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039B1 -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 - Google Patents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039B1
KR101867039B1 KR1020170014900A KR20170014900A KR101867039B1 KR 101867039 B1 KR101867039 B1 KR 101867039B1 KR 1020170014900 A KR1020170014900 A KR 1020170014900A KR 20170014900 A KR20170014900 A KR 20170014900A KR 101867039 B1 KR101867039 B1 KR 10186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edge
pressure
work space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희
유형근
황양호
김태우
김영필
Original Assignee
에이펫(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펫(주) filed Critical 에이펫(주)
Priority to KR1020170014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039B1/ko
Priority to CN201880017077.6A priority patent/CN110662627B/zh
Priority to PCT/KR2018/000736 priority patent/WO2018143581A1/ko
Priority to US16/483,180 priority patent/US2020023077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plat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9/00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 C03B29/02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discontinuous way
    • C03B29/025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05Manufacture of preforms for drawing fibres or filaments starting from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1225Means for changing or stabilising the shape, e.g. diameter, of tubes or rods in general, e.g. collapsing
    • C03B37/01228Removal of preform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9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키는 발열체; 및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발열체를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발열체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상기 발열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연적으로 필링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칩을 생성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면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chamfering apparatus and chamfering method}
본 발명은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 글래스를 포함하는 평판표시패널은 박판유리를 사용하며, 평판표시패널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박판유리를 원하는 형태로 절단하게 되는데, 절단하는 과정에서 박판유리의 모서리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미세 크랙을 제거하는 연마작업을 거친다.
그런데, 박판유리의 모서리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정전기 및 유리가루 등 미세분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미세분진을 차단하기 위한 부대설비가 설치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쇼트로 글래스 화질불량 및 박판유리에 이물질이 붙는 현상으로 인하여 대규모 세정과 건조의 후처리 공정을 해야만 하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박판유리의 모서리에 발열체를 슬라이딩시키고, 그 슬라이딩된 박판유리의 모서리가 칩과 같이 자연적으로 떨어져 나가면서 결국 박판유리의 모서리가 챔퍼링되도록 하는 기술도 개시되었다.
그러나, 비정질고체인 유리의 특정으로 인하여 열전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챔퍼링된 면취량이 불균일하다는 문제와, 칩 생성 과정에서 중간에 끊김 현상이 발생하고 끊긴 부분의 면취면이 움푹 파여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 등으로 인하여,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01) 등록특허공보 제10-1107244호(2012.01.11 등록)
(특허문헌 02) 등록특허공보 제10-1530089호(2015.06.12 등록)
(특허문헌 03)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870호(2013.03.04 공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기판의 모서리에 대한 필링에 의해 자연적인 챔퍼링이 이루어지도록, 유리기판의 모서리를 따라 균일하게 열전도시킬 수 있는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대한 필링과정 중 칩의 끊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챔퍼링 수율 불량을 방지하는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발열체가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로부터 필링된 칩과 들러붙지 않도록 하는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는,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키는 발열체; 및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발열체를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발열체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상기 발열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연적으로 필링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칩을 생성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면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백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상기 백금과 로듐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체는, 상기 로듐 대비 상대적으로 상기 백금의 중량 비율이 높도록 상기 로듐과 상기 백금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기판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대한 면취가 이루어지며 외부와 격리되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업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또는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업공간의 온도 또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가 높으면 기준압력 대비 높은 압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가 낮으면 상기 기준압력 대비 낮은 압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업공간의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조절부는, 불활성가스를 상기 작업공간 내에 주입하거나, 상기 작업공간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체가 접촉하기 전에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는 예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열부는,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상기 작업공간의 내부 온도 이상 및 상기 발열체의 발열 온도 이하로 예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열부가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 또는 예열한 후에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시키거나, 상기 작업공간의 내부 온도를 낮춰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시키거나, 상기 유리기판에 냉매를 분사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작업공간의 내부 온도를 0도 내지 10도로 유지하며, 상기 냉각부는, -10도 내지 0도로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예열부가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에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하고, 상기 예열부가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한 후에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냉매를 분사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방법은,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방법으로서, 발열체를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시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발열체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상기 발열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연적으로 필링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칩의 생성에 연동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면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백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로듐과 상기 백금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칩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기판을 면취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기판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대한 면취가 이루어지며 외부와 격리되는 작업공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가 높으면 기준압력 대비 높은 압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가 낮으면 상기 기준압력 대비 낮은 압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체가 접촉하기 전에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에 냉각부를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시켜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부가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예열부에 의해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전도되는 열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한 후에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냉매를 분사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판유리를 절단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은, 유리기판의 모서리를 따라 균일하게 열전도시킴에 따라 유리기판의 모서리에 대한 필링에 의해 자연적으로 매끄러운 챔퍼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은, 유리기판의 모서리를 따라 균일하게 열전도시킴에 따라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대한 필링 과정 중 칩의 끊김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은,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발열체가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로부터 필링된 칩과 들러붙지 않으므로 발열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면취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면취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면취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면취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발열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면취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에서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면취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발열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의 면취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장치(1)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챔퍼링(chamfering)하는 장치로서, 프레임(10), 발열체(20), 이동부(30), 하우징(40), 예열부(50), 냉각부(60)를 포함한다.
