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872B1 -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 Google Patents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872B1
KR102050872B1 KR1020190065374A KR20190065374A KR102050872B1 KR 102050872 B1 KR102050872 B1 KR 102050872B1 KR 1020190065374 A KR1020190065374 A KR 1020190065374A KR 20190065374 A KR20190065374 A KR 20190065374A KR 102050872 B1 KR102050872 B1 KR 102050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ll
buffer
pad
buffer pad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군영
Original Assignee
허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군영 filed Critical 허군영
Priority to KR102019006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2Protectiv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06Hip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41B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70Remov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41D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70Remov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 기능을 가진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에어볼을 이용하여 충격을 순차적으로 고르게 분산 흡수 할 수 있는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는, 두께를 가져 외부 충격에 따라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되 두께 방향으로 에어볼 수용공(110)이 형성된 완충부재(100)와; 상기 완충부재(100)의 에어볼 수용공(110)에 마련되는 에어볼(200)과; 상기 완충부재(100)의 두께 방향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완충부재(100)를 감싸는 내피(300) 및 외피(400)를 포함하여, 낙상 사고로 인한 대퇴부나 엉덩이뼈 등의 골절을 예방할 수 있어 착용자의 안전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Pad for absorbing shock and functional pant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에어볼을 이용하여 충격을 순차적으로 고르게 분산 흡수 할 수 있는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낙상 사고로 인한 대퇴부나 엉덩이뼈 등의 골절을 예방할 수 있어 착용자의 안전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티는 속옷의 개념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체형의 보정이나 보형 기능을 가진 기능성 팬티가 개발되고 있어, 미적으로 아름다운 체형을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등 여러 나라는 고령화에 따른 노령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노년층의 낙상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년층의 낙상 사고는 대부분 대퇴부 또는 엉덩이뼈 골절을 발생시키고 이는 장기간 입원 및 치료 등으로 이어져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특히, 대퇴부 골절 시에는 운동 부족에 의한 면역력 저하로 인해 낙상 사고로부터 1년 이내의 사망률을 급증시키고 있다.
이러한 노년층의 낙상 사고는 위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어, 단순히 보정 또는 보형 기능을 지닌 기존의 팬티에서 벗어나, 낙상 사고로 인한 골절 등의 상해를 저감시키고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완충 패드나 이를 구비한 팬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중 일부로, 선행기술문헌1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585580호 공보에는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된 골반 및 꼬리뼈 골절방지용 기능성 의류'가 개시되어 있으며, 선행기술문헌2인 한국 등록특허 제10-0842427호 공보에는 '골절 방지 의복'이 개시되어 있고, 선행기술문헌3인 한국 공개특허 제2013-0106390호 공보에는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1 내지 선행기술문헌3은 단순히 1차원적인 충격 흡수만으로 낙상 사고로부터 골절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어렵다는 점, 위생문제로 인해 세탁 등 재사용이 어렵다는 점, 부자연스러운 착용감으로 인해 평소에 착용하기 어려워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점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는 것에 불과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85580호 공보 한국 등록특허 제10-0842427호 공보 한국 공개특허 제2013-010639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에어볼을 이용하여 충격을 순차적으로 고르게 분산 흡수함으로써, 낙상 사고로 인한 대퇴부나 엉덩이뼈 등의 골절을 예방할 수 있어 착용자의 안전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는, 두께를 가져 외부 충격에 따라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되 두께 방향으로 에어볼 수용공이 형성된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에어볼 수용공 내에 마련되는 에어볼과;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 방향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감싸는 내피 및 외피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에는 두께 방향으로 변형 유도공이 형성되되, 상기 변형 유도공은 에어볼 수용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에어볼은 상기 에어볼 수용공 내에 1개 이상이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개수로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일 예는, 상술한 완충 패드와, 상기 완충 패드를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이 형성된 팬티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뿐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다른 예는, 탄력을 가지며 허리부분을 일주하는 밴드부와; 상술한 완충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박육부와 상기 박육부 보다 두꺼운 후육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패드의 양단이 상기 밴드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부는 