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614B1 -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614B1
KR101868614B1 KR1020170046578A KR20170046578A KR101868614B1 KR 101868614 B1 KR101868614 B1 KR 101868614B1 KR 1020170046578 A KR1020170046578 A KR 1020170046578A KR 20170046578 A KR20170046578 A KR 20170046578A KR 101868614 B1 KR101868614 B1 KR 101868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earth clip
substrate
core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대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에 관한 것으로, 코일이 권선된 코어가 마련되어 상기 코일에 통전되는 전원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코어를 절연상태로 지지하는 베이스가 마련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스테이터와 대향하는 마그네트가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스테이터의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회전되며, 풍압을 발생시키는 윙을 갖는 로터; 상기 스테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가 구비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상기 스테이터를 접지시켜서 상기 스테이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하는 노이즈 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저감부재는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이나 코어와 일측이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기판에 통전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스테이터를 상기 기판에 접지하는 전도성 재질의 어스 클립; 및 상기 어스 클립의 일측을 상기 스테이터에 착탈가능하게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스너를 통해 어스 클립을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설치된 어스 클립을 통해 스테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를 기판으로 흘려보내 노이즈를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MOTER FOR VEHICLE SEAT BLOWER}
본 발명은 차량용 블로워 모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블로워 모터로써, 제조의 용이성은 물론, 내구성 및 안정성을 증진시킨 차량용 불로워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하여 그 회전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모터는 구동 전원에 따라 직류 모터와 교류 모터로 구분되는데, 2차 코일의 형태에 따라 권선형과 농형으로 구분되는데, 권선형은 스테이터 코어 및 로터 코어에 코일을 권취한 형태이고, 농형은 스테이터 코어 및 로터 코어에 황동 심을 삽입한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스테이터 코어는 인슐레이터 또는 보빈을 통해서 코일과 전기적인 절연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모터는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에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의 반발력으로 로터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코일이나 스테이터 코어를 통해서 누설전류, 전자파 또는 노이즈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노이즈는 통상적으로 소음ㆍ잡음을 의미하나, 각 분야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기계의 동작을 방해하는 전기신호를 말한다. 이와 같은, 노이즈는 RFI(Radio Frequency Interferance) 등 다수가 있으나, 특히 RFI 노이즈가 모터의 정류 작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모터의 정류자와 브러쉬에 의한 정류 작용이 불완전하게 되어 정류자와 브러쉬의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모터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모터에 발생되는 전술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누설전류, 전자파 또는 노이즈 등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개선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608877호(2006.07.27)의 "단상 유도 전동기 접지터미널 고정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전동기는 스테이터코어, 로터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브래킷 및 단자대와 연결하여 그 끝단이 스테이터코어와 브래킷의 사이에서 압착 고정하는 접지터미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동기는 스테이터코어에서 누설되는 전류를 방류시키는 접지터미널을 브라켓과 스테이터코어의 결합시 함께 눌려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접지터미널을 단순화하여 조립공정을 간소하는 특징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기는 누설전류를 방류시키기 위한 접지터미널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순히 스테이터코어와 브래킷 사이에 눌려 고정되는 압착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방식을 통해 고정된 접지터미널은 별다른 고정수단을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진동이나, 기타 외력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하여 스테이터코어나 브라켓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전동기는 쉽게 분리되는 접지터미널 때문에 스테이터코어에서 누설되는 전류를 용이하게 방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접지터미널은 단부가 단순히 단자대와 맞닿아 접지되는 것으로, 이러한 어스(earth) 상태를 고정하거나 유지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법이나 구조를 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이나, 기타 외력에 의한 충격 등이 발생하게 되면, 어스(earth)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접지터미널은 단자대와의 접지가 지속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스테이터코어에서 누설되는 전류를 용이하게 방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보 제10-0608877호(2006.07.27)의 "단상 유도 전동기 접지터미널 고정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테이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스테이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전도성 재질의 저감부재를 스테이터에 착탈가능하게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노이즈 저감을 위해서는 저감부재의 일부분이 별도의 접지단자와 접지상태를 이루어야 하는데, 이때 접지상태를 용이하게 하도록 저감부재의 일부분을 접지단자에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스테이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저감부재의 일부분이 스테이터의 일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접지단자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저감부재의 일부분이 갖는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는 코일이 권선된 코어가 마련되어 상기 코일에 통전되는 전원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코어를 절연상태로 지지하는 베이스가 마련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스테이터와 대향하는 마그네트가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스테이터의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회전되며, 풍압을 발생시키는 윙을 갖는 로터; 상기 스테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가 구비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상기 스테이터를 접지시켜서 상기 