이때 유리기판(2)은, 박판유리를 절단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면취 장치(1)는 박판유리를 절단하여 유리기판(2)을 생성하는 절단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단부는 그라인더 또는 레이저 등일 수 있지만 박판유리를 절단하는 구성이면 충분하고, 절단 방식이나 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유리기판(2)은, 가장자리에 자잘한 흠집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흠집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유리기판(2)이 깨질 우려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를 챔퍼링하여 흠집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면취 장치(1)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를 챔퍼링하는 공정 외에, 절단이나 이송, 세척, 포장 등과 같이 챔퍼링 공정 전후로 추가될 수 있는 공정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취 장치(1)는 유리기판(2)을 처리하는 장치로 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챔퍼링되는 유리기판(2)은, 비결정인 아몰퍼스(amorphous) 구조로서 유리기판(2) 내에서 전도되는 열량의 불규칙성을 가지므로 연속적인 챔퍼링이 어려울 수 있지만, 후술하겠으나 본 발명은 예열 등의 공정 시 균일한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연속적이고 깔끔한 챔퍼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유리기판(2)은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지만, 유리기판(2)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리기판(2)은 유리 외에도 실리콘 웨이퍼 등과 같이 기판 형태를 이루고 절단 공정을 수반하는 모든 제품을 포괄하는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프레임(10)은, 유리기판(2)이 면취될 수 있는 선반(11)을 형성한다. 프레임(10)은 골조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지면에서 고정된 위치에 지지되도록 받침대(12)를 가질 수 있다. 물론 프레임(10)은 선반(11)의 위치 변경을 위해 캐스터(13)(cast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면취 과정에서 캐스터(13)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받침대(12)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면취 장치(1)의 이송이 필요한 경우에만 캐스터(13)가 하강하여 받침대(12)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면서 면취 장치(1)가 용이하게 위치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프레임(10)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임(10)은 유리기판(2)의 면취를 위한 선반(11)을 형성할 수만 있다면, 구조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발열체(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하여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킨다. 발열체(20)는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재질의 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적어도 백금(Pt)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로듐(Rh)과 백금(Pt)이 혼합되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열체(20)는, 로듐 대비 백금의 중량 비율이 높도록 로듐과 백금이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발열체(20)는 로듐 10 내지 40%(일례로 20% 내외)와 백금 60 내지 90%(일례로 80% 내외)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을 위해 종래에는 몰리브덴과 유리가루를 혼합하여 소결시킨 이규화몰리브덴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규화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발열체(20)를 이용하여 챔퍼링을 수행할 경우, 발열체(20)가 슬라이딩할 때 유리기판(2)의 모서리로부터 용융된 일부의 유리 찌꺼기가 발열체(20)에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발열체(20)에 부착된 유리 찌꺼기로 인하여 발열체(20)에 유리가 두껍게 코팅됨에 따라, 발열체(20)로서 열을 전도하는 기능에 문제가 발생하여 면취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열체(20)는, 백금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유리 찌꺼기가 발열체(20)에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열체(20)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대한 연속적이고 정밀한 면취 작업에 매우 적합하다.
발열체(20)는 코일(21)을 포함할 수 있고, 고주파를 이용하는 코일(21)에 의하여 발열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발열체(20)의 발열은 열원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발열체(20)의 발열 온도는 약 1000도 내지 2000도(바람직하게는 1200도 내지 1600도)일 수 있다.
