50 ㎜ 이하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를 적어도 1 개 형성하고, 상기 제 1 경감부의 최대 부분의 길이를 5 ㎜ 이상 50 ㎜ 이하로 설정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제 1 경감부에 의해, 대퇴골 골간부의 상부에 큰 충격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대퇴골 경부의 골절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경감부에 의해, 통기성을 향상시켜 습함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충격 흡수 패드를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음과 함께, 패드 본체의 유연성을 높여 착탈시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경감부를 상하로 2 개 나란히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1 개의 충격 회피부와 2 개의 제 1 경감부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충격 회피부와 제 1 경감부를 지나는 세로선을 중심으로 한 패드 본체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착탈시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패드 본체에 있어서의 충격 회피부 및 제 1 경감부 이외의 전체 면적의 50 % 이하에 1 개 이상의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 2 경감부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제 2 경감부에 의해 통기성을 한층 향상시켜 습함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충격 흡수 패드를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음과 함께 패드 본체의 유연성을 높여 착탈시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패드 본체가 이소부틸렌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이소부틸렌계 블록 공중합체인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드 본체는 폭넓은 온도역에서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엘라스토머가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점착 부여 수지에 의해 체온 부근에서의 엘라스토머의 충격 흡수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 본체를 엘라스토머 발포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패드 본체의 충격 흡수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는 상기 충격 흡수 패드의 충격 회피부가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패드를 의류 본체에 장착한 것이다.
이 의류에서는 상기 충격 흡수 패드의 충격 회피부가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패드가 의류 본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충격 흡수 패드와 마찬가지로, 전도시 등에 있어서의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한 충격력을, 패드 본체 및 그것에 대면하는 대퇴골 대전자부의 주변 부분에 작용시켜 흡수하고, 충격 회피부에 의해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해 직접적으로 충격력이 작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대퇴골 경부의 골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충격 흡수 패드를 의류 본체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이 경우에는 충격 흡수 패드를 의류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의류 본체를 세탁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충격 흡수 패드를 복수의 의류에 공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이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 본체가 팬츠인 것이 바람직하다. 팬츠는 대퇴골 대전자부를 덮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본 충격 흡수 패드를 장착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은 상기 충격 흡수 패드의 충격 회피부가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충격 흡수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다.
이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에서는 상기 충격 흡수 패드의 충격 회피부가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충격 흡수 패드를 장착하기 때문에, 상기 충격 흡수 패드와 마찬가지로, 전도시 등에 있어서의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한 충격력을 패드 본체 및 그것에 대면하는 대퇴골 대전자부의 주변 부분에 작용시켜 흡수하고, 충격 회피부에 의해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해 직접적으로 충격력이 작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대퇴골 경부의 골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에 의하면,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도록 충격 회피부를 충격 흡수 패드에 배치함으로써, 장착감 및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얇기를 유지하면서, 고령자의 전도에 의한 대퇴골 경부 골절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회피부의 하부에 제 1 경감부를 형성함으로써 통기성을 확보하고, 제 1 경감부의 좌우에 제 2 경감부를 형성함으로써 패드의 세로 방향의 유연성을 갖고, 충격 흡수 패드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위화감을 없앨 수 있다.
도 1 은, 충격 흡수 패드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충격 흡수 패드를 장착한 의류의 (a) 는 정면도, (b) 는 측면도이다.
도 3(a) ∼ 도 3(d) 는, 실시예의 충격 흡수 패드의 정면도이다.
도 4(a) ∼ 도 4(d) 는, 비교예의 충격 흡수 패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를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격 흡수 패드 (10) 는 충격 흡수 작용을 갖는 패드 본체 (11) 에, 최대 부분의 길이가 80 ㎜ 이하이고, 면적이 600 ㎟ 이상 5000 ㎟ 이하의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하고, 충격 회피부 (12) 가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응하도록 충격 흡수 패드 (10) 를 신체의 양측부에 배치함으로써 대퇴골 경부 (2) 의 골절을 예방하는 것이다.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응시켜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패드 본체 (11) 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운 경우를 제외하고, 전도에 의한 충격력이 패드 본체 (11) 를 통해서 대퇴골 대전자부 (1) 로부터 대퇴골 경부 (2) 에 전달되어, 골절될 위험이 있다. 한편, 패드 본체 (11) 의 두께를 충격력이 대퇴골 경부 (2) 에 전달되지 않도록 충분히 두껍게 하면, 장착감과 외관이 손상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응하는 영역에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함으로써, 주위의 연조직에 충격력이 확산되어 직접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장착감과 외관을 저해하지 않는 얇기의 충격 흡수 패드 (10) 를 실현하였다.
충격 회피부 (12) 의 최대 부분의 길이는, 8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대퇴골 대전자부 (1) 의 정상부가 패드 본체 (11) 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전도시의 충격력이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80 ㎜ 이하로 설정하게 된다. 충격 회피부 (12) 의 면적은 대퇴골 대전자부 (1) 를 둘러싸고 패드 본체 (11) 가 배치되도록 600 ㎟ 이상 5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부분의 길이가 60 ㎜ 이하, 면적이 700 ㎟ 이상 4000 ㎟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부분의 길이는 60 ㎜ 이하, 면적이 700 ㎟ 이상 2000 ㎟ 이하이다.
충격 회피부 (12) 는 관통 구멍 또는 비관통의 오목부로 구성할 수 있지만, 통기성의 관점에서 관통 구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 회피부 (12) 를 오목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개구부를 대퇴골 대전자부 (1) 측으로 향하여 충격 흡수 패드 (10) 를 배치하게 된다. 또한, 세로 방향이나 가로 방향으로 가늘고 긴 홈 형상의 오목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충격 회피부 (12)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 형상, 타원 형상, 삼각 형상, 장방 형상, 다각 형상, 표주박 형상, 십자 형상, 아치 형상, 달 형상, 모서리가 둥근 사각 형상, 모서리가 둥근 다각 형상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 형상, 타원 형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 형상이다. 충격 회피부 (12) 의 내주면은 원통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신체에 대한 장착면측으로 감에 따라 직경이 확장되는 테이퍼면으로 구성하여, 대퇴골 대전자부 (1) 측으로 감에 따라 충격력이 연속적 혹은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충격 회피부 (12) 가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응하도록 패드 본체 (11) 를 배치하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격 회피부 (12) 가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면하도록 패드 본체 (11) 를 신체 표면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충격 회피부 (12) 는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면하는 신체 표면의 영역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는데,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해 패드 본체 (11) 를 개재하여 충격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면하는 신체 표면의 영역을 전면적으로 포함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 본체 (11) 의 형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형, 타원형, 장방형이나 마름모꼴 등의 다각형, 표면에 임의의 요철을 형성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통기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적절히 관통공을 형성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형, 타원형이다. 그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성의 관점에서 타원 형상이 바람직하다.
