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363B1 -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363B1
KR101867363B1 KR1020170052726A KR20170052726A KR101867363B1 KR 101867363 B1 KR101867363 B1 KR 101867363B1 KR 1020170052726 A KR1020170052726 A KR 1020170052726A KR 20170052726 A KR20170052726 A KR 20170052726A KR 101867363 B1 KR101867363 B1 KR 10186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tact lens
contact
vacuum pad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춘
박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로조
Priority to KR102017005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B29D11/0023Transferring contact lenses
    • B29D11/0024Transferring contact lenses using a vacuum suction gri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8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t least two picking-up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하여 180°회전하는 반전 사프트와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구비되어 상기의 반전 사프트 상측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블럭과 콘택트렌즈와 접촉되는 진공 패드와 진공 패드 하우징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의 흡입구와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모듈로 구성되어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 중 복수 개의 콘택트렌즈를 한번에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송하여 고정 중 발생하는 콘택트렌즈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Transfer Device For 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를 진공 이송하되 콘택트렌즈가 이송 중에 진공 패드 위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는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렌즈는 비교적 파손이 쉽게 일어나며 크기가 작고, 가벼운 투명한 재질로서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지 않아 제조 공정 또는 검사를 위하여 이송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일반적으로, 핀셋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콘택트렌즈를 집어서 이동시키는 경우 콘택트렌즈의 찢어짐, 스크래치 등의 파손이 빈번히 발생하며 콘택트렌즈를 일일이 옮겨야 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도 비교적 오래 걸려 공정의 효율 및 신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0909호에는 본 명세서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 형상 제품의 볼록 면을 지지하는 지지 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지지부로부터 제품의 볼록 면을 수용하는 수용 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2지지부 상의 센터링된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로서, 긴 본체, 긴 본체의 하단에 있고 접촉 면이 마련되어 있는 팁 및 본체를 통하여 연장되어 진공 공급원에 연결되고 팁의 접촉 면에 있는 개구에서 종결되는 도관으로 구성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긴 본체를 둘러싸는 슬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와 플런저는 서로에 대해 활주 가능하며, 상기 제 2지지부는 플런저 슬리브의 내경과 대체로 일치하는 외경을 갖는 부분이 있는 것인 이송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콘택트렌즈를 성형 몰드에서 분리하여 이송시킬 때 센터링에 중점을 둔 이송장치로서 일반렌즈, 컬러렌즈, 토릭렌즈 등의 제조 시 공정과 공정 간의 거리와 대기 시간이 비교적 긴 경우 콘택트렌즈를 고정하기 위하여 진공 공급원으로부터 일정한 진공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로 인하여 비교적 연약한 재질의 콘택트렌즈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0909호(2005.08.19)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에서는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 중 복수 개의 콘택트렌즈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공정과 공정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길거나 공정 대기 시간이 많은 경우 콘택트렌즈가 지면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되어 비교적 적은 진공으로도 안정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지지하고 이송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에 있어서, 모터에 의하여 180°회전하는 반전 사프트와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구비되어 상기의 반전 사프트 상측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블럭과 콘택트렌즈와 접촉되는 진공 패드와 진공 패드 하우징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의 흡입구와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모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 일 측에는 반전 사프트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리미트 볼트가 구비되며, 상기의 진공 패드는 연질인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모터에 의하여 180°회전하는 반전 사프트와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가 구비되어 상기의 반전 사프트 상측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블럭과 콘택트렌즈와 접촉되는 진공 패드와 진공 패드 하우징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의 흡입구와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모듈로 구성되는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이송 방법에 있어서, 진공 패드가 하측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가 콘택트렌즈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 1단계와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가 하강하고 진공 패드가 콘택트렌즈를 흡입하여 고정하는 제 2단계와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가 상승하는 제 3단계와 진공 패드가 상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가 180°회전하는 제 4단계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이송 방법은 진공 수단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 제조 공정 중 복수 개의 콘택트렌즈를 한번에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송하여 고정 중 발생하는 콘택트렌즈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정과 공정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길거나 공정 대기 시간이 많은 경우 콘택트렌즈가 지면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되어 비교적 적은 진공으로도 안정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지지하고 이송할 수 있어 공정 중 발생하는 콘택트렌즈의 변형 및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콘택트 렌즈용 이송 및 센터링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의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이송 방법 순서도.
도 2와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의 사시도, 정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에 있어서, 모터에 의하여 180°회전하는 반전 사프트(10);와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21)가 구비되어 상기의 반전 사프트(10) 상측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블럭(20);과 콘택트렌즈(L)와 접촉되는 진공 패드(31)와 진공 패드 하우징(32) 및 스프링(33)으로 구성되되 상기의 흡입구(21)와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20)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모듈(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의 진공 패드(31)는 연질인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20) 일 측에는 반전 사프트(1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리미트 볼트(22)가 구비된다.
또한, 반전 사프트(10) 양단에는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에 결합하는 구조나 키 등의 부품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의 측 단면도로서 도 3의 A-A`단면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의 작동 원리는 하기와 같다.
반전 사프트(10)는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되 회전 리미트 볼트(22)에 의하여 180°이상 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렌즈 흡착 블럭(20)에는 'L'자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측면에는 진공 펌프 등과 같은 진공 공급원이 연결되는 흡입구(21)와 결합하고 상측에는 중공이 형성된 진공 패드 하우징(32)이 결합한다. 또한, 스프링(33)의 하측은 렌즈 흡착 블럭(20)에 고정되고 상측은 진공 패드(31)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콘택트렌즈(L)가 진공 패드(31)와 접촉한 상태에서 진공 펌프와 같은 진공 공급원이 작동하여 흡입구(21)에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콘택트렌즈(L)는 진공 패드(31)에 고정된다. 이때, 진공 패드(31)는 스프링(33)에 의하여 진공 패드 하우징(32)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진공 패드(31)가 콘택트렌즈(L)와 접촉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L)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이송 방법 순서도로서 이를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 방법은 하기와 같다.
모터에 의하여 180°회전하는 반전 사프트(10);와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21)가 구비되어 상기의 반전 사프트(10) 상측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블럭(20);과 콘택트렌즈(L)와 접촉되는 진공 패드(31)와 진공 패드 하우징(32) 및 스프링(33)으로 구성되되 상기의 흡입구(21)와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20)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모듈(30);로 구성되는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를 이용한 콘택트렌즈 이송 방법에 있어서, 진공 패드(31)가 하측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가 콘택트렌즈(L) 상측으로 이동하는 제 1단계(S10);와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가 하강하고 진공 패드(31)가 콘택트렌즈(L)를 흡입하여 고정하는 제 2단계(S20);와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가 상승하는 제 3단계(S30);와 진공 패드(31)가 상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가 180°회전하는 제 4단계(S40);로 구성된다.
이후, 콘택트렌즈(L)가 고정된 상태로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가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고 제 1 내지 4단계가 역순으로 진행되어 진공 패드(31)와 콘택트렌즈(L)가 분리된다.
제 4단계(S40)에서 콘택트렌즈(L)가 상측을 향하게 되면 콘택트렌즈(L)가 하측을 향할 때보다 흡입구(21)에서 잡아당기는 힘이 비교적 적게 소요되며 비교적 공정 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콘택트렌즈(L)를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 및 적용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L. 콘택트렌즈
10. 반전 사프트 20. 렌즈 흡착 블럭
21. 흡입구 22. 회전 리미트 볼트
30. 렌즈 흡착 모듈 31. 진공 패드
32. 진공 패드 하우징 33. 스프링
S10. 제 1단계 S20. 제 3단계
S30. 제 3단계 S40. 제 4단계

