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2471B1 -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2471B1
KR101242471B1 KR1020110100824A KR20110100824A KR101242471B1 KR 101242471 B1 KR101242471 B1 KR 101242471B1 KR 1020110100824 A KR1020110100824 A KR 1020110100824A KR 20110100824 A KR20110100824 A KR 20110100824A KR 101242471 B1 KR101242471 B1 KR 101242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pressure fluid
injector
sediment
injectio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1010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9/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other methods
    • B01D49/003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other metho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여 침전물에 의한 부패 및 그로 인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일측에 삽입공(12)이 형성되는 분사체(10); 상기 분사체(10)로 고압유체를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분사체(10)의 삽입공(12)에 장착되는 연결관(30); 상기 연결관(30)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압유체를 생성하는 고압유체생성기; 및 일단은 상기 고압유체생성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중에 삽입되거나 공중에 노출되어 상기 고압유체생성기의 가동에 따라 상기 고압유체생성기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DEVICE FOR NATURE-FRIENDLY ELIMINATING SEMIDENT OF STREAM}
본 발명은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여 침전물에 의한 부패 및 그로 인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에는 유속이 약한 부분이나 수중보 등의 설치로 인하여 상류로부터 이동된 부유물이 쌓여 침전물을 형성하는 지역이 발생한다. 이러한 침전물을 그대로 두면 침전물의 두께는 조금씩 증가하면서 하천 바닥의 수중 생태계를 파괴하게 된다. 즉, 하천 바닥에서 식물의 서식을 방해함과 아울러, 그러한 식물과 더불어 생활하는 어류와 미생물 등의 서식이 방해받는다.
또한 침전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패하게 되고, 그로 인해 악취가 유발됨과 아울러, 수질을 악화시키고, 그로 인해 수자원의 활용도가 낮아지고 어류의 폐사 등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하천 바닥에 생성되는 침전물에 대한 제거 대책이 요구되지만, 현재까지는 특별한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 바닥에 퇴적된 침전물을 고압유체로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압유체를 분사하여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중과 강제 선회를 통해 보다 넓은 면적에 걸친 침전물의 제거가 가능한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일측에 삽입공이 형성되는 분사체; 상기 분사체로 고압유체를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분사체의 삽입공에 장착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압유체를 생성하는 고압유체생성기; 및 일단은 상기 고압유체생성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중에 삽입되거나 공중에 노출되어 상기 고압유체생성기의 가동에 따라 상기 고압유체생성기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사체는 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압유체생성기는 펌프이며, 상기 공급관은 수중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사체는 내부가 개방되도록 2개의 반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구체의 일단에는 2개의 반구체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2개의 반구체를 상호 결합하는 잠금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사체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을 통해 공급된 고압유체가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해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압유체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부는,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구체로 이루어지고 2개소 이상의 지점이 상기 분사체의 내부에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는 전방체와, 상기 고압유체의 진입방향에 대해 상기 전방체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고압유체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후방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체에는 상기 관통공을 따라 관통된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체 내부에는 토르마린과 황토의 혼합물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체가 침전물로부터 이격되어 고압유체가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체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레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에는, 상기 레그부가 침전물에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끝단에 분압판이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일단은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관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선회관; 및 상기 선회관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선회관의 일단을 회전시켜 상기 선회관에 연결된 연결관이 선회하게 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에 의하면, 하천 바닥에 퇴적된 침전물을 고압유체로 제거할 수 있어 퇴적된 침전물에 의한 부패 및 그로 인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에 의해 부가적으로 하층수와 상층수가 교반되게 하여 하층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침전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고압유체를 분사하여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분사체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중과 강제 선회를 통해 보다 넓은 면적에 걸친 침전물의 제거가 가능하여 침전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분사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사체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분사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분사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사체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는 분사체(10), 연결관(30), 고압유체생성기로서의 펌프(40) 및 공급관(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체(10)는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일측에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30)이 연결된다. 상기 통공(11)은 상기 분사체(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고압유체가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체(10)의 전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체(10)는 공급되는 고압의 유체를 사방으로 분출하면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구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체(10)는 내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2개의 반구체(10a, 1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구체(10a, 10b)는 개방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일단에는 2개의 반구체(10a, 10b)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13)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2개의 반구체(10a, 10b)를 상호 결합하는 잠금부(14)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30)을 통해 공급된 고압유체가 상기 다수의 통공(11)을 통해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압유체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2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공(22)이 형성된 구체로 이루어지고 2개소 이상의 지점이 상기 분사체(10)의 내부에 연결바(23)에 의해 연결되는 전방체(21)와, 상기 고압유체의 진입방향에 대해 상기 전방체(21)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공(22)을 통과한 고압유체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후방체(2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로 공급된 고압유체 중 일부만이 상기 관통공(22)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22)은 상기 연결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22)에서 상기 관통공(22)을 따라 상기 전방체(21)에는 다수개의 유출공(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체(21)의 내부에는 토르마린과 황토의 혼합물(25)이 채워진다.