패드 본체 (11) 의 두께는 지나치게 두꺼우면 패드 본체 (11) 의 라인이 의류의 표면에 노출되어, 의류의 외관을 해침과 함께, 패드 본체 (11) 의 면방향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장착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13 ㎜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착감과 외관상의 위화감을 없애는 관점에서 8 ㎜ 이하로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패드 본체 (11) 의 두께란, 패드 본체 (11) 의 최대 부분의 두께를 의미한다. 패드 본체 (11) 는 균일 두께의 평판상으로 구성해도 되고, 중앙부가 두껍고 끝 부분이 얇은 형상으로 구성해도 되고, 장소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형상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 패드 본체 (11) 의 적어도 외면측의 외주 가장자리의 모서리부에, 모따기면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요컨대, 패드 본체 (11) 를 팬츠 등의 의류에 장전하여 사용했을 때에, 그 의류에 있어서의 패드 본체 (11) 의 외주 가장자리의 모서리부에 맞닿는 부분이 늘어나 얇아지고, 그 부분이 겹쳐 입는 착의와의 마찰 등에 의해 문질러져 찢어지기 쉬워진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드 본체 (11) 의 적어도 외면측의 외주 가장자리의 모서리부에 모따기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따기면으로는 경사면 또는 원호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모따기면은 패드 본체 (11) 의 외주 가장자리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패드 본체 (11) 의 두께 방향에 대한 모따기면의 형성 범위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패드 본체 (11) 의 외주 두께의 전체 두께에 형성할 수도 있고, 또 코어백법에 의해 패드 본체 (11) 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패드 본체 (11) 의 외주 두께의 대략 1/2 이하의 범위로 모따기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패드 본체 (11) 의 외주 가장자리 이외에, 충격 회피부 (12) 의 적어도 외면측의 개구 가장자리의 모서리부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모따기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충격 회피부 (12) 의 상단으로부터 패드 본체 (11) 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10 ㎜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충격력을 확산시키는 효과로부터 35 ㎜ 이상으로 설정하게 된다.
충격 회피부 (12) 의 하방에 있어서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 (13) 를 적어도 1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 회피부 (12) 의 하단과 제 1 경감부 (13) 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는 5 ㎜ 이상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40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 충격 회피부 (12) 의 하단으로부터 10 ㎜ 이상 30 ㎜ 이하로 설정하게 된다. 충격 회피부 (12) 에 추가로 제 1 경감부 (13) 를 형성함으로써 패드 본체 (11) 의 면방향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착탈시의 위화감이 적어지며, 또한 통기성이 향상되어 습함이 저감된다. 또, 제 1 경감부 (13) 를 형성함으로써, 전도시의 충격력이 전해지는 경로가 바뀜으로써 대퇴골 경부 (2) 에 전해지는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제 1 경감부 (13) 는 관통 구멍 또는 비관통의 오목부로 구성할 수 있는데, 통기성의 관점에서 관통 구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경감부 (13) 를 오목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개구부를 대퇴골 대전자부 (1) 측으로 향하여 충격 흡수 패드 (10) 를 배치하게 된다. 제 1 경감부 (13) 는 직경 5 ㎜ 이상 50 ㎜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경 5 ㎜ 이상 40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패드 본체 (11) 의 강도 등의 관점에서 직경 5 ㎜ 이상 30 ㎜ 이하로 설정하게 된다.
제 1 경감부 (13) 의 형상은 충격 회피부 (12) 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 형상, 타원 형상, 삼각 형상, 장방 형상, 다각 형상, 표주박 형상, 십자 형상, 아치 형상, 달 형상, 모서리가 둥근 사각 형상, 모서리가 둥근 다각 형상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원 형상, 타원 형상, 장방 형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 형상, 장방 형상이다. 또, 제 1 경감부 (13) 는 적어도 1 개, 1 개 이상이면 8 개까지 형성해도 된다.
제 1 경감부 (13)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격 회피부 (12) 의 하방에 있어서 세로로 2 개 나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경감부 (13) 의 배치 형성 위치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충격 회피부 (12) 의 하단으로부터 20 ㎜ 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직경 20 ㎜ 의 원 형상의 제 1 경감부 (13) 를 형성하고, 또한 그 제 1 경감부 (13) 의 하단으로부터 10 ㎜ 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직경 20 ㎜ 의 제 1 경감부 (13)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 본체 (11) 에 있어서의 충격 회피부 (12) 및 제 1 경감부 (13) 이외의 전체 면적의 50 % 이하에 1 개 이상의 제 2 경감부 (14) 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제 2 경감부 (14) 는 관통 구멍 또는 비관통의 오목부로 구성할 수 있는데, 통기성의 관점에서 관통 구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경감부 (14) 의 배치 형성 위치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제 1 경감부 (13) 의 좌우 방향에 제 2 경감부 (14) 를 적어도 1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과 면방향의 유연성 관점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에 1 개씩, 합계 2 개 형성할 수 있다. 또, 통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충격 회피부 (12) 및 제 1 경감부 (13) 이외의 위치에 충격 흡수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작은 구멍을 전체 면적의 50 % 이하로 형성할 수도 있다.
패드 본체 (11) 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장착감의 관점에서 JIS K 7171 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산출한 굽힘 탄성율이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착탈시의 저항감을 줄이는 관점에서 20 ㎫ 이하이다.
