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918B1 -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918B1
KR101867918B1 KR1020160158153A KR20160158153A KR101867918B1 KR 101867918 B1 KR101867918 B1 KR 101867918B1 KR 1020160158153 A KR1020160158153 A KR 1020160158153A KR 20160158153 A KR20160158153 A KR 20160158153A KR 101867918 B1 KR101867918 B1 KR 10186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window
button
lock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041A (ko
Inventor
신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9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릴레이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모듈과 상기 스위치 모듈이 작동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Window Lock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릴레이 및 단방향 시소락을 적용하여 외관상품성 및 원가 효율이 높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장치 및 해당 장치가 구비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되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로터리 스위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소형화가 요구되며,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윈도우 스위치 장치는 차량 윈도우의 개폐를 위하여 복잡한 구조를 취하였다. 즉, 운전자의 측면 아암 레스트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스위치는 개별적인 각각의 차량 윈도우에 대한 시소 타입 또는 노브 타입의 개폐 스위치가 다수개 구비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일측에는 윈도우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잠금 및 잠금 해제하는 윈도우 잠금 스위치 장치가 구비되어 구조가 더욱 복잡하게 구성되었다.
특히, 차종에 따라서 윈도우 스위치 장치가 컴팩트하게 형성되는 경우 윈도우 잠금 스위치 장치가 장착될 때 부품 간의 간섭이 발생하여 윈도우 잠금 스위치 장치의 장착 및 사용이 용이하지 않거나, 스위치 사이의 간격이 멀어져 외관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푸쉬락 방식의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 윈도우 제어 스위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푸쉬락 방식의 윈도우 잠금 스위치는 릴레이가 스위치 모듈 외부에 장착되어 와이어링 회로를 통해 연결되므로, 윈도우 잠금 스위치와 윈도우 조절 스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가 17mm 이상으로 크고, 그에 따라 외관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푸쉬락 방식의 윈도우 잠금 스위치는 내부에 릴레이를 포함하지 않고 단순 푸쉬락 방식 대부하 모듈 스위치가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대부하를 위해 일정 이상의 사이즈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외관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상품성이 높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릴레이 및 단방향 시소락을 적용하여 외관상품성 및 원가 효율이 높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릴레이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모듈과 상기 스위치 모듈이 작동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는 단순 러버 접점형 스위치, 별도 모듈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가 정상 상태에서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윈도우 잠금 설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잠금 설정 상태 동안 상기 릴레이의 접점이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릴레이의 접점이 폐쇄되어 윈도우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의 일측에 누름 방향 또는 누름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방향 또는 누름 위치는 라운드 형태의 음각 함몰 구조로 형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의 중앙 또는 타측에 소정 윈도우 잠금 버튼 표시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의 중앙 또는 타측에 상기 윈도우 잠금 버튼의 활성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 램프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의 측면 아암 레스트의 베젤 표면으로부터 상기 버튼이 1.1mm ~1.3mm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제어 스위치가 노브 타입이면, 상기 노브의 힌지와 상기 버튼 사이의 이격 거리가 11mm ~ 13mm를 유지하도록 상기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가 구비된 차량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릴레이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모듈과 상기 스위치 모듈이 작동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와 상기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관상품성 및 비용 절감 효과가 높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릴레이 및 단방향 시소락을 적용하여 외관상품성 및 원가 효율이 높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 및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장점 및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푸쉬락 방식의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윈도우 제어 스위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의 조작에 따른 릴레이 접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차량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제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의 조작에 따른 릴레이 접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2a는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정상 상태(210)-즉,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일 때의, 릴레이(222) 접점의 연결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 번호, 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정상 상태이면 스위치(221)는 OFF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릴레이(222)의 접점은 개방(Open)된 상태로 유지되며, 부하(223)에는 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도면 번호 2b는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눌려진 상태(230)에서의 릴레이(242) 접점의 연결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 번호, 2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눌려진 상태(230)이면, 스위치(241)는 ON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릴레이(242)의 접점은 폐쇄(Closed)된 상태로 유지되며, 부하(243)로 전력이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잠금 설정 스위치는 스위치 모듈 내부에 구비된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릴레이가 배치되므로, 종래 별도의 와이어링 회로를 통해 릴레이를 조작하는 방식과 달리 스위치 조작을 통해 직접 릴레이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모듈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릴레이를 배치하고,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를 채용함으로써 외관상품성 및 원가 효율이 높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릴레이를 위한 와이어링 회로가 제거되므로 원가 절감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잠금 설정 스위치는 릴레이 내구 성능을 고려하여,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눌려지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윈도우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릴레이 접점에 상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잠금 설정 스위치는 Normal Lock 로직으로 동작한다.
