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724B1 -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 - Google Patents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724B1
KR101867724B1 KR1020160173423A KR20160173423A KR101867724B1 KR 101867724 B1 KR101867724 B1 KR 101867724B1 KR 1020160173423 A KR1020160173423 A KR 1020160173423A KR 20160173423 A KR20160173423 A KR 20160173423A KR 101867724 B1 KR101867724 B1 KR 101867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solution
pipe
ring
unit
precipi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철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7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02Test chamb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는 혼합용액이 제공된 저장탱크의 하벽부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관통배관유닛, 상기 관통배관유닛의 하단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링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여 하방으로 상기 혼합용액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링배관유닛 및 상기 링배관유닛의 상반부에 구비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상기 혼합용액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배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Sediment handling apparatus and sprayer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에 관한 것이다.
철강 및 금속 특히 자동차 소재의 부식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산염 처리와 전착도장을 수행하는 복합 부식실험기(CCT: Cyclic Corrosion Tester)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복합 부식실험기는 내부에 장입되는 제조된 혼합용액의 분무와 복합공정의 반복을 통해 일정시간 실험을 진행하게 된다.
실험에서 분무되는 혼합용액은 다수의 약품을 제조하여 사용하는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약품 사이의 반응을 통해 침전물의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발생된 침전물은 저장탱크의 하부에 형성된 공급홀을 통해 전달배관으로 유입되고, 좌우로 분리 설치된 각각의 보조탱크를 거쳐 최종적으로 노즐부재로 유입됨에 따라, 침전물에 의한 노즐부재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침전물이 실험 대상물에 분사되는 경우에는, 실험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혼합용액의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장탱크 내부의 혼합용액의 레벨이 낮아지면서 저장탱크의 하벽부인 바닥에 침전물의 누적이 증가하게 되며, 혼합용액의 저장량이 감소함에 따라 공급홀로 빠져나가는 혼합용액의 유속이 증가하게 되어, 전달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침전물의 양이 증가하여, 노즐부재의 막힘이 심화되고, 더 나아가 보조탱크 및 전달배관까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번호 제10-2000-00777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침전물과 분리된 혼합용액을 전달배관유닛으로 전달하는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는 혼합용액이 제공된 저장탱크의 하벽부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관통배관유닛, 상기 관통배관유닛의 하단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링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여 하방으로 상기 혼합용액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링배관유닛 및 상기 링배관유닛의 상반부에 구비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상기 혼합용액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배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의 상기 링배관유닛은, 상기 관통배관유닛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반부에 상기 전달배관유닛이 결합되는 링파이프부재 및 상기 링파이프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링파이프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원심력이 형성된 상기 혼합용액 내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의 상기 링배관유닛은, 상기 링파이프부재와 상기 배출파이프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유동을 조정하는 공간이 형성된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의 상기 링배관유닛은,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용액에서 침전물을 걸러내는 볼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의 상기 볼필터부재는,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상단부에 핀결합되어 회전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의 상기 링파이프부재는, 상기 전달배관유닛이 결합된 부분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배관유닛이 결합된 부분보다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용액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의 상기 관통배관유닛은, 상기 저장탱크의 하벽부에 관통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링배관유닛이 결합된 관통파이프부재 및 상기 관통파이프부재에 상하 이동하게 삽입되며,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혼합용액을 상기 링배관유닛으로 전달하는 승강배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의 상기 승강배관부재는, 상기 관통파이프부재에 삽입되는 삽입파이프, 상기 삽입파이프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액면 상에 위치하게 제공되는 부력멤버 및 상기 부력멤버에 인접하게 상기 삽입파이프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액중에 위치하게 제공되는 유입관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의 상기 유입관멤버는, 유입판재에 상기 삽입파이프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설비는 혼합용액이 제공되는 저장탱크,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 및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의 전달배관유닛과 연결되며, 침전물이 제거된 상기 혼합용액을 분사하는 노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설비의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혼합용액의 침전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가 결합되는 하벽부에 함몰된 형상의 호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는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용액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침전물이 외부로 제거된 혼합용액은 전달배관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용액을 상기 전달배관유닛에서 전달받은 노즐장치는 막힘 없이 상기 혼합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침전물에 의한 노즐장치의 막힘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 증가와 인력 및 비용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사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와 저장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에서 혼합용액이 저레벨인 경우의 관통배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에서 혼합용액이 고레벨인 경우의 관통배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는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용액을 제공할 수 있고,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용액을 노즐장치(3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노즐장치(300)의 막힘 없이 상기 혼합용액을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되는 대상물에 대한 침전물 분사를 방지하여 분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이 부식 실험을 위한 시편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를 이용함으로써, 부식 실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분사설비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설비는 혼합용액이 제공되는 저장탱크(200), 침전물 처리장치(100) 및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전달배관유닛(130)과 연결되며, 침전물이 제거된 상기 혼합용액을 분사하는 노즐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침전물이 분리된 혼합용액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침전물 처리유닛에서 혼합용액을 전달받은 노즐장치(300)는 침전물에 의한 막힘 없이 혼합용액을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저장탱크(200)는 혼합용액이 저장된 구성으로써, 일례로 부식 실험을 위해서 분사되는 혼합용액의 경우에는 다수의 약품이 혼합되어 상기 저장탱크(200)에 저장되게 된다.