탄력을 지닌 탄력부재와 탄력을 지니지 않은 비탄력부재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 패드의 양단과 상기 밴드부에는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한 탈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에어볼을 이용하여 충격을 순차적으로 고르게 분산 흡수함으로써, 낙상 사고로 인한 대퇴부나 엉덩이뼈 등의 골절을 예방할 수 있어 착용자의 안전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의 일 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에어볼 수용공만이 형성된 완충부재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에어볼 수용공 및 변형 유도공 모두가 형성된 완충부재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큰 직경의 변형 유도공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작은 직경의 변형 유도공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에어볼 수용공 및 변형 유도공 모두가 형성되되 서로 다른 크기의 변형 유도공이 형성된 완충부재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다른 예에 있어서 완충 패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의 일 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에어볼 수용공만이 형성된 완충부재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에어볼 수용공 및 변형 유도공 모두가 형성된 완충부재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큰 직경의 변형 유도공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도로서, 도 6의 (a)는 변형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의 (b)는 변형 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작은 직경의 변형 유도공에 대한 변형을 나타내는 도로서, 도 7의 (a)는 변형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의 (b)는 변형 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에 있어서, 에어볼 수용공 및 변형 유도공 모두가 형성되되 서로 다른 크기의 변형 유도공이 형성된 완충부재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게다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한 다른 예에 있어서 완충 패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는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에어볼(200)을 이용하여 충격을 순차적으로 고르게 분산 흡수함으로써, 낙상 사고로 인한 대퇴부나 엉덩이뼈 등의 골절을 예방할 수 있어 착용자의 안전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10)를 먼저 설명하고, 이러한 완충 패드(10)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져 외부 충격에 따라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되 두께 방향으로 에어볼 수용공(110)이 형성된 완충부재(100)와; 상기 완충부재(100)의 에어볼 수용공(110)에 마련되는 에어볼(200)과; 상기 완충부재(100)의 두께 방향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완충부재(100)를 감싸는 내피(300) 및 외피(4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10)는 크게 완충부재(100), 에어볼(200), 내피(300), 그리고 외피(400)를 포함하고 있다.
먼저, 상기 완충부재(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져 외부 충격에 따라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실리콘, 스펀지, 고무, 라텍스 등 성형성이 좋고 충격 흡수 능력이 뛰어난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상온에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외형이나 물성 변화가 적고, 인장력 및 복원력이 우수한 소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완충부재(100)의 평면 형상에 제한은 없을 것이며, 사각형,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대퇴부나 엉덩이뼈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 완충부재(100)를 예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100)는 대략 넓은 반구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100)는 방향성을 지니게 되어, 상기 완충부재(100)가 반구형상으로 돌출되는 방향은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도록 하여 내측에 해당하고, 상기 완충부재(100)에 있어 돌출되지 않는 평평한 방향은 착용자의 신체 바깥쪽을 향하도록 하여 외측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10)에 의해 국부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윤곽이 외부로 들어나는 것을 최소화하고, 착용자의 의복 외형선을 따라 가급적 부드러운 윤곽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10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에어볼(200)을 수용할 수 있는 에어볼 수용공(110)이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볼 수용공(110)은 에어볼(200)을 삽입할 수 있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100)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되어도 좋고, 어느 일측 만이 폐쇄되어 있어도 좋을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볼 수용공(110)의 크기는 에어볼(200)의 크기 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상기 에어볼(200)이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에어볼 수용공(110)의 양측 개구는 이하에서 설명할 내피(300) 및 외피(400)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에어볼 수용공(110) 내의 에어볼(200)이 스스로 빠져 나올 수는 없지만,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서 에어볼(200)이 가급적 스스로 움직이지는 않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100)에 형성되는 에어볼 수용공(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형화된 패턴 혹은 미도시하였지만 비정형화된 패턴으로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에어볼(200)은 상술한 완충부재(100)의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그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고무 소재 등으로 제작되어, 자체 소재의 반발력은 물론 내부에 충진된 에어의 압력에 따라 반발력을 가지게 된다.
