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555B1 -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 Google Patents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555B1
KR100877555B1 KR1020070049804A KR20070049804A KR100877555B1 KR 100877555 B1 KR100877555 B1 KR 100877555B1 KR 1020070049804 A KR1020070049804 A KR 1020070049804A KR 20070049804 A KR20070049804 A KR 20070049804A KR 100877555 B1 KR100877555 B1 KR 100877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le
outsole
coupling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836A (ko
Inventor
박철수
Original Assignee
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수 filed Critical 박철수
Priority to KR102007004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55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바닥과 대응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하며,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 발뒤꿈치에 위치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와 일체로 인서트(insert) 사출되며, 중앙부위에 홀이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인서트사출부재; 상부는 상기 스프링 하단부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터널형상의 삽입튜브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아웃솔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웃솔의 홀에 대응 위치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홀과 대응 위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웃솔의 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결합홀에 고정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 및 상기 연결부재의 홀에 결합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은 스프링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삽입된 스프링의 방향이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 착용했을 때 스프링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보행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 연결부재, 플레이트부, 신발

Description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SPRING SHOE FOR WALKING POSTURE CORRECTION}
도 1은 종래의 스프링 신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아웃솔 12: 홀
20: 인서트사출부재 25: 스프링
30: 연결부재 32: 결합돌기
34: 홀 40: 플레이트부
42: 삽입홀 43: 삽입튜브
44: 결합홀 50: 고정부
52: 결합홈 54: 관통홀
60: 미드솔 70: 인솔
본 발명은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스프링의 방향을 조절하여 스프링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스프링이 받는 힘을 분산시켜 보행자의 걸음걸이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프링이 삽입된 신발은 도 1을 참조하면, 스프링(200)과 스프링(200)의 상단 링이 내장되어 있는 연결부재(300)를 일체로 인서트(insert) 사출하여 연결부재(300)가 스프링(2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스프링 상단에 부착된 연결부재(300)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200)과 연결부재(300)를 일체로 인서트(insert) 사출한 인서트연결부재(100)가 삽입된 신발을 착용하면 스프링(200) 상단에 부착된 연결부재(300)가 쉽게 떨어지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고장이 없고,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장시간 신발을 착용해도 피로가 누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신발을 오래 신었을 때, 신발 뒷굽의 어느 한쪽이 많이 닳아 있는 경우를 종종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이유는 신발 뒤꿈치부분이 땅에 닿을 때 안쪽 또는 바깥쪽이 가장 먼저 닿게 되는데 보행시 이 부분에 체중이 많이 실려서 금방 닳게 되는 것이다. 사람마다 보행 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팔자걸음이나 안장걸음 등과 같은 걸음자세에 따라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신 발의 뒷굽이 어느 한쪽으로 많이 닳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었을 때 충격흡수를 완화하는 동시에 부자연스러운 걸음걸이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신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신발은 스프링삽입부(400)와 아웃솔(500)이 서로 접착되어 있어서 스프링(200)이 착탈이 불가능하여 스프링(200)의 방향을 조절하여 신을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삽입된 스프링(200)의 방향을 조절하여 신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20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된 스프링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신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된 스프링의 방향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보행자세에 따라 스프링의 위치를 선정하여 스프링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신발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바닥과 대응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하며,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 발뒤꿈치에 위치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와 일체로 인서트(insert) 사출되며, 중앙부위에 홀이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인서트사출부재; 상부는 상기 스프링 하단부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터널형상의 삽입튜브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아웃솔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웃솔의 홀에 대응 위치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홀과 대응 위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웃솔의 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결합홀에 고정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 및 상기 연결부재의 홀에 결합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은 서로 다른 하중 강도를 가지는 다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상기 스프링 중 사용자의 하중에 대응되는 어느 한 스프링이 상기 인서트사출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홀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하중 강도가 높은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일정 각도로 회전 및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보행자세에 따라 상기 인서트사출부재의 위치가 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인서트 사출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삽입튜브는 상기 스프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상기 삽입튜브의 사이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에서 상기 삽입튜브의 바깥쪽 외면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강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행 자세 교정용 신발의 구성은 아웃솔(10), 인서트사출부재(20), 플레이트부(40), 고정부(50), 미드솔(60), 인솔(70), 신발외피(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웃솔(10)은 발바닥과 대응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하는 소정 면적 및 두께로 형성되고, 후면부에 하기 플레이트부(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12)이 형성된다. 상기 홀(12)은 중심을 기준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한 상기 홀(12)은 고정볼트(미도시)의 볼트머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자리파기 형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사출부재(20)는 폴리카보네이트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25)과 상기 스프링(25) 상단부와 일체로 인서트(insert) 사출되는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
스프링(25)은 압축시 상부링과 하부링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이며, 그 단면은 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25)은 서로 다른 하중 강도를 가지는 다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상기 스프링 중 사용자의 하중에 대응되는 어느 한 스프링이 상기 인서트사출부재(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30)는 중심부위에 홀(34)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하기 고정부(50)의 결합홈(52)과 결합되는 결합돌기(32)가 형성된다.
