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408B1 -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408B1
KR101865408B1 KR1020180006747A KR20180006747A KR101865408B1 KR 101865408 B1 KR101865408 B1 KR 101865408B1 KR 1020180006747 A KR1020180006747 A KR 1020180006747A KR 20180006747 A KR20180006747 A KR 20180006747A KR 101865408 B1 KR101865408 B1 KR 101865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ward
sales
customer
salespers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248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248마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248마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408B1/ko
Priority to PCT/KR2018/00872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429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영업을 수행하는 영업인으로부터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영업인등록모듈; 상기 영업인이 보유한 것으로서, 복수의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고객리스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고객리스트제공모듈; 상기 고객리스트를 기반으로 영업을 수행할 영업대상을 선정하는 영업대상선정모듈; 세무회계 기장 서버와 연동되어 재화 판매 내역을 제공받는 판매내역제공부와, 상기 세무회계 기장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재화를 구매한 구매자에 대한 구매자정보를 파악하는 구매자파악부 및, 상기 구매자정보를 상기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고객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구매자정보가 포함된 상기 고객리스트인 영업성공리스트를 파악하는 고객리스트비교부 및, 상기 영업성공리스트를 제공한 상기 영업인을 파악하여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는 영업인파악부를 포함하는 구매파악모듈; 상기 리워드대상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A System Providing Business Target Matching Platform Via Sharing Customer Database}
본 발명은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영업인이 보유한 고객리스트의 공유를 통해 비즈니스 고객에 대한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가 무역, 유통, 금융 분야는 물론 경제 및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행해지던 마케팅 분야에도 온라인 기술이 접목되어 새로운 마케팅 기법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한 새로운 마케팅 기법 중 하나로서 네트워크 마케팅이 제안된 바 있는데, 네트워크 마케팅은 상품을 구매하여 사용해 본 적이 있는 회원이 자발적으로 추천인으로 전환되어 다른 소비자에게 상품을 재판매하는 형식으로, 회원 자신이 직접 구매자 및 판매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상품을 직접 구매하기도 하고 자신과 다른 소비자에게 상품을 소개하여 판매하도록 시스템이 구성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마케팅은 새로 소개된 소비자가 다시 판매자로 전환되는 반복 과정을 통해 전체 회원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품의 판매범위를 점차 넓혀가는 형태를 가지며, 상품 판매 시 발생하는 이익(마진)을 판매자와 상기 판매자를 추천한 회원에게 분배하여 적극적인 상품판매를 위한 동기를 부여하게 된다.
그러나, 네트워크 마케팅은 회원에 의한 직접 판매 방식이 근간이 되므로 사업 특성상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에만 치중하게 되어 상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상품 판매량 및 이익 분배가 회원 활동에만 의존하여 제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08894호(2003.01.29 공개)에는, 추천인의 소개를 통해 잠재적인 다수의 구매자에게 유, 무형의 상품이나 용역을 판매할 수 있는 추천인 보상을 이용한 인터넷 추천 마켓팅 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기술에 의하면, 추천인이 결제 식별자를 포함하는 추천인 등록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추천인에 대해 고유한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추천인이 피추천인의 이메일 주소, 피추천인 식별 정보 및 추천인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소개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소개 정보에 근거하여 소개 이메일을 작성하고 이 이메일에 링크 URL을 첨부하여 피추천인의 이메일 주소로 소개 이메일을 발송하며, 이메일을 확인 후 이메일 상의 링크 URL을 이용하여 컴퓨터에 접속한 피추천인에 대응되는 추천인의 식별 코드를 추출하여 제1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고, 피추천인이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와 결제 승낙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청약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하면, 피추천인의 고유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추천인의 고유식별 코드를 추출하여 추천인에 대해 제 2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3161호(2007.06.21 등록)에는, 판매자가 제공하는 상품 및 재화의 홍보, 광고를 대행하고 회원의 온라인 매장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상품 구매에 따른 구매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과 회원의 추천인에게 적립금을 제공하는 통합 회원제 마케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기술에 의하면, 소비자와 판매자로부터 회원 가입 신청 정보 및 가맹점 가입 신청 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회원 