상기 토르마린은 상기 황토 100중량부에 대해 3~20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되어 미량이라 하더라도 침전물에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음이온을 방출하여 물과 침전물의 정화 및 살균작용의 향상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황토는 상기 토르마린이 미량씩 수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바인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황토 자체로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서 수중 정화에 유리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토르마린과 황토의 혼합물(25)은 상기 전방체(21)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지나가는 고압유체에 의해 상기 유출공(24)으로 미량씩 배출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면에는 상기 토르마린과 황토의 혼합물(25)을 상기 전방체(21)에 채울 수 있고 채운 후에 폐쇄되는 개폐공과 마개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후방체(25)에도 중앙으로 고압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27)이 마련되고, 상기 관통공(22)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상기 통과공(27)은 상기 관통공(22)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방체(25)에도 상기 후방체(25)를 분사체(10)에 고정할 수 있는 연결바(28)가 마련된다.
한편, 연결관(30)은 상기 분사체(10)로 고압유체를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분사체(10)의 삽입공(12)에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관(30)은 고압유체가 분출됨에 따라 상기 분사체(1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펌프(40)는 상기 연결관(30)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압유체를 생성한다. 이러한 펌프가 사용됨은 상기 펌프로 공급되는 유체로 물이 사용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펌프(40)에는 복수개의 연결관(30)이 장착되어 각 연결관(30)에 분사체(1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연결관(30)이 장착되되 상기 연결관(30)이 분기되어 각 분기된 연결관(30)에 분사체(1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잇다.
또한 공급관(50)은 일단이 상기 펌프(40)에 연결되고 타단이 수중에 삽입되어 상기 펌프(40)의 가동에 따라 상기 펌프(40)로 물을 공급한다. 만일 상기 고압유체생성기로 컴프레셔와 같은 공기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기기가 사용된다면, 상기 공급관(50)은 공중에 노출되어 공기의 원활한 유입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하천 바닥에 침전물이 쌓여 있는 지점에 분사체(10)를 투하하도록 상기 분사체(10)의 전방체(21)에는 토르마린과 황토의 혼합물(25)을 채우고, 상기 분사체(10)의 삽입공(12)에는 연결관(30)을 장착한다.
그리고 펌프(40)의 일단에 연결관(30)을 장착하고 타단에 공급관(50)을 장착한 후, 상기 공급관(50)을 수중에 담가 둔다.
이 상태에서 펌프(40)를 가동하면 상기 공급관(50)에서 유입된 유체가 가압되어 상기 연결관(30)을 통해 분사체(10)에 공급된다.
