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711B1 -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711B1
KR101866711B1 KR1020180010989A KR20180010989A KR101866711B1 KR 101866711 B1 KR101866711 B1 KR 101866711B1 KR 1020180010989 A KR1020180010989 A KR 1020180010989A KR 20180010989 A KR20180010989 A KR 20180010989A KR 101866711 B1 KR101866711 B1 KR 10186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hase
stepping motor
push ro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딜리
Priority to KR102018001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 Jet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1 푸시로드(121-1);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12 푸시로드(121-2); 상기 제11 푸시로드(12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상기 제12 푸시로드(12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 상기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및 상기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는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 컨트롤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Digital Printer Head Control Apparatus and Digital Printer}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터에서 헤드(Head)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린터 헤드부의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헤드의 각도를 정렬할 수 있으며 인쇄물에서 캡쳐된 영상을 바탕으로 비교처리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쇄물의 헤드(Head)의 각도의 이상(異常)여부를 판단하며, 자동으로 헤드(Head)가 정렬되어 정상으로 인쇄될 수 있도록 헤드를 정렬하는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와 같이 복수의 헤드를 베이스플레이트에 정렬하여 배치하여 하나의 헤드부를 이루는 프린터의 경우에는, 정밀한 출력을 위하여 각 헤드(Head)의 미세조정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각 헤드의 미세조정을 위해 헤드를 움직이는 미세조절나사를 이용하여, 수평면 상에서 2축의 방향으로 각각 헤드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전체적으로 케이싱으로 폐쇄된 형태의 헤드부를 분해하여 헤드를 미세조절하고 다시 재조립해야 하는 방법을 사용하기에 헤드(Head)의 미세조정을 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작업과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헤드(Head)부를 한번 미세조정하여 위치를 세팅시켜 놓아도, 반복적인 프린터의 진동 및 외부 충격과 같은 영향으로 인하여 미세조정 작업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은 미세조정 작업을 위하여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헤드부의 분해조립이 가능한 숙련자만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이라는 한계가 있다.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1231호, 공고일 2008. 03. 07.(이하 [특허문헌1]이라함)에서는 잉크젯 프린팅 장비의 헤드 정렬 장치를 공개 하고 있으며, 결합브래킷이 지지벽의 내측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헤드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 헤드 정렬 장치는 수동으로 헤드 정렬을 진행해야 하며 미세조정작업을 위하여 장시간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8162호, 공고일 2008. 07. 23.(이하 [특허문헌2]이라함)에서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및 헤드위치 조절방법을 공개 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2]에는 헤드위치 조절방법에 있어서, 헤드 위치 검출 단계와 헤드 목표위치 비교 단계가 있고 보정 단계가 있으나 헤드위치 조절은 미세 조절기를 사용하여 헤드를 평면상의 X, Y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공개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8465호, 공고일 2007. 05. 16.(이하 [특허문헌3]이라함)에서는 잉크젯 장비의 헤드정렬장치를 공개 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3]에는 잉크젯 장비의 헤드정렬을 위해 화상판독카메라를 마더글라스의 상단에 위치하며 헤드정렬글라스를 구비한 잉크헤드를 장착함으로써 헤드정렬을 수행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나, 다수의 헤드가 장착되어 헤드정렬을 위해 헤드별로 촬영 후 미세조정을 할 경우 미세조정작업을 위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1], [특허문헌2] 및 [특허문헌3]에서는 인쇄물의 이상여부 검출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으며 헤드정렬시 수동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1231호, 공고일 2008. 03. 07. [특허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8162호, 공고일 2008. 07. 23. [특허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8465호, 공고일 2007. 05. 16.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헤드 정렬 장치에서 헤드를 정렬하는 방식과 차별화되며, 프린터 헤드부의 외부에서 편리하게 헤드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으며 인쇄물의 영상 캡쳐를 통해 비교처리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쇄물에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헤드가 정렬되어 정상으로 인쇄될 수 있도록 헤드를 정렬하는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헤드 정렬 장치의 경우 전체적으로 케이싱으로 폐쇄된 형태의 헤드부를 분해하여 헤드를 미세조절하고 다시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헤드부를 한번 미세조정하여 위치를 세팅시켜 놓아도 반복적인 진동 및 외부 충격과 같은 외부 영향에 의해 미세조정 작업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은 미세조정 작업을 위하여 장시간 소요될 뿐만 아니라, 헤드부의 분해조립이 가능한 숙련자만이 수행할 수 있다는 문제점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향상된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헤드 컨트롤 장치는 종이공급부와 종이출력부 사이에 코로나 처리부, 웹가이드 및 장력제어부, 인쇄부와 영상캡쳐부, 비교판단부, 헤드정렬부, 모터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헤드 컨트롤 장치는 인쇄물의 이상여부를 판단 할 수 있도록 영상캡쳐부와 비교판단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부에서 인쇄된 인쇄물의 영상을 캡쳐하는 영상캡쳐부, 캡쳐된 영상을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는 비교처리부 상기 비교처리부에서 인쇄물의 이상(異常)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헤드의 정렬을 위해 헤드정렬부에서 모터 제어부를 통하여 모터를 제어해서 헤드를 제위치에 정렬 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첫째, 숙련자가 아니어도 헤드의 미세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둘째, 영상캡쳐를 통한 인쇄상태를 확인하여 비교처리부를 통해 이상(異常)여부를 판단하고 헤드정렬부에서 모터를 통해 자동으로 헤드의 미세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셋째, 헤드의 미세조정 작업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넷째, 헤드 미세조정으로 인한 출력작업의 지연도 억제할 수 있으며 항상 헤드부의 헤드를 제 위치로 바로 잡을 수 있어서 출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헤드 컨트롤 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양면 또는 단면 선택형 디지털 인쇄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단면 디지털 인쇄장치의 구성도
도 4는 인쇄부의 구성도
도 5는 2개 헤드 베이스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실시예 1)
도 6은 3개 헤드 베이스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실시예 2)
도 7은 4개 헤드 베이스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실시예 3)
도 8은 확장형 헤드 베이스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실시예 4)
도 9는 3개 헤드 베이스 및 마이크로미터 배치도(실시예 1)
도 10은 4개 헤드 베이스 및 마이크로미터 배치도(실시예 2)
도 11은 확장형 헤드 베이스 및 확장형 마이크로미터 배치도(실시예 3)
도 12는 푸시 타입(Type) 헤드 조절 장치
도 13은 스테핑 모터 푸시 타입(Type) 헤드 조절 장치
도 14는 스테핑 모터 헤드 조절 장치
도 15는 2개 헤드 베이스 스테핑 모터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3개 헤드 베이스 및 스테핑 모터 배치도(실시예 1)
도 17은 4개 헤드 베이스 및 스테핑 모터 배치도(실시예 2)
도 18은 확장형 헤드 베이스 및 스테핑 모터 배치도(실시예 3)
도 19는 스테핑 모터 제어회로
도 20은 헤드 분리구동 장치 및 스테핑 모터 헤드 컨트롤 장치
도 21은 헤드 컨트롤 장치 구동 전과 구동 후 시스템 구성도
도 22는 기존의 바이폴라 구동 방식의 스테핑 모터
도 23은 기존의 유니폴라 구동 회로
도 24는 기존의 바이폴라 구동 회로
도 25는 기존의 2상 여자방식에 의한 회전자의 이동
도 26은 제안된 정밀제어를 위한 스테핑 모터의 구조도
도 27은 제안된 펜타곤 결선 방식의 구동 회로1
도 28은 제안된 펜타곤 결선 방식의 구동 회로2
도 29는 제안된 5상 스테핑 모터의 여자 시퀀스
도 30은 제안된 4상여자 방식 스위칭 시퀀스
도 31은 제안된 여자 방식에 따른 전류 흐름도
도 32는 제안된 일반스텝을 위한 펜타곤결선 모터 제어선에서의 전류형태
도 33은 제작된 모터 타입(Type) 헤드정렬 장치
도 34는 스테핑 모터 헤드정렬 장치
도 35는 헤드 캐리지 마운트 기판과 헤드의 결합도
도 36은 제작된 헤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헤드 컨트롤 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제안된 헤드 컨트롤 장치의 전체 시스템에서 인쇄될 인쇄물은 다음의 경로로 통과하게 된다.