및 가맹점으로 각각 등록시킨 후, 회원으로부터 가맹점과 연관된 상품에 대한 구매 정보를 수신하고 가맹점으로부터 구매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구매 정보에 상응하는 소정의 적립금 정보를 회원 및 추천인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네트워크 마케팅에서 더 나아가, 영업인이 보유한 고객리스트의 공유를 통해 고객에 대한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영업인에겐 리워드를 제공하고, 각각의 고객에게 적합한 타겟 마케팅 재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영업인이 보유한 고객리스트의 공유를 통해 고객에 대한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업인이 공유하고 싶지 않은 고객이 있을 경우 해당 고객을 고객리스트에서 블라인드 처리 되게 함으로써 영업인의 영업기밀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업 성공 시 영업인에게 제공되는 리워드를 블라인드 반영률에 따라 차등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영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영업인에게 보다 큰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영업인의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에 대한 단순 영업 뿐 아니라 해당 고객이 다른 고객을 소개하는 방식의 2차 영업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2차 영업 시에도 리워드 분배가 적절히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영업을 수행하는 영업인으로부터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영업인등록모듈; 상기 영업인이 보유한 것으로서, 복수의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고객리스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고객리스트제공모듈; 상기 고객리스트를 기반으로 영업을 수행할 영업대상을 선정하는 영업대상선정모듈; 세무회계 기장 서버와 연동되어 재화 판매 내역을 제공받는 판매내역제공부와, 상기 세무회계 기장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재화를 구매한 구매자에 대한 구매자정보를 파악하는 구매자파악부 및, 상기 구매자정보를 상기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고객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구매자정보가 포함된 상기 고객리스트인 영업성공리스트를 파악하는 고객리스트비교부 및, 상기 영업성공리스트를 제공한 상기 영업인을 파악하여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는 영업인파악부를 포함하는 구매파악모듈; 상기 리워드대상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제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영업인등록모듈은, 상기 영업인으로부터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영업인가입부 및, 상기 영업인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ID를 부여하는 ID부여부 및, 상기 재화 판매를 위해 개설된 웹페이지의 URL 주소인 판매URL에 상기 ID가 연동 처리되어 생성되는 URL 주소인 영업인별URL을 생성하는 2차도메인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매파악모듈은, 상기 구매자가 상기 재화의 구매를 위해 접속한 URL 주소인 구매URL을 파악하는 구매URL파악부 및, 상기 구매URL와 기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영업인별URL을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고객에게 영업을 수행한 상기 영업인을 파악하는 URL기반영업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시스템은, 상기 영업인으로부터 상기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기 고객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받아 블라인드대상으로 지정하는 블라인드대상지정부 및, 상기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블라인드대상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블라인드처리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객정보는, 상기 고객의 이름정보 및 상기 고객의 관심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라인드처리모듈은, 상기 재화의 업종정보 및 상기 고객의 관심정보를 비교 처리하여 블라인드대상을 분류하는 관심정보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1) 영업인이 보유한 고객리스트의 공유를 통해 고객에 대한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객리스트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며,
2) 영업인이 공유하고 싶지 않은 고객이 있을 경우 해당 고객을 고객리스트에서 블라인드 처리 되게 함으로써 영업인의 영업기밀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3) 영업 성공 시 영업인에게 제공되는 리워드를 블라인드 반영률에 따라 차등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영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영업인에게 보다 큰 리워드를 제공하였으며,
4) 영업인의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에 대한 단순 영업 뿐 아니라 해당 고객이 다른 고객을 소개하는 방식의 2차 영업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2차 영업 시에도 리워드 분배가 적절히 수행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객리스트 블라인드 처리의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계층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메인서버(20)와, 영업인(30) 및, 영업인(30)이 수행한 영업 활동에 의해 재화를 구매하는 구매자가 되는 고객(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영업인(30)은 보유하고 있는 고객리스트(50)를 메인서버(20)에 업로드한다. 이러한 고객리스트(50)는 복수의 고객(40)에 대한 고객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객리스트(50)의 업로드를 통해 영업인(30)은 본인의 영업 노하우를 공유한다고 할 수 있다.