플레이트부(40)는 판 형태의 형상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상기 아웃솔(10)에 형성된 홀(12)과 대응되는 결합홀(44)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25)의 하단부 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터널형상의 삽입홀(42)이 형성된 삽입튜브(4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튜브(43)는 상기 스프링(25)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다수개의 상기 삽입튜브(43)의 사이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부(40)의 상면에서 상기 삽입튜브(43)의 바깥쪽 외면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강살(45: 도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살(45: 도 4)은 착화시 스프링(25)이 어느 한쪽으로 과도하게 쏠 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상기 스프링(25)의 하단부 링의 결합이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튜브(43)의 삽입홀(42)에 상기 스프링 (10) 하단부가 끼워져 스프링(25)이 빠지지 않도록 소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프링(25)과 결합되고, 하부에 지면과 접촉하는 상기 아웃솔(10)의 홀(12) 및 상기 결합홀(44)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미도시)와 고정너트(미도시)의 체결에 의해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플레이트부(40)가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부(40)는 상기 아웃솔(10)과 고정볼트(미도시)로 체결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다.
고정부(50)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상부에 위치되어, 발뒤꿈치에서 발아치부까지 형성되며, 발뒤꿈치부는 평탄하게 형성되고 발아치부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발뒤꿈치부는 상기 연결부재(30)의 홀(34)과 대응하는 관통홀(54)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4)의 주위에 상기 결합돌기(32)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결합홈(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54) 및 상기 홀(34)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볼트(미도시)와 결합너트(미도시)의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부(50)와 상기 연결부재(30)가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54)은 상기 결합볼트(미도시)의 볼트머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자리파기 형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볼트(미도시)는 상기 고정부(50)와 하기 미드솔(60)이 접착되기 전에, 상기 결합볼트(미도시)가 상기 고정부(50)에 미리 삽입되도록 한 후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드솔(60)은 발바닥과 대응 형성되도록 발바닥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 정부(50) 상부에 위치되어 하단의 전면부가 상기 아웃솔(70)의 전면부와 접착되고, 하단의 후면부가 상기 고정부(50)와 접착된다.
인솔(70)은 발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발바닥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드솔(6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미드솔(60)과 접착제로 접착된다.
신발외피(80)는 상기 인솔(70)의 상부에 위치되어, 발 전체를 보호하고 감싸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고정부(50)의 결합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50)는 발뒤꿈치부에 관통홀(54)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54)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4개의 결합홈(52)이 형성된다. 이 결합홈(52)은 제 1 결합홈(52a), 제 2 결합홈(52b), 제 3 결합홈(52c), 제 4결합홈(52d)으로 구성된다.
연결부재(30)는 중심부위에 상기 고정부(50)의 관통홀(54)과 대응되는 홀(34)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상기 결합홈(52)에 끼워지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결합돌기(32)가 돌출형성된다. 이 결합돌기(32)는 모두 3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결합홈(52a)과 대응 위치되는 제 1 결합돌기(32a)와, 상기 제 2 결합홈(52b)과 대응 위치되는 제 2 결합돌기(32b)와, 상기 제 3 결합홈(52c)과 대응 위치되는 제 3 결합돌기(32c)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50)와 상기 연결부재(30)를 결합하기 위해서 제 1 결합홈(52a)과 제 1 결합돌기(32a), 제 2 결합홈(52b)과 제 2 결합돌기(32b), 그리고 제 3 결합홈(52c)과 제 3결합돌기(32c)를 끼워 맞춘 후, 상기 관통홀(54) 및 상기 홀(34)을 통과시켜 결합볼트(미도시)를 결합하면 상기 고정부(50)와 상기 연결부재(3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다음은 팔자걸음으로 걷는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고정부(50)의 결합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4는 우측신발에 적용되는 스프링 결합 구조이다.