패드 본체를 구성하는 엘라스토머로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이소부틸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체 블록의 구성으로는 방향족계 비닐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방향족계 비닐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트리 블록 공중합체나, 방향족계 비닐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디블록 공중합체, 방향족계 비닐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아암을 3 개 이상 갖는 성형 (星型)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원하는 물성·성형 가공성을 얻기 위해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 상기 방향족계 비닐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의 중량 비율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발포체의 충격 흡수성과 성형성, 상온에서의 형상 유지성의 관점에서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 = 95/5 ∼ 60/40 (중량비) 이 바람직하고, 또한 90/10 ∼ 65/35 (중량비) 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티렌, o-, m- 또는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2,6-디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α-메틸-o-메틸스티렌, α-메틸-m-메틸스티렌, α-메틸-p-메틸스티렌, β-메틸-o-메틸스티렌, β-메틸-m-메틸스티렌, β-메틸-p-메틸스티렌, 2,4,6-트리메틸스티렌, α-메틸-2,6-디메틸스티렌, α-메틸-2,4-디메틸스티렌, β-메틸-2,6-디메틸스티렌, β-메틸-2,4-디메틸스티렌, o-, m- 또는 p-클로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2,4-디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o-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m-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p-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o-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m-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p-클로로스티렌, 2,4,6-트리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2,6-디클로로스티렌, α-클로로-2,4-디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2,6-디클로로스티렌, β-클로로-2,4-디클로로스티렌, o-, m- 또는 p-t-부틸스티렌, o-, m- 또는 p-메톡시스티렌, o-, m- 또는 p-클로로메틸스티렌, o-, m- 또는 p-브로모메틸스티렌, 실릴기로 치환된 스티렌 유도체, 인덴, 비닐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인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그 입수 용이성 및 물성 밸런스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중합함으로써, 방향족계 비닐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이 형성된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이, 공액 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공액 디엔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1,3-부타디엔, 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그 입수 용이성, 및 물성 밸런스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공액 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수소 첨가를 실시하거나 공액 디엔 이외의 비닐계 화합물을 공중합해도 된다.
공액 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이라도, 공액 디엔이 3,4 또는 1,2 결합을 많이 포함하도록 중합한 블록, 상기 공액 디엔 중합체의 수첨물 블록, 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 중 어느 것인 것이 실온 부근에서의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 상기 결합을 많이 포함하는 공액 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은, 특정 온도로부터 벗어난 온도하에서는 충격 흡수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인 것이 폭넓은 온도역에서 충격 흡수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다른 비닐계 화합물을 공중합해도 된다.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이 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인 경우,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존재하에 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시킴으로써 엘라스토머가 얻어진다.
(CR1R2X)nR3 (1)
[식 중 X 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1 ∼ 6 의 아실옥시기를 나타낸다. R1, R2 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6 의 1 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R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3 은 다가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다가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n 은 1 ∼ 6 의 자연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개시제가 되는 것으로, 루이스산 등의 존재하 탄소 양이온을 생성하여, 카티온 중합의 개시점이 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식 (1) 의 화합물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1-클로르-1-메틸에틸)벤젠, 1,4-비스(1-클로르-1-메틸에틸)벤젠, 1,3-비스(1-클로르-1-메틸에틸)벤젠, 1,3,5-트리스(1-클로르-1-메틸에틸)벤젠, 1,3-비스(1-클로르-1-메틸에틸)-5-(tert-부틸)벤젠.
이들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1,4-비스(1-클로르-1-메틸에틸)벤젠, 1,3,5-트리스(1-클로르-1-메틸에틸)벤젠이다.
상기 중합에 있어서는 추가로 루이스산 촉매를 공존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루이스산으로는 카티온 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TiCl4, TiBr4, BCl3, BF3, BF3·OEt2, SnCl4, SbCl5, SbF5, WCl6, TaCl5, VCl5, FeCl3, ZnBr2, AlCl3, AlBr3 등의 금속 할로겐화물;Et2AlCl, EtAlCl2 등의 유기 금속 할로겐화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Et 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촉매로서의 능력, 공업적인 입수의 용이함을 생각한 경우, TiCl4, BCl3, SnCl4 가 바람직하다.
루이스산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하는 단량체의 중합 특성 혹은 중합 농도 등을 감안하여 설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몰 당량 이상 100 몰 당량 이하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몰 당량 이상 50 몰 당량 이하의 범위이다.
또 상기 중합에 있어서는 추가로 필요에 따라 전자 공여체 성분을 공존시킬 수도 있다. 이 전자 공여체 성분은, 카티온 중합시에 성장 탄소 카티온을 안정화 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어, 전자 공여체의 첨가에 의해 분자량 분포가 좁은 구조가 제어된 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전자 공여체 성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피리딘류, 아민류, 아미드류, 술폭사이드류, 에스테르류, 또는 금속 원자에 결합된 산소 원자를 갖는 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은 필요에 따라 유기 용매 중에서 실시할 수 있고, 유기 용매로는 카티온 중합을 본질적으로 저해하지 않으면 특별히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염화메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염화에틸, 디클로로에탄, n-프로필클로라이드, n-부틸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프로필벤젠, 부틸벤젠 등의 알킬벤젠류;에탄, 프로판, 부탄,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등의 직사슬형 지방족 탄화수소류;2-메틸프로판, 2-메틸부탄, 2,3,3-트리메틸펜탄, 2,2,5-트리메틸헥산 등의 분기형 지방족 탄화수소류;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등의 고리형 지방족 탄화수소류;석유 유분 (留分) 을 수첨 정제한 파라핀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중합 특성 및 생성되는 중합체의 용해성 등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얻어지는 중합체 용액의 점도나 제열 (除熱) 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중합체의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상 35 중량% 이하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실제 중합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는, 각 성분을 냉각하, 예를 들어 -100 ℃ 이상 0 ℃ 이하의 온도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 비용과 중합의 안정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특별히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80 ℃ 이상 -30 ℃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판되는 엘라스토머로는,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이 공액 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인 엘라스토머로서 (주) 쿠라레의 HYBRAR 를 예시할 수 있고, 이소부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인 엘라스토머로서 (주) 가네카의 SIBSTAR 를 예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패드 (10) 를 구성하는 엘라스토머에는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착 부여 수지란, 수평균 분자량 300 이상 3000 이하, JIS K-2207 에 정해진 환구 (環球) 법에 기초하는 연화점이 60 ℃ 이상 150 ℃ 이하인 저분자량의 수지이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를 엘라스토머에 함유시킴으로써, 체온 부근에서의 충격 흡수성을 올리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로진 및 로진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 수지 및 그들의 수소화물, 테르펜페놀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 및 그 수소화물, 방향족계 석유 수지 및 그 수소화물, 지방족 방향족 공중합계 석유 수지 및 그 수소화물,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 및 그 수소화물, 스티렌 또는 치환 스티렌의 저분자량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엘라스토머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의 상용성이 높다는 점에서 지환족계 석유 수지 및 그 수소화물,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의 수소화물, 폴리테르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 로진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량은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혼련시의 점도가 지나치게 저하되기 때문에, 충분한 혼련 상태가 얻어지지 않아, 양호한 발포체를 얻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엘라스토머에 가소제를 배합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실온에서 액체 또는 액상의 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친수성 및 소수성 중 어느 가소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소제로는 광물유계, 식물유계, 합성계 등의 각종 고무용 또는 수지용 가소제를 들 수 있다.
