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238Y1 -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 Google Patents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238Y1
KR200388238Y1 KR20-2005-0008897U KR20050008897U KR200388238Y1 KR 200388238 Y1 KR200388238 Y1 KR 200388238Y1 KR 20050008897 U KR20050008897 U KR 20050008897U KR 200388238 Y1 KR200388238 Y1 KR 200388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absorbing member
foot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선
Original Assignee
최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선 filed Critical 최인선
Priority to KR20-2005-0008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238Y1/ko
Priority to CNA2005800498694A priority patent/CN101188956A/zh
Priority to PCT/KR2005/001130 priority patent/WO2006104295A1/en
Priority to JP2008503923A priority patent/JP4900616B2/ja
Priority to CNU2005201099646U priority patent/CN2857893Y/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교정을 위한 본체에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되, 발뒤꿈치뼈가 닿는 부분은 충격흡수구멍을 형성하여 발뒤꿈치가 충격흡수부재에 닿게 하고, 상기 충격흡수구멍 주위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접합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상기 충격흡수구멍에 의해 발뒤꿈치뼈가 본체에 닿지 않아 사용자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 한편 상기 접합구멍에 의해 충격흡수부재가 본체를 관통하여 연결됨에 의해 접착도가 향상되어 본 고안의 발교정구를 안정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발교정구를 충격없이 사용할 수 있어 본 고안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발 건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교정구를 신발 깔창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미끄럼방지기능에 의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Rectification apparatus for feet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members}
본 고안은 발교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발뒤꿈치뼈가 접촉하지 않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충격흡수부재와의 접합을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사출되어 접합되는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발교정구를 사용할 때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상기 충격흡수부재와 본체와의 접합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발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교정구라고 하는 것은 특정의 형상을 이용하여 비정상적인 발의 형태를 정상적인 발의 형태로 교정하는 기구를 말한다.
예를 들어 발바닥의 형태가 평발인 경우를 상정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정상인 경우 평면에 똑바로 서면 발바닥 부위에서는 발바닥의 바깥쪽 가장자리 및 발뒤꿈치의 전면이 평면에 접할 뿐이고, 발바닥의 내측부는 거의 타원형으로 평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 부분을 장심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형상에 의해 보행의 충격을 완화시켜 뇌를 보호하거나 발바닥의 혈관등을 보호하게된다.
평발이라고 하는 비정상적인 발바닥은 상술한 장심부가 형성되지 않아 발바닥 전체가 평면에 접하게된다. 이러한 경우 충격이 모두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피로감을 금방 느끼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술한 평발등을 교정하기 위하여 상기 장심부를 형성하도록 아치형상인 교정구가 사용되어 왔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교정구(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심부를 형성하도록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아치부(11)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반대측에는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안착되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교정구(10)를 신은 경우 상기 아치부(11)에 의해 장심부가 형성되는 한편 안착부(12)에 의해 상기 교정구를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교정구의 경우 내구성 저하 내지는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여 위하여 단단한 재질을 사용하여왔다. 이와 같이 단단한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이 집중되는 발뒷꿈치가 단단한 재질과 부딪히게 되어 충격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발의 건강과 기능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아치부(11)에 발바닥의 안측이 닿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아치부 (11)의 끝부분이 날카로운 형상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에 통증을 유발하게 하거나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교정구에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발뒤꿈치뼈가 닿는 부분은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교정구와 발뒤꿈치뼈가 직접 닿지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아치부의 끝부분에는 곡면부를 형성하여 발바닥의 손상을 방지하 한편 상기 교정구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발교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교정구 역할을 하는 본체에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본체중 사용자의 발뒤꿈치뼈가 닿는 부분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발뒤꿈치뼈가 본체에 닿지 않게 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의 아치부의 끝부분에는 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교정구(100)는 사용자의 발을 교정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에 사출되어 접합되는 충격흡수부재(1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에 감싸지는 형태로 사출되는 방법에 의해 접합된다.(도 2b참조)
상기 본체(110)를 도 2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중 충격흡수부재(120)가 감싸지는 부분에는 충격흡수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구멍(112)은 사용자의 발뒤꿈치뼈가 본체(110)에 닿지 않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상기 충격흡수구멍(112)에 의해 사용자의 발뒤꿈치뼈는 충격흡수부재(120)에 접촉하게 되어 사용시 충격을 전달받지 않게 된다.(도 2d 및 도 3참조)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재질에 의해 사용자가 본 고안의 발교정구(10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발깔창으로 사용하는 경우 미끄러지지 않아 사용시 편리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교정구(100)의 본체(110)중 충격흡수부재(120)가 감싸지지 않는 부분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교정하기 위한 아치면(111)과 상기 충격흡수구멍(113)이 형성된 측면에는 안착면(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치면(111)은 평발인 발바닥에 장심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치면(111)이 평발인 발바닥를 지속적으로 눌러줌으로서 발바닥에 장심부를 형성시키게 되어 결국 발바닥을 교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발뒤꿈치가 닿는 부분에는 안착면(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면(113)은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뒤꿈치의 뒷면이 상기 안착면(113)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본 고안이 교정구(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구멍(112)의 주위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접합구멍(113)이 형성된다. 상기 접합구멍(113)은 상기 충격흡수구멍(112)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접합구멍(113)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부재(120)와 본체(110)와의 접합성이 향상되게 되는데 이하 도 2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합구멍(113)은 상기 충격흡수구멍(112)의 주위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에 충격흡수부재(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에 의해 접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출에 의한 경우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상기 접합구멍(113)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어 연결되게 된다.