특히, 상기 저장탱크(200)는,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가 결합된 부분에 함몰된 호퍼부(200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200) 내부에 형성된 침전물이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로 유입되는 것을 예비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설비의 상기 저장탱크(200)는, 상기 혼합용액의 침전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가 결합되는 하벽부(200a)에 함몰된 형상의 호퍼부(20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용액에서 형성되는 침전물이 상기 혼합용액 내에서 가라앉는 경우에, 상기 침전물은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로 유입되기보다는 상기 호퍼부(200b)의 낮은 바닥면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로 침전물이 유입되는 것을 예비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관통배관유닛(110)의 상단부의 위치는 상기 저장탱크(200)의 하벽부(200a)보다는 높은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호퍼부(200b)는 상기 하벽부(200a)보다는 낮은 위치에 제공됨으로써, 침전물은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으로 유입되기보다는 상기 호퍼부(200b)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는 상기 저장탱크(200)에서 혼합용액이 전달되면, 침전물은 외부로 제거하고,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용액을 상기 노즐장치(300)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노즐장치(300)는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가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용액을 제공하면, 이를 대상물에 분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대상물이 부식 실험을 위한 시편인 경우에는 상기 혼합용액을 상기 대상물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에 대한 부식 실험을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장치(300)는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100)에서 제공되는 혼합용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보조탱크(3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탱크(320)와 연결된 노즐부재(310)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대상물에 혼합용액을 분사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100)와 저장탱크(200)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100)는 혼합용액이 제공된 저장탱크(200)의 하벽부(200a)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관통배관유닛(110),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의 하단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링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여 하방으로 상기 혼합용액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링배관유닛(120) 및 상기 링배관유닛(120)의 상반부에 구비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상기 혼합용액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배관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배관유닛(120)은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에서 전달된 혼합용액에 원심력을 부여함으로써, 비교적 비중이 큰 침전물을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침전물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은 상기 저장탱크(200)에서 혼합용액을 전달받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링배관유닛(120)으로 혼합용액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은 상기 저장탱크(200)의 하벽부(200a)에 관통되게 구비된다.
특히,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은, 상기 혼합용액의 액면 상에서 부유하는 침전물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1차적으로 침전물을 상기 혼합용액과 분리하게 된다.