분사체(10)에 공급된 고압유체 중 일부는 구형인 전방체(21)의 외주면에 충돌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해당되는 방향에 형성된 분사체(10)의 통공(11)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고압유체 중 일부는 관통공(22)을 따라 통과하면서 전방체(21)의 내부에 채워진 토르마린과 황토의 혼합물(25)을 빨아들이면서 후방체(25)를 향하여 배출된다.
상기 전방체(21)를 통과한 고압유체는 후방체(25)에 충돌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해당 방향에 형성된 분사체(10)의 통공(11)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고압유체 중 일부는 상기 후방체(25)에 형성된 통과공(27)으로 진입되어 해당 방향에 형성된 통공(11)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공급된 고압유체가 분사체(10)의 사방으로 배출됨으로서 상기 분사체(10)의 배치에 관계없이 분사체(10) 주변의 침전물을 고압유체가 가격하여 침전물을 수중에 부유하게 한다. 또한 침전물을 직접 타격하지 않는 고압유체는 부유된 침전물이 하천의 흐름에 따라 흘러 내려갈 수 있는 추진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하천 바닥의 침전물이 하천의 흐름에 따라 쓸려 내려갈 수 있어 침전물에 의한 부패와 그에 따른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작용에 의해 수중보의 하부에 고이게 되는 하층수가 상층수와 섞이면서 흐르게 하여 하층수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분사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체(10)에 레그부(15)가 더 장착된다.
상기 레그부(15)는 상기 분사체(10)가 침전물로부터 이격되어 고압유체가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체(10)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것으로, 복수개로 구성된다. 이는 분사체(10)의 일부가 침전물에 뭍히게 되면 뭍힌 부분에 대응되는 통공(11)으로는 고압유체의 분출이 제한되어 원활한 침전물의 타격이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만일 레그부(15)가 침전물에 삽입되면 상기와 같은 레그부(15)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므로, 상기 레그부(15)에는, 상기 레그부(15)가 침전물에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끝단에 분압판(16)이 장착된다. 상기 분압판(16)은 곡면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레그부(15)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함으로서 레그부(15)가 침전물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분사체(10)가 일정 반경으로 선회하면서 침전물을 가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은 상기 펌프(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관(3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선회관(60), 및 상기 선회관(60)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선회관(60)이 회전되게 하는 모터(70)가 더 포함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펌프(40)와 모터(70)를 수상에서 지지하는 구성이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선회관(60)은 연결관(30)과 달리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모터(70)에 의해 회전하면서 그 형태가 변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수개의 분사체(10)는 하천 바닥을 긁듯이 이동하면서 고압유체를 분사하여 보다 넓은 면적의 침전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분사체 20 : 조절부
30 : 연결관 40 : 펌프
50 : 공급관 60 : 선회관

Claims (7)

  1. 다수의 통공(11)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있으며, 일측에 삽입공(12)이 형성되는 분사체(10);
    상기 분사체(10)로 고압유체를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분사체(10)의 삽입공(12)에 장착되는 연결관(30);
    상기 연결관(30)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압유체를 생성하는 고압유체생성기; 및
    일단은 상기 고압유체생성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중에 삽입되거나 공중에 노출되어 상기 고압유체생성기의 가동에 따라 상기 고압유체생성기로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관(5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체(10)는 구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압유체생성기는 펌프(40)이고,
    상기 공급관(50)은 수중에 삽입되며,
    상기 분사체(10)는 내부가 개방되도록 2개의 반구체(10a, 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구체(10a, 10b)의 일단에는 2개의 반구체(10a, 10b)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13)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2개의 반구체(10a, 10b)를 상호 결합하는 잠금부(14)가 마련되고,
    상기 분사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30)을 통해 공급된 고압수가 상기 다수의 통공(11)을 통해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압수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20)는, 중앙부가 관통된 관통공(22)이 형성된 구체로 이루어지고 2개소 이상의 지점이 상기 분사체(10)의 내부에 연결바(23)에 의해 연결되는 전방체(21)와,