발열체(20)에 발열을 구현하기 위해, 발열체(20)에는 전원부(22)가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22)는 전기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고 코일(21)에 전달하여, 코일(21)을 통해 열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발열체(20)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경사지게 맞닿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발열체(2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를 갖거나,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모래시계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발열체(20)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중 상단 모서리를 챔퍼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발열체(20)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중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를 챔퍼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전자의 경우에도 1회 챔퍼링 후 유리기판(2)을 뒤집어서 2회 챔퍼링하여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중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를 모두 챔퍼링할 수 있다.
발열체(20)가 유리기판(2)에 맞닿는 경사각은 유리기판(2)에 면취되는 각도를 형성할 수 있는데, 발열체(20)는 후술할 이동부(30)에 의하여 이동뿐만 아니라 회전도 가능할 수 있는바, 면취 각도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30)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열체(20)를 슬라이딩시킨다. 이동부(30)는 발열체(20)를 움직이는 구성일 수 있고, 및/또는 유리기판(2)을 움직이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이동부(30)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대해 발열체(20)를 상대운동시켜서, 발열체(2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0)는 LM 가이드, 체인, 갠트리 등의 구조를 사용하여 발열체(20)를 슬라이딩시키면 충분하며, 이동부(30)의 구체적인 구조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일례로 이동부(30)는, 2개의 레일(31) 상에 유리기판(2)을 지지한 상태로 유리기판(2)을 이동시켜서, 선반(11) 상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발열체(2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30)는 모터(32)를 구비하여 모터(32)의 회전이 발열체(20)의 슬라이딩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력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부(30)는 발열체(20)의 슬라이딩을 구현하면서, 발열체(20)가 유리기판(2)에 접촉하는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이동부(30)는 발열체(20)를 회전시켜서 유리기판(2)의 면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30)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대비 발열체(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앞서 도 12의 (B)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발열체(20)는 모래시계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동부(30)는 발열체(2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서 상단 모서리에 닿는 위치가 되도록 한 후, 발열체(20)를 상승시켜 발열체(2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서 하단 모서리에 닿는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발열체(20)의 높이 조절은 발열체(20)를 위아래로 승강시키거나 및/또는 유리기판(2)을 승강시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발열체(20)의 각도 조절은, 유리기판(2)의 각도 조절이 아닌 발열체(20)의 각도만을 조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동부(30)가 발열체(20)를 슬라이딩시키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에는 발열체(20)로부터 열이 침투된다. 이때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는 용융되면서 발열체(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연적으로 필링된다.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자연적으로 필링되면 연속적인 칩(chip)(4)이 생성된다. 이때 칩(4)은 마치 사과껍질이 벗겨지듯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로부터 들떠 떨어져 나올 수 있다.
이때 칩(4)이 떨어지면, 칩(4)이 떨어진 자리에 대응하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는 자연적으로 챔퍼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마 작업이 아니라 용융 작업을 통해 칩(4)을 형성하여 면취를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연속적이고 균일한 면취를 가능케 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유리기판(2)을 내부에 수용하고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대한 면취가 이루어지며 외부와 격리되는 작업공간(45)을 형성한다. 하우징(40)은 프레임(10)의 선반(11) 상측의 공간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외부와 독립적인 작업공간(45)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40)은 선반(11)을 하면으로 하는 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일면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40)에서 상면은 개폐부(41)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개폐 방식은 힌지 회전 방식, 슬라이딩 방식, 및/또는 단순 탈거 방식 등일 수 있다.
하우징(40)은 외부와 격리된 작업공간(45)을 형성하여, 유리기판(2)이 면취되는 환경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40)은 작업공간(45) 내부의 온도 및/또는 압력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등의 조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우징(40)은 작업공간(45)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42) 및/또는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42)는, 코일(21)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40) 내의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온도 조절부(42)는 일례로 냉열을 발산하는 칠러(421)(chiller) 등을 포함하며 작업공간(45)의 내부 온도를 약 0도 내지 10도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온도 조절부(42)는 하우징(40) 내부 온도를 높이는 기능도 구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온도 조절부(42)는 하우징(40) 내부의 온도를 외부의 온도(상온)보다 낮게 유지하여 유리기판(2)에서의 열전도를 균일하게 유지해 면취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압력 조절부(43)는, 유리기판(2)의 면취 과정에서 하우징(40)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유리기판(2) 가장자리 모서리가 용융되면서 벗겨져 칩(4)이 형성될 때, 압력 조절부(43)에 의하여 칩(4)이 벗겨지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압력 조절부(43)는, 유리기판(2)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되도록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력 조절부(43)는, 유리기판(2)의 열팽창계수가 높으면 기준압력 대비 높은 압력으로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조절하고, 반대로 유리기판(2)의 열팽창계수가 낮으면 기준압력 대비 낮은 압력으로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기준압력은 작업공간(45) 외부의 압력일 수 있고 일례로 대기압일 수 있으며, 열팽창계수는 사용자 등에 의하여 압력 조절부(43)에 수동으로 입력되거나, 및/또는 압력 조절부(43)와 연결되는 측정부(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서 자동으로 감지될 수 있다.