광물유계로는 나프텐계, 파라핀계 등의 프로세스 오일 등을, 식물유계로는 피마자유, 면실유, 아마미유, 유채씨유, 대두유, 팜유, 야자유, 낙화생유, 목납 (木蠟), 파인 오일, 올리브유 등을, 합성계로는 폴리부텐, 저분자량 폴리부타디엔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엘라스토머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또는 폴리부텐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가소제는 원하는 점도 및 물성을 얻기 위해서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엘라스토머에 충전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항균제, 광 안정제, 착색제, 유동성 개량제, 활제, 블로킹 방지제, 대전 방지제, 가교제, 가교 보조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해도 되고, 이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엘라스토머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그 밖의 각종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성 패드는 엘라스토머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로 이루어지는 발포성 조성물을 사출 발포하여 얻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발포성 조성물은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이란, 휘발성의 액체 팽창제를 중합체에 의해 마이크로 캡슐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계 매체 중에서 적어도 팽창제와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중합성 혼합물을 현탁 중합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중합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는 중합체에 의해 외각 (外殼) 이 형성되고, 그 외각 내에 팽창제가 감싸지도록 하여 봉입된 구조를 갖는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이 얻어진다.
외각을 형성하는 중합체로는 일반적으로, 가스 배리어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고 있으면 된다. 외각을 형성하는 중합체는 가열하면 연화된다. 외각 수지에 내포되는 액체 팽창제로는 중합체의 연화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스상이 되는 것이 선택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의 사용 비율은 후술하는 엘라스토머 및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 그 밖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포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이다. 사용 비율이 0.5 중량부보다 적으면 사출 발포 성형체의 밀도가 700 ㎏/㎥ 이하의 경량성이 우수한 사출 발포 성형체가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반대로 10 중량부 이상 배합해도 밀도는 대체로 350 ㎏/㎥ 정도에서 포화되어 추가적인 저밀도화로 이어지기 어렵다. 또 상기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은 미세한 분말상이기 때문에, 균일하게 배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고, 또한 분진 폭발 등의 위험성도 있다는 점에서 비교적 저온에서 가공할 수 있는 수지 중에 고농도로 분산시킨 마스터 배치 상태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마스터 배치의 배합량에, 마스터 배치 중의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의 함유 비율을 곱한 값이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의 배합량이 된다.
다음으로, 발포성 조성물을 사출 발포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출 발포 성형 방법 자체는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고, 발포성 조성물의 유동성, 성형기의 종류 혹은 금형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성형 조건을 조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경우, 수지 온도 170 ∼ 250 ℃, 금형 온도 10 ∼ 100 ℃, 성형 사이클 1 ∼ 120 분 , 사출 속도 10 ∼ 300 ㎜/초, 사출압 10 ∼ 200 ㎫ 등의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형 내에서 발포시키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고정형과 임의의 위치로 전진 및 후퇴가 가능한 가동형으로 구성되는 금형을 사용하고, 사출 완료 후, 가동형을 후퇴시켜 발포시키는, 이른바 코어백법 (Moving Cavity 법) 이 표면에 비발포층이 형성되고, 내부의 발포층이 균일 미세 기포가 되기 쉬우며, 경량성이 우수한 사출 발포 성형체가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충격 흡수 패드 (10) 를 구성하는 엘라스토머 발포체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을 발포제로 한 경우에는 독립 기포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고, 이로써 충격을 가했을 때에 가라앉기 어렵고, 충격에 의한 하중이 크게 상승되기 어렵기 때문에, 우수한 충격 흡수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독립 기포율은 80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패드 (10) 를 구성하는 엘라스토머 발포체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이다. 밀도는 패드 본체 (11) 내에서 균일해도 되고, 불균일해도 된다. 밀도가 100 ㎏/㎥ 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충격 흡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패드 본체 (11) 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어, 장착감이나 외관의 위화감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패드 (10)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응시켜 충격 회피부 (12) 가 위치하도록, 의류 본체 (21) 에 장착하여 의류 (20) 를 구성할 수 있다. 그 충격 흡수 패드 (10) 를 장착하는 의류 본체 (21) 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팬티류나 브리프, 쇼츠, 외착용 내지 스포츠용 각종 팬츠류 및 바지류를 들 수 있고, 골절되기 쉬운 부위에서의 충격을 흡수할 목적에서 특히 팬츠가 바람직하다. 또, 기저귀나 종이 팬츠류에도 장착할 수 있다. 충격 흡수 패드 (10) 의 장착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착용시에 충격 흡수 패드 (10) 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의류 본체 (21) 에 포켓을 형성하여 봉입할 수 있다.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충격 흡수 패드 (10) 를 의류 본체 (21) 에 실로 꿰매어 고정시켜도 된다. 또, 충격 흡수 패드 (10) 는 직접적으로 신체에 닿도록 해도 되고, 혹은 옷감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신체에 닿도록 해도 된다. 또, 포켓은 충격 흡수 패드 (10) 를 꺼낼 수 없도록 봉해도 되고, 자유롭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게 해도 된다. 단, 의류 본체 (21) 대신에, 충격 흡수 패드 (10) 를 수용 가능한 포켓을 형성한 요부용 코르셋을 사용하여, 그 포켓에 충격 흡수 패드 (10) 를 삽입 유지시킨 상태에서,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응시켜 충격 회피부 (12) 가 위치하도록, 코르셋을 요부에 고정시켜도 되고, 주머니를 장착한 벨트를 사용하여 그 주머니에 충격 흡수 패드 (10) 를 삽입 유지시킨 상태에서, 대퇴골 대전자부 (1) 에 대응시켜 충격 회피부 (12) 가 위치하도록 충격 흡수 패드 (10) 를 벨트로 신체에 고정시켜도 된다.
