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776B1 - 분체도장장치 - Google Patents

분체도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776B1
KR101867776B1 KR1020170151539A KR20170151539A KR101867776B1 KR 101867776 B1 KR101867776 B1 KR 101867776B1 KR 1020170151539 A KR1020170151539 A KR 1020170151539A KR 20170151539 A KR20170151539 A KR 20170151539A KR 101867776 B1 KR101867776 B1 KR 10186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powder coating
moving
unit
stationa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Original Assignee
박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102017015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64Turning 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20Masking elements, i.e. elements defining uncoated areas on an object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8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 B05B5/082Plant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objec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orting, holding or conveying the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킹을 자동적으로 뒤집도록 하여 전체 스타킹 제조공정이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체도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하 소정 높이로 이루어지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상부에 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흡입관부와, 상기 흡입관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흡입호스부와, 상기 흡입호스부의 타단부를 통하여 공기를 고압으로 흡입하도록 상기 흡입호스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게 구비되는 공기흡입모듈 및 상기 공기흡입모듈을 통하여 상기 흡입호스부 내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거나 공기 흡입이 정지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분체도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체도장장치{Powder Coating Appratus}
본 발명은 분체도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문양을 표현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적 운영이 가능한 분체도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의 표면을 도장할 때 주로 사용되는 분체도장은, 피도장물의 표면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 전기로 대전된 분체도료를 분사하여 전기적으로 부착시킨 후, 도료를 가열, 용해 및 경화하여 도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체도장은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용제에 의한 중독이나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을 뿐 아니라, 액체도료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주름형상이나 흐름현상이 없고, 일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분체도장은 피도장물의 표면에 분체도료를 분사하여 도장하므로, 소정의 무늬를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간의 무늬 변화를 위해서도 이를 위한 구성물의 교환 및 설치가 필요하게 되어 작업이 힘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실용신안특허 제20-2000-002571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도장물의 표면에 격자 형태의 무늬를 적용할 수 있는 분체도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레일부와, 상기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일측으로 거치부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이동부와, 일측으로 사각판상의 피도장물이 삽입 고정되는 사각판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부에 지지되어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거치홀이 구비된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지지부 하부에 구비되는 자석부와, 상기 이동부의 거치부에 상기 고정지지부가 거치 시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측으로 상기 고정지지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로 상기 메인레일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철재질의 보조레일부와, 상기 이동부에 거치된 고정지지부의 일측으로 기 설정된 이격 위치로 배치되며 분체도료를 도포하는 분사홀이 구비된 도료조사부와, 상기 분사홀로 분체도료를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구비된 도료조사몸체부와,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도료조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모듈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위메시홀이 배치되는 메시부 및 상기 메시부의 각변에 구비되며 고정홈이 형성된 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분체도장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부를 양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메시부 양측 이동프레임에 연결되는 수평메시조절부 및 상기 메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메시부 상하측 이동프레임에 연결되는 수직메시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메시조절부 및 수평메시조절부는 실린더부 및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에 연결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프레임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에 의하면, 피도장물과 도료조사부 사이에 소정 문양이 적용된 스크린을 간단히 설치적용함으로써 피도장물 표면에 문양 형성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삭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을 상부에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을 측부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피도장물이 이동부에 거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에 적용되는 스크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수평메시조절부 및 수직메시조절부를 이용하여 스크린모듈을 확장 및 축소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고정지지부 및 피도장물의 전면에 메시홀 확인보드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7은 메시홀 확인보드 및 램프모듈을 이용하여 스크린모듈의 메시홀 크기를 확인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100)를 이루는 주요 구성을 상부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100)를 이루는 주요 구성을 측부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100)는 메인레일부(102)와, 이동부(110)와, 고정지지부(170)와, 보조레일부(104)와, 도료조사부(130)와, 도료조사몸체부(120)와, 스크린모듈(140)과, 메시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레일부(102)는 상기 이동부(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경로를 형성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의 경로 상에 복수의 이동부(110)를 연결할 수 있는 체인(115)이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110)는 외부로부터 상기 체인(115)을 끄는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메인레일부(102)를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각 이동부(110) 간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110)의 일측으로는 거치부(112)가 상기 