유리기판(2)의 열팽창계수가 높으면 발열체(20)에 의해 가장자리 모서리가 용융될 때 칩(4)이 쉽게 들뜰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조절부(43)는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양압으로 하여 칩(4)의 들뜸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유리기판(2)의 열팽창계수가 낮으면 가장자리 모서리가 용융되더라도 칩(4)이 벗겨지는 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조절부(43)는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음압으로 하여 칩(4)이 적절하게 들떠서 벗겨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리기판(2)의 면취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고,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유리기판(2)의 열팽창계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벗겨지는 것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칩(4)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면취 과정에서 흡집이나 돌출부분 등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 조절부(43)는 불활성가스를 작업공간(45) 내에 주입하거나, 작업공간(45)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력 조절부(43)는 불활성가스를 작업공간(45) 내부로 공급하는 가스 주입부(4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공간(45)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덕트(4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 덕트(432)에는 배출 덕트(432)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밸브(도시하지 않음) 또는 댐퍼(433)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압력 조절부(43)가 작업공간(45)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방식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배출 덕트(432)를 이용한 기체 배출 시 작업공간(45) 내부 압력이 외부 압력 이하로 떨어지지 못할 것을 대비하여 압력 조절부(43)는 작업공간(45) 내부 기체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음압 형성부(43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압력 조절부(43)가 상기의 구성들을 통해 작업공간(45)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40)에는 압력 등을 측정하는 센서(4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센서(44)는 작업공간(45) 내에 마련될 수 있고, 압력 외에도 온도도 측정하여 온도 조절부(42)가 작업공간(45)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센서(44)의 위치는 발열체(20)로부터 이격된 지점일 수 있고, 이는 발열체(20)의 발열이 온도나 압력의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열부(50)는, 발열체(20)가 접촉하기 전에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한다. 예열부(50)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작업공간(45)의 내부 온도 이상 및 발열체(20)의 발열 온도 이하로 예열할 수 있다.
예열부(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을 유리기판(2)에 분사하거나 복사열을 유리기판(2)에 공급하는 구성 등일 수 있으며, 발열체(20)와 유사하게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는 현재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리기판(2) 가장자리를 면취하기 위하여 발열체(20)를 통해 전달해야 하는 에너지가 감소될 수 있는바, 발열체(20)의 전원부(22)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력이 절약될 수 있다.
예열부(50)는 유리기판(2) 가장자리에 균일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등속도로 움직일 수 있고, 단위시간당 동일한 양의 열을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예열부(50)를 통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전달되는 열은,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예열부(50)는 유리기판(2) 가장자리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으며, 유리기판(2)에 전달된 열은 후술할 냉각부(60)에 의하여 연직 하방향 또는 비스듬한 하방향으로 방향성을 갖고 이동하게 된다.
유리기판(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결정구조로서 내부에서 전도되는 열량이 불규칙한 특성을 갖는데, 냉각부(60)에 의하여 예열부(50)로부터 유리기판(2)에 전달되는 열이 방향성을 갖게 되면, 유리기판(2) 가장자리에서 열은 균일하게 전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냉각부(60)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냉각부(60)는, 예열부(5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 및/또는 예열한 후에 유리기판(2)을 냉각할 수 있다. 냉각부(60)는 유리기판(2)에 접촉하여 유리기판(2)을 냉각시키거나, 작업공간(45)의 내부 온도를 낮춰 유리기판(2)을 냉각시키거나, 유리기판(2)에 냉매를 분사하여 유리기판(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부(60)는, 앞서 설명한 온도 조절부(42)로 인해 생략될 수 있다. 즉 하우징(40)에 마련되는 온도 조절부(42)가 유리기판(2)의 예열 전후로 유리기판(2)을 냉각하는 냉각부(60)의 역할을 수행할 경우, 냉각부(60)는 생략 가능하다.