또, 착용성 등의 점에서, 필요하면 대퇴골 대전자부 (1) 에는 본 발명의 충격 흡수 패드 (10) 를 사용하고, 또한 충격이 비교적 완화되는 곳에는 다른 패드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다른 패드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 발포체나 폴리에틸렌 발포체, 아크릴 발포체, 부직포, 입체 직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의류에 사용되는 옷감도, 소재, 편섬 방법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통기성,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옷감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표면에 요철의 형상이 나타나는 편 조직, 파일 짜기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들 옷감을 의류의 신체측에 위치하는 장소에 장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충격 흡수 패드 (10) 를 신체에 밀착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충격 흡수 패드 (10) 의 주위에 스트레치 소재를 사용해도 된다.
<전도 시뮬레이션에 의한 충격 흡수 성능 평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패드의 충격 흡수 성능 평가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실시하였다. 이하에 컴퓨터에 의한 전도 시뮬레이션에 대해 설명한다.
좌측 대퇴골 모델은 비특허문헌 4 (타나카 에이이치 등:개체 차를 모의한 유한 요소 모델에 의한 대퇴골 경부 전도 골절의 역학적 검토, 일본 기계 학회 논문집 (A 편), 70 (697) 1178-85, 2004) 에 상세히 서술된 개체별 대퇴골 모델링 수법에 의해 제작한 좌근위 대퇴골 모델에 연조직, 고관절을 더한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 개체별 대퇴골 모델링 수법은 대퇴골근 부위의 형태적 특징을 표현하는 41 개의 형상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대퇴골 형상의 개체 차를 반영시킨 유한 요소 모델을 간단하게, 또한 신속하게 구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53 세부터 89 세까지의 여성 8 명으로부터 적출한 대퇴골 표본에 대해 계측한 각 형상 파라미터의 평균값과 표준 편차를 사용하여 모델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대퇴부 연조직의 단면 형상은 타원에 근사시키고, 측면에는 피부를 모의한 막 요소를 배치하였다. 대퇴골 골두와 함께 고관절을 형성하는 관골구는 대퇴골 골두의 형상에 맞추어 골두 형상을 근사시킨 구의 동심 반구로서 구축하였다. 고관절 거동의 안정에 크게 기여하는 장골 대퇴 인대, 치골 대퇴 인대, 좌골 대퇴 인대는 막 요소에 의해 모델화하였다. 이상의 수법에 의해 모델화한 요소를 조합하여 좌측 대퇴골 모델을 구축하고, 그 이외에는 강체 요소에 의해 구축하여, 산출한 인체 각부의 중심점에 각 세그먼트 질량의 값에 동등한 집중 질량을 부여하였다. 좌하퇴는 대퇴골 모델과 결합하였다.
다음으로, 좌측 대퇴부 모델의 재료 특성에 대해 말한다. 대퇴골은 피질골, 해면골 모두 등방 선형 탄성체, 대퇴부의 근육-지방 요소는 등방성의 Maxwell 모델, 피부 요소는 등방 선형 탄성체로 하였다. 인대 요소 및 골두 관절 연골도 등방 선형 탄성체로 하였다. 근육-지방 요소, 피부 요소, 인대 요소 및 연골 요소의 밀도는 모두 1 g/c㎥ 로 하였다. 관골구 요소는 피질골과 동일한 재료 물성을 부여하였다. 사용한 재료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이상에 의해 작성한 좌측 대퇴부 유한 요소 모델에, 전신의 각 부위의 중심에 집중 질량을 부여하고, 비특허문헌 5 (타나카 에이이치 등:히프 프로텍터에 의한 대퇴골 경부 전도 골절 예방의 생체 역학적 검토, 일본 기계 학회 논문집 (A 편), 70 (697):1193-1200, 2004) 에 상세히 서술한 바와 같이 강체를 사용하여 각 부위를 연결하여 인체의 질량 분포를 재현한 간이 인체 모델을 사용하였다. 대퇴골 유한 요소 모델과 평행으로 지면을 모의한 지면 모델을 배치하고, 간이 인체 모델에 벽면 수직 방향으로 실제 전도시에 가해지는 속도인 병진 (竝進) 속도 2.75 m/s 의 속도를 부여하여, 전도를 모의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지면 모델은 한 변 300 ㎜ 의 입방체의 등방 선형 탄성체로 하고, 표 1 에 나타내는 콘크리트의 재료 상수를 부여하여, 질량 밀도는 2.3 g/c㎥ 로 하였다. 대퇴골에 접하지 않는 지면 모델의 표면은 응력 무반사 경계로 하고, 그 변위를 구속하였다.
Figure 112013028689113-pct00001
해석에는 유한 요소 해석 프로그램 LS-DYNA (Livermore Software Technology Corp., USA) 를 사용하였다. 이 대퇴골 모델에 충격 흡수 패드의 형상을 모델화하여 장착하고, 전도 시뮬레이션에 의해 대퇴골 경부에 가해지는 압축 주응력을 산출하였다.
충격 흡수 패드의 재료 파라미터는, 실제의 재료를 속도가 상이한 3 조건으로 압축 시험을 실시하고, 거기서부터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을 사용하여, 재료 모델로서 도입하여 계산을 실시하였다. 재료 모델은 LS-DYNA 의 저밀도 우레탄 재료 모델 (LOW_DENSITY_FOAM) 에 의해 표현하였다. 충격 흡수 패드의 사이즈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데, 전체에 있어서 대퇴부를 따르도록 곡률 반경 60 ㎜ 로 커브시켰다.
또한, 실제 재료의 압축 시험은 시료를 임의의 두께로 직경 30 ㎜ 의 원 형상으로 잘라, 텍스처-애널라이저 (에이코 정기 주식회사 제조) 로 속도를 5, 50, 500 ㎜/min 의 3 조건에서 실시하여, 응력-변형 곡선을 얻었다.
일반적인 고령 여성은 골밀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압축 주응력이 140 에서 260 ㎫ 정도에서 골절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본 발명에서는 200 ㎫ 를 임계값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밀도 측정>
재료를 가로세로 20 ㎜ 로 잘라 각 변의 길이를 측정하여 체적을 산출하고, 측정한 중량을 체적으로 나눔으로써 밀도를 산출하였다.