도면에는 구 형상의 에어볼(2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이에 대응하여 원형 단면을 가진 에어볼 수용공(110)을 나타내었지만, 정육면체 또는 사각기둥이나 원기둥 형상 등 상기 에어볼(200)의 형상에 제한은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2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100)의 두께 방향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완충부재(100)를 감싸는 내피(300) 및 외피(400) 둘 모두는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지니며 인장응력 및 복원력이 우수하고 물세탁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된 것으로, 다양한 소재의 섬유로 직조된 직물일 수 있으며, 그 재료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폴리우레탄 섬유의 탄성사로 제작된 스판덱스(spandex) 소재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내피(300)는 착용자의 신체에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반면, 상기 외피(400)는 착용자의 의복에 접촉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외피(400)의 두께는 상기 내피(3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기 내피(300)의 두께 보다는 다소 두껍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낙상 사고 발생 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은 1차적으로 완충부재(100)가 변형되면서 자체의 물성으로 흡수할 것이며, 2차적으로는 에어볼(200)이 변형되면서 흡수하게 될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10)는 에어볼(200)이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위치하는 완충부재(100)가 착용자의 대퇴부나 엉덩이뼈 등 낙상 사고 시 골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신체 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낙상 사고에 의한 착용자의 상해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본 발명에 다른 완충 패드(10)에 대한 기본적인 기능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하에서는 완충 특성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10)에 있어서 통기도를 높이는 한편, 소정의 물성을 지닌 완충부재(100)가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하거나 혹은 충격을 단단하게 흡수하는 등의 조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00)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두께 방향으로 변형 유도공(120)이 형성되되, 상기 변형 유도공(120)은 에어볼 수용공(1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 유도공(120) 또한 상술한 에어볼 수용공(110)과 같이 다수 개가 정형화된 또는 비정형화된 패턴으로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100)에 변형 유도공(120)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변형 유도공(120)은 기본적으로 내피(300)와 외피(400)를 직접 연결하게 되어, 착용자 신체로부터 땀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 공기가 착용자의 피부에까지 도달하도록 통기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낙상 사고 등으로 인해 상기 완충부재(100)에 두께 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완충부재(100)는 면내 방향으로 변형될 것이며, 이때, 상기 변형 유도공(120)이 상기 완충부재(100)의 면내 방향 변형 정도를 가감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완충부재(100)에 있어서 변형 유도공(120)의 크기가 크거나 혹은 단위 면적당 상기 변형 유도공(120)의 분포밀도가 높을수록 상기 완충부재(100)는 면내 방향으로 보다 부드럽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것이다.
반면에, 완충부재(100)에 있어서 변형 유도공(120)의 크기가 작거나 혹은 단위 면적당 상기 변형 유도공(120)의 분포밀도가 낮을수록 상기 완충부재(100)는 면내 방향으로 보다 단단하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상기 완충부재(100)에 있어서 일부 영역에만 변형 유도공(120)을 형성하되 그 크기나 분포밀도를 적절하게 증감하는 것으로, 상기 완충 패드(10)에 대하여 국부적으로 충격을 부드럽게 혹은 단단하게 흡수하거나 변형량을 적절하게 가감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착용자의 체중에 따라 적절하게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완충부재(100)에 형성되는 변형 유도공(120)은 추가적으로 에어볼(200)의 변형량을 증감 조절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100)에 형성되는 변형 유도공(120)의 크기를 비교적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완충부재(100)에 있어서 에어볼 수용공(110)과 변형 유도공(120) 사이의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볼(200)의 변형이 보다 크게 발생하면서 부드럽게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면에,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100)에 형성되는 변형 유도공(120)의 크기를 비교적 작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완충부재(100)에 있어서 에어볼 수용공(110)과 변형 유도공(120) 사이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동일한 크기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볼(200)의 