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169B1 - 차이밍 타임피스용 곡조 선택 메커니즘 - Google Patents

차이밍 타임피스용 곡조 선택 메커니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169B1
KR101867169B1 KR1020160109197A KR20160109197A KR101867169B1 KR 101867169 B1 KR101867169 B1 KR 101867169B1 KR 1020160109197 A KR1020160109197 A KR 1020160109197A KR 20160109197 A KR20160109197 A KR 20160109197A KR 101867169 B1 KR101867169 B1 KR 101867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ift
time piece
tune
selection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246A (ko
Inventor
줄리앙 베라
Original Assignee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불랑패인쏘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7002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00Driving mechanis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06Details of striking mechanisms, e.g. hammer, fan governor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08Sounding bodies; Whistles; Musical apparatu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10Releasing or locking the regular stroke, e.g. for silence during the night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1/00Indicating the time by acoustic means
    • G04B21/02Regular striking mechanisms giving the full hour, half hour or quarter hour
    • G04B21/12Reiterating watches or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05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by starting up musical boxes or other musical record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 G10K1/07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mechanically operated; Hand bells; Bells for animals
    • G10K1/072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 G10K1/076Operating or striking mechanisms therefor for timed or repeated oper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6Musical boxes with plucked teeth, blad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차이밍 타임피스 (100) 는, 무브먼트 (30), 및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각각 작동시키는 제어 리프트들 (1) 을 움직이게 설정함으로써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제어 메커니즘 (1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해제 위치와,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수동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움직이게 설정된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해제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이 이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수동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차이밍 타임피스용 곡조 선택 메커니즘{TUNE SELECTION MECHANISM FOR A CHIMING TIMEPIECE}
본 발명은, 차이밍 타임피스 (chiming timepiece) 를 위한 음향 표시 메커니즘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를 작동시킴으로써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를 구동하도록 배치되는, 차이밍 타임피스를 위한 음향 표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음향 표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또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음향 표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뮤직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향 표시를 포함하는 타임피스의 분야뿐만 아니라 뮤직 박스 등의 관련 분야에 관한 것이다.
리피터 스트라이킹 메커니즘은 다수의 부품과 생산 및 조립에 걸리는 주의와 시간 때문에 특별한 피이스이다. 스트라이킹 컴플리케이션은 적어도 18세기 이후로 알려져 있지만, 1763년과 20세기 중반 사이의 단지 제한된 수의 공보의 주제가 되어 왔다. 본 발명의 설명에 너무 많은 부담을 지지 않기 위해 참조할, 컴플리케이션, 특히 대형 스트라이킹 및 리피터 메커니즘의 숙련된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참고서는, Editions horlogeres a Bienne 에 의해 출판된 Francois Lecoultre 가 쓴 논문 "Les montres compliquees" [Complicated watches] 이다. 스위스의 FET (Federation des ecoles techniques) 에 의해 출판된 Messrs. Reymondin, Monnier, Jeanneret, Pelaratti, 에 의한 공동저작물 (collective work) "Theorie d'horlogerie" [Clockmaking Theory] 에 의해 완성된다.
차이밍 시계는 과거에 야간 조명의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그리고 어떤 순간에 시간을 알기 위해 발명되었다.
개선은 예컨대 뮤직 박스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천공 디스크들 또는 실린더들 또는 핀들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의 순서로 시퀀스들을 병치함 (juxtaposing) 으로써 곡조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렇지만, 차이밍 시계는 시각적 디스플레이 시계, 그리고 특히 낮/밤, 오전 또는 오후 (AM/PM) 의 구분, 여러 시간대 (GMT) 사이의 구분, 또는 특정 시케일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시간의 분해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가능성을 아직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MONTRES BREGUET SA 명의의 문헌 EP 2 498 145 A1 에는, 스트라이킹 제어 메커니즘과 협력작동하는 디텐트 래칫의 핀의 작용 하에서 이동가능하고 스프링에 의해 복원된 비크 (beak) 를 갖는 클릭을 지니는 피봇 파이프와 함께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리피터 스트라이킹 어셈블리 단계를 구비하는 차별화된 차임들을 갖는 스트라이킹 메커니즘이 기재되어 있고, 이 단계는 클릭의 비크와 치형부 (toothing) 형성 부분의 레벨에서 협력작동하도록 이 파이프에서 피봇하는 파이프 래칫을 포함하고, 이는 제 1 해머 구동 리프트와 협력작동하는 제 1 시간 래칫에 고정된 파이프 래칫의 피봇 운동을 허용하거나 방지한다. 이 단계는 동일한 축선 주위에서 피봇하며 상기 스트라이킹 메커니즘의 해머 구동 리프트와 협력작동하는 제 2 시간 래칫을 포함한다.