다만 온도 조절부(42)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냉각부(60)는 유리기판(2)의 예열 전에 유리기판(2)에 접촉하여 균일한 열전도를 구현할 수 있고, 온도 조절부(42)는 유리기판(2)의 예열 전후로 작업공간(45)의 온도를 낮춰서 유리기판(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부(60)는 온도 조절부(42)와 냉매를 공유할 수도 있다.
냉각부(60)는, 예열부(5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에 유리기판(2)에 접촉하여 유리기판(2)을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61)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61)는 유리기판(2)을 지지하며 유리기판(2)에서 면취되는 부분의 반대편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61)는 상온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온도 조절부(42)에 의해 조절되는 작업공간(45)의 내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일례로 -10도 내지 0도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냉각 플레이트(61)가 갖는 온도와 작업공간(45) 내부의 온도는 약 10 내지 20도의 차이를 유지할 수 있다.
냉각 플레이트(61)의 상면에 유리기판(2)이 안착될 수 있는데, 유리기판(2)의 하면이 냉각 플레이트(61)에 의해 -10도 내지 0도로 냉각된 상태에서 유리기판(2)의 상면에 예열기에 의해 열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리기판(2)의 하부에 놓인 냉각 플레이트(61)는, 예열부(50)로부터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열의 이동을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냉각 플레이트(61)는 예열부(5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할 때 저온 상태 및 유리기판(2)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예열부(50)에 의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전달되는 열은 연직 하방향 또는 비스듬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냉각 플레이트(61)는, 유리기판(2) 내에서의 전도열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열의 전도를 유도하여, 유리기판(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리기판(2)에 전도되는 열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유리기판(2) 가장자리 부근에서 유리기판(2)의 측부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전도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냉각 플레이트(61)에 의한 냉각은, 예열부(5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 및/또는 예열부(5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하는 도중에 이루어질 수 있고, 냉각 플레이트(61)에 의한 냉각을 통해 본 발명은 유리기판(2)의 예열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속적인 칩(4)의 생성을 보장할 수 있다.
냉각부(60)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예열부(5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한 후에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냉매를 분사하여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냉각부(60)에서 예열 전 및 예열 도중에 유리기판(2)을 냉각하는 구성과 달리, 예열 후 유리기판(2)을 냉각하는 구성은 하우징(40)의 온도 조절부(42)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냉각부(60)(및/또는 온도 조절부(42))는, 예열부(5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한 이후 극저온의 액체질소나 액체헬륨 등의 냉매가스를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분사하는 등의 방식으로 유리기판(2)의 냉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냉각부(60)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중 모서리 부분을 따라 유리기판(2)의 내측에 대해 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속도로 움직이면서 단위시간당 동일한 양의 냉매가스를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예열부(5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유리기판(2)의 열전도를 균일하게 조성하였기 때문에, 예열부(50)와 동일한 패턴으로 이동하는 냉각부(60)에 의해 유리기판(2)에 가해지는 냉각 부분도 균일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예열부(50)의 예열이 유리기판(2) 내에서 균일하게 전도되도록 냉각 플레이트(61)에 의해 열 전달이 가이드된 후, 균일한 전도열을 갖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냉각부(60)가 균일하게 냉매가스를 분사함에 따라,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너비가 균일하게 냉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발열체(20)가 유리기판(2)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딩하게 되면, 유리기판(2)이 비결정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발열체(20)가 지나가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는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자연 필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자연적인 필링이 이루어지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로부터 칩(4)이 들떠 떨어져 나오게 되며, 칩(4)이 떨어져 나온 부분은 깔끔하게 챔퍼링이 될 수 있다.
면취라인(3)을 기준으로 볼 때,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를 따라 균일하게 열전도가 이루어져야만 칩(4)이 균일한 두께를 갖게 되는데, 본 발명은 냉각 플레이트(61)의 가이드를 통한 예열 영역의 한정, 예열 영역에서의 냉각에 의한 냉각 라인의 형성, 냉각 영역에서의 발열체(20)에 의한 가열 라인의 형성을 차례대로 구현함에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갖는 연속적인 칩(4)의 필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를 따르는 가상의 라인에 대해 반복적인 열변화가 발생하면, 가상의 라인이 면취라인(3)이 되어 칩(4)이 필링될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가상의 라인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와 나란하게 일직선으로 형성되어야만 칩(4)의 두께가 일정하게 된다는 것이다.