즉,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은, 침전물 중에서 상기 혼합용액보다 비중이 작은 침전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링배관유닛(120)은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에서 전달된 혼합용액에서 침전물을 원심력에 의해서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링배관유닛(120)은, 상기 침전물 중에서 상기 혼합용액보다 비중이 큰 침전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링배관유닛(120)은 링파이프부재(121), 배출파이프부재(122), 공간형성부재(123), 볼필터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전달배관유닛(130)은 침전물이 제거된 혼합용액을 상기 링배관유닛(120)에서 전달받아 상기 노즐장치(300) 등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전달배관유닛(130)은 일단부는 상기 링배관유닛(120)의 상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노즐장치(300) 등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상기 링배관유닛(120)은,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반부에 상기 전달배관유닛(130)이 결합되는 링파이프부재(121) 및 상기 링파이프부재(12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링파이프부재(121)를 따라 이동하며 원심력이 형성된 상기 혼합용액 내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링배관유닛(120)은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에서 전달된 혼합용액에서 침전물을 원심력에 의해서 분리하기 위해서, 링파이프부재(121), 배출파이프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링파이프부재(121)는 링(ring) 형상의 파이프로써, 상단부는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에 연통되어 혼합용액을 전달받고,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가 구비되어 침전물을 배출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링파이프부재(121)는 링 형상이므로, 상단부에서 상기 혼합용액이 유입되는 유동이 상기 링파이프부재(121)를 따라 이동하면서 원심력으로 일부 변환되고, 이때 상기 혼합용액보다 비중이 큰 침전물은 상기 혼합용액보다 더 큰 원심력으로 상기 링파이프부재(121)의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로 이동하여 분리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파이프부재(121)에는 차단탭(121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링파이프부재(121)를 따라 이동하던 혼합용액이 다시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상기 링파이프부재(121)는, 상기 전달배관유닛(130)이 결합된 부분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이 결합된 부분보다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용액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탭(12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는 상기 링파이프부재(121)에서 원심력에 의해서 외측으로 밀려나는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는 상기 링파이프부재(121)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링파이프부재(121)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에는 상기 침전물이 쌓인 후에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밸브가 결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100)를 도시한 정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상기 링배관유닛(120)은, 상기 링파이프부재(121)와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유동을 조정하는 공간이 형성된 공간형성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형성부재(123)는 상기 혼합용액의 유동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링파이프부재(121)에서 침전물을 분리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혼합용액이 너무 빠른 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침전물이 상기 혼합용액과의 점성에 의해서 같이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공간형성부재(12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혼합용액의 유속을 낮게 형성하여 상기 침전물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123)는 상기 링파이프부재(121)와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형성부재(123)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볼필터부재(124)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침전물을 걸러내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상기 링배관유닛(120)은, 상기 공간형성부재(123)의 내부에 구비되고,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용액에서 침전물을 걸러내는 볼필터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필터부재(124)가 메쉬망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혼합용액은 상기 메쉬망을 통과하여 상기 전달배관유닛(130)으로 이동하게 되는 반면에, 상기 침전물은 걸러지면서 상기 배출파이프부재(1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볼필터부재(124)가 고정되게 제공되면, 상기 침전물이 유입되는 부분과 대면하는 상기 볼필터부재(124)의 일부분에만 상기 침전물이 끼어서 상기 침전물을 걸러내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볼필터부재(124)는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상기 볼필터부재(124)는, 상기 공간형성부재(123)의 상단부에 핀결합되어 회전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핀결합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혼합용액의 유입되는 힘에 의해서 상기 볼필터부재(124)는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침전물이 걸러지는 부분을 모든 면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100)에서 혼합용액이 저레벨인 경우의 관통배관유닛(11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침전물 처리장치(100)에서 혼합용액이 고레벨인 경우의 관통배관유닛(11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은, 상기 저장탱크(200)의 하벽부(200a)에 관통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링배관유닛(120)이 결합된 관통파이프부재(111) 및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에 상하 이동하게 삽입되며, 상기 저장탱크(200) 내부의 혼합용액을 상기 링배관유닛(120)으로 전달하는 승강배관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관통배관유닛(110)은, 상기 혼합용액의 액면 상에서 부유하는 침전물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1차적으로 침전물을 상기 혼합용액과 분리하기 위해서, 관통파이프부재(111), 승강배관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는 상기 저장탱크(200)에서 