팔자걸음은 신발 뒷굽의 바깥쪽으로 체중이 많이 실리므로, 상기 스프링(25) 하단부 링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상기 고정부(5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신발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인서트사출부재(20)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결합돌기(32)와 결합홈(52)을 상호 결합하면, 상기 스프링(25) 하단부 링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위치가 바깥쪽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25) 하단부 링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하중에 대한 강도가 높은 데 비해 상기 스프링(25) 하단부 링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하중에 대한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5) 하단부 링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신발의 바깥쪽을 향하게 하면 하중을 덜 받게 되므로, 보행시에 체중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걸음걸이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인서트사출부재(20)를 상기 고정부(50)의 관통홀(54)을 중 심으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였을 때, 상기 연결부재(30)의 결합돌기(32)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1 결합돌기(32a)는 제 3 결합홈(52c)과 마주보게 되고, 제 2 결합돌기(32b)는 제 1 결합홈(52a)과 마주보게 되며, 제 3 결합돌기(32c)는 제 4 결합홈(52d)과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렇게 마주본 상태에서 결합돌기(32)와 결합홈(52)을 끼워 맞추면, 상기 인서트사출부재(20)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스프링(25)이 이탈하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스프링(25)의 하중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스프링(25)의 하단부를 상기 고정부(5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보행자세에 따라 상기 인서트사출부재(20)의 위치가 선정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스프링(25) 압축시에 스프링이 받는 힘을 분산시켜 스프링(25)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걸음걸이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스프링(25)의 하단부 링을 상기 플레이트부(40)의 삽입튜브(43)에 끼워 스프링(25)이 빠지지 않도록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고정부(50)에 형성된 결합홈(52)과 상기 연결부재(30)에 형성된 결합돌기(32)를 끼워 맞춘 후, 결합볼트(미도시)를 결합하여 결합너트(미도시)를 조여서 상기 고정부(50)와 상기 연결부재(30)를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인서트사출부재(20), 플레이트부(40), 그리고 고정부(50)가 모두 결합되어 일체화되면, 신발의 미드솔(60)과 아웃솔(10) 사이에 배치시켜 접착제를 이용해서 상기 고정부(50)를 상기 미드솔(60)과 접착하고, 상기 아웃솔(10)의 전면부는 상기 미드솔(60)의 전면부와 접착되도록 접착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50)는 발바닥의 뒤꿈치와 아치부에 위치되도록 접착하는게 바람직하다.
이어서, 플레이트부(40)에 형성된 결합홀(44)과 상기 아웃솔(10)에 형성된 홀(12)을 일치시켜 고정볼트(미도시)가 관통되게 하여 고정너트(미도시)를 조여서 결합하면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사용자의 보행자세에 따라 스프링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아웃솔(10)과 상기 플레이트부(40)에 결합된 고정볼트(미도시)와 고정너트(미도시)를 분해한 다음, 상기 결합볼트(미도시)와 결합너트(미도시)에 의해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고정부(5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결합너트(미도시)를 풀어서 결합돌기(32)를 결합홈(52)으로부터 빼낸다. 이어서, 상대적으로 하중 강도가 높은 스프링(25)의 하단부를 상기 고정부(5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재(3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32)를 상기 결합홈(52)에 끼워 결합한다. 그 다음, 상기 결합볼트(미도시)에 결합너트(미도시)를 조여서 결합하고, 상기 아웃솔(10)의 홀(12)과 상기 플레이트부(40)의 결합홀(44)를 일치시켜 고정볼트(미도시)와 고정너트(미도시)를 체결하여 결합하면 스프링(25)의 방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은 인서트사출부재(20)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된 고정부(50)와 플레이트부(40)로부터 인서트사출부재(20)가 간단하게 분리됨으로써, 스프링 방향을 조절하여 스프링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은 스프링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삽입된 스프링의 방향이 조절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 착용했을 때 스프링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보행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발바닥과 대응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하며,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 발뒤꿈치에 위치되고 하부에서 상부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와 일체로 인서트(insert) 사출되며, 중앙부위에 홀이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인서트사출부재;
    상부는 상기 스프링 하단부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터널형상의 삽입튜브가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아웃솔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아웃솔의 홀에 대응 위치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판 형태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홀과 대응 위치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웃솔의 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결합홀에 고정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관통홀 및 상기 연결부재의 홀에 결합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서로 다른 하중 강도를 가지는 다수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상기 스프링 중 사용자의 하중에 대응되는 어느 한 스프링이 상기 인서트사출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홀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하중 강도가 높은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가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일정 각도로 회전 및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보행자세에 따라 상기 인서트사출부재의 위치가 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사출부재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튜브는 상기 스프링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6. 