메인서버(20)는 영업인(30)으로부터 제공받은 고객리스트(50)를 기반으로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에게 타겟 마케팅을 수행하는데, 이 때 고객리스트(50)에는 고객(40)의 관심분야나 고객(40)이 필요한 재화 분야에 대한 특성정보가 더 부가될 수 있어, 그를 기반으로 타겟 마케팅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무역에 관심이 있는 고객(40)에게는 무역업체 등을 주선하여 매칭 마케팅을 수행하고, 자동차를 리스하고자 하는 고객(40)에게는 자동차 리스 업체에 대한 매칭 마케팅을 수행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집이나 건물 등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려는 고객(40)에게는 부동산 전문 업체를 매칭해주는 등의 방식으로 고객(40)에게 특화된 마케팅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고객(40)이 실제로 재화(서비스나 물품) 등을 구매 처리함으로써 구매자가 되면, 구매자로부터 얻어진 구매 금액의 일부를 리워드 형태로서 영업인(30)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고객(40)은 본 발명의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으로서 실제로 물품 및 서비스를 포함하는 재화를 구매하여 이용하는 대상이다. 이러한 고객(40)은 영업인(30)의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인 것을 기본으로 하나,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이 다른 고객(40)을 추천함으로써 고객(40)이 영업인(30)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 경우를 본 발명에서는 2차 영업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영업인(30)이 보유한 고객리스트(50)의 공유를 통해 고객(40)에 대한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영업인(30)에게는 리워드를, 고객(40)에게는 최적화된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재화에 대한 구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은, 영업인등록모듈(100); 고객리스트제공모듈(200); 영업대상선정모듈(700); 구매파악모듈(300); 리워드제공모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업인등록모듈(100)은 영업을 수행하는 영업인(30)으로부터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영업인정보를 입력받아 시스템(10)에 등록 처리함으로서 영업인(30)이 가입 처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영업인등록모듈(100)을 통해 입력받는 영업인정보는 영업인(30)의 이름을 포함하며, 추가로 영업인(30)의 경력정보 뿐 아니라 리워드제공을 위한 계좌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리스트제공모듈(200)은 상기 영업인(30)이 보유한 것으로서, 복수의 고객(40)에 대한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고객리스트(50)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고객리스트(50)라 함은 영업인(30)이 가지고 있던 일종의 고객(40)장부를 일컫는 것이며, 이러한 고객리스트(50)에는 고객(40)의 이름, 전화번호를 기본으로 포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객(40)의 이메일주소나 자택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더 나아가 고객(40)의 관심사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어 이를 기반으로 마케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영업대상선정모듈(700)은 상기 고객리스트(50)를 기반으로 영업을 수행할 영업대상을 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 중 특정 기업에서 원하는 홍보 분야를 입력받고(영업을 수행해야 할 기업으로부터 영업 수행 요청을 받고)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50) 중 영업을 수행할 영업대상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 때 영업대상의 선정이라 함은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에 대해 무작위로 영업을 수행하는 것일수도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영업인(30)의 고객리스트(50) 공유를 통해 고객(40)의 관심사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게 되는 경우 고객(40)의 관심사와 일치하는 기업이 영업을 요청하는 경우만 해당 고객(40)을 영업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으므로, 고객리스트(50)를 기반으로 한 영업대상 선정 방식에 있어서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음은 기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고객리스트제공모듈(200)을 통해 제공받은 고객리스트(50)를 기반으로 선정된 영업대상 고객(40)에게 맞춤 마케팅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는 영업인(30)의 직접 영업 수행 또는 메인서버(20)를 통한 마케팅 수행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리스트(50)를 기반으로 고객(40)에게 전화 마케팅을 수행한다거나, 이메일을 통해 광고 메일 등을 발송하거나 우편물을 발송하는 방식 등을 통해 영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고객리스트(50)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마케팅은 단순 재화 판매 뿐 아니라 인력 소개 등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공지의 오프라인 영업 및 온라인 영업이 가능한 서비스 및 재화 판매 종류에 있어서는 한정을 두지 않는다.