이와 같이 관통되어 연결된 충격흡수부재(120)에 의해 본체(110)와의 접합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접합구멍(113)이 충격흡수구멍(112)의 주위에 다수 배치되어 상기 충격흡수부재(120)가 본체(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서 본 고안의 교정구를 장시가 사용해도 그 성능이 저하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아치부(111)에 발바닥 안측이 닿게 되어 평발을 교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치부(111)의 끝부분이 날카로운 경우 사용자의 발바닥에 손상이 가는 문제가 있는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아치부(111)에 곡면부(111a)를 형성하여 발바닥이 상기 아치부(111)에 닿아도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였다.(도 2e 참조)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발교정을 위한 본체(110)에 충격흡수부재(120)를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를 본체(110)에 사출하는 방법에 의해 접합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를 접합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로서 핫멜팅재질을 사용하여 접합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도 3참조)
핫멜팅재질이라고 하는 것은 고분자의 고체를 가열하여 용융하여 접착시키는 재질로서 본 고안의 경우 상기 본체(110)에 핫멜팅재질을 접합하여 충격흡수부재(120)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핫멜팅은 접착능력이 있는바 상술한 충격흡수부재(120)와 본체(110)를 접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본체(110)에 핫멜팅(120-1)을 접착한 후 상기 핫멜팅(120-1)상에 충격흡수부재(120)를 접합하게 된다.(도 4참조)
한편, 상기 본체(110)에 접착제(120-2)를 바른 후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를 접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본체(110)상에 먼저 접착제(120-2)를 충분히 도포한 후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를 삽입하여 상호 접합이 되게 된다.(도 5참조)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부재(120)에 다른 재질을 매개하여 접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 충격흡수부재(120) 상호간의 접합에 의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충격흡수부재(120)는 상부충격흡수부재(121)와 하부충격흡수부재(122)로 나누어 진다. 상기 상부충격흡수부재(121)는 본체(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 하부에는 본체(110)의 접합구멍(113)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출부(121a)가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21a)가 접합구멍(113)을 관통한 후 하부충격흡수부재(122)에 접촉되게 되고 이후 열융착방법에 의해 접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충격흡수부재(122)에 상기 돌출부(121a)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22a)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6b참조)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21a)가 상부충격흡수부재(120)에 형성되는 부분은 동일하나, 하부충격흡수부재(122)에도 상기 돌출부(121a)가 삽입되도록 삽입구멍(122a)을 형성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돌출부(121a)가 하부충격흡수부재(122)에 삽입되고 나서 열융착방법에 의해 접착이 되는 경우 상술한 방법에 의한 접합보다 보다 강한 접합력을 얻게 된다.