메인레인부(102)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112)는 후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지지부(170)를 얹어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고정지지부(170)는 일측으로 사각판상의 피도장물(180)이 삽입 고정되는 사각판상의 홈(177)이 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 상부에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72)에는 거치홀(178)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12)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지지부(170)는 상기 이동부(1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지지부(170)의 하부에는 자석부(17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석부(175)는 자성체, 예컨대 철 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보조레일부(104, 도 1 참조)에 자력에 의하여 끌려지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레일부(104)는 상기 고정지지부(170)의 하측에 상기 메인레일부(102)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메인레일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110)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고정지지부(170)는 상기 자석부(175)에 의해 상기 보조레일부(104) 측으로 당겨지는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고정지지부(170)는 상부는 거치부(112)에 하부는 보조레일부(104)와의 자력에 으하여 흔들림 없이 상기 이동부(110)와 함께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료조사부(130)는 상기 메인레일부(102)에 거치된 고정지지부(170)의 일측으로 기 설정된 이격 위치로 배치되며, 분체도료를 도포하는 복수의 분사홀(13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료조사부(130)의 이면에는 상기 분사홀(133)로 분체도료를 공급하는 공급호스(128)가 구비된 도료조사몸체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료조사몸체부(120)는 별도로 구비되는 분체도료탱크 등에 상기 공급호스(128)가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분체도료탱크로부터 상기 분사홀(133) 측으로 분체도료를 유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도료조사부(130)의 양측에는, 복수의 분사홀(133)로부터 분사되는 분체도료의 비산을 방지하는 차폐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벽은 상기 도료조사부(130)의 양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그 내측에 분사공간(135)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사된 분체도료는 상기 고정지지부(170)에 고정된 피도장물(180)의 표면에 부착되어 도장막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지지부(170)와 상기 도료조사부(130) 사이에는, 상기 분체도료의 도장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스크린모듈(140)이 구비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스크린모듈(140)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단위메시홀이 배치되는 메시부(142)와, 상기 메시부(142)의 각변에 구비되며 고정홈(145)이 형성된 이동프레임(14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시부(142)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이동프레임(143)은 총 4개가 상기 메시부(142)의 각 변에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메시부(142)의 패턴은 상기 분체도료의 도장 패턴을 결정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메시홀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메시부(142)의 패턴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메시부(142)는 삼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 패턴은 물론, 하트/클로버 등 특정한 심미적 패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불규칙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삭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시조절부(150)는 상기 메시부(142)를 양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메시부(142) 양측 이동프레임(143)에 연결되는 한 쌍의 수평메시조절부와, 상기 메시부(14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메시부(142) 상하측 이동프레임(143)에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메시조절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조절부(150)는 액추에이터/유압/공압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선형 이동을 수행하는 실린더부(151) 및 피스톤부(152)와, 상기 피스톤부(152)에 연결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피스톤부(152)의 이동에 따라서 선형으로 함께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프레임(143)의 고정홈(145)에 삽입되는 후크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린모듈(140)의 각 방향에 구비되는 상기 메시조절부(150)는 각 수평메시조절부 및 수직메시조절부의 개별/일괄 제어에 의해 상기 메시부(142)를 양측 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체도장장치의 구성이 개시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실시예의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구비되나, 상기 고정지지부(170) 및 상기 피도장물(180)의 전면에 구비되는 메시홀 확인보드(191)가 더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시홀 확인보드(191)는 사이 사이에 격자홀(198)을 형성하는 격자패턴부(196)와, 상기 격자패턴부(196)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지지부(170)의 둘레에 부착되는 고정부(19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92) 및 상기 고정지지부(170)는 서로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이외의 공지된 다양한 고정 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격자패턴부(196)는 스크린모듈(140)의 메시부(142)의 형태가 올바른 도장 패턴과 맞도록 일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보정도구로서, 설계된 도장 패턴과 정확하게 일치되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한 상기 메시부(142)의 패턴 확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과 같이 상기 메시홀 확인보드(191)를 상기 고정지지부(170)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상기 도료조사부(130)의 분사공간(135)에 대응되는 형태의 발광모듈(210)을 삽입하고, 상기 고정지지부(170)와 상기 도료조사부(130) 사이에 위치된 스크린모듈(140)에 광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시부(142)의 패턴에 대응되는 그림자가 상기 메시홀 확인보드(191) 상에 맺히게 되며, 이후 그림자의 형태를 상기 메시홀 확인보드(191)의 격자패턴부(196) 형태와 대조하고, 일치되지 않을 경우 메시조절부(150)를 정밀 조절하여 상기 메시부(142)의 패턴 형태를 보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절 과정에 의해 상기 메시부(142)의 그림자가 상기 격자패턴부(196)와 일치된 경우에는, 상기 발광모듈(210) 및 상기 메시홀 확인보드(191)를 각각 상기 도료조사부(130) 및 상기 고정지지부(170)로부터 탈거하고, 이후 분사홀(133)을 통해 분체도료를 분사하여 상기 피도장물(180)에 정확한 패턴을 인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모듈(210)은 상기와 같은 보정 작업만을 수행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상기 스크린모듈(140)의 메시부(142)에 도료 잔류물 등이 남아 있는지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패턴부(196)는 야광 재질 또는 밝은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메시부(142)의 그림자 음영 파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체도장장치
102: 메인레일부
104: 보조레일부
110: 이동부
120: 도료조사몸체부
130: 도료조사부
140: 스크린모듈
142: 메시부
150: 메시조절부
170: 고정지지부
180: 피도장물
190: 메시홀 확인보드

