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024B1 -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024B1
KR101868024B1 KR1020160097988A KR20160097988A KR101868024B1 KR 101868024 B1 KR101868024 B1 KR 101868024B1 KR 1020160097988 A KR1020160097988 A KR 1020160097988A KR 20160097988 A KR20160097988 A KR 20160097988A KR 101868024 B1 KR101868024 B1 KR 10186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al progenitor
pgp
progenitor cells
vascular endothelial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530A (ko
Inventor
김재호
권양우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024B1/ko
Priority to PCT/KR2017/006124 priority patent/WO2017217728A1/ko
Publication of KR2018001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4Vessels;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Endothelial cells;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PGP(Acetylated Pro-Gly-Pro)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를 포함하는 혈관신생 촉진용 조성물,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약학적 조성물, 피부 재생용 의약외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병용 처리하는 경우,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동 및 튜브 형성능 증가를 유도하여 혈관 신생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허혈성 질환을 포함하는 다양한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이나 상처 및 화상 치료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의 병용 처리는 각 단독 처리보다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혈관내피전구세포 기반의 세포 치료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 이와 관련된 의료, 제약 및 화장품 관련 산업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angiogenesis comprising Ac-PGP peptide and endothelial progenitor cell}
본 발명은 Ac-PGP(Acetylated Pro-Gly-Pro)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를 포함하는 혈관신생 촉진용 조성물,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약학적 조성물, 피부 재생용 의약외품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c-PGP(Acetylated Pro-Gly-Pro)은 프롤린(Proline, Pro), 글리신(Glycine, Gly) 및 프롤린(Proline, Pro)의 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세틸화된 저분자 펩타이드이다. 이는 생체 내 존재하는 콜라겐이 분해되어 만들어 진다.
혈관내피전구세포 (endothelial progenitor cell)는 말초혈액에서 최초로 규명된 세포로 혈관 신생을 촉진하는 세포이다. {Asahara T. (1997) Science 275(5302): 964-7}. 혈관내피전구세포는 재생의학 분야에 있어서 세포치료제로 이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창상조직에 적용 하였을 경우, 창상 조직 환경에 의한 세포의 낮은 이식율과 낮은 활성화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신생혈관형성(angiogenesis)은 기존 혈관의 내피세포가 세포 외 기질을 분해하고, 이동, 분열, 및 분화하여 새로운 모세혈관을 형성하는 현상으로, 성장과 생식, 상처치유 등의 생리적 과정에서 나타난다. 또한, 신생혈관형성은 종양의 성장, 관절염, 당뇨병 등의 병리적 상태와도 연관이 있다. 혈관형성은 혈관내피세포의 성장, 이동, 분화, 모세혈관 형성 등의 복잡한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에 관여하는 많은 혈관신생 촉진 인자와 혈관신생 억제인자들이 발견되었다. 혈관신생 억제인자들은 혈관신생이 생성될 때 필요한 혈관신생 촉진 인자들의 활성에 반대하여 활성화된다. 체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혈관신생 억제제들은 독성이 적어 병리적인 혈관신생 억제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많은 약물들이 개발 중에 있다. 특히, 혈관신생은 상처 조직이 재생되기 위한 필수적인 상처 회복 과정에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허혈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상처 조직의 치유 과정은 면역반응(inflammation), 재상피화(re-epithelialization), 신생혈관 형성(angiogenesis), 육아조직의 형성(granulation), 섬유조직형성(fibroplasia), 상처조직의 수축(contraction)등 여러 가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들은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s), 염증 세포(inflammatory cells), 섬유아세포(fibroblasts) 및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s) 등과 같은 여러 세포들의 이동, 증식, 분화, 침윤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과정은 표피 성장 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혈관전환 성장 인자-베타(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간세포 성장 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 혈관 표피 성장 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및 케라티노사이트 성장 인자(keratinocyte growth factor)등과 같은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의해서 조절된다{Singer AJ, Clark RA. (1999)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1, 738~46; Greaves NS et al. (2013) Journal of dermatological 7, 206~17}.
