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474B1 -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474B1
KR102330474B1 KR1020180166118A KR20180166118A KR102330474B1 KR 102330474 B1 KR102330474 B1 KR 102330474B1 KR 1020180166118 A KR1020180166118 A KR 1020180166118A KR 20180166118 A KR20180166118 A KR 20180166118A KR 102330474 B1 KR102330474 B1 KR 10233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tor
control device
electronic contro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021A (ko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166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4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한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는, 모터하우징에서 상측으로 인출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 1 단자가 구비되는 모터, 모터에 결합되며 접촉부에 지지되는 제 2 단자가 구비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여,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될 때 별도의 부품이나 공정 없이 모터 단자의 탄성구조에 의해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 간 접촉면적이 넓어져 모터와 전자제어장치 간의 통전 전류량이 확보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Motor-Electric Control Unit Assembly}
본 실시예들은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될 때 별도의 부품이나 공정 없이 단자의 탄성구조에 의해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각종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가 구비되어, 차량에 설치된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의 안전성 및 조향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을 보조하기 위해 조향축, 랙바 등에 구비되는 모터는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게 되는데,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모터의 단자가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에 접촉되게 된다. 즉, 모터의 고정자에 구비되는 권선과 전자제어장치가 전기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이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 일예로, 모터 단자는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서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전자제어장치는 모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데, 모터 단자는 3개 구비되어 각각이 회로기판과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는 조향정보에 기반하여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을 보조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는 모터의 단자가 포크 핀(Pork Pin)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등 결합부품에 의하거나 납땜 또는 용접 등의 공정에 의해 전자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데, 이러한 방식에 의할 경우 모터 단자와 회로기판의 접촉면적이 좁아 통전 전류량이 작거나 포크 핀 등 별도의 부품 혹은 납땜 등 추가적인 공정을 거쳐야 하여 원가가 상승되며 전체 공정 단계가 늘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될 때 별도의 부품이나 공정 없이 모터 단자의 탄성구조에 의해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 간 접촉면적이 넓어져 모터와 전자제어장치 간의 통전 전류량이 확보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모터하우징에서 상측으로 인출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 1 단자가 구비되는 모터, 모터에 결합되며 접촉부에 지지되는 제 2 단자가 구비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될 때 별도의 부품이나 공정 없이 모터 단자의 탄성구조에 의해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 간 접촉면적이 넓어져 모터와 전자제어장치 간의 통전 전류량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저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 도 7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100)는, 모터하우징(110)에서 상측으로 인출되는 지지부(121)와 지지부(12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접촉부(122)를 포함하는 제 1 단자(120)가 구비되는 모터(103), 모터(103)에 결합되며 접촉부(122)에 지지되는 제 2 단자(201)가 구비되는 전자제어장치(101)를 포함한다.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각각 제 1 단자(120)와 제 1 단자(120)에 지지되는 제 2 단자(201)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단자(120) 및 제 2 단자(2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쌍 구비될 수 있다.
제 1 단자(120)는 모터하우징(110)에서 상측으로 인출되는 지지부(121)와, 지지부(12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접촉부(122)를 포함한다.
제 2 단자(201)는 전자제어장치(101)가 모터(103)에 결합될 때 접촉부(122)에 지지되도록 전자제어장치(101)에서 제 1 단자(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제 1 단자(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1)와 지지부(121)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122)를 포함하여, 접촉부(122)의 상면에 제 2 단자(201)가 지지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러한 제 2 단자(201)는 전자제어장치(101)에 구비되는 회로기판(202)의 하면에 노출되게 구비되며, 따라서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는 별도의 부품이나 공정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의 결합에 의해 그 사이에서 접촉되어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는 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접촉면적이 늘어나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 간의 통전 전류량이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122)의 상면에 제 2 단자(201)가 지지되는데,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가 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보다 접촉면적이 늘어나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지지부(121)에는 탄성부(401)가 형성되어 접촉부(122)가 제 2 단자(201)에 지지될 때 지지부(121)가 접촉부(122)의 일단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가 서로 접촉되도록 전자제어장치(101)는 제 2 단자(201)가 제 1 단자(120)를 가압하도록 모터(103)에 결합되는데, 제 1 단자(120)가 과도하게 가압되어 파손되거나 소성변형되며 제 2 단자(201)와 이격되어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121)에 탄성부(401)가 형성된다.
즉, 제 2 단자(201)가 접촉부(122)에 지지되며 제 1 단자(120)가 가압될 때 탄성부(401)가 탄성변형되며 접촉부(122)의 지지부(121)에 연결된 일단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제 1 단자(120)가 과도하게 가압되며 파손되거나 소성변형되며 제 2 단자(201)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401)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가 서로 지지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이격될 수 있는데, 탄성부(401)가 형성되어 가압된 상태로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가 접촉됨으로써 외부 충격 등이 발생하더라도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가 서로 물리적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를 파손하지 않고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를 분리할 수 있으며,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가 결합될 때 혹은 결합된 후 제 1 단자(120)가 파손되거나 소성변형되어 제 2 단자(201)와 이격되더라도 제 1 단자(120)만을 손쉽게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401)는 접촉부(122)가 연장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만곡부(401a, 401b)이거나, 지그재그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401c)일 수 있다.