종이 공급부(10)-> 코로나 처리부(20) -> 제1 웹 가이드 및 장력제어부(30) -> 인쇄부(40) -> 영상캡쳐부(50) -> 비교처리부(80) -> 헤드 정렬부(90) -> 모터 제어부(160) -> 제2 웹 가이드 및 장력제어부(60) -> 종이 출력부(70)
또한, 영상캡쳐부(50)에서 인쇄된 인쇄물을 영상으로 캡쳐 후 비교처리부(80)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헤드 정렬부(90)를 통해 모터 제어부(160)에서 헤드를 컨트롤 하여 헤드를 제위치로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인쇄물이 정상적으로 인쇄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양면 또는 단면 선택형 디지털 인쇄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는 양면 또는 단면 전환(轉換)인쇄장치에서 일반인쇄부(40)와 전환(轉換)인쇄부(41)의 크게 2가지 인쇄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일반인쇄부(40)는 일쇄 할 종이(100)의 제1 면을 인쇄하며,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는 인쇄할 종이(100)의 제2 면을 인쇄하게 된다.
종이 공급 메인롤(11)에서 인쇄할 종이(100)가 공급되며, 그 이후에 제1 코로나 처리기(21)를 배치하여서 상기 인쇄할 종이(100)의 제1 면에 코로나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 코라나 처리기(21)를 통하여 상기 인쇄할 종이의 제1 면에 더욱 잉크가 잘 인쇄되도록 하며 이후에 상기 인쇄할 종이는 제1 웹 가이드(Web Guide)기(31)에 입력된다. 상기 제1 웹 가이드(Web Guide)기(31)는 상기 일반인쇄부(40)에 공급되는 종이(100)가 똑바르게 공급되도록 종이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인쇄할 종이(100)의 제1 면은 상기 제1 웹 가이드(Web Guide)기(31)를 통과한 이후에 상기 일반인쇄부(40)에서 인쇄되며, 제1 영상캡쳐부(50)를 통하여 영상캡쳐가 되고 제1 비교처리부(80)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상(正常)일 경우 인쇄가 계속 진행되고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제1 헤드정렬부(90)에서 헤드를 정렬 후 다시 인쇄하게 된다.
상기 일반인쇄부(40)를 통하여 상기 인쇄할 종이(100)의 제1 면이 인쇄된 이후에 종이(100)의 제2면은 제2 코로나 처리기(91)를 통하여 상기 인쇄할 종이(100)의 제2 면에 더욱 잉크가 잘 인쇄되도록 하며 이후에 인쇄할 종이(100)는 제2 웹가이드(Web Guide)기(51)를 통하여 전환 인쇄부(41)에 공급되는 종이가 똑바르게 공급되도록 종이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인쇄할 종이(100)의 제2 면은 상기 제2 웹 가이드(Web Guide)기(51)를 통과한 이후에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에서 인쇄되며, 제2 영상캡쳐부(50-1)를 통하여 영상캡쳐가 되고 제2 비교처리부(80-1)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상(正常)일 경우 인쇄가 계속 진행되고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제2 헤드정렬부(90-1)에서 헤드를 정렬 후 인쇄가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 이후 상기 인쇄할 종이(100)는 제3 웹 가이드(Web Guide)기(61)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종이 출력 메인롤(73)에 일정하게 감기도록 종이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헤드 컨트롤 장치는 인쇄물을 영상을 캡쳐하고 비교처리하여 이상(異常)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헤드정렬부를 통하여 헤드가 정렬되도록 헤드컨트롤 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단면 디지털 인쇄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에서는 일반인쇄부(40)에서 인쇄할 종이(100)의 제1 면은 인쇄하며, 제1 영상캡쳐부(50)를 통하여 영상캡쳐가 되고 제1 비교처리부(80)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상(正常)일 경우 인쇄가 계속 진행되고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제1 헤드정렬부(90)에서 헤드를 정렬 후 인쇄하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인쇄부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일반인쇄부(40)는 잉크를 분사하는 복수의 인쇄헤드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헤드작동부는 인쇄작업을 잘 수행하지 아니하는 복수의 인쇄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서브 헤드작동부(43)인 흰색 헤드부(101a)와 인쇄작업을 자주 수행하는 복수의 인쇄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 헤드작동부(42)인 검정색, 노란색, 빨간색, 청색 헤드부(101b, 101c, 101d, 101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헤드작동부(42) 및 서브 헤드작동부(43) 각각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출몰작동시키기 위한 헤드작동부 분리 구동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반인쇄부(40)의 제1 영상캡쳐부(50)는 인쇄된 인쇄물을 영상캡쳐 하고 제1 비교처리부(80)에서 인쇄물이 정상적으로 인쇄되는지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異常) 여부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제1 헤드정렬부(90)에서 헤드를 컨트롤 하여 정상적으로 인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헤드 베이스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실시예 1 내지 4)를 나타낸다.
도 5는 2개 헤드 베이스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실시예 1)를 나타내며, 도 6은 3개 헤드 베이스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실시예 2)를 나타내며, 도 7은 4개 헤드 베이스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실시예 3)를 나타내며, 도 8은 확장형 헤드 베이스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실시예 4)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헤드 컨트롤 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헤드부의 분해 및 조립 없이 헤드부 외측에서 간단하게 헤드의 얼라인먼트(alignment)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5(실시예 1)에 따른 2개 헤드 베이스(2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213)와 제1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223)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213)와 제1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223)를 통해 헤드부 내측의 제1 헤드(101)를 미세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높이조정부는 상기 제1 헤드(101)의 높이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헤드지지블럭(229)에 형성되는 제1 오목홈(230)과, 헤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220d, 220e)에서 지지되는 푸시로드(219)와 상기 푸시로드(219)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213)와, 상기 푸시로드(219)의 단부에는 제2 오목홈(231)을 가지는 제3푸시블럭(22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오목홈(230)과 제2 오목홈(231) 사이에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는 푸시고리(216)와 상기 푸시고리(216)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헤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헤드 베이스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푸시로드(219)의 단부에 형성되는 푸시고리(216)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푸시로드(219)와 상기 푸시고리(216)는 상기 고정핀에 의해 진퇴운동의 거리가 제한된다.
