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752B1 -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752B1
KR101617752B1 KR1020140082325A KR20140082325A KR101617752B1 KR 101617752 B1 KR101617752 B1 KR 101617752B1 KR 1020140082325 A KR1020140082325 A KR 1020140082325A KR 20140082325 A KR20140082325 A KR 20140082325A KR 101617752 B1 KR101617752 B1 KR 10161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ocket
free end
contact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423A (ko
Inventor
장석윤
이검수
권오성
김만수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7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결합공간을 갖는 소켓의 내부에 마련되며 고정단이 제 1 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유단이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돌출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자유단과 마주하는 자유단이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 1 전극의 자유단 양측에 밀착되는 접촉부를 형성하며 고정단이 제 2 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접촉부에서 상기 소켓의 내측면을 향해 구부려져 제 2 전극이 상기 소켓의 결합공간에 삽입될 때 접촉부를 제 1 전극의 자유단 양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이 발휘되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소켓과 제 2 전극 간에 이격을 발생시키지 않아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electrode structure for vehic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전극이 마련된 소켓에 제 2 전극이 삽입될 때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며 소켓과 제 2 전극 간에 이격을 발생시키지 않아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많은 전자기기들이 장착되며 이들은 전극과 전극의 결속을 통해 다른 전자장치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전자기기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는 전극으로 구성되어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전극에 접촉하여 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극과 전극의 연결방식은 차량의 전자기기를 개별 조립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 작업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극의 연결방식을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극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전극 결속구조는 제 1 기판(1)에 제 1 커넥터(3)가 실장되고, 제 1 커넥터(3)는 외부하우징(4), 내부하우징(5) 및 외부하우징(4)과 내부하우징(5)을 연결하는 제 1 전극(9)으로 구성된다.
또한, 외부하우징(4)과 내부하우징(5)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전극(9)에 의해 연결되므로, 내부하우징(5)이 외부하우징(4)에 대하여 어느정도 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내부하우징(5)은 제 2 커넥터(11)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공간(6)이 형성되며 결합공간(6)은 중앙에 구획벽(7)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제 1 전극(9)의 일단부는 제 1 기판(1)에 실장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결합공간(6) 내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전극(9)의 타단부에는 제 2 커넥터(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부(9')가 형성된다.
한편, 제 1 기판(1)과 대면하여 제 2 기판(10)이 마련되는데, 제 2 기판(10)에는 제 2 커넥터(11)가 실장된다. 제 2 커넥터(11)는 제 1 커넥터(3)의 결합공간(6)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렇게, 제 1 커넥터(3)의 결합공간(6)에 삽입되는 제 2 커넥터(11)는 제 2 하우징(13)과 제 2 전극(15)으로 구성되며, 제 2 전극(15)의 일단부는 제 2 기판(10)에 실장되고, 타단부는 제 1 전극(9)의 스프링부(9')와 접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는 제 1 커넥터(3)와 제 2 커넥터(11)의 결합시 제 1 전극(9)과 제 2 전극(15)이 접촉불량의 상태가 될 우려가 있어 제품의 전기적 연결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부연하자면, 종래의 커넥터는 제 1 커넥터(3)가 제 2 커넥터(11)와 결합될 때 제 1 전극(9)이 제 2 전극(15)과 접촉될 수 있도록 제 1 전극(9)에 스프링부(9')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부(9')의 형상은 제 1 전극(9)의 타단부가 구획벽(7)에서 제 2 커넥터(11)의 내측면을 향하게 경사진 상태에서 제 1 전극(9)의 자유단이 격벽을 향해 호를 그리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 1 전극(9)의 스프링부(9')는 제조과정 또는 제 1 전극(9)을 제 1 커넥터(3)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 1 전극(9)에 외력이 가해져 스프링부(9')가 원치 않게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스프링부(9')가 원치 않게 변형되는 경우 제 1 전극(9)이 제 2 전극(15)과 접촉하지 않아 접촉불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 2 하우징(13)이 제 1 커넥터(3)에 형성된 결합공간(6)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스프링부(9')가 제 2 하우징(13)의 끝단에 걸려 스프링부(9')가 제 2 하우징(13)의 끝단과 제 1 기판(1) 사이로 구부려져 위치하게 되어 제 1 전극(9)이 제 2 전극(15)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결국 제 1 커넥터(3)와 제 2 커넥터(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치명적 결함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KR 10-2010-0056188 A (2010.05.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신뢰도를 갖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결합공간을 갖는 소켓의 내부에 마련되며 고정단이 제 1 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유단이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돌출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의 자유단과 마주하는 자유단이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 1 전극의 자유단 양측에 밀착되는 접촉부를 형성하며 고정단이 제 2 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접촉부에서 상기 소켓의 내측면을 향해 구부려져 제 2 전극이 상기 소켓의 결합공간에 삽입될 때 접촉부를 제 1 전극의 자유단 양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이 발휘되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극의 자유단은 마름모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양 갈래로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전극의 측면과 면접촉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의 두께는 상기 제 1 전극의 자유단 양측에 밀착되는 접촉부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텐션부는 상기 접촉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 2 전극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진입부 및 상기 진입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소켓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와 간극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입부와 접촉부가 만나는 지점 및 상기 진입부와 돌출부가 만나는 지점은 라운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진입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30도 내지 60도의 경사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의 