스테이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하는 노이즈 저감부재;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노이즈 저감부재는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이나 코어와 일측이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기판에 통전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스테이터를 상기 기판에 접지하는 전도성 재질의 어스 클립; 및 상기 어스 클립의 일측을 상기 스테이터에 착탈가능하게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어스 클립은 상기 베이스가 마련된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이나 코어와 면접촉 하는 판형의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기판의 일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2접촉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어스 클립의 일부분이 절곡된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코어의 표면과 연통상태를 이루는 구멍형태의 홀더; 상기 홀더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어스 클립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걸림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어스 클립의 일부분이 절개되면서 절곡된 단부가 일측으로 돌출되는 판형태의 후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걸림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어스 클립의 일부분이 함몰되거나 돌출되는 엠보싱(embossing) 형태의 걸림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어스 클립은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의 하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 지지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어스 클립의 일부분이 절개되면서 절곡된 형태를 이루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스 클립은 상기 제2접촉부를 이루는 일부분의 강성을 약화시켜 상기 제2접촉부의 탄성력을 보강하는 탄성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보강부는 상기 제2접촉부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상기 제2접촉부의 표면적을 감소시키는 구멍형태의 관통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에 의하면, 어스 클립의 일측이 스테이터의 코일이나 코어에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타측이 기판에 통전가능하게 접촉되므로, 스테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를 기판으로 흘려보내 노이즈를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어스 클립은 스테이터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패스너를 통해 어스 클립의 일측을 스테이터에 끼워 걸림상태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압착 또는 볼팅 등과 같이 별도의 수단을 따로 마련하지 않고도 어스 클립을 스테이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어스 클립은 제1접촉부 및 이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접촉부로 구성되는 길이를 갖는 판재형태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다.
전술한, 제2접촉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됨에 따라, 기판에 마련되는 접지단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이나 기타 외력(충격) 등이 발생되더라도 접지단자에 용이하게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접촉부가 접지단자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접지단자를 통해 지속적으로 노이즈를 흘려보내기 때문에 노이즈를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패스너는 베이스에 형성되는 홀더 및 걸림턱과 어스 클립에 마련되는 걸림부로 간단히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걸림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형태의 후크로 구성될 경우, 탄성변형을 통해 전술한 홀더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홀더를 통과한 후크가 돌출된 형태로 탄성복원되기 때문에 걸림턱에 걸려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 걸림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엠보싱 형태의 걸림돌기로 구성될 경우, 탄성변형을 통해 전술한 홀더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홀더를 통과한 걸림돌기가 돌출된 형태로 탄성복원되기 때문에 걸림턱에 걸려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어스 클립은 베이스 지지부를 통해 베이스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스테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베이스 지지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그리고, 어스 클립은 탄성보강수단을 통해 제2접촉부를 이루는 일부분의 강성을 약화시켜 제2접촉부의 탄성력을 보강하기 때문에 제2접촉부를 통해 접지단자를 더욱더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보강수단은 제2접촉부의 일부분을 천공하는 구멍형태의 관통홀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의 전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 - A'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어스 클립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어스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어스 클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100)는 스테이터(110), 샤프트(130), 로터(150), 기판(160) 및 노이즈 저감부재(20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10)는 인가받은 전원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13)이 권선된 코어(111)가 마련되는 통상적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스테이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베이스(120)가 마련됨에 따라 전술한 코어(111)를 절연상태로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샤프트(130)는 후술하는 로터(150)를 스테이터(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통상적인 회전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샤프트(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스테이터(110)의 센터에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140)의 내부에 마련된 베어링(145)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후술하는 로터(150)가 고정설치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30)는 로터(150)를 스테이터(1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스테이터(110)의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150)가 스테이터(11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로터(150)는 전술한 샤프트(13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여 풍압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30)의 일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로터(150)는 내측면에 스테이터(110)와 대향하는 마그네트(155)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로터(150)는 스테이터(110)의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는 마그네트(155)에 의해 회전되는데, 이때 샤프트(130)의 일단에 고정된 상태로 스테이터(1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므로, 샤프트(130)를 축으로 용이하게 회전된다.