    상기 고압수의 진입방향에 대해 상기 전방체(21)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관통공(22)을 통과한 고압수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후방체(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체(21)에는 상기 관통공(22)을 따라 관통된 유출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체(21) 내부에는 토르마린과 황토의 혼합물(25)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체(10)가 침전물로부터 이격되어 고압수가 사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체(10)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레그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부(15)에는, 상기 레그부(15)가 침전물에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끝단에 분압판(16)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펌프(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관(3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선회관(60); 및
    상기 선회관(60)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선회관(60)의 일단을 회전시켜 상기 선회관(60)에 연결된 연결관(30)이 선회하게 하는 모터(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KR1020110100824A 2011-10-04 2011-10-04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KR101242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824A KR101242471B1 (ko) 2011-10-04 2011-10-04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824A KR101242471B1 (ko) 2011-10-04 2011-10-04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471B1 true KR101242471B1 (ko) 2013-03-18

Family

ID=4818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824A KR101242471B1 (ko) 2011-10-04 2011-10-04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4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729B1 (ko) * 2015-01-12 2015-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543723B1 (ko) * 2015-01-12 2015-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의 분사부 구조 및 그의 분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831A (ja) * 1996-05-10 1997-11-25 Funaki Shoji Kk 散水装置及び散水装置用部材
JP2004137811A (ja) * 2002-10-18 2004-05-13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ublic Corp 堆砂除去装置
JP2008196263A (ja) 2007-02-15 2008-08-28 Taiyo Kogyo Corp 汚濁防止装置
KR20100133149A (ko) * 2009-06-11 2010-12-21 권상동 오염된 하천 퇴적물의 정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831A (ja) * 1996-05-10 1997-11-25 Funaki Shoji Kk 散水装置及び散水装置用部材
JP2004137811A (ja) * 2002-10-18 2004-05-13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ublic Corp 堆砂除去装置
JP2008196263A (ja) 2007-02-15 2008-08-28 Taiyo Kogyo Corp 汚濁防止装置
KR20100133149A (ko) * 2009-06-11 2010-12-21 권상동 오염된 하천 퇴적물의 정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729B1 (ko) * 2015-01-12 2015-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543723B1 (ko) * 2015-01-12 2015-08-1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수중 퇴적물 정화장치의 분사부 구조 및 그의 분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526B1 (ko) 산소용해기
CA2534156A1 (en) Sediment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ediment from open waterways
KR101242471B1 (ko) 친환경 하천 침전물 제거장치
KR101532276B1 (ko) 보 상류의 녹조 방지 및 슬러지 방출 시스템
KR20140104854A (ko) 산소용해장치
CN210288536U (zh) 一种应用于水利工程中的冲淤装置
AU615910B2 (en) Chemical control of root growth in sewers and the like
KR20090000249U (ko) 심해 부양식 수중 양식장치용 급이장치
US8870445B2 (en) Liquid accelerator and chemical mix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937729B1 (ko) 백화현상 침전물 제거장치
CN110330074B (zh) 一种空化效应的污水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102383492A (zh) 旋流式喷嘴及利用这种喷嘴的污水池成套清淤与提升装置
JP2010265668A (ja) 汚濁防止方法及び汚濁防止装置
KR100679876B1 (ko) 기체용해반응장치
JP2013181371A (ja) 海水浸透取水装置
KR100890361B1 (ko) 저층수를 이용한 적조 피해 방지 장치
TWI34279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US9174711B2 (en) Device and system for manoeuvring cleaning apparatuses
JP4830867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CN109011732A (zh) 一种用于对污水池池底沉积淤泥进行扰动的水力扰动装置
JP2003265063A (ja) 水底耕耘システム
JP2004290863A (ja) 底水域における水質改善方法及び装置
CN110304675B (zh) 一种用于有机污水处理设备的空化射流发生器
CN212787069U (zh) 景观水族箱的流沙瀑布发生装置
CN214257653U (zh) 高密度水产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