변형이 보다 작게 발생하면서 단단하게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완충 패드(10)는 완충부재(100)에 에어볼(200)을 수용한 에어볼 수용공(110)과 변형 유도공(120) 둘 모두를 형성함에 따라, 낙상 사고 발생 시 전달되는 충격은 1차적으로 완충부재(100)가 변형되면서 자체의 물성으로 흡수할 것이며, 2차적으로는 에어볼(200)이 변형되면서 흡수하게 되고, 특히 3차적으로는 주변에 형성된 변형 유도공(1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에어볼(200)의 충격 흡수 정도를 적절하게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100)에 있어서 변형 유도공(120)의 크기에 따라 혹은 상기 변형 유도공(120)의 국부적인 유무에 따라 충격 흡수 특성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뿐 아니라, 상기 변형 유도공(120)은 상기 완충부재(100) 전체에 걸쳐 모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하나의 완충부재(100) 내에 서로 다른 다양한 크기의 변형 유도공(120)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는 완충부재(100)의 도면상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R1, R2, R3와 같이 반경 차이를 두고 서로 다른 크기, 즉 점차적으로 크기가 작아지는 변형 유도공(120)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완충 패드(10)에 있어서 도면상 중심에서는 완충부재(100)와 에어볼(200)이 가장 크게 변형하면서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할 수 있고, 도면상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적게 변형하면서 충격을 단단하게 흡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도시하진 않았지만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반경 차이를 두고 점차적으로 크기가 커지는 변형 유도공(12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완충 패드(10)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중앙에서 부드럽게 충격을 흡수하고 그 주변에서 단단하게 충격을 흡수하거나, 이와 반대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볼(200)은 상기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1개 이상이 상기 완충부재(100)의 두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개수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오직 하나의 에어볼(200)을 삽입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로 제작된 에어볼(200)을 하나의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완충부재(100)의 두께에 따라 다수 개를 삽입함으로써, 다수의 에어볼(200)이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에어볼(200)의 제작 시 에어볼(200) 내에 충진되는 에어의 압력을 서로 다르게 제작하거나, 혹은 점차적으로 직경이 변화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에어볼(200)을 제작하여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의 압력이 가장 높은 에어볼(200)을 제작하여 외피(400) 측에 인접하도록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삽입하고, 에어의 압력을 점차적으로 낮추면서 제작한 에어볼(200)을 순차적으로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삽입하거나, 직경이 가장 큰 에어볼(200)을 제작하여 외피(400) 측에 인접하도록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삽입하고, 직경을 점차적으로 작게 제작한 에어볼(200)들을 순차적으로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삽입함으로써, 충격의 세기에 따라 각각의 에어볼(200)들이 서로 다르게 변형하면서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물론, 모두 동일한 크기의 에어볼(200)을 제작하고, 상기 에어볼 수용공(110)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거나 커지는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유사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완충 패드(10)는 다양한 형태의 팬티를 포함한 의복 내에 적용되어 착용자의 낙상사고 발생 시 착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의복의 종류 중 팬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10)를 구비한 팬티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의 일예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완충 패드(10)와, 상기 완충 패드(10)를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포켓(500)이 형성된 팬티(20)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팬티(20)에는 상술한 완충 패드(1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재봉선을 통해 혹은 별도의 주머니를 부착하여 포켓(50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포켓(500)은 착용자의 대퇴부나 엉덩이뼈 위에 마련되어 이 포켓(500) 내의 완충 패드(10)가 착용자의 대퇴부나 엉덩이뼈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볼록한 부위가 신체를 향하도록 상술한 완충 패드(10)를 상기 포켓(500) 내에 넣어 낙상 사고에 대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혹은 세탁 시 상기 완충 패드(10)만을 빼내어 별도로 세척하는 등이 가능하다.