한편 상술한 충격흡수구멍(112)의 경우 원형의 형상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충격흡수구멍(112)을 사각형이나(도 7a참조) 혹은 별모양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7b참조)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발뒤꿈치뼈가 닿는 부분은 충격흡수구멍(112)을 형성하여 상기 교정구와 발뒤꿈치뼈가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접합구멍(113)에 의해 상기 본체(110)와 충격흡수부재(120)의 접착도가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실제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사용예는 본 고안의 발교정구(100)를 신발의 깔창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에 상기 발교정구(100)를 넣고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충격흡수구멍(112)부분에 사용자의 발뒤꿈치뼈가 닿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발뒤꿈치뼈는 본체(110)에 닿지 않고 충격흡수부재(120)에 닿게 되어 사용자에게 충격이 가지않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합구멍(113)에 의해 충격흡수부재(120)가 본체(110)를 관통하여 연결됨에 의해 상기 충격흡수부재(120)가 본체(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접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술바와 같이 곡면부(111a)가 형성된 아치면(111)에 의해 사용자의 발바닥에 정상적인 장심부를 형성하게 하여 발바닥을 교정하게 되며, 상기 안착면(114)에 의해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안하게 본 고안의 발교정구(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발교정을 위한 본체(110)에 충격흡수부재(120)를 설치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발뒤꿈치뼈가 닿는 부분은 충격흡수구멍(112)을 형성하는 한편 접합구멍(113)에 의해 충격흡수부재(120)가 본체(110)를 관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 한편 상기 충격흡수부재(120)와 본체(110)의 접착도가 향상되어 본 고안의 발교정구(100)를 안정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발교정구(100)를 충격없이 사용할 수 있어 본 고안의 기능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발 건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바닥이 닿는 아치면(111)에 곡면부(111a)를 형성함에 의해 발바닥에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더욱이 상기 충격흡수부재(120)의 미끄럼방지기능에 의해 신발깔창으로 사용할 경우 미끄럼 없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교정구에 대한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발교정구에 대한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충격흡수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의 본체에 대한 사시도,
도 2d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e는 본 고안의 아치부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충격흡수부재가 핫멜팅인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충격흡수부재가 핫멜팅에 의한 접착되는 경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충격흡수부재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경우의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상부흡수부재에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의 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하부흡수부재에 삽입구멍이 형성된 경우의 단면도,
도 7a, 7b는 본 고안의 충격흡수구멍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고안의 발교정구 110 : 본체
111 : 아치면 111a : 곡면부
112 : 충격흡수구멍 113 : 접합구멍
114 : 안착면 120 : 충격흡수부재
121 : 상부충격흡수부재 121a : 돌출부
122 : 하부충격흡수부재 122a : 삽입구멍

Claims (12)

  1. 사용자의 발을 교정하기 위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부착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120)로 이루어진 발교정구로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의 발뒤꿈치뼈와 상기 본체(100)가 닿지 않도록 충격흡수구멍(112)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충격흡수구멍(112)의 주위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충격흡수부재(120)가 관통하게 함에 의해 상기 본체(110)와 충격흡부수재(120)가 접합되도록 하기 위한 접합구멍(113)이 형성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상기 충격흡수구멍(112)과 접합구멍(113)이 형성된 본체(110) 부분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20)가 설치되는 본체(110)부분의 단부에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발뒤꿈치가 안착되도록 안착면(114)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110) 전방에 형성되어 발바닥에 아치형상이 만들어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는 아치면(1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면(111)의 발바닥 안측이 닿는 부분에는 곡면형상인 곡면부(11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상기 본체(100)에 사출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핫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핫멜트(120-1)에 의해 본체(110)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접착제(120-2)에 의해 본체(110)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본체(100)의 상하부에 각각 접합되는 상부충격흡수부재(121)와 하부충격흡수부재(122)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충격흡수부재(121)는 상기 접합구멍(113)에 삽입되도록 돌출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충격흡수부재(122)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충격흡수부재(121)가 상기 접합구멍(113)을 관통한 후 상기 하부충격흡수부재(122)에 접촉한 후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120)는 본체(100)의 상하부에 각각 접합되는 상부충격흡수부재(121)와 하부충격흡수부재(122)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충격흡수부재(121)는 상기 접합구멍(113)에 삽입되도록 돌출부(121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충격흡수부재(122)는 상기 돌출부(121a)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122a)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충격흡수부재(121)가 상기 본체(110)의 접합구멍(113)과 상기 하부충격흡수부재(122)의 삽입구멍(122a)을 관통한 후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구멍(112)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구멍(112)은 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12.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교정구(100)는 신발의 깔창으로 사용되어 사용자가 신발의 신을 때 사용자의 발을 교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KR20-2005-0008897U 2005-03-31 2005-03-31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KR200388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97U KR200388238Y1 (ko) 2005-03-31 2005-03-31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CNA2005800498694A CN101188956A (zh) 2005-03-31 2005-04-20 带有减震件的脚校正仪器
PCT/KR2005/001130 WO2006104295A1 (en) 2005-03-31 2005-04-20 Rectification apparatus for feet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members
JP2008503923A JP4900616B2 (ja) 2005-03-31 2005-04-20 衝撃吸収部材を備える足用の矯正装置
CNU2005201099646U CN2857893Y (zh) 2005-03-31 2005-06-20 具备冲击吸收部件的脚部矫正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897U KR200388238Y1 (ko) 2005-03-31 2005-03-31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238Y1 true KR200388238Y1 (ko) 2005-06-29

Family

ID=3705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897U KR200388238Y1 (ko) 2005-03-31 2005-03-31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00616B2 (ko)
KR (1) KR200388238Y1 (ko)
CN (2) CN101188956A (ko)
WO (1) WO200610429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39B1 (ko) 2007-01-19 2007-10-19 김상백 완충형 신발 중창
KR100828010B1 (ko) 2007-01-24 2008-05-08 바이오메카닉스 (주) 족관절의 기능강화를 위한 기능성 안창
KR20180111234A (ko) 2017-03-31 2018-10-11 서현웅 아치그린 발 교정구와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1129C2 (nl) * 2007-12-24 2009-06-29 Last Foot Technology B V Tussenzool.