한편, 로터(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윙(15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로터(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터(110)의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할 경우, 윙(151)을 통해 용이하게 풍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기판(160)은 전술한 스테이터(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0)의 하부에 마련되고, 스테이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기판(160)은 인쇄회로가 형성되어 통상적인 PCB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60)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스테이터(110)에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스테이터(110), 샤프트(130), 로터(150) 및 기판(160)과 같은 구성들의 연동을 통해 로터(150), 즉 윙(151)을 회전시켜 풍압을 발생시키는 전형적인 블로워 모터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모터는 스테이터(110)로부터 발생되는 과전류에 의한 누설전류나 전자파 또는 노이즈 등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노이즈 저감부재(200)를 포함한다.
노이즈 저감부재(200)는 기판(160)에 스테이터(110)를 접지시켜 스테이터(110)로부터 발생되는 누설전류나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저감하는 구성요소로, 이러한, 노이즈 저감부재(200)는 어스 클립(210) 및 패스너(230)를 포함한다.
어스 클립(210)은 스테이터(110)와 기판(160)을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110)의 코일(113)이나 코어(111)와 일측이 통전가능하게 접촉되고, 타측이 기판(160)에 통전가능하게 접촉된다. 예컨대, 어스 클립(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길이를 갖는 판형을 이루고, 스테이터(110)를 기판(160)에 접지하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어스 클립(210)은 스테이터(110)로부터 발생되는 누설전류나 전자파 또는 노이즈를 기판(160)으로 용이하게 흘려보내도록 제1접촉부(211) 및 제2접촉부(213)를 포함한다.
제1접촉부(211)는 스테이터(110)의 코일(113)이나 코어(111)와 통전가능하게 접촉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0)의 일측에 마련된 후술하는 홀더(231)를 관통하여 스테이터(110)의 코일(113)이나 코어(111)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1접촉부(211)는 스테이터(110)의 코일(113)이나 코어(111)와 면접촉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이루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접촉부(211)는 스테이터(110)의 코일(113)이나 코어(111)와 충분한 접촉상태, 즉 통전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제2접촉부(213)는 기판(160)과 통전가능하게 접촉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접촉부(211)의 타측에 형성되어 기판(160)의 일부분, 자세하게는 기판(160)에 마련된 접지단자(161)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2접촉부(213)는 일부분이 절곡되면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2접촉부(2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스 클립(210)의 타측이 적어도 한번 이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이룸에 따라 소정의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60)의 접지단자(161)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2접촉부(2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곡률면의 끝부분이 접지단자(161)에 선 접촉하는 형태를 이룸에 따라 용이하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접촉부(213)는 스테이터(110)로부터 진동이나 기타 외력에 의한 충격 등이 발생되더라도 기판(160)의 접지단자(161)에 용이하게 접촉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접촉부(213)는 기판(160)의 접지단자(161)와 충분한 접촉상태, 즉 통전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접촉부(213)는 접지면(21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지면(213a)은 기판(160)의 접지단자(161)와 정합상태로 접지되는 구성요소로, 기판(160)의 접지단자(161)와 접촉되는 제2접촉부(213)의 일부분이 접지단자(161)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지면(213a)은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일부분이 접지단자(161)에 평행한 소정의 면적을 갖는 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접지단자(161)가 이루는 형태(요철 등)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접지면(213a)은 기판(160)의 접지단자(161)와 알맞게 정합되는 상태를 이루므로, 제2접촉부(213)가 접지단자(161)에 더욱더 안정감 있는 접촉상태를 이룰 수 있다.
패스너(230)는 전술한 어스 클립(210)의 일측을 스테이터(1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요소로, 홀더(231), 걸림턱(233) 및 걸림부(235)를 포함한다.
홀더(231)는 전술한 어스 클립(210)의 일측이 끼움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0)의 일측에 관통형성된다. 자세하게는, 홀더(231)는 스테이터(110)의 코어(111)를 지지하는 표면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코어(111)의 표면과 연통상태를 이루는 구멍형태의 통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홀더(231)는 통로를 통해 어스 클립(210)의 출입을 용이하게 허용하며, 출입된 어스 클립(210)은 개방된 부분을 통해 스테이터(110)의 코어(111)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걸림턱(233)은 후술하는 걸림부(235)가 걸리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31)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턱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걸림턱(23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어스 클립(210)의 일측이 홀더(231)를 관통할 경우, 어스 클립(210)의 일측에 마련되는 후술하는 걸림부(235)를 걸어 어스 클립(210)이 홀더(2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걸림부(235)와 함께 설명한다.