혼합용액이 배출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승강배관부재(112)를 매개로 상기 혼합용액을 링배관유닛(12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는 상기 저장탱크(200)의 하벽부(200a)에 관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승강배관부재(112)가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는 상기 저장탱크(200)의 하벽부(200a)에 함몰된 부분인 호퍼부(200b)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해서 상기 저장탱크(200)의 하벽부(200a)에 침전되어 가라앉은 침전물이 유입되는 것을 예비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의 상단부는 상기 호퍼부(200b)의 상단부보다 높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호퍼부(200b)의 하단부로 가라앉은 침전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승강배관부재(112)는 상기 혼합용액의 액면 상에 부유하는 침전물이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승강배관부재(112)는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에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혼합용액이 유동할 수 있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삽입파이프(112a), 부력멤버(112b), 유입관멤버(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상기 승강배관부재(112)는,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에 삽입되는 삽입파이프(112a), 상기 삽입파이프(112a)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액면 상에 위치하게 제공되는 부력멤버(112b) 및 상기 부력멤버(112b)에 인접하게 상기 삽입파이프(112a)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액중에 위치하게 제공되는 유입관멤버(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멤버(112b)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혼합용액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관멤버(112c)는 항상 상기 혼합용액의 액중에 구비되게 됨으로써, 상기 혼합용액의 액면 상에 부유하는 침전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삽입파이프(112a)는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에서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부력멤버(112b)는 상기 혼합용액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용액의 액면 상에 부유하게 제공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레벨이 낮아지는 경우에 상기 삽입파이프(112a)를 상기 관통파이프부재(111) 내부로 하강시키기 위해서, 일정한 중량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부력멤버(112b)는 상기 혼합용액보바 비중은 작으나, 상기 삽입파이프(112a)를 중력에 의해서 아래 방향으로 눌러 내릴 수 있는 중량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관멤버(112c)는 상기 부력멤버(112b)가 상기 혼합용액의 액면 상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삽입파이프(112a)에서 상기 부력멤버(112b)보다 아래 부분에 구비됨으로써, 항상 상기 혼합용액의 액중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멤버(112c)는 상기 혼합용액의 유입을 위해서, 유입판재(112d), 유입홀(112e)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처리장치(100)의 상기 유입관멤버(112c)는, 유입판재(112d)에 상기 삽입파이프(112a)와 연통하는 유입홀(112e)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입홀(112e)이 복수 개 구비됨으로써, 상기 삽입파이프(112a)로 유입되는 혼합용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전 방향으로 상기 혼합용액을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100: 침전물 처리장치 110: 관통배관유닛
111: 관통파이프부재 112: 승강배관부재
120: 링배관유닛 121: 링파이프부재
122: 배출파이프부재 123: 공간형성부재
124: 볼필터부재 130: 전달배관유닛
200: 저장탱크 300: 노즐장치
310: 노즐부재 320: 보조탱크

Claims (11)

  1. 혼합용액이 제공된 저장탱크의 하벽부에 관통되어 제공되는 관통배관유닛;
    상기 관통배관유닛의 하단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링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여 하방으로 상기 혼합용액의 침전물을 배출하는 링배관유닛; 및
    상기 링배관유닛의 상반부에 구비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상기 혼합용액을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배관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링배관유닛은,
    상기 관통배관유닛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반부에 상기 전달배관유닛이 결합되는 링파이프부재;
    상기 링파이프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링파이프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원심력이 형성된 상기 혼합용액 내의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부재;
    상기 링파이프부재와 상기 배출파이프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유동을 조정하는 공간이 형성된 공간형성부재; 및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메쉬망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용액에서 침전물을 걸러내는 볼필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볼필터부재는,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상단부에 핀결합되어, 상기 혼합용액이 상기 공간형성부재로 유입되는 유동에 의해 회전하게 구비되는 침전물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파이프부재는, 상기 전달배관유닛이 결합된 부분보다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배관유닛이 결합된 부분보다는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용액의 유동을 차단하는 차단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물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배관유닛은,
    상기 저장탱크의 하벽부에 관통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링배관유닛이 결합된 관통파이프부재; 및
    상기 관통파이프부재에 상하 이동하게 삽입되며,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혼합용액을 상기 링배관유닛으로 전달하는 승강배관부재;
    를 포함하는 침전물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배관부재는,
    상기 관통파이프부재에 삽입되는 삽입파이프;
    상기 삽입파이프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액면 상에 위치하게 제공되는 부력멤버; 및
    상기 부력멤버에 인접하게 상기 삽입파이프에 구비되며, 상기 혼합용액의 액중에 위치하게 제공되는 유입관멤버;
    를 포함하는 침전물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멤버는, 유입판재에 상기 삽입파이프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물 처리장치.