상기 푸시고리(216)의 내부의 공간은 상기 고정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시켜, 상기 푸시고리(216)에 대하여 약간의 유격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푸시로드(219)의 진퇴운동시 제2 헤드 지지블럭(229)과 상기 푸시로드(219) 사이에 일정한 거리가 있으므로 각도조정부에 의한 미세조정시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변화가 가능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푸시고리(216)가 상기 고정핀에 대하여 수직으로만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푸시고리의 내부슬릿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내부슬릿의 양면에 맞닿는 단면현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헤드지지블럭(229)에는 제1 오목홈(230)이 형성돼서, 상기 푸시고리의 외부면에 맞닿게 된다. 제1 오목홈(230)을 “V”자 홈형태로 하고, 푸시고리(216)를 타원형으로 하여 2점 접촉을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헤드지지블럭(229)의 좌우움직임을 차단하고, 항상 푸시고리(216)의 중심축이 오목홈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하여 전후방향(헤드의 길이방향)으로만 움직이로독 한다.
각도조정부는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제1 헤드지지블럭(228)과 연결된 피동빔(222)과 상기 피동빔(222)과 맞닿아서 제1 헤드(101)를 폭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푸시블럭(221)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220a. 220b, 220c, 220d, 220e)에 지지되는 푸시로드(219)와 상기 푸시로드(219)를 푸시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푸시블럭(221)은 단면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로 형성돼서 경사면을 가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푸시블럭(221)이 전진함에 따라 상기 피동빔(222)을 후퇴(상기 제1 헤드(101)의 폭방향으로 상기 제1 푸시블럭(221)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시킬 수 있다. 상기 피동빔(222)은 상기 제1 푸시블럭(221)과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부가 둥글게 라운딩처리될 수 있다. 또 상기 피동빔(222)은 상기 제1 헤드(101)와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기 푸시로드(219)의 단부에 고정되는 상기 제1 푸시블럭(221)에 접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스프링(227)은 제3 푸시블럭(226)과 제4 고정가이드(220d) 사이에 설치되고, 지지스프링(225)는 제1 푸시블럭(221)과 제2 고정가이드(220b)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반력부(211)의 반력에 대한 지지가 가능해서, 푸시로드(219)의 위치 유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헤드 조절이 가능하며, 3,4,5개 등 여러 개의 헤드(Head)를 장착한 확장형 헤드 베이스에서도 헤드 조절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헤드 베이스 및 마이크로미터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9는 3개 헤드 베이스 및 마이크로미터 배치도(실시예 1)를 나타내며, 도 10은 4개 헤드 베이스 및 마이크로미터 배치도(실시예 2)를 나타내며, 도 11(실시예 3)은 확장형 헤드 베이스 및 확장형 마이크로미터 배치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헤드를 조절 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의 배치도를 나타내며 헤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거나 푸시로드가 삽입될 공간이 부족할 경우 서로 평행하게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9(실시예 1)에서는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1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1)와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1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3), 제2 헤드(101-1)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2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2)와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2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4) 및 제3 헤드(101-2)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3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6)와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3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8)가 나타나 있으며, 헤드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220g 220h, 220i)는 푸시로드(219)를 서로 평행하게 높이를 달리하여 지지한다.
도 10(실시예 2)에서는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1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1)와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1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3), 제2 헤드(101-1)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2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2)와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2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4), 제3 헤드(101-2)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3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6)와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3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8) 및 제4 헤드(101-3)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4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5)와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4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27)가 나타나 있으며, 헤드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220g 220h, 220i)는 푸시로드(219)를 서로 평행하게 높이를 달리하여 지지한다.
또한, 도 11(실시예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형 헤드 베이스(303)와 같이 확장형 헤드 베이스로 여러 개의 헤드를 장착 했을 경우에도 확장형 헤드 마이크로미터 배치도(313)와 같이 확장해서 여러 개의 헤드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이크로미터를 배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푸시 타입(Type) 헤드 조절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푸시 타입(Type) 헤드 조절 장치는 푸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224)의 조절을 통해 푸시 조절 장치(252)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이를 통하여 헤드 각도 컨트롤부(250)가 조절되어 제1 헤드(101)와 맞닿는 푸시부가(251) 헤드의 각도를 변위시키도록 한다.
또한 커플러(253)는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224)의 축이 길게 돌출되어 있는 경우 푸시로드(219)와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224)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13은 스테핑 모터 푸시 타입(Type) 헤드 조절 장치를 나타낸다.
스테핑 모터 푸시 타입(Type) 헤드 조절 장치는 제1 헤드(101)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가 작동을 하여 모터로 헤드의 높이를 조절하고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를 통해 헤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헤드를 제 위치로 세팅이 되도록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절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4는 스테핑 모터 헤드 조절 장치를 나타낸다. 도 14(a)는 스테핑 모터 푸시 타입(Type) 헤드 조절 장치를 나타내며, 도 14(b)는 스테핑 모터 일반 타입(Type) 헤드 조절 장치를 나타낸다.
스테핑 모터는 고성능의 분해능을 가지고 마이크로 스텝으로 제어함을 통하여 헤드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2개 헤드 베이스 스테핑 모터 헤드 컨트롤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 스테핑 모터를 통해 조절하며 제 1 헤드(101)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와 각도를 조절하는 제1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로 헤드를 조절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헤드 베이스 및 스테핑 모터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3개 헤드 베이스 및 스테핑 모터 배치도(실시예 1)를 나타내며, 도 17은 4개 헤드 베이스 및 스테핑 모터 배치도(실시예 2)를 나타내며, 도 18은 확장형 헤드 베이스 및 스테핑 모터 배치도(실시예 3)를 나타낸다.
각각의 헤드를 조절 할 수 있는 스테핑 모터 배치도를 나타내며 헤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거나 푸시로드가 삽입될 공간이 부족할 경우 서로 평행하게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1 헤드 각도 조절 스테핑(521)과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1 헤드 높이 조절 스테핑(523), 제2 헤드(101-1)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2 헤드 각도 조절 스테핑(522)과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2 헤드 높이 조절 스테핑(524), 제3 헤드(101-2)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3 헤드 높이 조절 스테핑(526)과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3 헤드 각도 조절 스테핑(528) 및 제4 헤드(101-3)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제4 헤드 높이 조절 스테핑(525)과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는 제4 각도 조절 스테핑(527)을 나타내며 헤드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220g 220h, 220i)는 푸시로드(219)를 서로 평행하게 높이를 달리하여 지지한다.
또한 도 18(실시예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형 헤드 베이스(404)과 같이 확장형 헤드 베이스로 여러 개의 헤드를 장착 했을 경우에도 확장형 헤드 스테핑 모터(513)와 같이 확장해서 여러개의 헤드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스테핑 모터를 배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9는 스테핑 모터 제어회로를 나타낸다.
스테핑 모터 제어회로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Head)의 높이 또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각각의 스테핑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를 제어 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모터 제어회로(150 내지 153)와 같이 복수의 모터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160)가 배치되어 있다.
이는 제1 영상캡쳐부(50)를 통하여 영상캡쳐가 되고 제1 비교처리부(80)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제1 헤드정렬부(90)에서 헤드를 정렬하기 위해 모터를 정확하게 작동시켜 헤드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여 헤드가 제 위치로 세팅되도록 하며 헤드가 여러 개일 경우 스테핑 모터가 여러 개 확장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모터 제어회로도 확장되어 스테핑 모터를 정확하게 컨트롤 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0은 헤드 분리구동 장치 및 스테핑 모터 헤드 컨트롤 장치를 나타낸다.