면취라인(3)이 되는 가상의 라인을 나란한 일직선으로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각과 예열을 수행하여, 발열체(20)의 접촉에 의한 용융 이전에 균일한 열전도가 유리기판(2)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끊어짐 없는 칩(4)의 필링 및 고품질의 챔퍼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 방법은, 앞서 설명한 면취 장치(1)를 이용하여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방법으로서, 박판유리를 절단하여 유리기판(2)을 생성하는 단계(S10), 유리기판(2)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되도록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S20), 냉각부(60)를 유리기판(2)에 접촉시켜 유리기판(2)을 냉각하는 단계(S30),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하는 단계(S40),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냉매를 분사하여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냉각하는 단계(S50), 발열체(20)를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시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키는 단계(S60),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열체(20)를 슬라이딩시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발열체(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연적으로 필링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칩(4)을 생성하는 단계(S70), 칩(4)의 생성에 연동하여 유리기판(2)을 면취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단계 S10에서는, 박판유리를 절단하여 유리기판(2)을 생성한다. 박판유리의 절단은 절단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절단은 하우징(40)의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절단 방식은 그라인딩, 레이저 등의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절단된 유리기판(2)은 가장자리에 미세한 흡집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서술되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2)에 형성된 미세한 흡집을 제거하기 위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챔퍼링하게 된다.
절단 외의 하기 단계들은 앞서 설명한 하우징(40)에 의해 형성된 작업공간(45)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와 격리되는 작업공간(45)을 형성하는 하우징(40)에 의하여, 하기 단계들이 수행되는 환경 조건(온도, 압력 등)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단계 S20에서는, 유리기판(2)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되도록 작업공간(45)의 압력을 조절한다. 하우징(40)에 의해 작업공간(45)이 형성되고 작업공간(45) 내부의 압력은 조절될 수 있는데, 압력의 조절은 유리기판(2)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팽창계수에 따라 양압 또는 음압을 구현하는 내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작업공간(45)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작업공간(45)의 온도는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0도 내지 10도로 작업공간(45)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단계 S30에서는, 냉각부(60)를 유리기판(2)에 접촉시켜 유리기판(2)을 냉각한다. 본 단계는 유리기판(2)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에 유리기판(2)을 냉각하는 것으로, 유리기판(2)을 상면에 지지하는 냉각 플레이트(61)에 의해 유리기판(2)이 -10도 내지 0도로 냉각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유리기판(2)이 냉각됨에 따라, 후술하는 단계에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가열할 때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전도되는 열의 깊이가 유리기판(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될 수 있다. 물론 본 단계는, 후술하는 단계 S40와 부분적으로 중복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40에서는, 도 8과 같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예열한다. 예열은 발열체(20)의 접촉 전에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온도를 높이는 것으로, 발열체(20)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예열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속도로 움직이면서 단위시간당 동일한 열을 전달하는 예열부(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는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가열된다.
예열하는 단계에서는 냉각부(60)(냉각 플레이트(61))가 유리기판(2)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예열부(50)에 의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전도되는 열의 깊이가 일정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결정구조인 유리기판(2)에 대해, 가장자리에서의 열전도가 균일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50에서는, 도 9와 같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냉매를 분사하여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냉각한다. 냉매 분사에 의한 냉각은 예열 이후 이루어질 수 있으며, 냉각부(60) 및/또는 온도 조절부(4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예열 단계와 유사하게 냉각부(6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속도로 움직이면서 단위시간당 동일한 냉열을 전달하여 냉각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냉각이 구현된다.
따라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한 가상의 라인을 따라 예열 및 냉각이 구현되며, 이후 가상의 라인이 면취라인(3)을 형성하게 될 때 면취 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
단계 S60에서는, 도 10과 같이 발열체(20)를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시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킨다. 발열체(20)는 백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로듐과 백금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발열체(20)가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되면, 유리기판(2) 가장자리 모서리는 약 1000도 이상의 고온에 의해 용융될 수 있다. 이때 용융은 앞서 언급한 가상의 라인까지 이루어진다.
단계 S70에서는, 도 13과 같이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열체(20)를 슬라이딩시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발열체(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연적으로 필링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칩(4)을 생성한다.