상처 회복을 위하여 이들 성장인자나, 사이토카인을 처리하는 방법이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Braund R et al. (2007) Current drug delivery 4: 195-204; Roesel JF et al. (1995) The Journal of surgical research 58: 449-59}. 하지만 이러한 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이용한 상처 치료기술 개발에 있어서 이들 단백질을 생산, 분리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상처치유과정에 이러한 단백질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한 가지 종류의 인자만을 사용할 경우 상처치료제로 비효과적인 점 때문에 실제 상용화 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혈관신생을 촉진하고, 혈관 신생과 관련된 의존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유효성분의 탐색이 필수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혈관 신생을 촉진하고, 혈관 신생 의존적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유효성분을 연구하던 중,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병용 처리 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동 및 튜브 형성능 증가를 유도하여 혈관 신생을 촉진함으로써 허혈성 질환 등을 포함하는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이나 상처 및 화상 치료에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의 병용 처리는 각 단독 처리보다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혈관내피전구세포 기반의 세포 치료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c-PGP(Acetylated Pro-Gly-Pro)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c-PGP(Acetylated Pro-Gly-Pro)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병용 처리하는 경우,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동 및 튜브 형성능 증가를 유도하여 혈관 신생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허혈성 질환을 포함하는 다양한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이나 상처 및 화상 치료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의 병용 처리는 각 단독 처리보다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므로, 혈관내피전구세포 기반의 세포 치료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 이와 관련된 의료, 제약 및 화장품 관련 산업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혈관내피전구세포에 펩타이드 Ac-PGP 처리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주화 이동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혈관내피전구세포에 펩타이드 Ac-PGP 처리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증식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혈관내피전구세포에 펩타이드 Ac-PGP 처리시,혈관내피전구세포의 혈관 형성능(튜브 형성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si-RNA(si-CXCR2)에 의해 혈관내피전구세포에서 CXCR2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펩타이드 Ac-PGP에 의해 촉진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주화 이동이 CXCR2 의존적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펩타이드 Ac-PGP에 의해 촉진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튜브 형성능이 CXCR2 의존적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동물 창상 모델에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의 병용 처리 (Ac-PGP+EPC)한 경우, 창상 회복 정도를 공초점 현미경(A)로 확인하고, 상처 영역(%)(B)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동물 창상 모델에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의 병용 처리(Ac-PGP+EPC)한 경우, 창상 조직 내 혈관 형성 정도를 면역형광염색법(A) 및 혈관 형성 수(B)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동물 창상 모델에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의 병용 처리(Ac-PGP+EPC)한 경우, 세포의 이식 정도를 면역형광염색법(A) 및 CM-DiI로 라벨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수(B)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Ac-PGP(Acetylated Pro-Gly-Pro)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c-PGP(Acetylated Pro-Gly-Pro)"는 프롤린(Proline, Pro), 글리신(Glycine, Gly) 및 프롤린(Proline, Pro)의 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아세틸화된 저분자 펩타이드이다. 이는 생체 내 존재하는 콜라겐이 분해되어 만들어 진다. 상기 Ac-PGP는 다양한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IL-8 chemoattractant receptor 2(CXCR2)를 매개로 하여 작용 하는 펩타이드이다.
본 발명의 목적 상, 상기 Ac-PGP는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주화 이동(migration), 증식(proliferation) 및 튜브 형성능(tube formation)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병용처리 할 경우, 동물 창상 모델의 혈관내피세포의 튜브 형성능, 피부 창상 재생 및 신생 혈관 형성 증가를 촉진시킨다. 또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식율이 증가시켜, 혈관 신생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허혈성 질환을 포함하는 다양한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이나 상처 및 화상 치료에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는 말초혈액에서 최초로 규명된 세포로 혈관 신생을 촉진하는 세포이다. 