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의 다른 예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력을 가지며 허리부분을 일주하는 밴드부(600)와; 상술한 완충 패드(10)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100)는 박육부(100a)와 상기 박육부(100a) 보다 두꺼운 후육부(100b)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패드(10)의 양단이 상기 밴드부(600)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완충 기능을 가진 기능성 팬티의 다른 예는, 밴드부(6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 완충 패드(10)의 완충부재(100)는 국부적인 두께 차이에 따라 두께가 얇은 박육부(100a)와 두께가 두꺼운 후육부(100b)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밴드부(600)는 착용자의 허리부분을 일주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폐곡선을 이루어 발끝부터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중간을 분할 형성하여 벨트 형태로 착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밴드부(600)는 고무줄 등의 탄성부재를 내장하여 탄성을 가짐으로써 착용자의 허리부분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완충 패드(10)는 형상에 있어 상술한 구성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대략 길게 연장 형성되어 그 양단이 상술한 밴드부(6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완충 패드(10)가 연결되는 밴드부(600)의 부분은 대략 착용자의 복부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가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완충 패드(10)가 착용자의 대퇴부 및 엉덩이뼈 등의 주변 부위를 모두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완충 패드(10)에 있어서 완충부재(100)는 국부적인 두께 차이에 따라 박육부(100a)와 후육부(100b)로 구분될 수 있으며, 박육부(100a)와 후육부(100b)를 별도로 제작한 후 하나로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박육부(100a)와 상기 후육부(100b)가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즉, 상기 박육부(100a)와 상기 후육부(100b)는 두께 차이만 있을 뿐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박육부(100a)는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완충 패드(10)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며, 후육부(100b)는 상기 박육부(100a)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가지고 착용자의 대퇴부 및 엉덩이뼈 등 낙상 시 골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대퇴부에 대응하는 부위와 엉덩이뼈에 대응하는 부위 각각에 좌우 대칭되게 후육부(100b)가 형성되어, 하나의 완충 패드(10)에 총 4개의 후육부(100b)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후육부(100b)는 소망에 따라 비교적 넓은 면적의 1개만이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 대퇴부나 엉덩이뼈 이외에 기타 뼈의 골절을 예방토록 여러 개가 다양한 위치에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100)의 박육부(100a)에는 상술한 에어볼 수용공(110)은 형성되지 않고 오직 변형 유도공(120)만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육부(100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볼 수용공(110) 및 변형 유도공(120) 둘 모두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100)에 있어서 박육부(100a)는 기본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지만, 그 보다는 평면방향으로 부드럽게 신축 가능하여 신체 굴곡도를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 패드(10)가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착용자의 대퇴부 및 엉덩이뼈에 해당하는 신체 부위에 상기 후육부(100b)가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박육부(100a)는 변형 유도공(120)만이 형성되어 통기성 조절 및 박육부(100a)에 대한 충격 흡수 특성의 조절이 가능해지며, 상기 후육부(100b)에는 에어볼 수용공(110) 및 변형 유도공(120) 둘 모두가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볼(200)의 변형량을 증감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형태로 충격 흡수 특성을 조절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를 보다 편리하게 착용하는 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밴드부(600)는 전체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600)는 탄력을 지닌 탄력부재(610)와 탄력을 지니지 않은 비탄력부재(620)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착용자의 복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비탄력부재(620)를 적용하고, 이 비탄력부재(620)의 양단에 탄력부재(610)가 연결되어 상기 탄력부재(610)가 허리 옆부분 및 등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밴드부(600)에 비탄력부재(620)를 마련함에 따라, 완충 패드(10)를 탄력부재(610)가 아닌 상기 비탄력부재(620)에 연결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적절한 신체부위, 예를 들어 대퇴부나 엉덩이뼈에 상기 완충 패드(10)의 후육부(100b)가 항상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돕게 된다.