자유단에서 분기되어 대칭 형성되는 돌출부의 전체 너비는 상기 소켓에 형성된 결합공간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텐션부는 상기 돌출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절개부를 향해 구부려진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에 의하면, 텐션부의 경사진 돌출부가 소켓의 내측면에 안내되어 제 2 전극의 접촉부를 제 1 전극의 자유단 일측으로 이동시켜 제 1 전극의 자유단 측면과 제 2 전극에 형성된 접촉부 간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이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갖게 되어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이 소켓의 결합공간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제 2 전극의 돌출부가 소켓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갖게되어 소켓의 내측면과 제 2 전극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제 2 전극이 소켓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제 2 전극의 외형 변화에 따른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우수한 신뢰도를 갖는 차량용 전자기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극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극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극 연결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극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E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F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극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극 연결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극 연결구조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E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극 연결구조는 제 1 기부(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결합공간(110)을 갖는 소켓(1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전극(100)과 제 2 기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유단이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양측에 밀착되는 접촉부(210)가 마련된 제 2 전극(200) 및 제 2 전극(200)에 마련되어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될 때 접촉부(210)를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양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이 발휘되는 텐션부(3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제 1 전극(100)은 결합공간(110)을 갖는 소켓(120)의 내부에 마련되는데, 제 1 전극(100)은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구리, 은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 1 전극(100)의 고정단은 제 1 기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전극(100)의 자유단은 소켓(120)의 결합공간(110) 내부에 직립된 상태로 돌출된다.
즉, 제 1 전극(100)이 마련되는 소켓(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를 갖되 상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결합공간(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켓(120)은 차량에 장착되는 전자기기에 마련되는데, 예를 들어 소켓(120)은 차량에 설치되어 유체(연료,오일,냉각수 등)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를 작동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ECU 회로기판(본 발명에서는 제 1 기부라 칭함)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회로기판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는 제 2 전극(200)과 결속되는 제 1 전극(100)이 마련되는데, 제 1 전극(100)은 평탄한 판의 형상을 갖고 소켓(120)의 결합공간(110) 중 바닥 중앙에서 소켓(120)의 개방된 상부를 향해 직립된 상태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 1 전극(100)의 자유단은 결합공간(110) 내에서 돌출되며 제 1 전극(100)의 고정단은 제 1 기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전극(100)과 결속되는 제 2 전극(200)은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모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2 전극(200)은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되어 제 1 전극(100)과 결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 2 전극(200)은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구리, 은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평탄한 판의 형상을 갖되 제 1 전극(100)의 자유단과 마주하는 자유단이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양측에 밀착되는 접촉부(210)를 형성하며 고정단이 모터의 내부에 마련된 회로기판(본 발명에서는 제 2 기부라 칭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은 제 1 전극(100)과 원활하게 결속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름모형태의 절개부(220)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이 양 갈래로 분기된다. 이렇게 절개부(220)가 마름모형태를 이루게 되면 아래에서 설명되는 접촉부(210)가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양측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즉, 절개부(220)는 마름모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절개부(220)는 제 2 전극(200)의 고정단과 인접한 부분에서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넓어지는 상부 변과 상부 변이 끝나는 지점에서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는 하부 변으로 이루어져 제 2 전극(200)의 양측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따라 접촉부(210)가 서로 가까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분기된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에는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양측에 밀착되는 접촉부(210)가 형성되는데, 접촉부(210)는 절개부(220)가 끝나는 지점과 아래에서 설명되는 텐션부(300)의 진입부(310)가 시작되는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부(210)는 제 1 전극(100)의 측면과 면접촉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켜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절개부(220)에 의해 양 갈래로 분기되는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에 삽입되는 제 1 전극(100)의 두께(A2)는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양측에 밀착되는 접촉부(210) 간의 폭(A1)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전극(100)의 두께(A2)가 제 2 전극(200)의 접촉부(210) 간의 폭(A1)보다 넓게 형성되면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에 제 1 전극(100)이 삽입될 때 양 갈래로 분기된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에 탄성력이 발휘되어 접촉부(210)와 제 1 전극(100)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접촉부(210)를 제 1 전극(100)의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에는 텐션부(300)가 형성되는데, 텐션부(300)는 접촉부(210)에서 소켓(120)의 내측면을 향해 구부려져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될 때 접촉부(210)를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양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이 발휘된다.