재생의학 분야에 있어서 세포치료제로 이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창상조직에 적용 하였을 경우, 창상 조직 환경에 의한 세포의 낮은 이식율과 낮은 활성화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혈관신생(angiogenesis)"은 혈관이 새로 형성되는 과정, 즉, 새로운 혈관이 세포, 조직 또는 기관 내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혈관신생 과정은 1) 혈관생성 성장인자(angiogenic growth factor)가 기존 혈관에 휴지상태로 존재하는 혈관내피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2) 활성화된 혈관 내피세포가 주변의 기저막 및 세포외기질을 분해하는 단백질분해효소를 분비하기 시작하여, 3) 혈관내피세포가 기존 혈관벽으로부터 벗어나서 혈관생성인자(angiogenic factor)를 분비하는 조직을 향해 이동하고 증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혈관 신생 촉진용은 인공 피부 이식용; 피부판 재생용; 및 이식용 혈관 제조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도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공 피부"는 피막보호를 목적으로 체액의 누출을 방지하고 세균 침입을 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복제를 의미하며, 건조 돈피 외에 콜라겐, 키틴 혹은 합성 고분자를 소재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은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혈관 신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증상을 수반하는 질환이다. 본 발명의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혈관 신생 촉진 효과에 의하여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질환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허혈성 질환, 상처, 화상, 건선, 만성궤양, 심근경색, 협심증, 욕창, 탈모,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및 뇌혈관성 치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허혈성 질환은 뇌허혈, 심장허혈, 당뇨병성 혈관심장질환, 심부전, 심근비대증, 망막허혈, 허혈성 대장염, 허혈성 급성 신부전증, 뇌졸중, 뇌외상 및 신생아 저산소증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처"는 생체가 손상된 상태를 의미하며, 생체 내부 또는 외부 표면을 이루는 조직, 예를 들면 피부, 근육, 신경조직, 뼈, 연조직, 내부기관 또는 혈관조직이 분단 또는 파괴된 병리학적 상태를 포괄한다.
상기 상처는 비-치유 외상성 상처, 방사선조사에 의한 조직의 파괴, 찰과상 (abrasion), 골괴저, 열상 (laceration), 결출상 (avulsion), 관통상 (penetrated wound), 총상 (gunshot wound), 절상, 동상, 타박상 (contusion or bruise), 피부궤양, 피부건조, 피부 각화증, 갈라짐, 터짐, 피부염, 피부 사상균증에 의한 통증, 수술상, 혈관질환 상처, 각막창상 등의 상처, 욕창, 와창, 당뇨성피부 미란과 같은 당뇨병 및 순환불량에 관련된 상태, 만성궤양, 성형수술 후 봉합부위, 척추상해성 상처, 부인과적 상처, 화학적 상처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개체의 어떠한 부분에 대한 손상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뇨성 족부궤양"은 당뇨병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당뇨병 환자의 50% 이상이 발병한다. 당뇨병 환자의 혈관에 존재하는 고농도의 혈당에 의해 세포 내 일부 기능이 손상되면서 다리 부위의 미세혈관과 신경세포가 죽는 합병증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뇨 망막증"은 당뇨병으로 인한 모세혈관 벽의 병변(기저막의 비후, 벽세포의 감소, 내피세포의 과도한 증식)으로 모세혈관이 좁아지고 결국 폐색되어 망막 미세혈관의 순환 장애가 나타나 발생하는 합병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는 고체 또는 액체의 제제용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제용 첨가물은 유기 또는 무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자당, 백당, 포도당, 옥수수 전분 (corn starch), 전분, 탈크, 소르비트, 결정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카올린,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에테르,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고무, 트래거캔스 (tragacanth), 젤라틴, 셀락(shella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구연산칼슘, 덱스트린, 펙틴 (pectin)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경화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통상 의약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정제, 과립제에는 당의(糖衣), 젤라틴코팅, 기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코팅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부제, 항산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신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제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외용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에는 시트제, 액상도포제, 분무제, 로션제, 크림제, 파프제, 분제, 침투 패드제, 분무제, 겔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연고제, 에어로졸, 분말제, 현탁액제, 경피흡수제 등의 통상적인 외용제의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에서, 혈관 신생이 필요한 부위, 예컨대 상처에 직접 적용될 수 있으며, 즉, 외용제와 같이 상처부위에 산포될 수 있다. 시트의 형태인 경우는 상처 부위에 도포하는데 이때 도포한 부위에 적절히 드레싱하여 상처를 보호하면서 활성 성분의 치료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한다. 드레싱은 시판되고 있거나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떠한 것도 사용 가능하다. 