제 5 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삽입튜브의 사이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면에서 상기 삽입튜브의 바깥쪽 외면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강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KR1020070049804A 2007-05-22 2007-05-22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KR100877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804A KR100877555B1 (ko) 2007-05-22 2007-05-22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804A KR100877555B1 (ko) 2007-05-22 2007-05-22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836A KR20080102836A (ko) 2008-11-26
KR100877555B1 true KR100877555B1 (ko) 2009-01-09

Family

ID=4028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804A KR100877555B1 (ko) 2007-05-22 2007-05-22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5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30B1 (ko) * 2009-04-16 2009-10-08 강형철 충격흡수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된 신발용 밑창
KR100947670B1 (ko) 2009-09-14 2010-03-17 권동혁 스프링 신발
KR101066592B1 (ko) 2009-09-14 2011-09-22 (주)아이젝스티비 스프링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216B1 (ko) * 2009-09-14 2012-05-02 (주)아이젝스티비 스프링 신발
KR101051044B1 (ko) * 2009-09-29 2011-07-21 안인태 다이어트용 밸런스 스프링 내장형 신발
KR101056200B1 (ko) * 2010-12-08 2011-08-11 권동혁 교정 밸런스 스프링 신발
KR101340327B1 (ko) * 2012-07-09 2013-12-11 권시혁 완충 신발에 적용되는 스프링 홀더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N108433238A (zh) * 2018-05-22 2018-08-24 温州中胤时尚鞋服设计有限公司 弹簧鞋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04A (ja) * 1996-02-26 1997-09-02 Hirotake Itou かかとの角度を変える事ができる靴
KR200381741Y1 (ko) 2005-01-14 2005-04-14 주식회사 와이씨산업 유희용 스프링 신발
WO2005053451A1 (en) 2003-12-08 2005-06-16 São Paulo Alpargatas S/A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for the outer sole of footwear
KR200402585Y1 (ko) 2005-07-19 2005-12-02 주식회사 지비코리아 충격흡수 신발용 스프링 패드
KR200408737Y1 (ko) 2005-11-18 2006-02-13 주식회사 지비코리아 스프링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신발뒤축
KR20070079903A (ko) * 2006-02-03 2007-08-08 (주)지코일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704A (ja) * 1996-02-26 1997-09-02 Hirotake Itou かかとの角度を変える事ができる靴
WO2005053451A1 (en) 2003-12-08 2005-06-16 São Paulo Alpargatas S/A Adjustable cushioning system for the outer sole of footwear
KR200381741Y1 (ko) 2005-01-14 2005-04-14 주식회사 와이씨산업 유희용 스프링 신발
KR200402585Y1 (ko) 2005-07-19 2005-12-02 주식회사 지비코리아 충격흡수 신발용 스프링 패드
KR200408737Y1 (ko) 2005-11-18 2006-02-13 주식회사 지비코리아 스프링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신발뒤축
KR20070079903A (ko) * 2006-02-03 2007-08-08 (주)지코일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630B1 (ko) * 2009-04-16 2009-10-08 강형철 충격흡수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된 신발용 밑창
KR100947670B1 (ko) 2009-09-14 2010-03-17 권동혁 스프링 신발
WO2011030990A1 (ko) * 2009-09-14 2011-03-17 권동혁 스프링 신발
KR101066592B1 (ko) 2009-09-14 2011-09-22 (주)아이젝스티비 스프링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836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555B1 (ko) 보행자세 교정용 스프링 신발
JP4812258B2 (ja)
US11000094B2 (en) Pain prevention footwear sole
US20140310990A1 (en) Footwear
JP5420308B2 (ja) 靴底
KR20150070983A (ko) 소프트 바디 재료에 견고한 연결을 만들기 위한 신발 마찰 장치, 시스템 및 기구
US20060026861A1 (en) Shoe system
US10687583B2 (en) Shock absorbing member for sole of shoe and shoe including shock absorbing member
KR200388238Y1 (ko)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발 교정구
TWI744706B (zh) 具有殼體的鞋
US11478039B2 (en) Footwear with a composite plate sole assembly
KR20160016767A (ko) 관성작용을 이용한 스파이크슈즈 체결방법
KR101020012B1 (ko) 기능성 신발
AU2013322174A2 (en) Sports footwear
US20020178611A1 (en) Boot for ice climbing
KR20110030854A (ko) 구조가 개선된 충격흡수 신발
KR102133935B1 (ko) 아웃솔 교체형 신발
KR20080102835A (ko) 스프링의 교체가 용이한 신발
KR20070060634A (ko)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신발
KR200455785Y1 (ko) 신발 밑창
KR101344662B1 (ko) 낚시용 신발
CN112335980B (zh) 具有复合板鞋底组件的鞋
CN216147355U (zh) 鞋底和鞋子
JP7220943B1 (ja) 履物とその製造方法
EP3788899B1 (en) Sole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