즉, 접촉부(122)는 지지부(121)의 끝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 2 단자(201)가 접촉부(122)에 지지될 때 제 1 단자(120)는 접촉부(122)가 연장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토크를 받게 되는데, 이를 버티기 위해 탄성부(401)는 만곡되거나 지그재그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지지부(121)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접촉부(122)의 상면에는 산부(411)가 돌출형성되어,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가 결합될 때 산부(411)가 제 2 단자(201)에 지지될 수 있다.
접촉부(122)는 판형상의 제 2 단자(201)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편평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는데, 지지부(121)에서 절곡되는 접촉부(122)를 완전한 평면으로 형성하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르므로 산부(411)가 구비된다.
이러한 산부(411)는 접촉부(122)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며, 또한 접촉부(122)의 하면에는 산부(4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슬릿(413)이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제 1 단자(120)를 폭방향에서 볼 때 산부(411)의 하측에 슬릿(413)이 구비된다.
산부(411)와 슬릿(413)이 구비됨으로써, 제 2 단자(201)에 산부(411)가 지지될 때 슬릿(413)이 벌어지며 탄성변형되어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산부(411)는 접촉부(122)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다수개 구비되어 산부(411)의 사이에 골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산부(411)와 골부(41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되는데, 제 2 단자(201)에 산부(411)가 지지될 때 골부(412)가 좁아지며 각 산부(411)의 끝단이 제 2 단자(201)에 지지되어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산부(411)는 제 2 단자(201)에 지지되는 부위가 편평하게 형성되어,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즉, 제 2 단자(201)에 지지되는 산부(411)의 상면이 수평으로 편평하게 형성됨으로써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단자(201)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 간의 통전 전류량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산부(411), 골부(412) 및 슬릿(413)은 판형상의 제 1 단자(120)를 상하로 절곡하며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돌출부(701)가 구비됨으로써 접촉부(122)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탄성부(401)와 돌출부(701)에 의해 지지되게 되어 골부(412)가 좁아지며 접촉부(122)의 상면이 수축되고, 슬릿(413)이 벌어지며 접촉부(122)의 하면이 인장됨으로써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되어 있듯이, 모터하우징(110)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01)가 구비되어, 제 2 단자(201)가 접촉부(122)에 지지될 때 돌출부(701)가 접촉부(122)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돌출부(701)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 2 단자(201)가 제 1 단자(120)를 가압할 때 접촉부(122)의 타단에 지지될 수 있는데, 즉 접촉부(122)는 일단이 탄성부(401)에 의해 지지부(121)에 지지되고 타단이 돌출부(701)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돌출부(701)가 구비됨으로써, 제 2 단자(201)가 제 1 단자(120)를 가압할 때 돌출부(701)가 접촉부(122)의 하면에 지지되며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듯이, 접촉부(122)의 타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부(701)와 대향되는 연장부(8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701)의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802)가 형성되어, 걸림부(802)는 접촉부(122)가 연장된 방향에서 연장부(801)와 대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단자(201)에 지지될 때 접촉부(122)는 상면이 수축하고 하면이 인장되어 하측으로 볼록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는데, 연장부(801)가 구비됨으로써 접촉부(122)의 하면이 돌출부(701)과 이격되게 되어 접촉부(122)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걸림부(802)가 구비됨으로써 제 2 단자(201)에 의해 접촉부(122)가 하측으로 가압될 때 연장부(801)가 돌출부(701)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제 1 단자(120)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122)에 산부(411), 골부(412) 및 슬릿(413)이 형성됨으로써 제 2 단자(201)에 의해 가압될 때 접촉부(122)는 상면이 수축하고 하면이 인장되게 되는데, 접촉부(122)의 하면이 인장되며 연장부(801)는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러나 걸림부(802)가 구비되어 연장부(801)가 걸림부(802)에 지지되며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연장부(801)가 돌출부(701)에서 이탈되어 제 1 단자(120)가 과도하게 변형되며 제 2 단자(201)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701) 또는 걸림부(802)와 연장부(801)는 이격되게 구비되어 제 2 단자(201)에 의해 제 1 단자(120)가 가압될 때만 지지될 수 있으며, 가압되기 전부터 지지되게 구비되더라도 제 1 단자(12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접촉부(122)는 일단이 지지부(121)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고 타단이 돌출부(701)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됨으로써 제 2 단자(201)에 의해 제 1 단자(120)가 가압될 때 과도한 변형이 방지되고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모터(103)와 전자제어장치(101) 간의 통전 전류량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701)와 걸림부(802)가 구비됨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자(120)와 제 2 단자(201)가 여러 쌍 구비될 때 제 1 단자(120)가 변형되며 단자 간에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진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에 의하면, 지지부와 접촉부가 형성된 제 1 단자가 구비되는 모터가 제 2 단자가 구비되는 전자제어장치와 결합됨으로써,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지지되며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단자가 전자제어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의 하면에 노출되게 구비됨으로써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별도의 부품이나 공정 없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접촉면적이 넓어져 모터와 전자제어장치 간의 통전 전류량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탄성부가 형성되어 접촉부가 제 2 단자에 지지될 때 접촉부의 일단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제 1 단자가 제 2 단자에 의해 가압될 때 파손되거나 소성변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외부충격 등에 의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서로 물리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탄성구조에 의해 접촉되게 됨으로써, 모터와 전자제어장치를 분리할 