시판되고 있는 드레싱의 예로는 컴필(Compeel), 듀우덤(Duoderm), 타가덤(Tagaderm) 및 옵사이트(Opsite)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에서, 약제학상 허용되는 담체로는 그의 제형에 따라 다르나, 바셀린, 유동 파라핀, 겔화 탄화 수소 (별명: 플라스티베이스) 등의 탄화수소류; 중쇄지방산트리글리세라이드, 돈지, 하드 팻트, 카카오지 등의 동식물성 오일;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린산, 팔미틴산이소프로필 등의 고급지방산 알코올 및 지방산 및 그의 에스테르류; 마크로골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롤, 젤라틴, 백당, 당알코올 등의 수용성 기제;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스테아린산폴리옥실,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등의 유화제; 아크릴산에스테르, 알긴산나트륨 등의 점착제; 액화석유가스, 이산화탄소 등의 분사제;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등의 방부제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외용제는 이들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외에도 안정제, 향료, 착색제, pH 조정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는 사용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국소 상처부에 도포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는 통상적인 반창고의 상처 박리 커버 등과 같은 고체 지지체상에 점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서, 고체 지지체를 먼저 점착층으로 피복하여 고체 지지체에 배양액의 부착을 향상시킨다. 점착제의 예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형은 시판되고 있는 것이 많으며 예로는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형태의 비부착성 상처 박리 커버를 갖는 반창고 (Smith & Nephew Ltd.), Johnson & Johnson의 얇은 스트립 (strip), 패취 (patch), 스포트(spot), 가소성 스트립 형태의 밴드-에이드(BAND-AID); Colgate-Palmolive Co. (Kendall)의 큐리티 큐러드(Curity CURAD, 오우취리스(Ouchless)) 반창고; 및 American WhiteCross Laboratories, Inc.의 스틱-타이트(STIK-TITE) 탄성 스트립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유효량은 환자의 상처 종류, 적용부위, 처리회수, 처리시간, 제형, 환자의 상태, 보조제의 종류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일일 유효량을 상처에 적용시 0.00001 내지 100 μM일 수 있다. 상기 1 일량은 1일에 1회, 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하루에 2~3회에 나눠 투여해도 되고, 수일(數日) 간격으로 간헐(間歇)투여해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상기 사용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상처 종류, 적용부위, 처리회수, 처리시간, 제형, 환자의 상태, 보조제의 종류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유효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은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폼, 마스크, 연고제, 크림, 로션, 에센스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재생"은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에 대해 피부 조직의 회복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Ac-PGP 펩타이드 이외에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확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르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탄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실험 준비
본 발명의 저분자 펩타이드 Ac-PGP는 Ac-Pro-Gly-Pro-OH Sequence로써 Anaspec에서 합성되었으며 합성된 Ac-PGP의 순도는 ≥ 95% 이다. 동물 실험은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동물윤리 위원회 규정 및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진행하였으며, 실험에 이용된 마우스는 오리엔트 바이오에서 구매하여 이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s, EPC)를 이용하였다. 먼저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수득하기 위해 부산대학교 병원 임상 시험 심사위원회에 의해 승인된 공여자의 동의 하에 분만 직후 제대 정맥에서 채혈 하였다. 항응고제가 포함된 살균된 체혈백을 사용 하였으며, 히스토팍-1077을 이용하여 밀도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상기 혈액으로부터 단핵 세포(mononuclear cells) 을 분리 하였다. 분리된 단핵세포를 0.1% 젤라틴으로 코팅된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서 Endothelial growth medium-2 (EGM-2)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37도 조건의 인큐베이터에 배양 하였다. 배양 4일 후, 비 부착 세포를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로 세척하여 제거 하고, 부착된 세포는 세포배양액으로 배양하는 것으로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in vitro상에서 Acetylated Pro- Gly -Pro(Ac- PGP ) 처리에 따른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주화 이동(migration) 증가 확인
Ac-PGP의 처리에 따라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동 정도를 in vitro 상에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타입 I 콜라겐을 96 웰 이동 챔버(migration chamber)에 코팅 후 건조 시켰다. 그 후, 하나의 웰당 5000개의 혈관내피전구세포를 분주하였다. 대조군에는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를 처리하였고, 실험군 4군에는 0.01, 0.1, 1 및 10 μM 농도의 Ac-PGP를 처리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주화 이동을 관찰 하였다. 처리 12시간 후, 이동하지 않은 세포는 제거하고, 이동된 세포는 Hoecht로 염색을 하였으며, 이를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c-PGP를 각 0.01, 0.1, 1 및 10uM 농도로 처리 하였을 때,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주화 이동(migration)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0.1μM 농도 Ac-PGP를 처리한 군에서 양성 대조군인 VEGF 만큼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주화 이동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c-PGP 처리가 in vitro상에서 혈관내피세포의 주화 이동 촉진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in vitro상에서 Ac- PGP 처리에 따른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증식(proliferation) 증가 확인