CHRISTOPHE CLARET SA 명의의 문헌 EP 1 770 453 A1 에는, 스트라이킹 디바이스와 끼워 맞춰진 제 1 및 제 2 시간대를 위한 시간 디스플레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기계적 타임피스가 기재되어 있고, 이는 선택에 의해 생성될 제 1 또는 제 2 시간대의 시간에 상응하는 차임을 허용한다. 이 스트라이킹 디바이스는 제 1 및 제 2 시간대의 시간에 대응하는 차임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요소들에 의해 제어되는 단일 스트라이킹 베럴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본 발명은 연주되는 곡조 및/또는 사용되는 공에 따라 특정 사용 환경들 사이의 구별 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음향 표시를 갖는 타임피스, 특히 시계를 더 다용도로 만드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개선은 또한 뮤직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 에 따른 차이밍 타임피스를 위한 음향 표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음향 표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또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음향 표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뮤직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도 1 에 도시되지 않은 공들을 치도록 배치된 해머들을 활성화시키도록 제어 리프트들을 작동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및 음향 표시 메커니즘과 함께 스트라이킹 메커니즘의 일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표시 메커니즘의 개략 평면도이다. 제어 메커니즘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의해 또는 볼트 (도시 안 됨) 에 의해 이동가능한 구동 휠이 여기서 쿼터 아워 부분인 제어부를 구동하고, 그의 치형부는 본 발명의 특정 해제가능한 리프트들과 협력작동하거나 하지 않고, 이 해제가능한 리프트들은 제어 레버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 따라 칼럼 휠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린 호형 (arc-shaped) 작동 로드들의 작용 하에서 각도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도면은 중첩된 2 개의 그러한 로드들을 보여주며, 상측 로드는 해제 위치에서 상측 리프트들을 유지하는 반면, 하측 로드는 리프트들을 휴지 위치로 되게 하며, 이들은 휴지 위치로 스프링들 (도시 안 됨) 에 의해 당겨지며, 각 리프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비크가 차임 또는 곡조를 연주하기 위해 쿼터 아워 부분의 치형부에 그의 회전 동안에 간섭할 수 있다.
도 2 는 쿼터 아워 부분이 제거된 채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도 1 의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도 3 은 도 1 의 둘러싸인 세부의 개략 부분 평면도로서, 2 개의 중첩된 리프트들을 보여주며, 상측 리프트는 해제 위치에 있고, 하측 리프트는 휴지 위치에 있으며, 하측 리프트의 비크는 쿼터 아워 부분의 치형부의 변위의 그립 내에 있다.
도 4 는 대응 리프트에서의 작동 로드의 작용의 개략 평면도이며, 여기서 리프트는 쿼터 아워 부분의 치형부와 간섭하고, 그의 아암들 중의 하나가 도 1 의 하측 리트프들에 대응하며 쿼터 아워 부분의 치형부의 도착 시에 피봇시킬 준비가 된 해머 정지부 상에 놓인 밀린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는 도 1 의 상측 리프트들에 대응하는 로드의 융기 섹션에 의해 리프트가 해제 위치에 유지된 채로 작동 로드의 당겨진 위치에 있는 펜던트를 보여준다.
도 6 은 칼럼 휠에 의한 작동 로드들의 제어의 상세도이다.
도 7 은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을 작동시키는 실렉터, 선택된 곡조용 식별 마크가 표시될 수 있게 하는 개구, 및 미닛 리피트 차임을 시작시키기 위한 볼트에 의해 형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메커니즘이 끼워 맞춰진 차이밍 시계를 보여준다.
도 8 은 동일하게 시계 또는 뮤직 박스일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피스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및/또는 타임피스 무브먼트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는, 타임피스, 특히 비제한적으로 시계 또는 뮤직 박스를 위한 차임 또는 곡조용 선택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용어 "차이밍 메커니즘" 이 곡조를 수행하기 위한 메커니즘 또는 차이밍 메커니즘을 동등하게 나타내기 위해 이하에서 사용될 것이다.
시계의 특별한 경우에, 본 발명은, 특히 타임피스의 중심을 자유롭게 하고 케이스의 주변에 가능한 한 멀리 선택 메커니즘들을 이동시킴으로써, 가능한 최소 공간을 차지하려 노력한다. 이러한 공간 절약은 또한 타임피스가 종래 기술에서보다 더 많은 제어부 (쿼터 아워 부분 (quarter hour parts) 등) 를 구비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고, 또한 더 많은 개수의 해머 및 차임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서로 평행한 상이한 레벨에 대한 안내, 선택, 제어, 작동 및 충격 (percussion) 의 구조에 기초한다. 이러한 평행한 레벨들이 모두 평면인 바람직하고 비제한적인 경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음악 또는 차이밍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차임 및/또는 곡조 선택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동일 출원인의 특허출원 EP 14169217.8 및 CH 0769/14 는 여기에 원용에 의해 포함된다. 이 출원들은 제어부, 특히 쿼터 아워 부분에서의 작용에 의해 차임 또는 곡조를 선택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선택 디바이스의 작용 하에 이러한 스톱들을 해제가능하게 그리고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해머 제어 리프트에서의 작용에 의한 선택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에 관한 것이다. 이 타임피스 (100) 는 공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한다.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그랑드 소네리 또는 프티트 소네리 또는 미닛 리피터 또는 카리용 또는 알람 메커니즘, 또는 심지어 뮤직 박스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타임피스의 경우에 대해 설명되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설명을 뮤직 박스나 다른 유사한 타입의 메커니즘에 맞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설명은 차이밍 메커니즘을 전공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표준 차이밍 제어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resting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 액추에이터 (45) 는 고전적으로 볼트 등일 수 있다.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를 선택하기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누름 용두 (push piece) 등과 같은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된다.