구매파악모듈(300)은 고객(40)으로부터 실제 재화에 대한 구매가 수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업을 성공한 영업인(30)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판매내역제공부(310)와, 구매자파악부(320) 및, 고객리스트비교부(330)와, 영업인파악부(34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판매내역제공부(310)는 세무회계 기장 서버와 연동되어 재화 판매 내역을 제공받는 것으로서, 이는 실제로 구매자로부터 구매가 수행된 영수증이나 거래내역등을 세무회계 기장 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구매자로부터의 재화 구매 시점 뿐 아니라 재화 구매 금액, 구매 내역 등을 파악할 수 있다.
구매자파악부(320)는 상기 세무회계 기장 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재화를 구매한 구매자에 대한 구매자정보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 역시 재화 구매 내역의 분석을 통해 카드거래정보 또는 현금영수증정보 및 세금계산서정보 등을 통하여 상기 재화를 구매한 구매자에 대한 구매자정보를 파악하는 것이다.
고객리스트비교부(330)는 상기 구매자정보를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상기 고객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구매자정보가 포함된 상기 고객리스트(50)인 영업성공리스트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는 구매자정보를 복수의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정보와 비교 처리함으로써, 어떠한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이 실제 구매자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교 처리가 완료되면, 구매자정보를 포함하는 고객리스트(50)를 영업성공리스트로 분류하여, 영업이 성공된 고객리스트(50)를 제공한 영업인(30)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준비를 하게 된다.
영업인파악부(340)는 상기 영업성공리스트를 제공한 상기 영업인(30)을 파악하여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영업성공리스트를 메인서버(20)에 제공한 영업인(30)을 파악하여 해당 영업인(30)을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함으로써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리워드제공모듈(400)은 상기 리워드대상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리워드라 함은 상술한 판매내역제공부(310)를 통해 분석된 재화 판매 금액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영업인(30)이 많은 수의 고객(40)에게 영업을 성공했을 경우, 즉 해당 영업인(30)이 제공한 고객리스트(50)로부터 실제 구매자가 많이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영업인(30)에게 더 큰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업인(30)의 영업 활동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10)에 있어 추가될 수 있는 추가 구성 및 보다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는 세부 구성 및 추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상기 영업인등록모듈(100)은, 상기 영업인(30)으로부터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영업인가입부(110) 및, 상기 영업인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ID를 부여하는 ID부여부(120) 및, 상기 재화 판매를 위해 개설된 웹페이지의 URL 주소인 판매URL에 상기 ID가 연동 처리되어 생성되는 URL 주소인 영업인(30)별 URL을 생성하는 2차도메인생성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업인등록모듈(100)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영업인가입부(110)는 상기 영업인(30)으로부터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한 영업인등록모듈(100)의 기본 구성과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ID부여부(120)는 상기 영업인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ID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ID 부여 방식에 있어서는 영업인(30)으로부터 직접 ID를 입력받아 생성할 수도 있으며(영업인(30)이 원하는 ID를 직접 입력받는 형태), 혹은 메인서버(20)가 각각의 영업인(30) 별로 ID를 부여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ID는 영업인(30) 별로 부여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ID를 통해 영업인(30)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만큼 복수의 영업인(30)에 있어 ID가 중복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다.