Ac-PGP가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증식을 촉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증식 정도를 in vitro 상에서 확인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조건당 10000개의 혈관내피전구세포를 분주하여 배양 후, 대조군에는 HBSS, 양성 대조군 VEGF 및 실험군 0.1 uM 농도의 Ac-PGP를 처리하여 24시간 후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증식률을 확인 하였다. 24시간 동안 37도 인큐베이터에서 배양된 혈관내피세포를 세포 증식 표지 항체인 PCNA polyclonal antibody와 반응시키고, 이를 관측할 수 있는 2차 항체(Alexa488-labeled anti-rabbit)를 결합 시켜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0.1 uM 농도의 Ac-PGP를 처리 하였을 때,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증식(proliferation)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양성 대조군 VEGF 만큼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이 증가됨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Ac-PGP 처리가 in vitro상에서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3. in vitro상에서 Ac- PGP 처리에 따른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튜브 형성능 (tube formation) 증가에 따른 신생 혈관 형성 증가 확인
Ac-PGP 처리에 따른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혈관 형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상에서 혈관 형성 정도를 확인하는 튜브 형성능 정도를 확인 하였다.
구체적으로, 96웰 플레이트에 마트리겔을 처리한 후, 겔이 굳으면 대조군 HBSS와 양성 대조군 VEGF 및 실험군 0.1 uM 농도의 Ac-PGP를 10000개의 혈관내피전구세포와 함께 각각 분주 하였다. 이를 37도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신생 혈관 형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calcein AM 염색을 한 후,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0.1 uM 농도의 Ac-PGP를 처리 하였을 때,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튜브 형성능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Ac-PGP를 처리한 군에서 양성 대조군인 VEGF 만큼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튜브 형성능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c-PGP 처리가 in vitro상에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혈관 신생 촉진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CXCR2의 발현이 억제된 혈관내피전구세포에 Ac- PGP 처리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주화 이동 및 튜브 형성능 확인
4-1. CXCR2 si-RNA 형질감염에 의한 CXCR2 발현 억제 혈관내피전구세포 제작
Ac-PGP가 혈관내피세포에 작용하는데 있어서 CXCR2를 매개 하는지 확인 하기 위하여, CXCR2 si-RNA 형질감염에 의한 CXCR2 발현 억제 혈관내피전구세포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CXCR2 전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human CXCR2(hCXCR2)에 대한 si-RNA(sense si-CXCR2의 5'-GGCGGAUGCUGUUACGGAUtt-3'(서열번호 1), anti-sense si-CXCR2의 5'-AUCCGUAACAGCAUCCGCCag-3'(서열번로 2))를 사용하였다. 형질 감염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Lipofectamine 2000 시약(Invitirogen Life Technologies)을 사용하였으며,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최종 농도 20 nM의 대조군 luciferase siRNA(sense si-control의 5'-CGUACGCGGAAUACUUCGA-3'(서열번호 3), anti-sense si-control의 5'-UCGAAGUAUUCCGCGUACG-3'(서열번호 4))를 사용하여 각각 형질감염하였다. 형질 감염 혼합물이 포함된 무혈청 배지를 세포에 접종시키고 37도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성장인자와 5% 혈청이 포함된 배지에 교체하였다. 24시간 후 상기 세포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RNA를 분리하여 CXCR2 및 GAPDH의 발현 정도를 RT-PCR로 확인하였다. RT-PCR을 위하여 2 μg의 총 RNA 시료, 0.5 μg의 oligo(dT) 15 프라이머,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역전사 효소(Invitrogen)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제1가닥-cDNA를 합성하였다. 이후 1X PCR 완충액, 200 μM dNTPs, 10 μM의 각 특이 프라이머 (CXCR2는 5'-CTGCGTACGCTGTTTAAGGC-3'(서열번호 5), 5'-GTTGAGGCAGCTGTGAAGGA-3'(서열번호 6), GAPDH는 5'-TCCATGACAACTTTGGTATCG-3'(서열번호 7), 5'-TGTAGCCAAATTCGTTGTCA-3'(서열번호 8)을 사용함), 및 0.5 유닛 GoTaq DNA 중합효소(Promega)가 함유된 20 μl의 반응용액으로 동량의 cDNA를 증폭시켰다. 증폭산물을 1.5% 아가로오스 겔 상에서 전기 영동한 후, EtBr(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적외선 투시로 현상화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CXCR2에 의해 혈관내피전구세포의 CXCR2 유전자 발현이 정상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4-2. 혈관내피전구세포의 CXCR2 발현의 억제가 Ac- PGP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주화 이동에 미치는 영향 확인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Ac-PGP 처리에 의하여 상기 4-1에서 제작한 CXCR2의 발현이 억제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주화 이동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관내피전구세포의 CXCR2 발현 억제 시 Ac-PGP 처리에도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동이 촉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c-PGP에 의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주화 이동은 CXCR2에 의존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 하였다.