이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의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 리프트 (10)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유리한 구성에서,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그러한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어 있는 리프트 평면들에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제어부 (21) 가 작동되는 때, 상기 휴지 위치에 초기에 위치결정되고 제어부 (21) 의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된다. 제어 레벨은 단일 리프트 평면 또는 여러 상이한 리프트 평면들과 협력 작동할 수 있다.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본 발명은 단일 제어부 (21) 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제어부는 스트라이킹 베럴에 연결된 휠 (28) 에 의해 내측 치형부 (27) 에 의해서 구동되는 쿼터 아워 피이스이다. 동일한 휠 (28) 은 평행한 평면들을 따라 중첩 제어부들의 여러 내측 치형부 장치들 (27) 을 구동할 수 있다. 이 쿼터 아워 피이스 (21) 는 고전적으로 그의 비크로 스네일 (snail) (도면에 도시 안 됨) 과 맞닿게 되고, 통로에 위치된 제어 리프트들 (1) 이 피봇하게 하는 치부 (teeth; 26) 를 구비하는 치형부 (25) 를 포함한다. 도 1 은 이러한 쿼터 아워 피이스 (21) 가,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마찬가지로 감소하는 반경들 (RA, RB, RC, RD) 에 위치된 제어 리프트들 (1) 과 각각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감소하는 반경들 (RDA, RDB, RDC, RDD) 을 갖는 4 개의 치형부구비 섹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고전적 미닛 (minute) 리피터 메커니즘의 경우에 미닛 차이밍 메커니즘들에 대한 통과 시에 또는 쿼터 아워 차이밍 메커니즘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그러한 제어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부 (21) 가, 제어부 (21) 의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동일한 리프트 평면에 위치된 복수의 그러한 제어 리프트들 (1) 전부를 구동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의 경우이다. 도 2 는 모두 해제 위치 (1D) 에 위치된 제어 리프트들 (1) 을 포함하는 상측 리프트 평면, 및 모두 휴지 위치 (1R) 에 위치된 제어 리프트들 (1) 을 포함하는 하측 리프트 평면을 보여주며, 휴지 위치에서 제어 리프트들은 상측 및 하측 리프트 평면들에 공통되는 제어부 (21) 또는 상측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평행한 하측 제어부 (21) 와 협력작동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그러한 제어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부 (21) 는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리프트 평면들에 위치된 복수의 제어 리프트들 (1) 을 구동하도록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상기 해제 또는 휴지 위치들 중의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제어 레벨에 위치된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특정 구성에서,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예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어서, 이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제어 레벨에 위치된 제어부 (21) 와의 상호작용 없이 자유 상태에 있는 때에 임의의 순간에,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모든 제어 리프트들 (1) 이 그들의 해제 위치 또는 그들의 휴지 위치에 있다. 따라서, 무음 (silent) 모드 또는 차이밍 시퀀스나 곡조의 작동이 일어난다.
특정 구성에서,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예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상이한 리프트 평면들에 위치되고 함께 쌍을 이루는 2 개의 제어 리프트들 (1) 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어서, 이 리프트들이 하측 리프트 평면에서 그리고 상측 리프트 평면에서 각각 도면부호 1R 및 1D 로 표시되는 도 2 에서 분명한 것처럼, 이 쌍의 제어 리프트들 (1) 중의 하나는 이 쌍의 제어 리프트들 (1) 중의 다른 하나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는 때에 휴지 위치에 있다. 따라서, 동일한 쌍의 2 개의 리프트들 (1D, 1R) 이 동일한 해머 (2) 의 동일한 정지부 (stop; 3) 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경우, 이 정지부 (3) 가 한 번에 단일 제어 리프트 (1) 에 의해 밀리는 것이 보장된다.
동일한 제어 레벨이 단일 제어부 (21) 에 해당하는 경우에 유리한 변형예에서, 적어도 이 제어 레벨에서 이 제어부 (21) 가 협력작동하는 모든 제어 리프트들 (1) 은,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리프트 평면들 (여기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상측 리프트 평면과 하측 리프트 평면) 에 걸쳐 분포되고, 2 개씩 쌍들을 형성하여서 각 쌍의 제어 리프트들 (1) 중의 하나는 동일한 쌍의 제어 리프트들 (2) 중의 다른 하나가 해제 위치에 있는 때에 휴지 위치에 있다.