걸림부(235)는 전술한 걸림턱(233)에 걸리는 구성요소로, 어스 클립(210)의 일측이 홀더(231)에 접속됨에 따라 삽입된 일부분이 걸림턱(233)에 걸리는 구성 및 구조로,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제시할 수 있다.
한편, 걸림부(235)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판형태의 후크(235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235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스 클립(210)의 일측 일부분이 돌출되는 형태로, 자세하게는 어스 클립(210)의 일측 일부분이 절개되면서 절곡된 단부가 하향지게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걸림부(235)는 어스 클립(210)의 일측이 홀더(231)에 관통상태로 접속될 경우, 홀더(231)의 내주면에 눌려 어스 클립(210)으로부터 돌출되기 전 상태로 탄성변형하므로, 어스 클립(210)이 홀더(231)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235)는 어스 클립(210)이 홀더(231)를 관통한 후, 전술한 걸림턱(233)을 지나 단차진 빈 공간에 위치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31)의 내주면으로부터 벗어나 어스 클립(2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탄성복원하는데, 이때 돌출된 단부가 걸림턱(233)에 걸려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 걸림부(235)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엠보싱 형태의 걸림돌기(235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235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스 클립(210)의 일측 일부분이 돌출되는 형태로, 자세하게는 어스 클립(210)의 일측 일부분이 하향지게 함몰되거나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걸림부(235)는 어스 클립(210)의 일측이 홀더(231)에 관통상태로 접속될 경우, 홀더(231)의 내주면에 눌려 어스 클립(210)으로부터 돌출되기 전 상태로 탄성변형하는데, 이때 어스 클립(210)이 홀더(231)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235)는 어스 클립(210)이 홀더(231)를 관통한 후, 전술한 걸림턱(233)을 지나 단차진 빈 공간에 위치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231)의 내주면으로부터 벗어나 어스 클립(2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탄성복원하는데, 이때 돌출된 걸림돌기(235b)가 걸림턱(233)에 걸려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235)는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어스 클립(210)의 일측을 걸림턱(233) 용이하게 고정하므로, 어스 클립(210)이 홀더(2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어스 클립(210)은 베이스 지지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부(215)는 베이스(120)를 지지하여 스테이터(11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기타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요소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판스프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스 클립(210)의 일부분, 즉 제1접촉부(211) 및 제2접촉부(213) 사이의 일부분이 절개되면서 절곡된 단부가 상향지게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베이스 지지부(215)는 돌출된 단부가 베이스(120)의 하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므로, 스테이터(110)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이나 기타 외력에 의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어스 클립(210)은 탄성보강부(2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보강부(217)는 전술한 제2접촉부(213)의 탄성력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제2접촉부(213)를 이루는 일부분의 강성을 약화시키는 관통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촉부(213)의 일부분을 천공하여 제2접촉부(213)의 표면적을 감소시키는 구멍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관통홀은 전술한 베이스 지지부(215)가 어스 클립(210)으로부터 절곡되면서 형성되는 빈 구멍형태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탄성보강부(217)는 제2접촉부(213)의 강성을 약화시키므로, 이에 상대적으로 제2접촉부(213)가 이루는 탄성력을 더욱더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블로워용 모터는 어스 클립을 통해 스테이터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를 기판으로 흘려보내 노이즈를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어스 클립은 스테이터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패스너를 통해 어스 클립의 일측을 스테이터에 끼워 걸림상태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 압착 또는 볼팅 등과 같이 별도의 수단을 따로 마련하지 않고도 어스 클립을 스테이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어스 클립은 제1접촉부 및 이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접촉부로 구성되는 길이를 갖는 판재형태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다.