Claims (4)

  1.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에 있어서,
    모터에 의하여 180°회전하는 반전 사프트(10);와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21)가 구비되어 상기의 반전 사프트(10) 상측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블럭(20);과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20) 일 측에는 반전 사프트(1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리미트 볼트(22)가 포함되며 상기 흡입구(21)에는 진공 공급원이 결합하게 되고,
    콘택트렌즈(L)와 접촉되는 진공 패드(31)와 진공 패드 하우징(32) 및 스프링(33)으로 구성되고, 상기의 흡입구(21)와 동일한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20)에 결합하는 렌즈 흡착 모듈(30);로 구성되되,
    상기의 렌즈 흡착 블럭(20)에는 'L'자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측면에는 진공 공급원이 연결되는 흡입구(21)와 결합되고 상측에는 중공이 형성된 진공 패드 하우징(32)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52726A 2017-04-25 2017-04-25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 KR10186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26A KR101867363B1 (ko) 2017-04-25 2017-04-25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726A KR101867363B1 (ko) 2017-04-25 2017-04-25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363B1 true KR101867363B1 (ko) 2018-06-15

Family

ID=62628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726A KR101867363B1 (ko) 2017-04-25 2017-04-25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3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507A (ja) * 2001-07-27 2003-02-13 Fuji Photo Optical Co Ltd 成形体の取り出し補助装置および取り出しシステム
KR100510909B1 (ko) 1997-06-19 2005-08-25 바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티드 콘택트 렌즈용의 이송 및 센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00024653A (ko) * 2008-08-26 2010-03-08 (주)네오하나텍 가공렌즈 포지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909B1 (ko) 1997-06-19 2005-08-25 바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티드 콘택트 렌즈용의 이송 및 센터링 장치 및 방법
JP2003039507A (ja) * 2001-07-27 2003-02-13 Fuji Photo Optical Co Ltd 成形体の取り出し補助装置および取り出しシステム
KR20100024653A (ko) * 2008-08-26 2010-03-08 (주)네오하나텍 가공렌즈 포지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3256B (zh) 制造半导体装置的设备和方法
KR100609356B1 (ko) 모바일 폰용 렌즈의 체결 및 조립장치
KR101397750B1 (ko) 칩 이젝터 및 이를 이용한 칩 탈착 방법
CN107098023B (zh) 手机贴标机构
TWI694906B (zh) 產業用機器人
KR101342615B1 (ko) 기판 이송장치
EP1375065B2 (en) Lens processing system with a lens stocking device
KR20010039706A (ko) 반도체 기판 정렬 장치 및 그 방법
CN113102996A (zh) 一种马达组装设备及马达组装方法
KR101867363B1 (ko) 콘택트렌즈 이송 장치
KR100362307B1 (ko) 유리면취장치
JP2009226550A (ja) 揺動機構を有するハンド及びそれを備えた基板搬送装置
JP2016072428A (ja) ウエーハの保持方法
US7108590B2 (en) Draining device and lens processing system having the same
WO2018139244A1 (ja) アライメント装置
CN104516057A (zh) 光纤插芯的调心装置、光纤调心机和光纤调心方法
JP2013006261A (ja) 離型装置
KR101352868B1 (ko) 렌즈 데코 가공용 스핀 지그
JP4024680B2 (ja) 環状製品の搬送に適した搬送装置
CN1963620A (zh) 吸附装置
KR101318212B1 (ko) 글라스 이송 장치
CN114193318A (zh) 一种蓝宝石衬底研磨自动上下料生产线及其控制方法
KR200402963Y1 (ko) 모바일 폰용 렌즈의 체결 및 조립장치
JP2002128269A (ja) 半導体基板搬送用フィンガ
CN216442002U (zh) 一种马达组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