물론, 특히 카리용 타입 적용을 위해 기본 곡조들의 상이한 시퀀스들을 조합하고/하거나 중첩시킴으로써 임의의 다른 배치가 획득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구성에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로드 (operating rod; 7) 를 포함하고, 이 작동 로드는 그러한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모든 제어 리프트들 (1) 과 협력작동하도록 작동 로드 (7) 가 배치되는 선택 단계에서 이동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로드 (7) 를 포함하고, 이 작동 로드는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리프트 평면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모든 그러한 제어 리프트들 (1) 과 협력작동하도록 작동 로드 (7) 가 배치되는 선택 상태에서 이동가능하고, 이 제어 리프트들은 모두 상이한 쌍들에 속하고 또한 상이한 제어 단계들과 협력작동할 수 있다.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선택 단계에서 각각 이동가능하고 다른 것들에 평행한 복수의 그러한 작동 로드들 (7) 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 는, 4 개의 리프트 위치들 (A, B, C, D) 에 걸쳐 상측 리프트 평면에서 해제 위치 (1D) 에 제어 리프트들 (1) 을 유지하는 상측 로드 (75), 및 4 개의 리프트 위치들 (A, B, C, D) 에 걸쳐 하측 리프트 평면에서 휴지 위치 (1R) 에 제어 리프트들 (1) 을 유지하는 하측 로드 (76) 를 보여준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그러한 작동 로드 (7, 75, 76) 는, 이 작동 로드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제어 리프트들 (1) 과 동일한 곡선형 간격을 갖는, 융기 영역들 (71) 을 포함하고, 상기 융기 영역들은 이 제어 리프트가 제어 리프트의 피봇 및/또는 병진 운동에 의해 관련된 제어 리프트 (1) 에 대한 작동 로드의 상대 운동 동안에 위치를 변경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도 5 에 분명한 것처럼, 이 대응 제어 리프트 (1) 가 해제 위치에 있는 때에 이를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 대응 제어 리프트 (1) 의 주변 윤곽 (14) 과 각각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다.
도 1 및 도 2 에 대응하는 비제한적인 구성에서, 작동 로드 (7) 는 타임피스 (100) 의 저부 플레이트 또는 브리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러너들 (8) 에서의 안내를 위한 동심 원형 프로파일들 (72) 을 포함한다.
제어 리프트들 (1) 은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저부 플레이트 또는 그러한 브리지에 부착된 가이드 요소들 (도시 안 됨) 에 관하여 안내된다. 도면의 변형예에서 제어 리프트들 (1) 이 피봇하도록 장착되면, 이들은 특히 그루브에서의 병진 운동 등에 의해 다른 운동학을 또한 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에서, 작동 로드 (7) 는 그러한 러너들 (8) 또는 다른 유사한 가이드 요소들에서의 안내를 위한 직선형 평행 프로파일들을 포함한다.
특정 변형예에서,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여러 제어 리프트들 (1) 은 상이한 해머 평면들에 위치된 해머들 (2) 을 작동시키도록 배치되고, 상이한 해머 평면들의 레벨에서 이 해머들 (2) 은 상이한 공들을 치도록 배치된다.
특정 변형예에 있어서, 주어진 리프트 평멘에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이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제어부 (21) 와의 상호작용 없이 자유 상태에 있는 각각의 순간에, 이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 제어 리프트들 (1) 의 몇몇은 그들의 해제 위치에 있고, 동일한 주어진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다른 제어 리프트들 (1) 은 그들의 휴지 위치에 있다. 도 1 및 도 2 는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모든 제어 리프트들 (1) 이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의 일방에 있는 특정 경우를 보여준다.
유리한 변형예에서, 각 제어 리프트 (1) 는 이를 그의 해제 또는 휴지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탄성 복원 요소들과 끼워 맞춰진다.
도면에 도시된 특정 변형예에서, 각 제어 리프트 (1) 는 이를 그의 휴지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탄성 복원 요소들과 끼워 맞춰진다.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 변형예에서, 각 제어 리프트 (1) 는 비크 (11) 에 놓이도록 제어부 (21) 의 이동 중에 이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기 위해 제어부 (21) 의 치형부 (25) 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비크 (11) 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특정 변형예에서, 각 제어 리프트 (1) 는, 그의 주변 (14) 에서 그리고 비크 (11) 로부터 이격되게, 제 1 윙 (12) 및 제 2 윙 (13) 에 의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이 중공 프로파일은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에 속하는 작동 로드 (7, 75, 76) 의 일부를 형성하는 융기 섹션 (71) 과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되고, 이 작동 로드 (7) 는 각각의 그러한 제어 리프트 (1) 의 위치 변화를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도 4 는 하측 제어 리프트 (1) 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윙 (13) 의 정지면 (313) 이 대응 해머 (2) 의 정지부 (3) 에 맞닿아 있는 휴지 위치 (1R) 의 하측 제어 리프트 (1) 를 갖는 밀린 위치의 하측 작동 로드 (76) 를 보여준다.