EP2612623B1 (en) * 2010-09-03 2017-12-27 Kaneka Corporation Impact-absorbing pad, clothing furnished with same and method for preventing femoral fractures
TW201315402A (zh) * 2012-01-06 2013-04-16 hong-kai Pan 鞋墊之製造方法及其結構
US9750302B2 (en) * 2013-08-13 2017-09-05 Heel-It, Llc Orthotic insert device
US10709195B2 (en) 2016-03-11 2020-07-14 Industech International Inc. Shoe insole
CN107495534A (zh) * 2016-06-14 2017-12-22 林素珠 拼接型鞋垫结构
WO2019199965A1 (en) * 2018-04-10 2019-10-17 Sunrise Shoes And Pedorthic Service Corporation Customizable therapeutic or occupational shoe so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1243B2 (ko) * 1973-03-12 1981-09-26
JPS6217906A (ja) * 1985-07-15 1987-01-26 川崎製鉄株式会社 導電性樹脂組成物
JPS62159601A (ja) * 1985-12-29 1987-07-15 鈴木総業株式会社 衝撃吸収型の靴
JPH01158704A (ja) * 1987-12-16 1989-06-21 Tdk Corp 空芯コイル用非磁性芯体の製造方法
JPH029104A (ja) * 1988-06-28 1990-01-12 Canon Electron Inc 磁気ヘッド
JPH0343779U (ko) * 1989-09-04 1991-04-24
JPH09149802A (ja) * 1995-09-28 1997-06-10 Hideji Yamamoto スキー靴用中敷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35082U (ko) * 1996-12-12 1998-09-15 김영환 비디오 오버레이 화면 일치회로
US6330757B1 (en) * 1998-08-18 2001-12-18 Britek Footwear Development, Llc Footwear with energy storing sole construction
JP2000116405A (ja) * 1998-10-12 2000-04-25 Shuichi Okada 靴等の履物
US6467197B1 (en) * 1999-05-31 2002-10-22 Asics Corp. Shoe with arch reinforcement
US6684532B2 (en) * 2001-11-21 2004-02-03 Nike, Inc.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JP2004089343A (ja) * 2002-08-30 2004-03-25 Otto Bock Japan Kk 組合せ式インソ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52339B1 (ko) * 2003-01-17 2006-02-20 안준대 신발용 발의 아치 보형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39B1 (ko) 2007-01-19 2007-10-19 김상백 완충형 신발 중창
KR100828010B1 (ko) 2007-01-24 2008-05-08 바이오메카닉스 (주) 족관절의 기능강화를 위한 기능성 안창
KR20180111234A (ko) 2017-03-31 2018-10-11 서현웅 아치그린 발 교정구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4295A1 (en) 2006-10-05
CN2857893Y (zh) 2007-01-17
CN101188956A (zh) 2008-05-28
JP4900616B2 (ja) 2012-03-21
JP2008534113A (ja)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238Y1 (ko)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US20190070022A1 (en) Prosthetic foot
TWI688349B (zh) 具有插入於鞋面和舒適鞋底之間的殼體的運動鞋
JP6336053B2 (ja) 履物の起伏のあるインソール
KR900005672B1 (ko) 신발의 중창부
US9393132B2 (en) Foot prosthesis
JP2014501161A (ja) 矯正ミッドソールを有する履き物
JP2004243132A (ja) 靴底部の構造
KR101724626B1 (ko) 압력 분산 구조의 안전화 토캡용 보강재
KR200481847Y1 (ko)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US6782643B2 (en) Orthotic insert having heel post with contoured lower surface
KR100877555B1 (ko)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US9259052B2 (en) Structure of high-heeled shoe
US8323225B2 (en) Toe extroversion correction device
JP2016163700A (ja) 靴用の安定要素
WO2007042971A3 (en) Footwear as mat-socks
EP4248785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US20070135747A1 (en) Toe glove device
EP2883470B1 (en) Structure of platform shoe
KR20120007242U (ko) 쿠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깔창
JP3211473U (ja) インソール構造
JP5792327B2 (ja) ハイヒール
KR20110034878A (ko) 보행자세 교정 및 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신발깔창
JP2009050491A (ja) 靴における足指の滑り止め構造
WO2017169352A1 (ja) シューズ用ソール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