<장착감 평가>
장착감의 평가는 대퇴골 대전자부 (1) 의 바로 위에 충격 회피부가 위치하도록 포켓을 형성한 팬츠의 포켓에 충격 흡수 패드를 넣고, 그 팬츠를 10 명의 일반 패널리스트에게 24 시간 착용하게 하여, 「습함」, 「착탈시 (화장실에서의 착탈 포함) 의 위화감」, 「외관의 부자연스러움」의 3 가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패널리스트의 채점으로부터 평균값을 산출하여, 평가점으로 하였다.
「습함」:
◎:습함을 느끼지 않아 불쾌감이 없다.
○:습함을 거의 느끼지 않아 불쾌감이 거의 없다.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습함을 느껴 불쾌하다.
「착탈시의 위화감」
◎:착탈시에 걸림이 없어 위화감이 없다.
○:착탈시에 거의 걸림이 없어 위화감이 적다.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착탈시에 걸림이 있어 위화감이 있다.
「외관」:
○:의복 겉에서부터 보아 충격 흡수 패드가 들어가 있는 것을 거의 알 수 없다.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다.
×:의복 겉에서부터 보면 충격 흡수 패드가 들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 로서, NP 겔 (발포 겔) (주식회사 타이카 제조) 로 이루어지고, 도 3(a)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10A) 와 같이, 세로 140 ㎜, 가로 120 ㎜ 의 장방형이고, 두께가 12 ㎜ 이며, 직경 50 ㎜ 인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한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 로서, 두께를 8 ㎜ 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의 충격 흡수 패드와 동일하게 구성한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 에서 5 까지의 충격 흡수 패드는 이하의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사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폴리스티렌 블록-폴리이소부틸렌 블록-폴리스티렌 블록을 갖는 엘라스토머, SIBSTAR072T (주식회사 가네카 제조) 100 중량부와 점착 부여 수지인 수첨 석유 수지 아르콘 P140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18 중량부의 혼합물에 대하여,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 마스터 배치, 파인 셀 마스터 MS405K (다이니치 정화 주식회사 제조,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 함유율 40 wt%) 를 10 중량부 배합 (열팽창성 캡슐 배합량 4 중량부) 하여 발포성 조성물로 하였다. 이것을 우베 흥산 기계 (주) 제조 「MD350S-IIIDP 형」 (셧오프 노즐 사양) 의 사출 성형기로, 수지 온도 200 ℃, 배압 15 ㎫ 로 용융 혼련한 후, 60 ℃ 로 설정된 φ2 ㎜ 의 핀 게이트를 갖고, 고정형과 전진 및 후퇴가 가능한 가동형으로 구성되는 세로 330 ㎜ × 가로 230 ㎜ × 높이 100 ㎜ 의 상자 형상의 캐비티 (입벽부:경사 10 도, 클리어런스 3 ㎜, 바닥면부:클리어런스 t0 = 3.0 ㎜) 를 갖는 금형 중에, 사출 속도 100 ㎜/초로 사출 충전하였다. 사출 충전 완료 후에 바닥면부의 클리어런스가 6.5 ㎜ 가 되도록 가동형을 후퇴시켜, 캐비티 내의 수지를 발포시켰다. 발포 완료 후 60 초간 냉각시키고 나서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꺼내어, 상자의 바닥을 잘라, 압축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으로서, 상기 엘라스토머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도 3(a)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10A) 와 같이, 세로 140 ㎜, 가로 120 ㎜ 의 장방형이고, 두께가 12 ㎜ 이며, 직경 50 ㎜ 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한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 로서, 상기 엘라스토머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도 3(b)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10B) 와 같이, 실시예 3 의 충격 흡수 패드의 충격 회피부 (12) 의 하단으로부터 22 ㎜ 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세로 6 ㎜, 가로 75 ㎜ 의 장방형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 (13B) 를 형성한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5 로서, 상기 엘라스토머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도 3(c)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10C) 와 같이, 실시예 3 의 충격 흡수 패드의 충격 회피부 (12) 의 하단으로부터 6 ㎜ 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세로 6 ㎜, 가로 18 ㎜ 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 (13C) 를 형성하고, 추가로 그 하단으로부터 6 ㎜ 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동일한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 (13C) 를 형성한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6 에서는 소재로서 실시예 3 의 폴리스티렌 블록-폴리이소부틸렌 블록-폴리스티렌 블록을 갖는 엘라스토머를 SIBSTAR062T (주식회사 가네카 제조)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사용하였다. 또, 실시예 6 의 충격 흡수 패드의 형상은 도 3(d)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10) 와 같이, 장변이 170 ㎜, 단변이 130 ㎜ 인 타원형으로 하고, 두께는 8 ㎜ 로 하였다. 또, 충격 흡수 패드 (10) 의 상단으로부터 40 ㎜ 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직경 50 ㎜ 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하였다. 또한, 그 충격 회피부 (12) 의 하단으로부터 15 ㎜ 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직경 20 ㎜ 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 (13) 를 형성하고, 그 하단으로부터 10 ㎜ 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직경 20 ㎜ 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 (13) 를 형성하였다. 제 1 경감부 (13) 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을 지나는 우단 (右端) 으로부터 14 ㎜ 의 위치에 좌단 (左端) 을 갖는 직경 30 ㎜ 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경감부 (14) 를 형성하고, 제 1 경감부 (13) 의 좌단으로부터 14 ㎜ 의 위치에 우단을 갖는 직경 30 ㎜ 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경감부 (14) 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7 로서, 두께를 5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의 충격 흡수 패드와 동일한 구성의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8 에서는 소재로서 엘라스토머, SIBSTAR072T (주식회사 가네카 제조) 100 중량부에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 마스터 배치, 파인 셀 마스터 MS405K (다이니치 정화 주식회사 제조,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 함유율 40 wt%) 를 10 중량부 배합 (열팽창성 캡슐 배합량 4 중량부) 하여 발포성 조성물로 하고,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8 의 충격 흡수 패드의 형상은 도 3(a)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10A) 와 같이, 세로 140 ㎜, 가로 120 ㎜ 의 장방형으로 하고, 두께는 8 ㎜ 로 하여, 직경 50 ㎜ 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한 형상으로 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9 에서는 소재로서 엘라스토머, SIBSTAR072T (주식회사 가네카 제조) 를 사용하고, 이것을 200 ℃ 에 있어서 프레스 성형을 실시하여 두께 8 ㎜ 의 판을 얻었다. 