종래의 Normal Unlock 로직으로 동작하는 윈도우 잠금 설정 스위치는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눌려지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윈도우 잠금 설정이 해제되므로, 상시 릴레이 접점에 전류가 인가되어 내구 성능이 열화되는 단점이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차량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300)의 일측에는 도면 번호 310과 같이, 누름 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누름 방향은 손가락 또는 라운드 형태의 음각 함몰 구조로 형성되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300)에는 도면 번호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버튼의 중앙 또는 타측에 소정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 마크가 인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300)에는 도면 번호 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버튼의 중앙 또는 타측에 상기 윈도우 잠금 버튼의 활성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 램프가 배치될 수도 있다.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300)은 운전자의 측면 아암 레스트의 베젤 표면(350)으로부터 상기 버튼이 1.1mm ~1.3mm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제어 스위치(360)가 노브 타입이면, 해당 노브의 힌지와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3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11mm ~ 13mm를 유지하도록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30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위치 모듈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릴레이를 배치하고,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를 채용함으로써 외관상품성 및 원가 효율이 높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300)은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이므로, 종래의 푸쉬락 버튼에 비해 스위치 작동 상태 구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알림 램프 및 누름 방향 표시 구성을 추가 채용하여 사용자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400)는 단방향으로 동작하는 누름 버튼(410)과, 누름 버튼 돌기(411), 스위치 로드(420), 가이드 홈(430) 및 러버 접점(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 로드(420)는 누름 버튼(410)의 도면 번호 412 영역이 눌려지면, 누름 버튼 돌기(411)와 함께 (200) 하향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누름 버튼(410)의 도면 번호 412 영역이 눌려지면 스위치 로드(420)가 상향 이동되며 이에 따라 누름 버튼(410)이 정상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 바닥면(46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450)가 장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누름 버튼(410)이 사용자의 윈도우 스위치 잠금 버튼 조작에 의해 누름 조작되면 스위치 로드(420)가 하향 이동되는데, 이때 스위치 로드(420)는 러버 접점(440) 및 탄성부재(630)에 의해 탄성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 버튼(410)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스위치 로드(420)가 다시 상향 이동하며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스위치 로드(420)와 누름 버튼(410)의 작동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부호 5a는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정상 상태-즉, 윈도우 잠금이 설정된 상태-에서의 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 부호 5b는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눌려진 상태-즉, 윈도우 잠금 설정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스위치 동작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 번호 511 방향으로 버튼이 눌려지면 도면 부호 5b의 상태가 되고, 도면 부호 5b 상태-즉, 윈도우 잠금 설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도면 번호 512 방향으로 버튼이 눌려지면 원상 복구되어 도면 부호 5a와 같은 윈도우 잠금이 설정된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제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제어 장치(600)는 하우징(610), 인쇄회로기판(620), 릴레이(621), 윈도우 잠금 스위치 모듈(630), 윈도우 제어 스위치 모듈(6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윈도우 잠금 스위치 모듈(630)은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는 단순 러버 접점형 스위치, 별도 모듈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가 정상 상태에서 눌려지지 않으면,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이 설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윈도우 잠금 설정 상태 동안 릴레이(621)의 접점은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릴레이(621)의 접점이 개방된 상태에서,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가 눌려지면, 릴레이(621)의 접점이 폐쇄되어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잠금 스위치 모듈(630)은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구비되며, 해당 버튼의 일측에 누름 방향 또는 누름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 방향 또는 누름 위치는 라운드 형태의 음각 함몰 구조로 형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의 중앙 또는 타측에 소정 윈도우 잠금 버튼 표시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의 중앙 또는 타측에 상기 윈도우 잠금 버튼의 활성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 램프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의 측면 아암 레스트의 베젤 표면으로부터 상기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이 1.1mm ~1.3mm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제어 스위치 모듈(640)이 노브 타입이면, 상기 노브의 힌지와 상기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 사이의 이격 거리가 11mm ~ 13mm를 유지하도록 해당 버튼이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위치 모듈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일면에 릴레이를 배치하고,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를 채용함으로써 외관상품성 및 원가 효율이 높은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잠금 설정 버튼(300)은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이므로, 종래의 푸쉬락 버튼에 비해 스위치 작동 상태 구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알림 램프 및 누름 방향 표시 구성을 추가 채용하여 사용자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가 구비된 차량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릴레이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모듈과 상기 스위치 모듈이 작동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와 상기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릴레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스위치 모듈이 작동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모듈은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이고, 