도 20(a)는 제1 헤드 정렬부(90)에서 인쇄 작업을 잘 수행하지 아니하는 복수의 인쇄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서브 헤드작동부인 흰색 헤드부(101a)와 인쇄 작업을 자주 수행하는 복수의 인쇄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 헤드작동부인 검정색, 노란색, 빨간색, 청색 헤드부(101b, 101c, 101d, 101e) 각각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출몰 작동시키기 위한 헤드작동부 분리 구동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 20(b)는 헤드가 제 위치에 세팅된 제1 헤드(101)와 다르게 정상의 위치에서 벗어난 제2 헤드(101-1)와 제3 헤드(101-2)를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와 제1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를 사용하여 제 위치에 세팅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1은 헤드 컨트롤 장치 구동 전과 구동 후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1(a)은 헤드 컨트롤 장치 구동 전 시스템 구성도이며, 인쇄부의 헤드가 제 위치를 벗어나 있는 경우 인쇄물을 영상캡쳐부(50)에서 인쇄된 인쇄물을 영상으로 캡쳐 후 비교처리부(80)에서 이상(異常)이 발견되고 이 경우 헤드 정렬부(90)를 통해 모터 제어부(160)에서 스테핑 모터를 제어하여 헤드를 조절하면, 도 2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컨트롤 장치 구동 후 시스템 구성도에서 제1 그룹 스테핑 모터(M1)과 제2 그룹 스테핑 모터(M2)가 작동되어 조절된 헤드가 제 위치로 바로 잡아 인쇄물이 정상(正常)적으로 인쇄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2는 기존의 바이폴라 구동 방식의 스테핑 모터를 나타낸다.
도 22(a)에서와 같이 기존의 바이폴라 구동 방식의 스테핑 모터는 2가닥의 코일에 인덕턴스가 동등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위치결정 정확도가 좋아진다는 특징이 있으며, 회전자(450)를 중심으로 A 상(451), A` 상(452), B 상(453), B` 상(454)과 A상의 제1 단자 내지 제3 단자(A1, A2, A3) 및 B상의 제1 단자 내지 제3 단자(B1, B2, B3)로 구성된 2상 6선식 스테핑 모터의 바이폴라 구동 방식으로 저속 구동 시 토크가 높고 코일에 저장된 전류가 회생되어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23은 기존의 유니폴라 구동 회로를 나타낸다.
제1 내지 4 트랜지스터(141 내지 144)와 제1 내지 4 다이오드(131 내지 134) 및 제1, 2 저항(139,140)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구동회로가 간단하다. 모터 코일에 저장된 에너지를 회생하지 않으므로 효율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으나, 고속으로 구동 시 토크가 높아 탈조 될 위험이 적어서 고속회전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24는 기존의 바이폴라 구동 회로를 나타낸다.
바이폴라 구동 전원(170)에 연결되어 모터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는 구동방식으로 코일의 이용률이 높고 저속에서 더 큰 토크가 가능하며 코일에 저장된 전류가 회생되어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1, 12 저항(185, 186)을 통해 과전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5는 기존의 2상 여자방식에 의한 회전자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 25에서 ○ 표시는 여자된 상을 나타내며 여자된 곳의 고정자는 N극을 띄게 되므로 회전자의 S극 자석을 당기는 힘은 두 여자 코일의 중간부분의 합성자계에 의해 발생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2상 여자방식에 의한 회전자(450)가 90도 만큼 움직이게 될 때 A 상(451)과 A` 상(452), B 상(453) 및 B` 상(454)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25에서의 2상 여자방식은 고속회전에 적합하지만, 정밀한 제어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22 내지 도 25에서 기존의 2상 여자방식의 스탭핑 모터 구동에서는 1 스텝당 회전각이 7.2도가 한계이다. 따라서 1회전인 360도를 50펄스(Pulse)나누어서 제어하는 것이 한계이다. 즉 360도를 1/50의 분해능 이상으로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도 26은 제안된 정밀제어를 위한 스테핑 모터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하이브리드형 5상 스테핑 모터는 회전자(450)를 중심으로 코일(480)과 보빈(470)이 감싸고 있으며 고정자 코어(460)가 최외각에 존재하고 있다. 1스텝당 회전각이 0.72도 또는 0.36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1회전인 360도를 500펄스(Pulse) 또는 1000펄스(Pulse)로 나누어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7은 제안된 펜타곤 결선 방식의 구동 회로1을 나타낸다.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모터 상들이 서로 묶여져 5각형을 이루고 그들의 접합 부분에서 선이 나와서 모터 외부에 총 5개의 전류제어선을 가질 수 있다. 외부로 나와 있는 5개의 선들은 서로 다른 두 상에 묶여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전류제어선에 적절한 제어 신호를 인가함으로 5상 펜타곤 결선방식의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게 된다.
도 28은 제안된 펜타곤 결선 방식의 구동 회로2를 나타낸다.
도 28의 제안된 펜타곤 결선 방식은 구동 회로 중 바이폴라 스타결선 방식을 나타낸다.
바이폴라 스타결선은 유니폴라 스타결선의 공통선이 없는 형태이고 공통선이 없으므로 하나의 전류를 어느 한 상을 통하여 들어 보내면 다른 상을 통하여 나오게 해야 한다. 4상 여자시 바이폴라 구동이 가능하다.
도 29는 제안된 5상 스테핑 모터의 여자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29에서는 5상 스테핑 모터의 여자 시퀀스 중 4상 여자방식을 나타낸다. 상기 4상 여자방식은 항상 1상을 오프(off) 시키면서 5상 스테핑 모터의 4상여자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 30은 제안된 4상여자 방식 스위칭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30은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스위치에 적당한 시퀀스를 주어야 하는데 10개의 스위치(Q1 내지 Q10)에 스위칭 여자 시퀀스를 만들어서 일반스텝 구동을 위한 4상 여자방식 스위칭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31은 제안된 여자 방식에 따른 전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1에서는 4상 여자방식에 따른 모터의 전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2는 일반스텝을 위한 펜타곤결선 모터 제어선에서의 전류형태를 나타낸다.
모터에 흐르는 전체적인 전류의 흐름을 보면 한쪽의 제어선에서 모터쪽으로 전류를 흘려주면 두 개의 코일을 거쳐 양쪽으로 나뉘어져 두 부분의 제어선으로 나오게 되는데, 두 코일에 같은 전류가 흘러야 하므로 각 중간에서의 제어선은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그렇게 되려면 그 제어선에 연결된 위 아래 트랜지스터는 모두 그 기간 동안은 오프(off) 되어야 한다.
다음스텝을 위해서는 양쪽의 제어선에서 전류를 흘려주어 각각 두 상의 코일을 거쳐 양쪽으로 흐르던 전류가 합해져 하나의 제어선으로 나오게 해야한다. 이것을 교번하여 실행하면 모터는 한 펄스당 0.72도 또는 0.36도의 회전각을 가지며 회전하게 된다. 이는 1회전인 360도를 500펄스(Pulse) 또는 1000펄스(Pulse), 즉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어느 한 제어선에서의 전류는 그 선을 사이에 둔 양쪽 모터 상단에 흐르는 전류 차와 같으므로 일반스텝시 펜타곤결선 모터 제어선에서의 전류형태는 도 32와 같게 된다.
도 33 및 도 34는 모터 타입(Type) 헤드정렬 장치와 스테핑 모터 헤드정렬 장치를 나타낸다.
제안된 모터 타입(Type) 헤드정렬 장치는 제1 헤드(101)가 제위치에서 벗어나 있을 경우 제1 헤드정렬 장치(120)와 제2 헤드정렬 장치(122)에 의해 제11 및 제12 푸시로드(121-1,121-2)를 따라 움직이면 헤드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지 않아도 푸시로드의 왕복 운동만으로 셋팅되어 있는 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5는 헤드 캐리지 마운트 기판과 헤드의 결합도를 나타낸다.