특히, 제2접촉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됨에 따라, 기판에 마련되는 접지단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이나 기타 외력(충격) 등이 발생되더라도 접지단자에 용이하게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2접촉부가 접지단자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접지단자를 통해 지속적으로 노이즈를 흘려보내기 때문에 노이즈를 용이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100 :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110 : 스테이터 130 : 샤프트
150 : 로터 160 : 기판
200 : 노이즈 저감부재 210 : 어스 클립
215 : 베이스 지지부 217 : 탄성보강부
230 : 패스너 231 : 홀더
233 : 걸림턱 235 : 걸림부

Claims (6)

  1. 코일이 권선된 코어가 마련되어 상기 코일에 통전되는 전원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코어를 절연상태로 지지하는 베이스가 마련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
    상기 스테이터와 대향하는 마그네트가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스테이터의 전자기력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마그네트에 의해 회전되며, 풍압을 발생시키는 윙을 갖는 로터;
    상기 스테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가 구비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상기 스테이터를 접지시켜서 상기 스테이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하는 노이즈 저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저감부재는,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이나 코어와 일측이 통전가능하게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기판에 통전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스테이터를 상기 기판에 접지하는 전도성 재질의 어스 클립; 및
    상기 어스 클립의 일측을 상기 스테이터에 착탈가능하게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코어의 표면과 연통상태를 이루는 구멍형태의 홀더;
    상기 홀더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어스 클립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 클립은,
    상기 베이스가 마련된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이나 코어와 면접촉 하는 판형의 제1접촉부; 및
    상기 제1접촉부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기판의 일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어스 클립의 일부분이 절곡된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어스 클립의 일부분이 절개되면서 절곡된 단부가 일측으로 돌출되는 판형태의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어스 클립의 일부분이 함몰되거나 돌출되는 엠보싱(embossing) 형태의 걸림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KR1020170046578A 2017-04-11 2017-04-11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KR10186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78A KR101868614B1 (ko) 2017-04-11 2017-04-11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78A KR101868614B1 (ko) 2017-04-11 2017-04-11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614B1 true KR101868614B1 (ko) 2018-06-18

Family

ID=6276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578A KR101868614B1 (ko) 2017-04-11 2017-04-11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467A (ko) * 2018-12-07 2020-06-18 주식회사 모아텍 스텝 모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20200077021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만도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854A (ja) * 2001-01-30 2002-10-18 Asmo Co Ltd モータ
KR100608877B1 (ko) 2004-07-15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상 유도 전동기의 접지터미널 고정 구조
JP5110171B2 (ja) * 2008-12-11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KR20160137009A (ko) * 2015-05-22 2016-11-30 뉴모텍(주) 하우징 고정 구조와 접지 구조가 개선된 모터
KR2016013935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70032021A (ko) * 2015-09-14 2017-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일체형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5854A (ja) * 2001-01-30 2002-10-18 Asmo Co Ltd モータ
KR100608877B1 (ko) 2004-07-15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상 유도 전동기의 접지터미널 고정 구조
JP5110171B2 (ja) * 2008-12-11 2012-12-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KR20160137009A (ko) * 2015-05-22 2016-11-30 뉴모텍(주) 하우징 고정 구조와 접지 구조가 개선된 모터
KR2016013935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70032021A (ko) * 2015-09-14 2017-03-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일체형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467A (ko) * 2018-12-07 2020-06-18 주식회사 모아텍 스텝 모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611103B1 (ko) * 2018-12-07 2023-12-08 주식회사 모아텍 스텝 모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20200077021A (ko)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만도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KR102330474B1 (ko) * 2018-12-20 2021-11-24 주식회사 만도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4446B (zh) 接地端子、盖组件及包括其的电机
US6104110A (en) Electrical noise suppressor for direct current motor
CN103098357B (zh) 振动发生器及其制造方法
KR101868614B1 (ko)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US20060028088A1 (en) Bearing support for motors
JPH10201185A (ja) ケーシング接触接続手段を有する整流子型機械
EP3787153B1 (en) Brushed permanent magnet micro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1073082B1 (ko) 전기모터의 브러시 홀딩장치
US20030151318A1 (en) Motor having grounding structure for reducing radio noise
CA2587599A1 (en) Cover cap
KR101198978B1 (ko) 통신단말기용 수평형 리니어 진동모터
KR102613969B1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9819243B2 (en) Rotor for wound rotor synchronous motor
CN113078794A (zh) 双频振动马达
KR101745127B1 (ko) 회전 전기기기의 전기자
JP200232036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2469370B1 (ko) 브러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H0998559A (ja) 直流モータにおけるブラシ配線部構造
KR101665017B1 (ko) 선형진동모터의 고정자 결합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선형진동모터
KR100595767B1 (ko) 접지터미널을 구비한 단상유도전동기
CN218771711U (zh) 一种振动激励器
US20190363604A1 (en) Connection plate for an electric machine
KR101486084B1 (ko) 팬 모터
KR200402430Y1 (ko) 서지흡수장치를 갖는 전자접촉기
KR19990051621A (ko) 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