2차도메인생성부(130)는 상기 재화 판매를 위해 개설된 웹페이지의 URL 주소인 판매URL에 상기 ID가 연동 처리되어 생성되는 URL 주소인 영업인(30)별 URL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의 URL 주소인 판매URL이 “http://www.248mile.com”이라 가정했을 때, 홍길동이란 이름을 지닌 영업인(30)의 ID가 “hong”일 경우 영업인(30)별 URL이 “http://hong.248mile.com”의 형태로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영업인(30)별 URL을 통해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영업인(30)의 ID가 연동 처리되어 있으므로, 어떤 영업인(30)의 ID가 연동 처리된 영업인(30)별 URL을 통해 웹페이지에 접속하였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2차도메인생성부(130)를 통해 영업인(30)별 URL이 생성되면, 영업 수행 시 해당 영업인(30)별 URL을 이메일이나 문자메시지 등의 형태로 고객(40)에게 전송함으로써 영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영업인(30)별 URL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구매파악모듈(300)은, 상기 구매자가 상기 재화의 구매를 위해 접속한 URL 주소인 구매URL을 파악하는 구매URL파악부(350) 및, 상기 구매URL와 기 생성된 복수개의 상기 영업인(30)별 URL을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고객(40)에게 영업을 수행한 상기 영업인(30)을 파악하는 URL기반영업파악부(360)를 더 포함함으로써 구매자에게 실제로 영업을 수행한 영업인(30)을 파악할 수 있다.
구매URL파악부(350)는 상기 구매자가 상기 재화의 구매를 위해 접속한 URL 주소인 구매URL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구매자가 어떠한 구매URL을 통해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구매를 수행하였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구매자의 접속로그 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URL기반영업파악부(360)는 상기 구매URL와 기 생성된 복수 개의 상기 영업인(30)별 URL을 비교 처리함으로써 상기 고객(40)에게 영업을 수행한 상기 영업인(30)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구매자가 실제로 구매를 수행한 구매URL과 영업인(30)별로 생성된 영업인(30)별 URL을 비교 처리함으로써 어떠한 영업인(30)별 URL을 통해 구매자가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재화에 대한 구매를 수행하였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영업을 성공한 영업인(30)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후 해당 영업인(30)을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객리스트(50) 블라인드 처리의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또 다른 추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시스템(10)은, 상기 영업인(30)으로부터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기 고객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받아 블라인드대상(51)으로 지정하는 블라인드대상지정부(510) 및,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상기 블라인드대상(51)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블라인드처리부(520)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처리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라인드처리모듈(500)에 포함될 수 있는 블라인드대상지정부(510)는 상기 영업인(30)으로부터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기 고객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받아 블라인드대상(51)으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정보 중 영업인(30)이 공유하고 싶지 않은 고객정보를 블라인드대상(51)으로 지정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블라인드대상(51)은 일종의 영업인(30)의 영업기밀이라 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메인서버(20)에 업로드는 하였지만 실제로 타겟 마케팅이 수행되기 원치 않는 고객정보를 블라인드대상(51)으로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블라인드처리부(520)는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상기 블라인드대상(51)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블라인드 처리라 함은 고객리스트(50) 상에서 도 3과 같이 블라인드대상(51)을 가려버리거나, 혹은 블라인드대상(51)을 고객리스트(50)에서 아예 보이지 않도록 숨김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블라인드대상(51)의 고객정보를 메인서버(20)가 판독하지 못하게 하여, 블라인드대상(51)으로 지정된 고객정보에게 영업이 수행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정보가 고객(40)의 이름정보 뿐 아니라 고객(40)의 관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 때 고객(40)의 관심정보에 부합하지 않는 재화에 대한 마케팅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블라인드처리모듈(500)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블라인드처리모듈(500)은 관심정보분류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심정보분류부(530)는 상기 재화의 