제1 헤드(101)와 결합하여 헤드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캐리지 마운트 기판(102)의 결합도를 나타내며 헤드 캐리지 마운트 기판의 연결 홈(104)에 연결 볼트(103)로 체결하여 헤드와 헤드 캐리지 마운트 기판을 결합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6은 제작된 헤드를 나타낸다. 상기 헤드는 본 발명의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를 사용하여 헤드의 위치와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가 가능하며, 5상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여 최대 1회전인 360도를 1000펄스(Pulse), 즉 1회전을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종이 공급 메인롤(11); 상기 종이 공급 메인롤(11)에서 종이(100)가 공급되어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인쇄가 잘 되도록 코로나를 처리하는 제1 코로나 처리기(21); 상기 제1 코로나 처리기(21)를 통과한 상기 종이(100)가 일반인쇄부(40)에 올바르게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1 웹 가이드(Web Guide)기(31); 상기 종이(100)가 상기 일반인쇄부(40)에서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 장력 유지롤(35);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일반인쇄부(40)의 일반인쇄 헤드부;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를 정렬하기 위한 제1 헤드정렬부(90); 상기 일반인쇄부(40)에서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을 인쇄한 이후에 종이(100)의 제2 면에 인쇄가 잘 되도록 코로나를 처리하는 제2 코로나 처리기(91); 상기 제2 코로나 처리기(91)를 통과한 상기 종이(100)가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2 장력 유지롤(54); 상기 제2 코로나 처리기(91)를 통과한 상기 종이(100)가 전환(轉換)인쇄부(41)에 올바르게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2 웹 가이드(Web Guide)기(51); 상기 종이(100)가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에서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3 장력 유지롤(67);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전환(轉換)인쇄부(41)의 전환(轉換)인쇄 헤드부; 상기 전환(轉換)인쇄 헤드부의 헤드를 정렬하기 위한 제2 헤드정렬부(90-1);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를 통과한 종이(100)가 종이 출력 메인롤(73)에 종이를 올바르게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3 웹 가이드(Web Guide)기(61); 상기 종이(100)의 제1 면 및 제2 면을 인쇄한 종이를 최종적으로 감는 종이 출력 메인롤(73);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 및 상기 전환(轉換)인쇄 헤드부의 헤드는 스테핑 모터에 의해서 헤드의 각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종이 공급 메인롤(11);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일반인쇄부(40)의 일반인쇄 헤드부;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를 정렬하기 위한 제1 헤드정렬부(90);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전환(轉換)인쇄부(41)의 전환(轉換)인쇄 헤드부; 상기 전환(轉換)인쇄 헤드부의 헤드를 정렬하기 위한 제2 헤드정렬부(90-1); 상기 종이(100)의 제1 면 및 제2 면을 인쇄한 종이를 최종적으로 감는 종이 출력 메인롤(73); 상기 종이(100)는 제1 방향[일반인쇄부(40)에서 전환(轉換)인쇄부(41)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인쇄가 수행되며; 상기 종이(100)는 상기 일반인쇄부(40)에서 상기 제1 면의 인쇄를 마친 후,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의 상측(上側)을 돌아서 제2 방향[전환(轉換)인쇄부(41)에서 일반인쇄부(40)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인쇄가 수행되며;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 및 상기 전환(轉換)인쇄 헤드부의 헤드는 스테핑 모터에 의해서 헤드의 각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예로서 상기 제1 방향[일반인쇄부(40)에서 전환(轉換)인쇄부(41) 방향]이 만약 좌측에서 우측 방향이면, 상기 제2 방향[전환(轉換)인쇄부(41)에서 일반인쇄부(40) 방향]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이다. 즉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종이 공급 메인롤(11);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1 푸시로드(121-1);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12 푸시로드(121-2); 상기 제11 푸시로드(12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상기 제12 푸시로드(12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 상기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및 상기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는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프린터 헤드부의 외부에서 헤드의 편위를 정렬 할 수 있는 헤드정렬부; 하나 이상의 헤드가 제1 헤드지지블럭과 제2 헤드지지블럭에 의해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헤드 베이스; 상기 제2 헤드지지블럭을 상기 헤드의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높이조정부; 상기 제1헤드지지블럭을 상기 헤드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각도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정부는, 상기 제2 헤드지지블럭을 가세하고 상기 헤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에서 지지되는 푸시로드(219); 상기 푸시로드를 상기 푸시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정부는 상기 제1 헤드지지블럭을 상기 폭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시블럭(221)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에 지지되는 푸시로드(219) 및 상기 푸시로드를 상기 푸시로드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를 포함하며, 영상캡쳐를 통한 인쇄상태를 확인하여 비교처리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異常)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모터를 통해 헤드의 미세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헤드 컨트롤 장치를 통한 헤드의 정렬 상태를 보정함에 있어 복수의 스테핑 모터를 이용한 자동적으로 헤드 정렬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수고로움을 덜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 결과, 미세조정 작업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헤드 미세조정으로 인한 출력작업의 지연도 억제할 수 있으며 항상 헤드부의 헤드를 제위치로 바로 잡을 수 있어서 출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프린터에 있어서, 종이 공급 메인롤(11);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일반인쇄부(40)의 일반인쇄 헤드부;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전환(轉換)인쇄부(41)의 전환(轉換)인쇄 헤드부; 상기 종이(100)의 제1 면 및 제2 면을 인쇄한 종이를 최종적으로 감는 종이 출력 메인롤(73); 상기 종이(100)는 제1 방향[일반인쇄부(40)에서 전환(轉換)인쇄부(41)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인쇄가 수행되며; 상기 종이(100)는 상기 일반인쇄부(40)에서 상기 제1 면의 인쇄를 마친 후,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의 상측(上側)을 돌아서 제2 방향[전환(轉換)인쇄부(41)에서 일반인쇄부(40)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인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 전환(轉換)인쇄부(41)의 상측(上側)은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의 상부의 외측(外側)을 의미하는 것으로 종이(100)의 이동경로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10 : 종이공급부
11 : 종이 공급 메인롤
12 : 제1 종이 공급롤
13 : 제2 종이 공급롤
14 : 제3 종이 공급롤
15 : 제1 코로나 처리롤
16 : 제2 코로나 처리롤
17 : 제3 코로나 처리롤
18 : 제4 코로나 처리롤
19 : 제5 코로나 처리롤
20 : 코로나 처리부
21 : 제1 코로나 처리기
22 : 제1 코로나 처리 작업롤
30 : 제1 웹가이드 및 장력제어부
31 : 제1 웹 가이드(Web Guide)기
32 : 제1 웹 가이드(Web Guide)롤
33 : 제2 웹 가이드(Web Guide)롤
34 : 제1 이송롤
35 : 제1 장력 유지롤
36 : 제2 이송롤
37 : 제3 이송롤
38 : 제4 이송롤
40 : 일반인쇄부
41 : 전환(轉換)인쇄부
42 : 메인 헤드작동부
43 : 서브 헤드작동부
46 : 일반인쇄 잉크 카트리지
46-1 : 전환(轉換)인쇄 잉크 카트리지
47 : 양면인쇄를 선택하는 전환(轉換) 이송롤
48 : 단면인쇄를 선택하는 전환(轉換) 이송롤
49 : 양면 또는 단면 이송롤 지지대 이동 선로(線路)
50 : 제1 영상캡쳐부
50-1 : 제2 영상캡쳐부
51 : 제2 웹 가이드(Web Guide)기
52 : 제6 코로나 처리롤
53 : 제7 코로나 처리롤
54 : 제2 장력 유지롤
55 : 제2 웹가이드 및 장력제어부
56 : 제3 웹 가이드(Web Guide)롤
57 : 제4 웹 가이드(Web Guide)롤
60 : 제3 웹가이드 및 장력제어부
61 : 제3 웹 가이드(Web Guide)기
62 : 제5 웹 가이드(Web Guide)롤
63 : 제6 이송롤
65 : 제7 이송롤
66 : 제8 이송롤
67 : 제3 장력 유지롤
68 : 제9 이송롤
69 : 제6 웹 가이드(Web Guide)롤
70 : 종이출력부
71 : 제1 종이 출력롤
72 : 제2 종이 출력롤
73 : 종이 출력 메인롤
80 : 제1 비교처리부
80-1 : 제2 비교처리부
81 : 데이터 입력부
83 : 제10 이송롤
84 : 제11 이송롤
85 : 제8 코로나 처리롤
86 : 제9 코로나 처리롤
87 : 제10 코로나 처리롤
88 : 제12 이송롤
90 : 제1 헤드정렬부
90-1 : 제2 헤드정렬부
91 : 제2 코로나 처리기
92 : 제2 코로나 처리 작업롤
93 : 제13 이송롤
95 : 제14 이송롤
96 : 제15 이송롤
97 : 제16 이송롤
98 : 제17 이송롤
100 : 종이
101 : 제1 헤드
101-1 : 제2 헤드
101-2 : 제3 헤드
101-3 : 제4 헤드
101a : 흰색 헤드부
101b : 검정색 헤드부
101c : 노란색 헤드부
101d : 빨간색 헤드부
101e : 청색 헤드부
102 : 헤드 캐리지 마운트 기판