이뿐 아니라,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 패드(10)의 양단과 상기 밴드부(600)에는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한 탈착부재(7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착부재(700)의 예로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벨크로를 적용하여 완충 패드(10)의 양단을 밴드부(600)에 손쉽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밴드부(6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완충 패드(10)를 손쉽게 밴드부(600)에 연결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탈착부재(700)의 예로 벨크로 이외에도 단추 및 단춧구멍이나 후크 및 후크 고리 등도 가능할 것이며, 착탈이 손쉽게 가능하다면 제한이 없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는 기본적으로 밴드부(600)를 발끝부터 착용할 수도 있고, 벨트 형태로 착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완충 패드(10)의 양단을 탈착부재(700)로 상기 밴드부(600)에 손쉽게 연결할 수도 있고 분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완충 패드(10)에 있어서 완충부재(100)의 박육부(100a)에는 다수의 변형 유도공(120)만이 국부적으로 혹은 전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되어 있어 완충 패드(10)가 착용자의 신체를 부드럽게 감싸게 되며 땀의 배출 및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완충 패드(10)에 있어서 박육부(100a)는 변형 유도공(120)에 의해 신축성이 높아 후육부(100b)가 착용자의 대퇴부나 엉덩이뼈 등 골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완충 패드(10)의 완충부재(100)에 있어서 후육부(100b)의 볼록한 측은 착용자의 신체를 향하고 있어 본 발명의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를 착용하더라도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낙상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충격은 1차적으로 완충부재(100)가 변형되면서 흡수하게 되며, 2차적으로는 에어볼(200)이 변형되면서 흡수하게 되고, 3차적으로는 에어볼(200)의 변형을 에어볼 수용공(110) 사이에 형성된 변형 유도공(120)이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변형 유도공(120)의 크기나 개수, 혹은 단위면적당 분포밀도를 적절하게 가감 조절하여 체중이 가볍거나 무겁다 하더라도 부드럽게 혹은 단단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뿐 아니라, 하나의 에어볼 수용공(110) 내에 삽입되는 에어볼(200)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에어볼(200) 내에 충진되는 에어의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다양한 충격 흡수 특성을 발휘할 수 있어, 체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가 충진되어 있는 에어볼(200)을 이용하여 충격을 순차적으로 고르게 분산 흡수함으로써, 낙상 사고로 인한 대퇴부나 엉덩이뼈 등의 골절을 예방할 수 있어 착용자의 안전성은 물론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완충 패드 20 : 팬티
100 : 완충부재 100a : 박육부
100b : 후육부 110 : 에어볼 수용공
120 : 변형 유도공 200 : 에어볼
300 : 내피 400 : 외피
500 : 포켓 600 : 밴드부
610 : 탄력부재 620 : 비탄력부재
700 : 탈착부재

Claims (7)

  1. 두께를 가져 외부 충격에 따라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되 두께 방향으로 에어볼 수용공이 형성된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에어볼 수용공 내에 마련되는 에어볼과;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 방향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감싸는 내피 및 외피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에는 두께 방향으로 변형 유도공이 형성되며, 상기 변형 유도공은 에어볼 수용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볼은 상기 에어볼 수용공 내에 1개 이상이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개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패드.
  3. 제1항의 완충 패드와;
    상기 완충 패드를 선택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이 형성된 팬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4. 탄력을 가지며 허리부분을 일주하는 밴드부와;
    제1항의 완충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박육부와 상기 박육부 보다 두꺼운 후육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패드의 양단이 상기 밴드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탄력을 지닌 탄력부재와 탄력을 지니지 않은 비탄력부재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6. 탄력을 가지며 허리부분을 일주하는 밴드부와;