상기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가 눌려지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이 유지되어 상기 릴레이의 접점에 상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이 차단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는 단순 러버형 접점 스위치, 별도 모듈형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릴레이의 접점은 개방 상태인,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릴레이의 접점이 폐쇄되고 상기 윈도우의 잠금 설정이 해제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일측에 누름 방향이 표시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방향은 라운드 형태의 음각 함몰 구조로 형성되어 표시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중앙 또는 타측에 소정 윈도우 잠금 버튼 표시가 인쇄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중앙 또는 타측에 상기 버튼의 활성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알림 램프가 배치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11.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측면 아암 레스트의 베젤 표면으로부터 상기 버튼이 1.1mm ~1.3mm 돌출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제어 스위치가 노브 타입이면, 상기 노브의 힌지와 상기 버튼 사이의 이격 거리가 11mm ~ 13mm를 유지하도록 상기 버튼이 배치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13. 파워 윈도우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릴레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스위치 모듈이 작동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을 포함하는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및
    상기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모듈은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이고, 상기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가 눌려지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이 유지되어 상기 릴레이의 접점에 상시 전류가 인가되는 것이 차단되는, 차량.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는 단순 러버 접점형 스위치, 별도 모듈형 스위치 중 어느 하나인, 차량.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제어 스위치의 잠금 설정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릴레이의 접점은 개방 상태인, 차량.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단방향 시소락 스위치가 눌려지면, 상기 릴레이의 접점은 폐쇄되고 상기 윈도우의 잠금 설정이 해제되는, 차량.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일측에 누름 방향이 표시되고, 상기 누름 방향은 라운드 형태의 음각 함몰 구조로 형성되는, 차량.
KR1020160158153A 2016-11-25 2016-11-25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KR10186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53A KR101867918B1 (ko) 2016-11-25 2016-11-25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53A KR101867918B1 (ko) 2016-11-25 2016-11-25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41A KR20180059041A (ko) 2018-06-04
KR101867918B1 true KR101867918B1 (ko) 2018-07-17

Family

ID=6262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153A KR101867918B1 (ko) 2016-11-25 2016-11-25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91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1485A (ja) * 1987-10-30 1989-05-15 Mazda Motor Corp 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H09204842A (ja) * 1996-01-26 1997-08-05 Honda Motor Co Ltd コネクタ付きスイッチボックス
KR19980055224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JP2003039947A (ja) * 2001-08-01 2003-02-13 Toyo Denso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
JP2006328847A (ja) * 2005-05-27 2006-12-07 Omron Corp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装置
KR20120035474A (ko) * 2010-10-05 2012-04-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101486914B1 (ko) * 2013-11-20 2015-01-29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스위치 모듈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1485A (ja) * 1987-10-30 1989-05-15 Mazda Motor Corp 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装置
JPH09204842A (ja) * 1996-01-26 1997-08-05 Honda Motor Co Ltd コネクタ付きスイッチボックス
KR19980055224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JP2003039947A (ja) * 2001-08-01 2003-02-13 Toyo Denso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
JP2006328847A (ja) * 2005-05-27 2006-12-07 Omron Corp パワーウインドウスイッチ装置
KR20120035474A (ko) * 2010-10-05 2012-04-1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101486914B1 (ko) * 2013-11-20 2015-01-29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스위치 모듈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41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6459B2 (en) Ke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key structure
US5720379A (en) Push-push switch with lock
KR20040043896A (ko) 푸시버튼
US5623134A (en) Switch with pivoting control member mounted on slider
US9580939B2 (en) Vehicle door latch release device
GB2437542A (en) Mouse with a damped pivoting back door, side clasp buttons and a movable carrier for a wireless receiver
EP3721317B1 (en) Orientation specific control
US20130220063A1 (en) Switch device
JP4624306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867918B1 (ko) 차량용 윈도우 잠금 스위치
US20070017787A1 (en) Compound Switch
EP1528585A2 (en) Combined operating mechanism
KR200470874Y1 (ko) 운전석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JP2010055844A (ja) 換気扇スイッチ
JP2009218064A (ja) 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WO1995015000A1 (en)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JP2003068165A (ja) 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電子レンジ用スイッチユニット
JP4247312B2 (ja) 電子機器
JPH06257838A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装置
JPH08161967A (ja) スイッチ
CN217279393U (zh) 调节元件
JP2545812B2 (ja) スイッチ装置
JPH082895Y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