이러한 텐션부(300)는 진입부(310)와 돌출부(320)로 구성되는데, 진입부(310)는 접촉부(210)가 끝나는 지점에서 제 2 전극(200)의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진입부(310)는 접촉부(210)가 끝나는 지점에서 소켓(120)의 내측면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며, 돌출부(320)는 진입부(310)가 끝나는 지점에서 소켓(120)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절개부(220)와 간극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320)는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되었을 때 돌출부(320)의 끝단이 소켓(120)의 개방된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진입부(310)가 끝나는 지점에서 소켓(12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320)의 경사 각도(B)(도 4 참조)는 바람직하게 30도 내지 60도의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될 때 제 2 전극(200)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제 2 전극(200)의 자유단에서 분기되어 대칭 형성되는 돌출부(320)의 전체 너비(D1)는 소켓(120)에 형성된 결합공간(110)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진입부(310)에서 소켓(120)의 개방된 상부를 향해 경사진 돌출부(320) 중 돌출부(320)가 끝나는 지점을 수평으로 연결한 돌출부(320)의 전체 너비(D1)는 결합공간(110)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에 삽입될 때 돌출부(320)의 전체 너비(D1)와 결합공간(110)의 너비(D2)에 대한 차이만큼 돌출부(320)가 제 1 전극(100)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돌출부(320)의 전체 너비(D1)가 결합공간(110)의 너비(D2)보다 크고 진입부(310)가 끝나는 지점에서 소켓(120)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면,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될 때 경사진 돌출부(320)가 소켓(120)의 내측면에 압입되면서 접촉부(210) 간의 간격이 가까워져 접촉부(210)와 제 1 전극(1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되었을 때 제 2 전극(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의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될 때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진입부(310)와 접촉부(210)가 만나는 지점 및 진입부(310)와 돌출부(320)가 만나는 지점은 라운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입부(310)와 접촉부(210)가 만나는 지점을 라운드의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제 1 전극(100)이 접촉부(210)와 접촉부 사이에 삽입될 때 제 1 전극(100)의 자유단이 진입부(310)와 접촉부(210)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라운드에 안내되어 제 1 전극(100)이 원활하게 접촉부(210) 간에 형성된 간극 사이로 삽입된다.