발열체(20) 역시 예열부(50) 및 냉각부(60)와 마찬가지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등속도로 슬라이딩되면서 단위시간당 동일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발열체(20)가 접촉하는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 모서리는, 유리기판(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가상의 라인까지 용융될 수 있는데, 이때 발열체(20)가 슬라이딩되면 가상의 라인까지 용융된 부분이 들떠 벗겨지면서 칩(4)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열체(20) 접촉 전에 냉각과 예열 등을 수행하여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 대해 길이 방향과 나란한 가상의 라인까지 균일한 열전도를 구현해 두고, 발열체(20)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를 가상의 라인까지 용융시키면서 발열체(20)를 슬라이딩시켜서, 가상의 라인이 면취라인(3)에 대응되도록 칩(4)이 벗겨지게 할 수 있다.
이때 가상의 라인까지 균일한 열전도가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발열체(20)를 슬라이딩시키면서 칩(4)이 벗겨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칩(4)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고, 면취되는 부분에 끊김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80에서는, 도 11과 같이 칩(4)의 생성에 연동하여 유리기판(2)을 면취한다. 칩(4)이 사과껍질 벗겨지듯 자연스럽게 필링되면, 칩(4)이 벗겨진 부분은 가상의 라인을 면취라인(3)으로 하는 챔퍼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리기판(2)의 가장자리에는, 불필요한 찌꺼기를 남기는 연마 작업 등과 달리 깔끔한 고품질의 면취가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발열체(20)가 백금 등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유리기판(2)이 용융되더라도 발열체(20)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용융 이전에 냉각, 예열 등의 공정을 수행하여 유리기판(2)에 대해 균일한 열전도를 구현하여 칩(4)이 일정한 두께를 갖고 연속적으로 생성되도록 하여, 면취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면취 장치 2: 유리기판
3: 면취라인 4: 칩
10: 프레임 11: 선반
12: 받침대 13: 캐스터
20: 발열체 21: 코일
22: 전원부 30: 이동부
31: 레일 32: 모터
40: 하우징 41: 개폐부
42: 온도 조절부 421: 칠러
43: 압력 조절부 431: 가스 주입부
432: 배출 덕트 433: 댐퍼
434: 음압 형성부 44: 센서
45: 작업공간 50: 예열부
60: 냉각부 61: 냉각 플레이트

Claims (28)

  1.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키는 발열체;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발열체를 슬라이딩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유리기판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대한 면취가 이루어지며 외부와 격리되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발열체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상기 발열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연적으로 필링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칩을 생성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면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백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로듐과 상기 백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로듐 대비 상대적으로 상기 백금의 중량 비율이 높도록 상기 로듐과 상기 백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업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업공간의 온도 또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가 높으면 기준압력 대비 높은 압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가 낮으면 상기 기준압력 대비 낮은 압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업공간의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부는,
    불활성가스를 상기 작업공간 내에 주입하거나, 상기 작업공간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가 접촉하기 전에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는 예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는,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상기 작업공간의 내부 온도 이상 및 상기 발열체의 발열 온도 이하로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부가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 또는 예열한 후에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시키거나, 상기 작업공간의 내부 온도를 낮춰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시키거나, 상기 유리기판에 냉매를 분사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작업공간의 내부 온도를 0도 내지 10도로 유지하며,
    상기 냉각부는, -10도 내지 0도로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예열부가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에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하고, 상기 예열부가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한 후에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냉매를 분사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장치.
  18.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면취하는 방법으로서,
    발열체를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시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발열체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 모서리가 상기 발열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자연적으로 필링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칩의 생성에 연동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면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열을 침투시키는 단계, 상기 칩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리기판을 면취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기판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대한 면취가 이루어지며 외부와 격리되는 작업공간 내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백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적어도 로듐과 상기 백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가 높으면 기준압력 대비 높은 압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유리기판의 열팽창계수가 낮으면 상기 기준압력 대비 낮은 압력으로 상기 작업공간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가 접촉하기 전에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기 전에 냉각부를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시켜 상기 유리기판을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부가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예열부에 의해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전도되는 열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예열한 후에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에 냉매를 분사하여 상기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방법.
  28. 제 18 항에 있어서,
    박판유리를 절단하여 상기 유리기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 방법.