    두께를 가져 외부 충격에 따라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되 두께 방향으로 에어볼 수용공이 형성된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에어볼 수용공 내에 마련되는 에어볼과;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 방향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적층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감싸는 내피 및 외피를 포함하는 완충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박육부와 상기 박육부 보다 두꺼운 후육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패드의 양단이 상기 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밴드부는 탄력을 지닌 탄력부재와 탄력을 지니지 않은 비탄력부재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패드의 양단과 상기 밴드부에는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 가능한 탈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 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KR1020190065374A 2019-06-03 2019-06-03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KR10205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74A KR102050872B1 (ko) 2019-06-03 2019-06-03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74A KR102050872B1 (ko) 2019-06-03 2019-06-03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872B1 true KR102050872B1 (ko) 2019-12-02

Family

ID=6884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374A KR102050872B1 (ko) 2019-06-03 2019-06-03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8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2239A (ja) * 2020-12-25 2022-07-07 豊田合成株式会社 着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563221B1 (ko) * 2023-01-17 2023-08-04 이영성 스페이서 패브릭의 완충부재 및 완충부재가 구비된 의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344A (ja) * 2002-07-31 2004-04-22 Tomiko Matsumoto 転倒骨折の予防保護具
KR100842427B1 (ko) 2007-05-21 2008-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골절 방지 의복
JP2011140736A (ja) * 2010-01-11 2011-07-21 Universal Trim Supply Co 気体緩衝パッド
KR20120007048U (ko) * 2011-04-04 2012-10-12 김지혜 노인용 엉덩이 보호 패드
KR101226495B1 (ko) * 2011-09-22 2013-01-25 염영철 에어볼을 이용한 관절 보호대
KR101278536B1 (ko) * 2013-04-01 2013-06-25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유동 에어볼을 구비한 완충장치
KR20130106390A (ko) 2010-09-03 2013-09-27 카네카 코포레이션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
KR101585580B1 (ko) 2015-08-27 2016-01-14 박창용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된 골반 및 꼬리뼈 골절방지용 기능성 의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344A (ja) * 2002-07-31 2004-04-22 Tomiko Matsumoto 転倒骨折の予防保護具
KR100842427B1 (ko) 2007-05-21 2008-07-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골절 방지 의복
JP2011140736A (ja) * 2010-01-11 2011-07-21 Universal Trim Supply Co 気体緩衝パッド
KR20130106390A (ko) 2010-09-03 2013-09-27 카네카 코포레이션 충격 흡수 패드 및 그것을 장착한 의류 그리고 대퇴골 골절 예방 방법
KR20120007048U (ko) * 2011-04-04 2012-10-12 김지혜 노인용 엉덩이 보호 패드
KR101226495B1 (ko) * 2011-09-22 2013-01-25 염영철 에어볼을 이용한 관절 보호대
KR101278536B1 (ko) * 2013-04-01 2013-06-25 주식회사 씨에이이테크놀러지 유동 에어볼을 구비한 완충장치
KR101585580B1 (ko) 2015-08-27 2016-01-14 박창용 충격흡수부재가 부착된 골반 및 꼬리뼈 골절방지용 기능성 의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2239A (ja) * 2020-12-25 2022-07-07 豊田合成株式会社 着用エアバッグ装置
JP7472782B2 (ja) 2020-12-25 2024-04-23 豊田合成株式会社 着用エアバッグ装置
KR102563221B1 (ko) * 2023-01-17 2023-08-04 이영성 스페이서 패브릭의 완충부재 및 완충부재가 구비된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6446A (en) Chin cup and chin strap for protective headgear
US7731564B2 (en) Undergarment with memory foam insert
CA2629459C (en) Exercise garment with crotch part
DK9400025U4 (da) Hoftebeskytter
KR102050872B1 (ko) 완충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능성 팬티
US5836015A (en) Pants with hip protectors
JP5539757B2 (ja) プロテクタ
CN106726047A (zh) 防止股骨髋臼冲击症的紧束器
AU2018211311A1 (en) Hip Protective Undergarments
AU2012362154A1 (en) Garment
US20100024104A1 (en) Sports Protector
JP2006219776A (ja) 人体サポート用部材
KR200454019Y1 (ko) 힙 패드를 구비하는 거들
US20130036530A1 (en) Hip pad for decreasing a waist-to-hip ratio
US5926853A (en) Comfort support for women
JP2005307390A (ja) バストカップを備えた女性用衣類
CN211106078U (zh) 调节分区压力的层状结构和护身用品
CA2602115A1 (en) Clothes with breast cup parts such as brassiere
KR200346488Y1 (ko) 브래지어 구조
KR100660405B1 (ko) 격투기용 몸통보호대
CN212590340U (zh) 高弹性透气型女式运动内衣
KR200297801Y1 (ko) 거들
KR101460216B1 (ko) 기능성 브래지어
TWI720685B (zh) 摻入遠紅外(fir)排放顆粒的壓縮服裝
KR101897199B1 (ko) 성기능 향상을 위한 기능성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