업종정보 및 상기 고객(40)의 관심정보를 비교 처리하여 블라인드대상(51)을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의해 판매되는 재화의 업종정보와 고객(40)의 관심정보를 비교 처리하여 업종정보와 관심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고객정보를 블라인드대상(51)으로 분류 처리함으로써 관심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불필요한 영업을 수행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보다 타겟 마케팅의 효율을 높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더 나아가 블라인드처리모듈(500)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뿐 아니라, 블라인드의 해제 조건을 설정하여 블라인드의 해제를 수행토록 할 수도 있는데, 이 때 기본적으로 블라인드대상(51)의 경우 영업인(30)의 영업 기밀이기 때문에 쉽사리 공개하고 싶지 않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할 것이다. 이 때 영업인(30)이 블라인드대상(51)에 대한 블라인드를 해제 처리한다는 의미는, 다시 말해 블라인드대상(51)에게도 영업을 수행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영업인(30)이 목표로 한 리워드금액을 충족시키지 못했거나, 영업기간이 길어짐에도 불구하고 영업의 성공률이 낮을 경우 블라인드대상(51)에게까지 영업을 수행해야만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추가 구성으로서, 상기 블라인드처리모듈(500)은, 상기 영업인(30)으로부터 기준영업기간 및 기준리워드액을 입력받아 해제기준정보를 생성하는 해제기준입력부(540) 및, 상기 영업인(30)이 상기 영업인등록모듈(100)에 가입을 수행한 가입일로부터 현재시간정보까지 추산된 가입기간 및 상기 기준영업기간을 비교 처리하여 기간비교정보를 생성하는 영업기간비교부(550)와, 상기 영업인(30)이 기 제공받은 리워드와 상기 기준리워드액을 비교 처리하여 리워드비교정보를 생성하는 리워드비교부(560) 및, 상기 기간비교정보 및 상기 리워드비교정보를 상기 해제기준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블라인드대상(51)에 대한 블라인드 처리를 해제하는 블라인드해제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해제기준입력부(540)는 상기 영업인(30)으로부터 기준영업기간 및 기준리워드액을 입력받아 해제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 때 기준영업기간은 영업인(30)의 목표 영업기간을 의미하며, 혹은 블라인드대상(51)에 대한 블라인드를 이 시점부터 해제하겠다는 기준 시점이 될 수도 있다. 더불어 기준리워드액이라 함은 영업인(30)이 목표로 하는 리워드 금액을 의미한다.
영업기간비교부(550)는 상기 영업인(30)이 상기 영업인등록모듈(100)에 가입을 수행한 가입일로부터 현재시간정보까지 추산된 가입기간 및 상기 기준영업기간을 비교 처리하여 기간비교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가입일로부터 현재시간정보까지 추산된 가입기간 및 기준영업기간의 비교 처리를 통해 영업인(30)이 기준영업기간동안 영업을 수행하였는지, 혹은 아직 기준영업기간을 채우지 못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리워드비교부(560)는 상기 영업인(30)이 기 제공받은 리워드와 상기 기준리워드액을 비교 처리하여 리워드비교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영업인(30)이 목표하는 리워드액인 기준리워드액을 만족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블라인드해제부(570)는 상기 기간비교정보 및 상기 리워드비교정보를 상기 해제기준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블라인드대상(51)에 대한 블라인드 처리를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리워드가 충분치 않게 산출되어 더 많은 리워드가 필요하다거나, 기준영업기간을 초과하여 블라인드대상(51)에 대한 블라인드 해제 기간이 도래했을 경우 블라인드대상(51)에 대한 블라인드 처리를 해제함으로써 블라인드대상(51)에게도 타겟 마케팅 영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시스템(10)에서는 고객리스트(50)를 제공받아 그를 기반으로 영업을 수행하는 바, 블라인드대상(51)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실제로 영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고객(40)의 수는 줄어든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블라인드대상(51)을 많이 설정한 영업인(30)보다는 블라인드대상(51)의 수가 적은 영업인(30)이 실제 영업 가능 고객(40)을 더 많이 유치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리워드 금액을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성으로서, 상기 시스템(10)은, 상기 리워드대상이 제공한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전체 상기 고객정보의 개수와 상기 블라인드대상(51)의 개수를 비교 처리하여 영업공개율을 파악하는 영업공개율파악부(610) 및, 상기 영업공개율에 따라 상기 리워드대상에 대한 리워드제공비율을 산출하는 블라인드반영부(620)를 포함하는 리워드분배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리워드분배모듈(600)을 통한 리워드제공비율 산출에 따라 상기 리워드제공모듈(400)은, 산출된 상기 리워드제공비율에 따라 상기 리워드대상에게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리워드분배모듈(600)에 포함된 영업공개율파악부(610)는 상기 리워드대상이 제공한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전체 상기 고객정보의 개수와 상기 블라인드대상(51)의 개수를 비교 처리하여 영업공개율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고객리스트(50)의 전체 고객정보 개수 대비 블라인드대상(51)의 개수를 비교 처리 하여, 고객정보의 개수 대비 블라인드대상(51)의 개수 비율을 산출하여 영업공개율을 파악한다.