4-3. 혈관내피전구세포의 CXCR2의 발현 억제가 Ac- PGP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의 튜브 형성능에 미치는 영향 확인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Ac-PGP 처리에 의하여 상기 4-1에서 제작한 CXCR2의 발현이 억제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튜브 형성능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관내피전구세포의 CXCR2 발현 억제 시 Ac-PGP 처리에도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튜브 형성이 촉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c-PGP에 의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튜브 형성능은 CXCR2에 의존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c-PGP 처리 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혈관 신생 촉진은 CXCR2에 의존적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Ac- PGP 혈관내피전구세포의 병용 처리를 통한 동물 창상 모델에서의 창상 재생 촉진 확인
동물 창상 모델에서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의 병용 처리를 통한 창상 재생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물 창상 모델을 제조하기 위해서, 8주령의 Balb/c nude 마우스에 2,2,2-트리브로모에탄올(Avertin; Sigma)을 400 mg/kg의 농도로 복강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마우스의 등허리 부위를 70%의 에탄올로 소독하고, 8㎜ 바이옵시 펀치(biopsy punch)로 창상을 유도하였다. HBSS 처리 대조군; Ac-PGP 단독처리군(Ac-PGP); 혈관내피전구세포 단독 처리군(1 X 106개)(EPC); 및 Ac-PGP와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군(Ac-PGP+EPC); 조건을 두었다. 1 X 106개 혈관내피전구세포 처리군(EPC); 및 Ac-PGP와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군(Ac-PGP+EPC);은, 먼저 80 ul 볼륨의 1 X 106 개의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도된 창상 주위로 각 4군데 나누어 주사하였다. 그 후, Ac-PGP 처리군(Ac-PGP)과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군(Ac-PGP+EPC)은 20 ul 용량으로 Ac-PGP를 추가적으로 처리하였다. 나머지 HBSS 처리 대조군은 20 ul 용량으로 이틀에 한 번씩 처리하였다. 이 후 3일, 6일, 9일 및 12일째에 창상 부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창상의 면적은 디지털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 (Ac-PGP+EPC) 시, 시간이 지날수록 창상 영역이 줄어듦을 확인하여, Ac-PGP 단독 처리 또는 혈관내피전구세포 단독 처리 시 보다 시간이 지날수록 창상 치료 효과에 대한 효율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동물 창상 모델에서 Ac- PGP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에 의한 신생 혈관 형성 증가 확인
구체적으로, 동물 창상 모델에서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에 의한 혈관 생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창상 재생 단계 중 신생 혈관이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증식 단계 6 일차의 창상 조직에서 혈관 형성 정도를 확인 하였다.