때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파손되지 않으며 접촉불량인 경우 제 1 단자만을 교체함으로써 손쉽게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모터하우징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접촉부가 제 2 단자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될 때 접촉부의 하면이 돌출부에 상측으로 지지됨으로써, 제 1 단자가 과도하게 변형되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접촉면적이 좁아져 모터와 전자제어장치 간의 통전 전류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에 연장부가 구비되고 돌출부에 걸림부가 구비됨으로써, 연장부가 돌출부에서 이탈되며 제 1 단자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 1 단자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의 상면에 산부와 골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접촉부의 상면이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못하더라도 접촉부의 상면이 수축되고 하면이 인장되며 각 산부가 제 2 단자에 지지되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자에 지지되는 산부의 상면이 수평으로 편평하게 형성됨으로써,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제 1 단자와 제 2 단자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101: 전자제어장치
103: 모터 110: 모터하우징
120: 제 1 단자 121: 지지부
122: 접촉부 201: 제 2 단자
401: 탄성부 411: 산부
412: 골부 413: 슬릿
701: 돌출부 801: 연장부
802: 걸림부

Claims (12)

  1. 모터하우징에서 상측으로 인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 1 단자, 및 상기 모터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접촉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결합되되 하면에 상기 접촉부에 지지되는 제 2 단자가 구비되는 전자제어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에는 탄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2 단자에 지지될 때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접촉부의 일단을 상측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제 2 단자가 상기 접촉부에 지지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접촉부의 타단에 지지되고,
    상기 접촉부의 상면에는 산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모터와 전자제어장치가 결합될 때 상기 산부가 상기 제 2 단자에 지지되고,
    상기 접촉부의 하면에는 상기 산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의 하면에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가 연장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지그재그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에는 상기 산부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산부의 사이에 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타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와 대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KR1020180166118A 2018-12-20 2018-12-20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KR10233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18A KR102330474B1 (ko) 2018-12-20 2018-12-20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18A KR102330474B1 (ko) 2018-12-20 2018-12-20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21A KR20200077021A (ko) 2020-06-30
KR102330474B1 true KR102330474B1 (ko) 2021-11-24

Family

ID=7112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118A KR102330474B1 (ko) 2018-12-20 2018-12-20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4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7954A (ja) * 2013-03-29 2014-10-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タ
KR101868614B1 (ko) * 2017-04-11 2018-06-1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442A (ko) * 2001-08-14 2003-02-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모터의 장착구조
KR20110008844A (ko) * 2009-07-21 2011-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진동모터용 터미널
KR101617752B1 (ko) * 2014-07-02 2016-05-19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KR102485025B1 (ko) * 2015-09-14 2023-0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일체형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7954A (ja) * 2013-03-29 2014-10-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タ
KR101868614B1 (ko) * 2017-04-11 2018-06-1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블로워용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21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1183B2 (en) Power semiconductor module and cooling element for holding the power semiconductor module
US6590480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H0373505B2 (ko)
US20190028004A1 (en) Connection terminal assembly and electromotive drive device using same
KR19980071721A (ko) 전기 회로용 프린트 기판 및 이 프린트 기판의 제조 방법
WO2015029708A1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ジブルリンク
US20120048705A1 (en) Switching device
EP2226826B1 (en) 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CN104518300B (zh) 电子电路装置
KR102330474B1 (ko)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US10349537B1 (en) Electrical unit
JPH06163330A (ja) モールド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構造
KR101969993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KR101956750B1 (ko) 전자 제어 장치
US6979213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with sliding lock lever
KR101991105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7017993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バスバ
EP3047498B1 (en) Active electrical component
EP1397947B1 (en) Electric connection arrangement for electronic devices
JP2005516426A (ja) 制御装置
KR20190031471A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6051703B2 (ja) 逆流防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10342117B2 (en) Assembly
JP3287805B2 (ja) 電気接続箱
JP5531565B2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