그리고, 이 판으로부터 도 3(a)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10A) 와 같이, 세로 140 ㎜, 가로 120 ㎜ 의 장방형을 잘라 직경 50 ㎜ 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하여,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충격 흡수 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대퇴골 경부 (2) 에 가해지는 압축 주응력을 산출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 로서, 히프 프로텍터 (군제 주식회사 제조) 에 사용되고 있는 패드를 꺼내, 도 4(a)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30A) 와 같이, 실제 패드 사이즈 와 동일하게 세로 170 ㎜, 가로 140 ㎜, 두께 12 ㎜ 의 장방형이고, 구멍은 형성하지 않은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 으로서, 두께를 5 ㎜ 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구성한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 로서, 실시예 4 의 충격 흡수 패드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여, 도 4(b)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30B) 와 같이,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형상은 세로 140 ㎜, 가로 120 ㎜ 의 장방형으로 하고, 두께는 12 ㎜ 로 하며, 충격 회피부 (12) 를 형성하지 않은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5 로서, 도 4(c)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30C) 와 같이 충격 회피부 (12) 대신에 직경 20 ㎜ 의 충격 회피부 (31C) 를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 의 충격 흡수 패드와 동일하게 구성한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6 으로서, 쿠션 팬츠 (주식회사 토쿄 엔젤 제조) 에 사용되는 충격 흡수 패드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6 의 충격 흡수 패드의 형상은 도 4(d) 에 나타내는 충격 흡수 패드 (30D) 와 같이, 세로 160 ㎜, 가로 120 ㎜, 두께 20 ㎜ 의 타원형으로 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7 로서, 두께를 14 ㎜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의 충격 흡수 패드 와 동일하게 구성한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비교예 8 로서, 두께를 12 ㎜ 로 하고 충격 회피부 (12) 를 직경 90 ㎜ 로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의 충격 흡수 패드와 동일하게 구성한 충격 흡수 패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9 및 비교예 1 ∼ 8 에 대하여, 전술한 평가 시험을 실시하여 표 2 에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13028689113-pct00002
표 2 로부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최대 압축 주응력은 비교예 1 ∼ 4 와 같이 충격 회피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시예 1 ∼ 8 과 비교하여 높아지고, 또 비교예 5 와 같이 충격 회피부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면적이 작으면 최대 압축 주응력이 커져,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한 충격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 ∼ 8 에 있어서도,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나 제 2 경감부를 형성하지 않은 실시예 1 ∼ 3, 8, 9 에 있어서는 습함이 발생하기 쉽고, 또 실시예 2 와 같이 밀도를 낮게 설정함과 함께 두께를 얇게 하지 않으면 장착시의 위화감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실시예 4 ∼ 7 과 같이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나 제 2 경감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사용시에 있어서의 외관을 고려하면, 실시예 6, 7 과 같이, 두께를 8 ㎜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대퇴골 대전자부 2 대퇴골 경부
3 대퇴골 골간부
10 충격 흡수 패드 11 패드 본체
12 충격 회피부 13 제 1 경감부
14 제 2 경감부
20 의류 21 의류 본체
10A 충격 흡수 패드
10B 충격 흡수 패드 13B 제 1 경감부
10C 충격 흡수 패드 13C 제 1 경감부
30A 충격 흡수 패드 30B 충격 흡수 패드
30C 충격 흡수 패드 31C 충격 회피부
30D 충격 흡수 패드

Claims (13)

  1. 충격 흡수 작용을 갖는 패드 본체에, 최대 부분의 길이가 80 ㎜ 이하이고, 면적이 600 ㎟ 이상 5000 ㎟ 이하의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충격 회피부를 형성하고, 그 충격 회피부가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드 본체를 배치함으로써 대퇴골의 골절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패드 본체의 두께를 13 ㎜ 이하로 설정하고, 상기 패드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충격 회피부의 하방에, 상기 충격 회피부의 하단으로부터 5 ㎜ 이상 50 ㎜ 이하의 위치에 상단을 갖는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 1 경감부를 상하로 2 개 나란히 형성하고, 상기 제 1 경감부의 최대 부분의 길이를 5 ㎜ 이상 50 ㎜ 이하로 설정한 충격 흡수 패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회피부의 상단으로부터 패드 본체의 상단까지의 거리를 10 ㎜ 이상으로 설정한 충격 흡수 패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에 있어서의 충격 회피부 및 제 1 경감부 이외의 전체 면적의 50 % 이하에 1 개 이상의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 2 경감부를 형성한 충격 흡수 패드.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가 이소부틸렌을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과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구성 단량체로 하는 중합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이소부틸렌계 블록 공중합체인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 패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가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는 충격 흡수 패드.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를 엘라스토머 발포체로 구성한 충격 흡수 패드.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충격 흡수 패드의 충격 회피부가 대퇴골 대전자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패드를 의류 본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패드를 의류 본체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의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본체가 팬츠인 의류.