Claims (3)

  1. 메인레일부;
    상기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일측으로 거치부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이동부;
    일측으로 사각판상의 피도장물이 삽입 고정되는 사각판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부에 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부에 지지되어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돌출부에 거치홀이 구비된 고정지지부;
    상기 고정지지부 하부에 구비되는 자석부;
    상기 이동부의 거치부에 상기 고정지지부가 거치 시 상기 고정지지부의 하측으로 상기 고정지지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로 상기 메인레일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철재질의 보조레일부;
    상기 이동부에 거치된 고정지지부의 일측으로 기 설정된 이격 위치로 배치되며 분체도료를 도포하는 분사홀이 구비된 도료조사부;
    상기 분사홀로 분체도료를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구비된 도료조사몸체부;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도료조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린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모듈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위메시홀이 배치되는 메시부; 및
    상기 메시부의 각변에 구비되며 고정홈이 형성된 이동프레임;
    을 포함하는 분체도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부를 양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메시부 양측 이동프레임에 연결되는 수평메시조절부; 및
    상기 메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메시부 상하측 이동프레임에 연결되는 수직메시조절부;
    를 포함하는,
    분체도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메시조절부 및 수평메시조절부는,
    실린더부 및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에 연결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피스톤부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프레임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분체도장장치.
KR1020170151539A 2017-11-14 2017-11-14 분체도장장치 KR101867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39A KR101867776B1 (ko) 2017-11-14 2017-11-14 분체도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539A KR101867776B1 (ko) 2017-11-14 2017-11-14 분체도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776B1 true KR101867776B1 (ko) 2018-06-14

Family

ID=6262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539A KR101867776B1 (ko) 2017-11-14 2017-11-14 분체도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5163A (zh) * 2018-12-05 2019-02-22 苏州天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风力塔架涂装用屏蔽工装
KR102553050B1 (ko) * 2023-03-17 2023-07-07 주식회사 우리도어 방화문의 분체 도장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34Y1 (ko) * 2000-09-08 2001-02-15 장정모 무늬형성을 위한 분체도장 장치
JP2009226247A (ja) * 2008-03-19 2009-10-08 Akebono Brake Ind Co Ltd 静電粉体塗装装置
KR20160090200A (ko) * 2015-01-21 2016-07-29 (주)선일기업 분체도장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34Y1 (ko) * 2000-09-08 2001-02-15 장정모 무늬형성을 위한 분체도장 장치
JP2009226247A (ja) * 2008-03-19 2009-10-08 Akebono Brake Ind Co Ltd 静電粉体塗装装置
KR20160090200A (ko) * 2015-01-21 2016-07-29 (주)선일기업 분체도장용 지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5163A (zh) * 2018-12-05 2019-02-22 苏州天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风力塔架涂装用屏蔽工装
CN109365163B (zh) * 2018-12-05 2023-09-19 苏州天顺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风力塔架涂装用屏蔽工装
KR102553050B1 (ko) * 2023-03-17 2023-07-07 주식회사 우리도어 방화문의 분체 도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202B1 (ko) 스크린부가 구비된 분체도장장치
KR101867776B1 (ko) 분체도장장치
KR101484169B1 (ko) 외벽도장장치
CN106801506B (zh) 静电式墙面粉末涂料定向喷涂装置及喷涂方法
CN102619325A (zh) 喷枪控制机构及喷涂装置
US2695592A (en) Automatic spraying machine
CN206425144U (zh) 一种移动式喷漆装置
JP7249623B2 (ja) 鉄骨自動塗装装置、および鉄骨の塗装方法
KR101851386B1 (ko) 도장 로울러 지지부재
CN207667892U (zh) 一种机器人喷涂用喷枪加长支架
CN107876259B (zh) 工件双面喷涂遮挡装置
CN109382245A (zh) 一种矿石加工用纳米涂层装置
CN109201412A (zh) 涂胶设备
JP5628123B2 (ja) ペースト塗布装置およびペースト塗布方法
CN207413726U (zh) 一种led筒灯自动点胶机
JP2000237651A (ja) 建物外壁面の塗装方法及び装置
TW201544189A (zh) 自走式噴漆設備
CN208878938U (zh) 一种可以浮动的玻璃自动涂胶装置
CN210614083U (zh) 一种油箱盖安装辅助工装
CN209753214U (zh) 涂布机
CN105966496A (zh) 车门定位安装结构
CN209393418U (zh) 一种涂料喷涂装置
CN219631861U (zh) 一种彩绘木构件活态固化处理装置
US20160178171A1 (en) Lights on a track with braking feature
CN107584259A (zh) 基站天线端盖的拆卸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