또한, 진입부(310)와 돌출부(320)가 만나는 지점을 라운드의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될 때 진입부(310)와 돌출부(320)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라운드에 안내되어 제 2 전극(200)이 원활하게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 2 전극(200)을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될 때 텐션부(300)의 진입부(310)가 소켓(120)의 개방된 상부와 마주한 상태로 결합공간(110)으로 삽입되는데, 접촉부(210)와 진입부(310)가 만나는 지점에 라운드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어긋나더라도 접촉부(210)와 진입부(310)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된 라운드의 곡면에 제 1 전극(100)의 자유단이 안내되면서 제 1 전극의 자유단이 자연스럽게 제 2 전극(200)의 접촉부(210) 사이에 형성된 간극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정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제 1 전극(100)의 자유단이 제 2 전극(200)의 접촉부(210) 사이 간극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텐션부(300)의 경사진 돌출부(320)가 소켓(120)의 내측면에 안내되어 제 2 전극(200)의 접촉부(210)를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일측으로 이동시켜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측면과 제 2 전극(200)에 형성된 접촉부(210) 간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이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갖게 되어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의 결합공간(110)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제 2 전극(200)의 돌출부(320)가 소켓(1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갖게되어 소켓(120)의 내측면과 제 2 전극(20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제 2 전극(200)의 외형 변화에 따른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우수한 신뢰도를 갖는 차량용 전자기기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 2 전극(200)에 형성되는 텐션부(300)에 가압부(330)를 형성하여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가압부(330)가 절개부(220)를 가압하여 제 2 전극(200)과 제 1 전극(100)이 더욱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F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압부(330)는 텐션부(300) 중 돌출부(320)가 끝나는 지점에서 절개부(220)를 향하도록 구부려져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부(330)는 제 2 전극(200)이 소켓(120)에 삽입되는 것에 따라 가압부(330)가 절개부(220)를 향해 이동하여 절개부(220)를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가압부(330)가 절개부(220)를 가압하게 되면 절개부(220)와 진입부(310)가 동시에 제 1 전극(100)을 향해 이동하는 밀착력이 발휘되어 제 2 전극(200)의 접촉부(210) 전체를 제 1 전극(100)을 향해 균일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제 2 전극(200)의 접촉부(210)를 더욱 긴밀하게 제 1 전극(100)의 자유단 측면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전극(100)과 제 2 전극(200)의 접촉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00 : 제 1 전극 110 : 결합공간
120 : 소켓 130 : 제 1 기부
200 : 제 2 전극 210 : 접촉부
220 : 절개부 230 : 제 2 기부
300 : 텐션부 310 : 진입부
320 : 돌출부 330 : 가압부

Claims (5)

  1. 결합공간을 갖는 소켓의 내부에 마련되며 고정단이 제 1 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자유단이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돌출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의 자유단과 마주하는 자유단이 양 갈래로 분기되어 제 1 전극의 자유단 양측에 밀착되는 접촉부를 형성하며 고정단이 제 2 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접촉부에서 상기 소켓의 내측면을 향해 구부려져 제 2 전극이 상기 소켓의 결합공간에 삽입될 때 접촉부를 제 1 전극의 자유단 양측으로 밀착시키는 탄성력이 발휘되는 텐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부는
    상기 접촉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제 2 전극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진입부; 및
    상기 진입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상기 소켓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절개부와 간극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부와 접촉부가 만나는 지점 및 상기 진입부와 돌출부가 만나는 지점은 라운드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전극의 자유단은 마름모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양 갈래로 분기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1 전극의 측면과 면접촉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의 두께는 상기 제 1 전극의 자유단 양측에 밀착되는 상기 접촉부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의 자유단에서 분기되어 대칭 형성되는 돌출부의 전체 너비는 상기 소켓에 형성된 결합공간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KR1020140082325A 2014-07-02 2014-07-02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KR101617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25A KR101617752B1 (ko) 2014-07-02 2014-07-02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25A KR101617752B1 (ko) 2014-07-02 2014-07-02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23A KR20160004423A (ko) 2016-01-13
KR101617752B1 true KR101617752B1 (ko) 2016-05-19

Family

ID=5517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325A KR101617752B1 (ko) 2014-07-02 2014-07-02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474B1 (ko) * 2018-12-20 2021-11-24 주식회사 만도 모터-전자제어장치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5217A (ja) 2012-10-03 2014-04-24 Yazaki Corp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5217A (ja) 2012-10-03 2014-04-24 Yazaki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23A (ko)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1368B2 (ja) 直角ヘッダアセンブリ
US9735486B1 (en) Electrical connector
WO2007094149A1 (ja) コネクタ
US8942007B2 (en) Electrical component
WO2018221095A1 (ja) 電気コネクタ
US10230185B2 (en) Connector device
US20150295329A1 (en) Connector
JP6539695B2 (ja) コネクタ装置
US9166333B2 (en) Connector
KR20120015274A (ko) 전기 연결 장치
US7507118B2 (en) Connector assembly
KR101617752B1 (ko) 차량용 전자기기의 전극 연결구조
US20220190504A1 (en) Connector, connection apparatus and connection method
US7874858B2 (en) Connector
US764149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vibration-resisting structure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JP6055939B2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09155486B (zh) 分支连接器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2020068060A (ja) コネクタ
US20200274266A1 (en) Assembly element for an actuator
KR102312421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CN107591633B (zh) 电连接器
KR20230072815A (ko) 전자 부품용 커넥터 조립체
KR20230066719A (ko) 플로팅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