도 5 는 하측 제어 리프트 (1) 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윙 (12) 과 제 2 링 (13) 이 상측 로드 (75) 의 대응 융기 섹션 (71) 의 측면들 (712, 713) (함께 수형 2면각을 형성함) 의 그리핑에 의해 협력작동하는 암형 2면각을 함께 형성하는 해제 위치 (1D) 의 하측 제어 리프트 (1) 를 갖는 당겨진 위치에 있는 상측 작동 로드 (75) 를 보여준다.
이 2 개의 도면으로부터, 작동 로드들 중 하나가 그의 밀린 위치로부터 그의 당겨진 위치로 되는 때에, 대응 제어 리프트 (1) 가 피봇하여 그의 휴지 위치로부터 그의 해제 위치로 되게 하도록 융기 섹션 (71) 이 제 1 윙 (12) 을 미는 것이 이해된다. 반대 이동이 제어 리프트 (1) 를 해제시키고, 이는 그의 리턴 스프링에 의해, 제 2 윙 (13) 이 해머 (2) 의 정지부 (3) 에 놓이기 위한 대기 휴지 위치로 되는 휴지 위치로 복원된다.
도 3 은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중첩되어 쌍을 이루는 이러한 2 개의 제어 리프트들 (1) 의 상세도이이며, 상측 제어 리프트는 해제 위치 (1D) 에 있고, 하측 제어 리프트는 휴지 위치 (1R) 에 있으며, 하측 제어 리프트의 비크 (11R) 는 제어부 (21) 의 대응 치부 (26) 의 반경 (RDA) 의 그립 내에 있다.
각각의 해머 (2) 는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 리프트 (1) 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정지부 (3) 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이 정지부 (3) 는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단일 정지부이다.
해머 (2) 가 여러 정지부들 (3) 을 지니는 경우, 정지부들은 해머 (2) 를 형성하는 스트라이킹 매스 (striking mass) 의 일측 (위 그리고 아래) 에 분포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해머 (2) 는 여러 개의 그러한 해머 정지부들 (3) 을 포함하고, 이 해머 정지부들은 상이한 제어 리프트들 (1) 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서로 동축 상에 있지 않은, 제어 리프트들 (1) 과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이 스트라이킹 매스의 동일한 측에 여러 정지부들 (3) 을 갖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다른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해머 (2) 는 상이한 리프트 평면들에 위치된 그러한 상이한 제어 리프트들 (1) 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해머 정지부 (3) 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변형예에서, 수동 제어부 (40) 는 가이드 디바이스들 (60) 에 의해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작동시키고, 가이드 디바이스는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이 갖는 선택 단계들과 적어도 동일한 개수의 가이드 단계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그러한 선택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 리프트 (1) 의 위치를 수정하도록 배치된 작동 로드 (7) 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 의 비제한적인 구성에서, 수동 제어부 (40) 는 가이드 디바이스들 (60) 의 일부를 형성하는 다단계 칼럼 휠 (61) 의 래칫 치형부 (62) 를 당기기 위해 후크 (42) 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레버 (4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된 실렉터 (46) 를 포함한다.
이 다단계 칼럼 휠 (61) 은, 각 가이드 단계에서 그의 주변에, 교번하는 중실 (63) 및 중공 (64) 프로파일들을 포함하고, 이를 향해 상측 (65) 또는 하측 (66) 선택 레버의 상측 (67) 또는 하측 (68) 핑거가 탄성 복원 디바이스들에 의해 각각 복원되고, 이 탄성 복원 디바이스는 관절식 조인트 등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상측 (75) 또는 하측 (76) 작동 로드를 대응 선택 단계로부터 관련 가이드 단계로 각각 구동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도시된 구성에서 명백한 것처럼,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적어도 2 개의 선택 단계들을 포함하고, 각 선택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 리프트 (1) 의 위치를 수정하도록 배치된 작동 로드 (7, 75, 76) 를 포함하고, 작동 로드 (7, 75, 76) 는,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 리프트 (1) 가 휴지 위치에 있는 때에, 작동 로드 (7, 75, 76) 와 협력작동하는 그러한 제어 레벨의 제어 리프트들 (1) 을 제어하는 제어부 (21) 와 조합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곡조 시퀀스를 수행하기 위한 또는 관련된 제어 레벨의 모든 제어 리프트들 (1) 이 각각 해제 위치에 있다면 무음 모드로 유지되기 위한 특정 캠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특정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는 이를 그의 휴지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 스프링은 특히 리프트와 단일 피이스를 이루는 탄성 블레이드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모든 리프트들은 그러한 스프링을 구비한다.