구체적으로, HBSS 처리 대조군; Ac-PGP 단독처리군(Ac-PGP); 혈관내피전구세포 단독 처리군(1 X 106개)(EPC); 및 Ac-PGP와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군(Ac-PGP+EPC); 조건을 두었다. 창상 조직 내 혈관 혈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형광염색법을 시행하기 위하여 파라핀 조직이 부착된 슬라이드의 파라핀을 제거한 후 혈관 표지 항체인 CD31 polyclonal antibody와 반응시키고, 이를 관측할 수 있는 2차 항체(Alexa488-labeled anti-rat)을 결합 시켜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다. 또한, 각 처리군에 대한 혈관 형성 개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군 (Ac-PGP+EPC)에서는 Ac-PGP 단독 처리군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단독 처리군보다 창상 조직 내 혈관 형성이 더 활발히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동물 창상 모델에서 Ac- PGP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에 의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식율 증가 확인
동물 창상 모델에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이식하였을 경우,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에 의해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식 증가 여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8주령의 Balb/c nude 마우스에 창상을 유도한 후 혈관내피전구세포 단독 처리군(1 X 106개)(EPC); 및 Ac-PGP와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군(Ac-PGP+EPC); 조건을 두었다. 상세하게는, 상기 2군이 처리된 동물에, 세포 추적표지인자인 CM-DiI로 라벨된 혈관내피전구세포 1 X 106 개를 80ul 볼륨으로 창상 주위 4군데로 나누어 주사하였다. 그 후, 혈관내피전구세포 단독 처리군(1 X 106개)(EPC)에는 HBSS를 창상에 20 ul 용량으로 이틀에 한 번씩 처리하였다. 또한,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군(Ac-PGP+EPC)은 상기 혈관내피전구세포가 처리된 창상에 Ac-PGP를 20 ul 용량으로 이틀에 한 번씩 처리하였다. 이 후, 창상 조직 내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식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형광염색법을 시행하기 위하여 파라핀 조직이 부착된 슬라이드의 파라핀을 제거한 후 세포핵 염색 인자인 DAPI(4', 6-diamidno-2-phenylindol)로 염색한 후 CM-DiI 라벨 된 세포를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 하였다.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군은 혈관내피전구세포 단독 처리군보다 창상 조직 내 CM-DiI 라벨 된 세포가 증가 됨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Ac-PGP 및 혈관내피전구세포 병용 처리(Ac-PGP+EPC) 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식 정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110>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for promoting angiogenesis comprising Ac-PGP peptide and endothelial progenitor cell <130> 1-286 <160> 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si-RNA(sense si-CXCR2) <400> 1 ggcggaugcu guuacggaut t 21 <210> 2 <211> 21 <212> DNA <213> Unknown <220> <223> si-RNA(anti-sense si-CXCR2) <400> 2 auccguaaca gcauccgcca g 21 <210> 3 <211> 19 <212> DNA <213> Unknown <220> <223> siRNA(sense si-control) <400> 3 cguacgcgga auacuucga 19 <210> 4 <211> 19 <212> DNA <213> Unknown <220> <223> siRNA(anti-sense si-control) <400> 4 ucgaaguauu ccgcguacg 19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1 for CXCR2 <400> 5 ctgcgtacgc tgtttaagg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2 for CXCR2 <400> 6 gttgaggcag ctgtgaagga 20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1 for GAPDH <400> 7 tccatgacaa ctttggtatc g 21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2 for GAPDH <400> 8 tgtagccaaa ttcgttgtca 20

Claims (9)

  1. Ac-PGP(Acetylated Pro-Gly-Pro)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신생 촉진용은 인공 피부 이식용; 피부판 재생용; 및 이식용 혈관 제조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촉진용 조성물.
  3.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은 허혈성 질환, 상처, 화상, 건선, 만성궤양, 심근경색, 협심증, 욕창, 탈모, 당뇨망막증, 미숙아 망막증, 연령관련 황반변성증, 녹내장, 당뇨성 족부궤양, 폐고혈압 및 뇌혈관성 치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질환은 뇌허혈, 심장허혈, 당뇨병성 혈관심장질환, 심부전, 심근비대증, 망막허혈, 허혈성 대장염, 허혈성 급성 신부전증, 뇌졸중, 뇌외상 및 신생아 저산소증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는 비-치유 외상성 상처, 방사선조사에 의한 조직의 파괴, 찰과상 (abrasion), 골괴저, 열상 (laceration), 결출상 (avulsion), 관통상 (penetrated wound), 총상 (gunshot wound), 절상, 동상, 타박상 (contusion or bruise), 피부궤양, 피부건조, 피부 각화증, 갈라짐, 터짐, 피부염, 피부 사상균증에 의한 통증, 수술상, 혈관질환 상처, 각막상처 등의 상처, 욕창, 와창, 당뇨성피부 미란과 같은 당뇨병 및 순환불량에 관련된 상태, 만성궤양, 성형수술 후 봉합부위, 척추상해성 상처, 부인과적 상처, 화학적 상처 및 여드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c-PGP 펩타이드는 혈관내피전구세포의 CXCR2(CXC chemokine receptor 2) 발현에 의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의약외품 조성물.