  13. 삭제
KR1020137008473A 2010-09-03 2011-09-01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 KR101868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8101 2010-09-03
JPJP-P-2010-198101 2010-09-03
PCT/JP2011/069929 WO2012029917A1 (ja) 2010-09-03 2011-09-01 衝撃吸収パッド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衣類並びに大腿骨骨折予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390A KR20130106390A (ko) 2013-09-27
KR101868649B1 true KR101868649B1 (ko) 2018-06-18

Family

ID=4577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473A KR101868649B1 (ko) 2010-09-03 2011-09-01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87035B2 (ko)
EP (1) EP2612623B1 (ko)
JP (1) JP5874638B2 (ko)
KR (1) KR101868649B1 (ko)
CN (1) CN103200908B (ko)
DK (1) DK2612623T3 (ko)
WO (1) WO2012029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9800B2 (en) 2009-01-14 2016-09-13 Ossur Hf Orthopedic device, use of orthoped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2333502B (zh) 2009-02-26 2014-06-25 欧苏尔公司 用于治疗背部的矫形装置
US8657769B2 (en) 2009-11-04 2014-02-25 Ossur Hf Thoracic lumbar sacral orthosis
EP2802299B1 (en) 2012-01-13 2016-03-16 Össur HF Spinal orthosis
US9572705B2 (en) 2012-01-13 2017-02-21 Ossur Hf Spinal orthosis
CN104853699B (zh) 2012-09-19 2017-08-15 欧苏尔公司 用于矫形装置的嵌板附着件与周长调整系统
US9554935B2 (en) 2013-01-24 2017-01-31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US9795500B2 (en) 2013-01-24 2017-10-24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US9393144B2 (en) 2013-01-24 2016-07-19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US10357391B2 (en) 2013-01-24 2019-07-23 Ossur Hf Orthopedic device for treating complications of the hip
WO2015064528A1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カネカ 衝撃吸収パッド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衣類並びに大腿骨骨折予防方法
WO2016138215A1 (en) 2015-02-27 2016-09-01 Ossur Iceland Ehf Spinal orthosis, k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10561520B2 (en) 2015-02-27 2020-02-18 Ossur Iceland Ehf Spinal orthosis, ki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GB2544082A (en) * 2015-11-05 2017-05-10 Impact Tech Labs Ltd A wearable garment
KR102171506B1 (ko) * 2017-07-25 2020-10-29 디스크닥터 주식회사 고관절 보호대
WO2019022440A1 (ko) * 2017-07-25 2019-01-31 디스크닥터 주식회사 고관절 보호대
EP3678613B1 (en) 2017-09-07 2023-08-09 Össur Iceland EHF Thoracic lumbar sacral orthosis attachment
WO2019067835A1 (en) 2017-09-28 2019-04-04 Ossur Iceland Ehf BODY INTERFACE
US10598249B2 (en) * 2018-02-15 2020-03-24 Neil Saley Joint cushioning system
KR102050872B1 (ko) 2019-06-03 2019-12-02 허군영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128A (en) 1992-11-20 1996-08-13 Beth Israel Hospital Bone fracture prevention method
US20050234380A1 (en) * 2002-07-24 2005-10-20 Remploy Limited Proection pad for the trochantheric region and device comprising the pad
JP2008525659A (ja) * 2004-12-29 2008-07-17 タイテックス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骨折の危険を減少させるための衣服、保護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29393D0 (da) * 1993-11-16 1993-11-16 Qvanti Aps A protective appliance
DK9400025U4 (da) 1994-01-17 1995-04-28 Sahva As Hoftebeskytter
JPH09268409A (ja) 1996-03-27 1997-10-14 Gunze Ltd 衝撃吸収パッド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衣類
JPH09273582A (ja) * 1996-04-02 1997-10-21 Bridgestone Corp 衝撃吸収部材
DK0962156T3 (da) * 1996-12-20 2007-03-26 Gunze Kk Hoftebeskyttelsesdel
JP3825901B2 (ja) 1996-12-20 2006-09-27 グンゼ株式会社 下半身用肌着
US6093468A (en) * 1997-03-14 2000-07-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lightweight protective pad with energy absorbing inserts
US5943694A (en) * 1997-07-14 1999-08-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pecially shaped multilayer armor
DK173798B1 (da) * 1998-02-18 2001-11-05 Hans Olsen Beskyttelsesindretning til beskyttelse mod læsioner
JP2000290331A (ja) * 1999-04-02 2000-10-1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イソブチ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からなる靴底
JP2003175063A (ja) * 2001-12-11 2003-06-24 Teijin Ltd 腰回りの骨折予防具
KR200388238Y1 (ko) * 2005-03-31 2005-06-29 최인선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JP2007291536A (ja) 2006-04-21 2007-11-08 Sumitomo Rubber Ind Ltd 人体用緩衝体
US8580863B2 (en) * 2007-03-23 2013-11-12 Kaneka Corporation Soft foam, molded product, and shock absorber comprising the molded product
JP4840881B2 (ja) 2007-09-14 2011-12-21 富山県 腰用サポータ
JP3142546U (ja) * 2008-03-10 2008-06-19 清 佐直 大腿骨大転子部保護具
US8695179B2 (en) * 2010-08-20 2014-04-15 Munchkin, Inc. Hook art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128A (en) 1992-11-20 1996-08-13 Beth Israel Hospital Bone fracture prevention method
US20050234380A1 (en) * 2002-07-24 2005-10-20 Remploy Limited Proection pad for the trochantheric region and device comprising the pad
JP2008525659A (ja) * 2004-12-29 2008-07-17 タイテックス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骨折の危険を減少させるための衣服、保護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9917A1 (ja) 2012-03-08
US9687035B2 (en) 2017-06-27
EP2612623A1 (en) 2013-07-10
EP2612623B1 (en) 2017-12-27
CN103200908A (zh) 2013-07-10
DK2612623T3 (en) 2018-03-19
CN103200908B (zh) 2016-08-03
KR20130106390A (ko) 2013-09-27
JP5874638B2 (ja) 2016-03-02
US20130298914A1 (en) 2013-11-14
EP2612623A4 (en) 2014-03-26
JPWO2012029917A1 (ja)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649B1 (ko)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
CA2147878C (en) Bone fracture prevention garment and method
US6701529B1 (en) Smart padding system utilizing an energy absorbent medium and articles made therefrom
EP1729654A2 (en) Improved hip protection device
JP2016516919A (ja) 側腰部保護下着
Jeong et al. Impact attenuation of the soft pads and the wearable airbag for the hip protection in the elderly
JP5905663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を用いたプロテクターの製造方法
JP6491104B2 (ja) 衝撃吸収パッド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衣類並びに大腿骨骨折予防方法
WO2016093091A1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押出発泡シート
AU2012326737A1 (en) Protective devices, components therefore, and their methods of use
Holzer et al. Mechanical testing of different hip protectors according to a European Standard
US7941875B1 (en) Trabecular matrix like protectors and method
CA2635755A1 (en) Male genital protection device
EP1159352B1 (en) Smart padding system utilizing an energy absorbent medium and articles obtainable therefrom
JP2003003004A (ja) 衝撃吸収パッド付き衣類
Shah et al. An Evaluation of Material Customized Modular Protective Helmets
CN210520157U (zh) 一种跌倒防护护具
CN208510138U (zh) 一种术后防摔裤
CN104490503A (zh) 一种髋部护具
JP2018091840A (ja) 安全性評価用人体ダミー
JP2000342609A (ja) 疑似乳房およびその形成方法
BRPI0804857A2 (pt) protetor de quadr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