도 8 의 특정 구성에서, 타임피스 (100) 는 뮤직 박스이다.
도 7 및 도 8 의 특정 구성에서, 타임피스 (100) 는 시계이다.
본 발명은 곡조 선택을 허용하지만, 단일 공 선택을 또한 허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차임을 수행하기 위한 공 또는 곡조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직접 타임피스 (100) 의 무브먼트 (30) 에 의해 유사한 선택이 또한 가능하다. 예컨대, 무브먼트는 아침 시간 (AM) 을 위한 제 1 차이밍 곡조 및 저녁 시간 (PM) 을 위한 다른 차이밍 곡조를 제어하거나, 또는 연속 이틀에 걸쳐 차임들을 또한 구별하거나, 또는 심지어 제 2 시간 구역을 위한 다른 차임의 작동 전에 제 1 시간 구역을 위한 제 1 차임의 연주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적용은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차임들 및/또는 공들의 특정 조합을 갖는 그러한 음향 지시가 천문학적 또는 표준시간대 시계 등에서 종종 읽기 어려운 시각적 디스플레이보다 사용자에게 더 중요할 수 있다.
구성된 메커니즘들은 콤팩트하다.
본 발명은 단지 견인 모드로 작동하는 부품들만을 포함하고, 좌굴 모드로 작동하는 부품은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이한 기하학적 형태로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기존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을 수정하는 것도 또한 포함하고, 특히 작동 로드들은 타임피스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에 맞게 조정될 수 있고, 이들의 운동학은 리프트들의 제어 기능성의 변화 없이 회전 또는 병진일 수 있다.

Claims (26)

  1. 차이밍 타임피스 (100) 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21) 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상기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와의 상호작용 없이 자유 상태에 있는 임의의 순간에,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전부가 그의 해제 위치 또는 그의 휴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2. 차이밍 타임피스 (100) 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21) 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상기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제어부 (21) 가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동일한 리프트 평면에 위치된 복수의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전부를 구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3. 차이밍 타임피스 (100) 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21) 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상기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 레벨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부 (21) 가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리프트 평면들에 위치된 복수의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을 구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4. 삭제
  5. 차이밍 타임피스 (100) 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21) 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상기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상이한 리프트 평면들에 위치된 2 개의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을 동시에 제어하도록 그리고 쌍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쌍의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중의 하나는, 상기 쌍의 상기 제어 리프트들 (2) 중의 다른 하나가 그의 상기 해제 위치에 있는 때에, 그의 상기 휴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레벨에서, 상기 제어부 (21) 가 협력작동하는 모든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은 상이한 리프트 평면들에 배치되고, 2 개씩 상기 쌍을 형성하여서, 각 쌍의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중의 하나는 동일한 쌍의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중의 다른 하나가 그의 해제 위치에 있는 때에 그의 휴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7. 차이밍 타임피스 (100) 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21) 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상기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로드 (7)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작동 로드 (7) 가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모든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과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되는 선택 단계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로드 (7)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로드는, 상기 작동 로드 (7) 가 적어도 2 개의 인접한 상기 리프트 평면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모든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과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되는 선택 상태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상기 선택 단계에서 각각 이동가능한 그리고 다른 것들에 대해 평행한 복수의 상기 작동 로드들 (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0.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작동 로드 (7) 는 상기 작동 로드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과 동일한 곡선형 간격을 갖는, 융기 영역들 (71) 을 포함하고, 상기 융기 영역들은, 상기 제어 리프트 (1) 의 피봇 및/또는 병진 운동에 의해 융기 영역들의 상대 운동 중에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위치 변경시키기 위해 그리고 대응 제어 리프트 (1) 가 그의 해제 위치에 있는 때에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대응 제어 리프트 (1) 의 주변 윤곽 (14) 과 각각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 (7) 는 상기 타임피스 (100) 의 저부 플레이트 또는 브리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러너들 (8) 에서의 안내를 위한 동심의 원형 프로파일들 (7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 (7) 는 상기 타임피스 (100) 의 저부 플레이트 또는 브리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그러한 러너들 (8) 에서의 안내를 위한 직선형 평행 프로파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3. 차이밍 타임피스 (100) 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21) 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상기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여러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은 상이한 해머 평면들 상에 위치된 해머들 (2) 을 작동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해머들은 상기 해머 평면들 상에 상이한 공들을 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4. 차이밍 타임피스 (100) 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21) 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상기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그의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그의 상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 (21) 와의 상호작용 없이 자유 상태에 있는 각 순간에,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중의 몇몇은 그들의 상기 해제 위치에 있고, 동일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다른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은 그들의 상기 휴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5.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그를 그의 상기 해제 위치 또는 그의 상기 휴지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탄성 복원 요소들과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그를 그의 상기 휴지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탄성 복원 요소들과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7.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비크 (beak; 11) 를 포함하고, 상기 비크는 상기 비크 (11) 에 놓이도록 상기 제어부 (21) 의 운동 중에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 (21) 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8.