103 : 연결 볼트
104 : 연결 홈
110 : 제어부
120 : 제1 헤드정렬 장치
121 : 푸시로드
121-1 : 제11 푸시로드
121-2 : 제12 푸시로드
122 : 제2 헤드정렬 장치
130 : 유니폴라 구동 전원
131 : 제1 다이오드
132 : 제2 다이오드
133 : 제3 다이오드
134 : 제4 다이오드
139 : 제1 저항
140 : 제2 저항
141 : 제1 트랜지스터
142 : 제2 트랜지스터
143 : 제3 트랜지스터
144 : 제4 트랜지스터
150 : 제1 모터 제어회로
151 : 제2 모터 제어회로
152 : 제3 모터 제어회로
153 : 제4 모터 제어회로
160 : 모터 제어부
161 : 제11 트랜지스터
162 : 제12 트랜지스터
163 : 제13 트랜지스터
164 : 제14 트랜지스터
165 : 제15 트랜지스터
166 : 제16 트랜지스터
167 : 제17 트랜지스터
168 : 제18 트랜지스터
170 : 바이폴라 구동 전원
171 : 제11 다이오드
172 : 제12 다이오드
173 : 제13 다이오드
174 : 제14 다이오드
175 : 제15 다이오드
176 : 제16 다이오드
177 : 제17 다이오드
178 : 제18 다이오드
185 : 제11 저항
186 : 제12 저항
190 : 펜타곤 결선 구동 전원
201 : 2개 헤드 베이스
202 : 3개 헤드 베이스
203 : 4개 헤드 베이스
204 : 확장형 헤드 베이스
211 : 반력부
212 : 반력돌기
213 : 제1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
213-1 : 제2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
214 : 제1 지지스프링
214-1 : 제2 지지스프링
215 : 제1 지지스프링 고정링
215-1 : 제2 지지스프링 고정링
216 : 푸시고리
217 : 제2 지지스프링
218 : 제2 지지스프링 고정링
219 : 푸시로드
219-1 : 제1 푸시로드
219-2 : 제2 푸시로드
220a : 제1 고정가이드
220b : 제2 고정가이드
220c : 제3 고정가이드
220d : 제4 고정가이드
220e : 제5 고정가이드
220f : 제6 고정가이드
220g : 제7 고정가이드
220h : 제8 고정가이드
220i : 제9 고정가이드
221 : 제1 푸시블럭
221-1 : 제2 푸시블럭
222 : 피동빔
223 : 제1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
223-1 : 제2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
224 :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손잡이
225 : 제3 지지스프링
226 : 제3 푸시블럭
227 : 제4 지지스프링
228 : 제1 헤드지지블럭
229 : 제2 헤드지지블럭
230 : 제1 오목홈
231 : 제2 오목홈
250 : 헤드 각도 컨트롤부
251 : 푸시부
252 : 푸시 조절 장치
253 : 커플러
301 : 3개 헤드 베이스
302 : 4개 헤드 베이스
303 : 확장형 헤드 베이스
311 : 3개 헤드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12 : 4개 헤드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13 : 확장형 헤드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21 : 제1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22 : 제2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23 : 제1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24 : 제2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25 : 제4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26 : 제3 헤드 높이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27 : 제4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28 : 제3 헤드 각도 조절 마이크로미터 배치도
350 : 푸시 타입(Type) 헤드 조절 장치
360 : 헤드 베이스
401 : 2개 헤드 베이스
402 : 3개 헤드 베이스
403 : 4개 헤드 베이스
404 : 확장형 헤드 베이스
413 :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
413-1 : 제2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
423 : 제1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
423-1 :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
424 :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
425 :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
426 :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
450 : 회전자
451 : A 상
452 : A`상
453 : B 상
454 : B` 상
460 : 고정자 코어(Stator Core)
470 : 보빈(Bobbin)
480 : 코일(Coil)
511 : 3개 헤드 스테핑 모터
512 : 4개 헤드 스테핑 모터
513 : 확장형 헤드 스테핑 모터
521 : 제1 헤드 각도 조절 스테핑
522 : 제2 헤드 각도 조절 스테핑
523 : 제1 헤드 높이 조절 스테핑
524 : 제2 헤드 높이 조절 스테핑
525 : 제4 헤드 높이 조절 스테핑
526 : 제3 헤드 높이 조절 스테핑
527 : 제4 헤드 각도 조절 스테핑
528 : 제3 헤드 각도 조절 스테핑
iA : A상 전류
iB : B상 전류
Q1 : 제1 MOSFET
Q2 : 제2 MOSFET
Q3 : 제3 MOSFET
Q4 : 제4 MOSFET
Q5 : 제5 MOSFET
Q6 : 제6 MOSFET
Q7 : 제7 MOSFET
Q8 : 제8 MOSFET
Q9 : 제9 MOSFET
Q10 : 제10 MOSFET
Q11 : 제11 MOSFET
Q12 : 제12 MOSFET
Q13 : 제13 MOSFET
Q14 : 제14 MOSFET
Q15 : 제15 MOSFET
Q16 : 제16 MOSFET
Q17 : 제17 MOSFET
Q18 : 제18 MOSFET
Q19 : 제19 MOSFET
Q20 : 제20 MOSFET
M1 : 제1 그룹 스테핑 모터
M2 : 제2 그룹 스테핑 모터
M3 : 제3 그룹 스테핑 모터
M4 : 제4 그룹 스테핑 모터
A, B, C, D, E : A상, B상, C상, D상, E상
A1, A2, A3 : A상 제1 단자, A상 제2 단자, A상 제3 단자
B1, B2, B3 : B상 제1 단자, B상 제2 단자, B상 제3 단자
P1 : 제1 펜타곤 접점
P2 : 제2 펜타곤 접점
P3 : 제3 펜타곤 접점
P4 : 제4 펜타곤 접점
P5 : 제5 펜타곤 접점
P6 : 제6 펜타곤 접점

Claims (22)

  1.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종이 공급 메인롤(11);
    상기 종이 공급 메인롤(11)에서 종이(100)가 공급되어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인쇄가 잘 되도록 코로나를 처리하는 제1 코로나 처리기(21);
    상기 제1 코로나 처리기(21)를 통과한 상기 종이(100)가 일반인쇄부(40)에 올바르게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1 웹 가이드(Web Guide)기(31);
    상기 종이(100)가 상기 일반인쇄부(40)에서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 장력 유지롤(35);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일반인쇄부(40)의 일반인쇄 헤드부;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를 정렬하기 위한 제1 헤드정렬부(90);
    상기 일반인쇄부(40)에서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을 인쇄한 이후에 종이(100)의 제2 면에 인쇄가 잘 되도록 코로나를 처리하는 제2 코로나 처리기(91);
    상기 제2 코로나 처리기(91)를 통과한 상기 종이(100)가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2 장력 유지롤(54);
    상기 제2 코로나 처리기(91)를 통과한 상기 종이(100)가 전환(轉換)인쇄부(41)에 올바르게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2 웹 가이드(Web Guide)기(51);
    상기 종이(100)가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에서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3 장력 유지롤(67);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전환(轉換)인쇄부(41)의 전환(轉換)인쇄 헤드부;
    상기 전환(轉換)인쇄 헤드부의 헤드를 정렬하기 위한 제2 헤드정렬부(90-1);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를 통과한 종이(100)가 종이 출력 메인롤(73)에 종이를 올바르게 들어가도록 제어하는 제3 웹 가이드(Web Guide)기(61);
    상기 종이(100)의 제1 면 및 제2 면을 인쇄한 종이를 최종적으로 감는 종이 출력 메인롤(73);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1 푸시로드(121-1);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12 푸시로드(121-2);
    상기 제11 푸시로드(12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상기 제12 푸시로드(12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
    상기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및 상기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는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2.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종이 공급 메인롤(11);
    종이(100)의 제1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일반인쇄부(40)의 일반인쇄 헤드부;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를 정렬하기 위한 제1 헤드정렬부(90);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전환(轉換)인쇄부(41)의 전환(轉換)인쇄 헤드부;
    상기 전환(轉換)인쇄 헤드부의 헤드를 정렬하기 위한 제2 헤드정렬부(90-1);
    상기 종이(100)의 제1 면 및 제2 면을 인쇄한 종이를 최종적으로 감는 종이 출력 메인롤(73);
    상기 종이(100)는 제1 방향[일반인쇄부(40)에서 전환(轉換)인쇄부(41)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인쇄가 수행되며;
    상기 종이(100)는 상기 일반인쇄부(40)에서 상기 제1 면의 인쇄를 마친 후,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의 상측(上側)을 돌아서 제2 방향[전환(轉換)인쇄부(41)에서 일반인쇄부(40)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인쇄가 수행되며;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1 푸시로드(121-1);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12 푸시로드(121-2);
    상기 제11 푸시로드(12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상기 제12 푸시로드(12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
    상기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및 상기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는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3.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종이 공급 메인롤(11);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1 푸시로드(121-1);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12 푸시로드(121-2);