  10. 혼합용액이 제공되는 저장탱크;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침전물 처리장치; 및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의 전달배관유닛과 연결되며, 침전물이 제거된 상기 혼합용액을 분사하는 노즐장치;
    를 포함하는 분사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혼합용액의 침전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침전물 처리장치가 결합되는 하벽부에 함몰된 형상의 호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설비.
KR1020160173423A 2016-12-19 2016-12-19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 KR101867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23A KR101867724B1 (ko) 2016-12-19 2016-12-19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23A KR101867724B1 (ko) 2016-12-19 2016-12-19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724B1 true KR101867724B1 (ko) 2018-06-14

Family

ID=6262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423A KR101867724B1 (ko) 2016-12-19 2016-12-19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72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786A (ja) * 1997-08-04 1999-04-13 Ahlstrom Mach Inc パルプ供給システムから浮遊異物を除去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05209972A (ja) * 2004-01-26 2005-08-04 Kokusai Denki Engineering:Kk フロート弁付水抜きパイプ
KR20100123159A (ko) * 2009-05-14 2010-11-24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워터젯 분사장치의 필터 유닛
KR20120010287A (ko) * 2010-07-24 2012-02-03 김청균 오염물질처리 복합장치
KR20120139480A (ko) * 2011-06-17 2012-12-27 김청균 J하주름곡관과 주름수직연결관 일체형 트랩 조립체
KR20160020732A (ko) * 2014-08-14 2016-02-24 주식회사 포스코 분사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610294B1 (ko) * 2014-12-12 2016-04-07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786A (ja) * 1997-08-04 1999-04-13 Ahlstrom Mach Inc パルプ供給システムから浮遊異物を除去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05209972A (ja) * 2004-01-26 2005-08-04 Kokusai Denki Engineering:Kk フロート弁付水抜きパイプ
KR20100123159A (ko) * 2009-05-14 2010-11-24 (주)일신오토클레이브 워터젯 분사장치의 필터 유닛
KR20120010287A (ko) * 2010-07-24 2012-02-03 김청균 오염물질처리 복합장치
KR20120139480A (ko) * 2011-06-17 2012-12-27 김청균 J하주름곡관과 주름수직연결관 일체형 트랩 조립체
KR20160020732A (ko) * 2014-08-14 2016-02-24 주식회사 포스코 분사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610294B1 (ko) * 2014-12-12 2016-04-07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0358B1 (en) Multi-purpose water tank
US7341670B2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JPS60255122A (ja) 分離装置
EA015139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гущения и способ сгущения
KR101867724B1 (ko) 침전물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사설비
DE102010020691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ördern und Dosieren von Schüttgut beim Vakuumsaugstrahlen
DE351883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fuehren einer suspension in einem fluessigkeitsgefuellten behaelter
EP1199136B1 (de)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Druckbehälters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Strahls einer Suspension
JP2017502831A (ja) 沈殿池用スラッジ排出装置
CN107823925A (zh) 一种沉淀塔
CN110124572A (zh) 防堵防结垢石灰溶液配置装置、其自动配液供液方法及其除垢方法
US20180236381A1 (en) Ifs and grit box for water clarification systems
EP2498918B1 (de) Verwendung und verfahren zur vermeidung von ablagerungen in beschichtungsanlagen
DE102016202560A1 (de) Schmelzvorrichtung zum dosierten Schmelzen von Paraffin
CN209550179U (zh) 一种油田污水罐沉积油泥处理系统
CN108929716A (zh) 原油脱盐系统及方法
JPS6362508A (ja) 沈砂池における沈砂の移送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42471B1 (ko)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JPS601042B2 (ja) 凝集剤の溶解方法および装置
CN209679960U (zh) 浆液搅拌槽积矿快速液化及清理的装置及搅拌槽
CN204637666U (zh) 一种可清洗式微粉沉降装置
JP2014147933A (ja) 液体分配ヘッダー
CN207899022U (zh) 一种全自动萃取机
CN108693332A (zh) 一种消除泥沙影响的人工模拟降雨径流试验场
CN210331771U (zh) 一种酱油沉淀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