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그의 주변에 그리고 상기 비크 (11) 로부터 이격되게, 제 1 윙 (12) 및 제 2 윙 (13) 에 의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에 속하는 작동 로드 (7) 의 일부를 형성하는 융기 섹션 (71) 과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작동 로드 (7) 는 각각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의 위치 변화를 제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1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해머 (2) 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정지부 (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해머 (2) 는 여러 해머 정지부들 (3) 을 포함하고, 상기 해머 정지부들은 상이한 제어 리프트들 (1) 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21. 제 1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해머 (2) 는 상이한 리프트 평면들에 위치된 상이한 제어 리프트들 (1) 에 의해 이동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해머 정지부 (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22. 차이밍 타임피스 (100) 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21) 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상기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동 제어부 (40) 는 가이드 디바이스들 (60) 에 의해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작동시키고,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는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이 갖는 선택 단계들과 적어도 동일한 개수의 가이드 단계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선택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의 위치를 수정하도록 배치된 작동 로드 (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제어부 (40) 는 상기 가이드 디바이스들 (60) 의 일부를 형성하는 다단계 칼럼 휠 (61) 의 래칫 치형부 (62) 를 당기기 위해 후크 (42) 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리프트 (41) 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계 칼럼 휠 (61) 은, 각 가이드 단계에서 그의 주변에, 교번하는 중실 (63) 및 중공 (64) 프로파일들을 포함하고, 이를 향해 선택 레버 (65; 66) 의 핑거 (67; 68) 가 탄성 복원 디바이스들에 의해 복원되고, 상기 탄성 복원 디바이스는 관절식 조인트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작동 로드 (75, 76) 를 대응하는 상기 선택 단계로부터 상기 가이드 단계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24. 차이밍 타임피스 (100) 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수동 제어부 (40) 및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를 포함하고,
    공 (gong) 을 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해머 (2) 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를 작동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임 또는 곡조 (tune) 의 수행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메커니즘 (20) 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는, 제어 리프트가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와, 작동되는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에 의해, 또는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서도,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서도 상기 해머 (2) 의 활성화를 위해 제어 리프트가 구동될 수 있는 휴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차임 또는 곡조의 선택을 위한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수동 제어부 (40) 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렉터 (46) 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해제 위치로부터 휴지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향 표시 메커니즘 (10) 은,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이 배치되는 리프트 평면들에 대해 평행하며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어 레벨들을 포함하고, 이 제어 레벨들의 각각에서, 상기 제어 메커니즘 (20) 은 제어부 (2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 (21) 가 상기 타임피스 무브먼트 (30) 에 의해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 (45) 에 의해 작동되는 때에, 상기 제어부 (21) 의 상기 제어 레벨과 동일 평면상의 리프트 평면에 위치되며 상기 휴지 위치에 위치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를 구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주어진 리프트 평면에서, 상기 주어진 리프트 평면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레벨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 각 제어 리프트 (1) 의 통과를 상기 해제 위치 또는 휴지 위치 중의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동시에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곡조 선택 디바이스들 (50) 은 적어도 2 개의 선택 단계들을 포함하고, 각 선택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의 위치를 수정하도록 배치된 작동 로드 (7)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로드 (7) 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리프트 (1) 가 휴지 위치에 있는 때에, 작동 로드 (7) 와 협력작동하는 상기 제어 레벨의 상기 제어 리프트들 (1) 을 제어하는 제어부 (21) 와 조합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곡조 시퀀스를 수행하기 위한 또는 상기 제어 레벨의 모든 제어 리프트들 (1) 이 각각 해제 위치에 있다면 무음 모드로 유지되기 위한 특정 캠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피스 (100) 는 뮤직 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피스 (100) 는 시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이밍 타임피스 (100).
KR1020160109197A 2015-08-31 2016-08-26 차이밍 타임피스용 곡조 선택 메커니즘 KR101867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83110.4 2015-08-31
EP15183110.4A EP3136188B1 (fr) 2015-08-31 2015-08-31 Mecanisme de selection de melodie pour piece d'horlogerie a sonner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246A KR20170026246A (ko) 2017-03-08
KR101867169B1 true KR101867169B1 (ko) 2018-06-12

Family

ID=5401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197A KR101867169B1 (ko) 2015-08-31 2016-08-26 차이밍 타임피스용 곡조 선택 메커니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31482B2 (ko)
EP (1) EP3136188B1 (ko)
JP (1) JP6228642B2 (ko)
KR (1) KR101867169B1 (ko)
CN (1) CN106483822B (ko)
CH (1) CH711475B1 (ko)
RU (1) RU270563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7922A (ja) * 2017-04-18 2020-06-18 パテック フィリップ ソシエテ アノニム ジュネーブ 時計用のブロック装置
EP3435175A1 (fr) * 2017-07-25 2019-01-30 Blancpain SA Sélecteur de mode de sonnerie et de mélodie pour montre ou pièce d'horlogerie
EP3435174B1 (fr) * 2017-07-25 2021-06-16 Blancpain SA Sélecteur de mode de sonnerie pour montre ou pièce d'horlogerie
EP3575886B1 (fr) * 2018-05-28 2021-03-10 Blancpain SA Pièce d'horlogerie avec mécanisme de sonnerie et sécurité de déclenchement
EP3968094A1 (fr) * 2020-09-09 2022-03-16 Omega SA Mécanisme sélecteur d'horlogeri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9590A (ja) * 2011-03-08 2012-10-04 Montres Breguet Sa 異なる打音を発する時打ち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9337A5 (fr) * 1996-09-03 1999-02-26 Patek Philippe Sa Pièce d'horlogerie à carillon.