    상기 제11 푸시로드(12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상기 제12 푸시로드(12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
    상기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및 상기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는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4.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1 푸시로드(121-1);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12 푸시로드(121-2);
    상기 제11 푸시로드(12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상기 제12 푸시로드(12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
    상기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및 상기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는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5.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1 푸시로드(121-1);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12 푸시로드(121-2);
    상기 제11 푸시로드(12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상기 제12 푸시로드(12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
    상기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및 상기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는 스타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스타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6.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 헤드지지블럭(228);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2 헤드지지블럭(229);
    상기 제1 헤드(101)를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의 축과 연결된 제1 푸시로드(219-1);
    상기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의 축과 연결된 제2 푸시로드(219-2);
    상기 제1 헤드지지블럭(228)의 일측(一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헤드(101)를 지지하는 반력부(211);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이동을 위한 푸시고리(216);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 푸시로드(219-2)의 일측(一側)에 배치되는 푸시부(251);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및 상기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는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7.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 헤드지지블럭(228);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2 헤드지지블럭(229);
    상기 제1 헤드(101)를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의 축과 연결된 제1 푸시로드(219-1);
    상기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의 축과 연결된 제2 푸시로드(219-2);
    상기 제1 헤드지지블럭(228)의 일측(一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헤드(101)를 지지하는 반력부(211);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이동을 위한 푸시고리(216);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 푸시로드(219-2)의 일측(一側)에 배치되는 제1 푸시블럭(221);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및 상기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는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8.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 헤드지지블럭(228);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2 헤드지지블럭(229);
    상기 제1 헤드(101)를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의 축과 연결된 제1 푸시로드(219-1);
    상기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의 축과 연결된 제2 푸시로드(219-2);
    상기 제1 헤드지지블럭(228)의 일측(一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헤드(101)를 지지하는 반력부(211);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이동을 위한 푸시고리(216);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 푸시로드(219-2)의 일측(一側)에 배치되는 푸시부(251);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및 상기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는 스타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스타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1 내지 제20 MOSFET(Q11 내지 Q2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9.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 헤드지지블럭(228);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2 헤드지지블럭(229);
    상기 제1 헤드(101)를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의 축과 연결된 제1 푸시로드(219-1);
    상기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의 축과 연결된 제2 푸시로드(219-2);
    상기 제1 헤드지지블럭(228)의 일측(一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헤드(101)를 지지하는 반력부(211);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이동을 위한 푸시고리(216);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 푸시로드(219-2)의 일측(一側)에 배치되는 제1 푸시블럭(221);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및 상기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는 스타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스타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1 내지 제20 MOSFET(Q11 내지 Q2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0. 청구항 제6항 또는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푸시로드(219-2)에는 제1 지지스프링(214) 및 제3 지지스프링(225)이 배치되어 제1 푸시블럭(221)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1. 청구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시블럭(221)은 피동빔(222)을 통하여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2. 청구항 제5항 내지 청구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 가이드(220a 내지 220e)는 제1,2 푸시로드(219-1,219-2)를 평행하게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3.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1 푸시로드(121-1);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12 푸시로드(121-2);
    상기 제11 푸시로드(12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상기 제12 푸시로드(12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4.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 헤드지지블럭(228);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2 헤드지지블럭(229);
    상기 제1 헤드(101)를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5.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 헤드지지블럭(228);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2 헤드지지블럭(229);
    상기 제1 헤드(101)를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6.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 헤드지지블럭(228);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2 헤드지지블럭(229);
    상기 제1 헤드(101)를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의 축과 연결된 제1 푸시로드(219-1);
    상기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의 축과 연결된 제2 푸시로드(219-2);
    상기 제1 헤드지지블럭(228)의 일측(一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헤드(101)를 지지하는 반력부(211);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이동을 위한 푸시고리(216);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 푸시로드(219-2)의 일측(一側)에 배치되는 푸시부(251);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및 상기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는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7.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제1 헤드(101);
    상기 제1 헤드(101)가 배치된 헤드 베이스;
    상기 제1 헤드(101)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 헤드지지블럭(228);
    상기 제1 헤드(101)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2 헤드지지블럭(229);
    상기 제1 헤드(101)를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의 축과 연결된 제1 푸시로드(219-1);