KR1020170014900A 2017-02-02 2017-02-02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 KR10186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00A KR101867039B1 (ko) 2017-02-02 2017-02-02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
CN201880017077.6A CN110662627B (zh) 2017-02-02 2018-01-16 倒角装置和倒角方法
PCT/KR2018/000736 WO2018143581A1 (ko) 2017-02-02 2018-01-16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
US16/483,180 US20200230774A1 (en) 2017-02-02 2018-01-16 Chamfering device and chamfe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00A KR101867039B1 (ko) 2017-02-02 2017-02-02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039B1 true KR101867039B1 (ko) 2018-06-14

Family

ID=6262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900A KR101867039B1 (ko) 2017-02-02 2017-02-02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230774A1 (ko)
KR (1) KR101867039B1 (ko)
CN (1) CN110662627B (ko)
WO (1) WO2018143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220A (ko) * 2020-12-17 2022-06-2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기판 히트 챔퍼링 방법 및 장치
KR20220136764A (ko) * 2021-04-01 2022-10-1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히트 챔퍼링 장치 및 방법
KR20220142165A (ko) * 2021-04-14 2022-10-2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히트 챔퍼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244B1 (ko) 2008-08-06 2012-01-30 (주)한 송 백텐션을 적용한 면취 장치 및 방법
JP2013020870A (ja) 2011-07-13 2013-01-31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用パッキ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キー
KR20150019150A (ko) * 2013-08-12 2015-02-25 유형근 글래스 멜팅 면취 방법
KR20150133068A (ko) * 2014-05-19 2015-11-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절단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20160045419A (ko) * 2014-10-17 2016-04-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리의 면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2183A (ja) * 2009-03-24 2010-10-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ガラス材の表面加工方法
KR101049199B1 (ko) * 2009-07-20 2011-07-14 한국과학기술원 유리기판 라운딩 장치 및 그 유리기판 라운딩 장치를 이용한 라운딩방법
KR102204539B1 (ko) * 2014-05-19 2021-01-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절단부 가공장치
KR101741116B1 (ko) * 2015-07-13 2017-05-30 주식회사 메카로 유리기판 테두리 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244B1 (ko) 2008-08-06 2012-01-30 (주)한 송 백텐션을 적용한 면취 장치 및 방법
JP2013020870A (ja) 2011-07-13 2013-01-31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用パッキ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キー
KR20150019150A (ko) * 2013-08-12 2015-02-25 유형근 글래스 멜팅 면취 방법
KR101530089B1 (ko) 2013-08-12 2015-06-18 유형근 글래스 멜팅 면취 방법
KR20150133068A (ko) * 2014-05-19 2015-11-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리기판의 절단부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20160045419A (ko) * 2014-10-17 2016-04-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리의 면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62627A (zh) 2020-01-07
WO2018143581A1 (ko) 2018-08-09
US20200230774A1 (en) 2020-07-23
CN110662627B (zh)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039B1 (ko) 면취 장치 및 면취 방법
KR100398918B1 (ko) 연마방법 및 연마장치
JP6560172B2 (ja) 連続的なサファイア成長
JP2006312310A (ja) レーザ焼結システムに使用するための取外し可能な構築チャンバのための温度管理システム
JP5193294B2 (ja) レーザ加工装置およびレーザ加工方法
CN101231941A (zh) 热处理腔中的晶圆支架的温度测量和控制
US201500133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dge of glass plate
JP2011236506A (ja) クリーニング方法
JPWO2009008421A1 (ja) 加熱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被加熱材の加熱方法
WO2016174859A1 (ja) サセプタ及びエピタキシャル成長装置
CN104952778B (zh) 一种等离子体处理装置及静电卡盘与静电卡盘的制作方法
JP2020009839A (ja) 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及びプラズマエッチング装置
KR101587482B1 (ko) 화학 기계적 연마 장치 및 방법
JP5141155B2 (ja) 成膜装置
JPH11111829A (ja) 静電吸着ホットプレート、真空処理装置、及び真空処理方法
KR101739002B1 (ko) 글래스 가장자리 필링 면취 방법
JPWO2010035510A1 (ja) シリコンウェーハ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30089B1 (ko) 글래스 멜팅 면취 방법
US200401686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ort-term thermal-treatment of flat objects
JP6215426B1 (ja) 加熱装置及び板状部材の製造方法
JP2006196696A (ja) ヒータユニット及びヒータユニットにおける加熱方法
KR101834146B1 (ko) 글라스 밀링 방법
KR101494543B1 (ko) 전기솥
CN217904676U (zh) 一种恒温加热装置
CN209574429U (zh) 一种盒装牛奶自动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