ES2307111T3 (es) * 2005-03-31 2008-11-16 Zenith International Sa Pieza de relojeria provista de un mecanismo de repeticion de minutos.
ATE530957T1 (de) 2005-09-29 2011-11-15 Christophe Claret S A Uhr mit doppelschlagwerk
EP1933212B1 (fr) * 2006-12-13 2009-03-18 Montres Breguet S.A. Pièce d'horlogerie à sonnerie comportant un levier d'isolement
CH701200B1 (fr) * 2009-06-11 2014-09-15 Richemont Int Sa Mécanisme de sonnerie pour pièce d'horlogerie.
EP2290480B1 (fr) * 2009-08-26 2012-04-25 Montres Breguet SA Pièce d'horlogerie à dispositif de sonnerie munie d'un timbre
CH702424A1 (fr) * 2009-12-24 2011-06-30 Montres Breguet Sa Mécanisme de sonnerie d'une montre.
EP2498149B1 (fr) * 2011-03-08 2015-07-01 Montres Breguet SA Mécanisme limiteur de durée pour mécanisme horloger
CH704590A2 (fr) * 2011-03-08 2012-09-14 Montres Breguet Sa Mécanisme d'isolement entre mécanismes horlogers de déclenchement de différents signaux sonores.
CH704625B1 (fr) * 2011-03-08 2020-11-30 Montres Breguet Sa Mécanisme de sonnerie de réveil par la grande sonnerie.
EP2498143B1 (fr) * 2011-03-08 2018-05-02 Montres Breguet SA Mécanisme d'isolement entre mécanismes horlogers de déclenchement de différents signaux sonores
CH706808B1 (fr) * 2012-08-07 2016-09-30 Michaël Bittel Montre à répétition minutes.
EP3070543A1 (de) * 2015-03-18 2016-09-21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Repetitionsschlagwerk mit integrierter Auslösesper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9590A (ja) * 2011-03-08 2012-10-04 Montres Breguet Sa 異なる打音を発する時打ち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246A (ko) 2017-03-08
EP3136188A1 (fr) 2017-03-01
RU2016135366A3 (ko) 2019-10-11
CH711475B1 (fr) 2019-09-30
EP3136188B1 (fr) 2018-04-18
CN106483822A (zh) 2017-03-08
JP2017049248A (ja) 2017-03-09
US20170060095A1 (en) 2017-03-02
RU2016135366A (ru) 2018-03-02
US10031482B2 (en) 2018-07-24
CH711475A2 (fr) 2017-03-15
CN106483822B (zh) 2019-04-30
RU2705630C2 (ru) 2019-11-11
JP6228642B2 (ja)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169B1 (ko) 차이밍 타임피스용 곡조 선택 메커니즘
US9244433B2 (en) Melody selection mechanism for a striking timepiece
JP5467118B2 (ja) 異なる打音を発する時打ち機構
US20080192585A1 (en) Timepiece Comprising a Minute Repeater Mechanism
JP2008197112A (ja) 伝達切換機構
US8179744B2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one or other of two different indications with the same timepiece indicator member
CN109839811B (zh) 具有单向轮的钟表轮副
US20040264303A1 (en) Watch with fly back hand function and corresponding fly back hand mechanism
JP6740323B2 (ja) 計時器、特に、ストライク機構を備えた計時器、のためのトルクの平滑化
US10261472B2 (en) Striking mechanism
IT9020003A1 (it) Modulo di assegnazione per movimento di orologeria
US8537641B2 (en) Timepiece having a time indicator hand which is movable between two positions
RU2590324C2 (ru) Часы
JP6644124B2 (ja) 張られたチェーンを備えるリピーター機構
JP6691590B2 (ja) 安全機能を備えたクロノグラフ・リピータ機構
JP5552477B2 (ja) ミニッツリピータ付きの時計
US20080310258A1 (en) Clockwork Movement
US11188031B2 (en) Timepiece with striking mechanism and release-prevention device
JP6589019B2 (ja) 時計または計時器のためのストライクモード及びメロディセレ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