  9.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97988A 2016-06-13 2016-08-01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KR10186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88A KR101868024B1 (ko) 2016-08-01 2016-08-01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PCT/KR2017/006124 WO2017217728A1 (ko) 2016-06-13 2017-06-13 Ac-pgp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988A KR101868024B1 (ko) 2016-08-01 2016-08-01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530A KR20180014530A (ko) 2018-02-09
KR101868024B1 true KR101868024B1 (ko) 2018-06-18

Family

ID=6119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988A KR101868024B1 (ko) 2016-06-13 2016-08-01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160A (ko) 2021-02-26 2022-09-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dgf-bb를 이용한 혈관 형성능이 증진된 골수 유래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관형성 부전-관련 질환 치료용 세포치료제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SSCR 12th ANNUAL MEETING 포스터 초록집(Late Breaking Abstract Poster Presentations), p. 35, T-L-4014 (2014) 1부. *
ISSCR 12th ANNUAL MEETING 포스터 초록집. p. 35, T-L-4014 (2014.06.19) *
ISSCR 12th ANNUAL MEETING 포스터 초록집. p. 35, T-L-4014 (2014.06.19)*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97, No. 7, pp. 3422-3427 (2000)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97, No. 7, pp. 3422-3427 (2000) 1부.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97, No. 7, pp. 3422-3427 (2000)*
Stem Cells. Vol. 23, No. 10, pp. 1571-1578 (2005) *
Stem Cells. Vol. 23, No. 10, pp. 1571-1578 (2005) 1부. *
Stem Cells. Vol. 23, No. 10, pp. 1571-1578 (200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160A (ko) 2021-02-26 2022-09-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dgf-bb를 이용한 혈관 형성능이 증진된 골수 유래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관형성 부전-관련 질환 치료용 세포치료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530A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8009A (ko) 피부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JP2017523976A (ja) 化粧品におけるサーファクチンの応用
CN105308052B (zh) 用于伤口愈合的方法和组合物
KR20040068172A (ko) 혈장 또는 혈청을 함유한 창상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3142192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generating and repairing damaged tissue using nonviable irradiated or lyophilized pluripotent stem cells
WO1990011075A1 (en) Angiogenic monobutyrin and its analogs
KR101293762B1 (ko) 창상치유능력이 향상된 줄기세포 배양액 및 그의 제조방법
Li et al. Evaluation of efficacy of aloin in treating acute trauma in vitro and in vivo
WO2008094061A1 (fr)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cosmétiques servant à accélérer le processus de cicatrisation de plaies et autres lésions superficielles
JP2016521746A (ja) 種々の皮膚症状の処置に有用なヒトc−x−cケモカイン由来テトラペプチド
KR20110119062A (ko) 피부재생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인간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배양 농축액 및 이의 용도
JP2016513107A (ja) 創傷治癒を促進する生物活性短鎖ペプチド
CN110903348A (zh) 一种促进伤口愈合的小肽及其应用
KR101868024B1 (ko) Ac-PGP 펩타이드 및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CN111356468B (zh) 包含黄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纤维化疾病的组合物
JP2024040280A (ja) クローナル幹細胞を含むアトピー皮膚炎の予防また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RU2292212C1 (ru) Кондиционная среда, обладающая лечебным эффектом
KR102026138B1 (ko) Crif1 억제제를 함유하는 켈로이드 및 비후성 반흔 형성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6964B1 (ko) 피부 또는 혈관조직 손상 치료 보조용 약학 조성물
EP2944305B1 (en) Novel peptide having collagen synthesizing abiliity and use thereof
KR20140072291A (ko) 주름개선용 의약 및 화장료 조성물
WO2017217728A1 (ko) Ac-pgp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KR20170140646A (ko) Ac-PGP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신생 촉진용 조성물
WO1997011706A1 (en) Use of sphingosylphosphorylcholine as a wound-healing agent
CN112773803A (zh) 一种小分子在制备促进皮肤伤口愈合的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