    상기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의 축과 연결된 제2 푸시로드(219-2);
    상기 제1 헤드지지블럭(228)의 일측(一側)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헤드(101)를 지지하는 반력부(211);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이동을 위한 푸시고리(216);
    상기 제1 헤드(101)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 푸시로드(219-2)의 일측(一側)에 배치되는 제1 푸시블럭(221);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및 상기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3)는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8.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헤드;
    상기 복수의 헤드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 헤드지지블럭;
    상기 복수의 헤드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2 헤드지지블럭;
    상기 복수의 헤드를 길이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
    상기 복수의 헤드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의 축과 연결된 제1 푸시로드;
    상기 제2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의 축과 연결된 제2 푸시로드;
    상기 제1 헤드지지블럭의 일측(一側)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헤드를 지지하는 반력부;
    상기 복수의 헤드의 각도 이동을 위한 푸시고리;
    상기 복수의 헤드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2 푸시로드의 일측(一側)에 배치되는 제1 푸시블럭;
    상기 제1 높이 조절 스테핑 모터(413) 및 푸시 타입(Type) 각도 조절 스테핑 모터(424)는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헤드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가이드(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220g 220h, 220i)는 푸시로드(219)를 서로 평행하게 높이를 달리하여 지지하며;
    상기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19. 청구항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베이스에 2 이상의 헤드가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배치되는 경우에, 각각의 헤드에 대한 푸시로드에 연결된 헤드정렬 마이크로미터 또는 헤드정렬 스테핑 모터가 서로 평행하게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20. 청구항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베이스에 헤드 개수를 확장하여 복수의 헤드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헤드를 정렬 할 수 있도록 헤드정렬 마이크로미터 또는 헤드정렬 스테핑 모터를 복수의 헤드에 맞춰서 확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21.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쇄부에서 인쇄된 인쇄물을 영상캡쳐부에서 영상을 캡쳐하고 비교판단부에서 캡쳐된 영상과 데이터 입력부(81)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상(異常)이 있는 경우, 헤드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지 않아도 헤드정렬부에서 헤드 전체가 일괄적으로 스테핑 모터에 의해 세팅된 위치로 보정되어 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22. 디지털 프린터에 있어서,
    종이 공급 메인롤(11);
    종이(100)의 제1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일반인쇄부(40)의 일반인쇄 헤드부;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잉크를 분사하는 전환(轉換)인쇄부(41)의 전환(轉換)인쇄 헤드부;
    상기 종이(100)의 제1 면 및 제2 면을 인쇄한 종이를 최종적으로 감는 종이 출력 메인롤(73);
    상기 종이(100)는 제1 방향[일반인쇄부(40)에서 전환(轉換)인쇄부(41)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종이(100)의 제1 면에 인쇄가 수행되며;
    상기 종이(100)는 상기 일반인쇄부(40)에서 상기 제1 면의 인쇄를 마친 후, 상기 전환(轉換)인쇄부(41)의 상측(上側)을 돌아서 제2 방향[전환(轉換)인쇄부(41)에서 일반인쇄부(40) 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종이(100)의 제2 면에 인쇄가 수행되며;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의 일측(一側)을 지지하는 제11 푸시로드(121-1);
    상기 일반인쇄 헤드부의 헤드의 타측(他側)을 지지하는 제12 푸시로드(121-2);
    상기 제11 푸시로드(121-1)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상기 제12 푸시로드(12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
    상기 제11 조절 스테핑 모터(425) 및 상기 제12 조절 스테핑 모터(426)는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
    상기 펜타곤 결선 방식으로 이루어진 5상(A상,B상,C상,D상,E상) 스테핑 모터는 제1 내지 제10 MOSFET(Q1 내지 Q10)으로 구성되며, 1회전을 1/500 또는 1/1000의 분해능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터
KR1020180010989A 2018-01-29 2018-01-29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 KR10186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89A KR101866711B1 (ko) 2018-01-29 2018-01-29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89A KR101866711B1 (ko) 2018-01-29 2018-01-29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711B1 true KR101866711B1 (ko) 2018-06-11

Family

ID=6260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989A KR101866711B1 (ko) 2018-01-29 2018-01-29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7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192A (ja) * 2001-09-06 2003-03-12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式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KR100718465B1 (ko) 2005-09-07 2007-05-16 (주)에스티아이 잉크젯 장비의 헤드정렬장치
KR100811231B1 (ko) 2006-08-16 2008-03-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잉크젯 프린팅 장비의 헤드 정렬 장치
KR100848162B1 (ko) 2004-01-19 200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팅 장치 및 헤드위치 조절방법
KR100975647B1 (ko) * 2008-10-09 2010-08-17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잉크젯 헤드의 얼라인 장치, 액적 실시간 검사 장치, 및 잉크젯 헤드의 얼라인 및 액적 실시간 검사 장치
JP2015112750A (ja) * 2013-12-10 2015-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192A (ja) * 2001-09-06 2003-03-12 Fuji Photo Film Co Ltd インクジェット式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KR100848162B1 (ko) 2004-01-19 200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팅 장치 및 헤드위치 조절방법
KR100718465B1 (ko) 2005-09-07 2007-05-16 (주)에스티아이 잉크젯 장비의 헤드정렬장치
KR100811231B1 (ko) 2006-08-16 2008-03-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잉크젯 프린팅 장비의 헤드 정렬 장치
KR100975647B1 (ko) * 2008-10-09 2010-08-17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잉크젯 헤드의 얼라인 장치, 액적 실시간 검사 장치, 및 잉크젯 헤드의 얼라인 및 액적 실시간 검사 장치
JP2015112750A (ja) * 2013-12-10 2015-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180B2 (ja) リニアモータ
US7619377B2 (en) Linear motor system
US4767954A (en) Solid state commutated linear motor with an ironless multiphase armature
JP4172492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制御方法、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プリンタ
US6281644B1 (en) Combined linear motor
CN109572251A (zh) 打印方法、打印控制装置、打印设备及介质
JP2013099192A (ja) リニアモータおよびリニア搬送装置
KR101866711B1 (ko) 디지털 프린터의 헤드 컨트롤 장치 및 디지털 프린터
EP0033100A2 (en) Bidirectional ribbon drive control
US7728469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US5880541A (en) Sensing and controlling the location of elements of a linear motor
JPH10225078A (ja) 直流モータ
KR20230161343A (ko) 선형 전동기 및 이송 시스템
US64161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print quality of a printer
KR101557718B1 (ko) 부품 실장 장치
EP3060405A1 (en) Tape drive and transfer printer
JPWO2015128932A1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制御装置、それを備える部品実装機およびステッピングモータ制御方法
JPH06165475A (ja) リニア直流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8282935A (ja) モジュール型部品実装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EP1063093B1 (en) Paper feeder and printer using it
EP0273767A1 (en) Control device for a stepping motor
KR20070021183A (ko) 무빙 마그넷형 리니어 슬라이더
JP3537719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7210398B2 (ja) 向上した精度のプリントヘッドの往復動作
JP3415258B2 (ja) ドットプリンタのシャトル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