리워드분배모듈(600)에 포함된 블라인드반영부(620)는 상기 영업공개율에 따라 상기 리워드대상에 대한 리워드제공비율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영업공개율이 높을수록, 즉 고객정보의 개수 대비 블라인드대상(51)의 개수가 적을수록 높은 리워드제공비율이 산출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영업 기밀을 숨기지 않고 많이 오픈한 영업인(30)일수록 높은 리워드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업인(30)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에 대한 영업을 수행하여 이를 기반으로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데, 이 때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이 또 다시 영업을 수행하는 경우, 즉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영업이 수행될 수도 있다고 서술하였다. 이 때 2차 영업을 통해 재화를 구매한 구매자로부터 영업인(30)을 역추적하여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에 대해 도 3으로 돌아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매파악모듈(300)은, 상기 영업성공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상기 구매자정보를 2차영업정보로 분류하는 2차영업정보분류부(370) 및, 상기 2차영업정보로 분류된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구매자에게 영업을 수행한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영업인입력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영업인파악부(340)는, 상기 영업인입력부(380)에 의해 입력된 상기 영업인(30)을 리워드대상으로 더 지정할 수 있다.
구매파악모듈(300)에 포함될 수 있는 2차영업정보분류부(370)는 상기 영업성공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상기 구매자정보를 2차영업정보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영업성공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구매자정보, 즉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구매자정보를 2차영업정보로 분류하는 것이다. 이 때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구매자정보는 고객리스트(50)를 기반으로 수행된 영업에 의해 재화를 구매한 구매자가 아니란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이 또 다시 영업을 수행한, 즉 2차 영업을 통해 재화를 구매한 구매자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영업인입력부(380)는 상기 2차영업정보로 분류된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구매자에게 영업을 수행한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는 2차영업정보로 분류된 구매자가 어떠한 영업인(30)으로부터 재화를 중개받아 이용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구매자로부터 직접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종래의 추천인입력과 그 구성이 비슷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영업인파악부(340)는, 상기 영업인입력부(380)에 의해 입력된 상기 영업인(30)을 리워드대상으로 더 지정하게 되므로, 2차 영업을 통해 구매자가 재화를 구매하더라도 그로부터 영업인(30)을 역추적하여 리워드대상으로 판단하며, 그를 통해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1차 영업, 즉 영업인(30)의 고객리스트(50)로부터 구매자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중개한 영업인(30)을 1차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고, 상기 영업인입력부(380)에 의해 입력된 상기 영업인(30)을 2차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여 1차 영업을 수행한 리워드대상 및 2차 영업을 수행한 리워드대상을 구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1차리워드대상 및 2차리워드대상에게 제공되는 리워드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리워드분배모듈(600)의 구성에 있어 더 부가될 수 있는 내용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에 더 나아가, 구매자로부터 영업인(30)을 직접 입력받는 방식에서 벗어나 본 발명의 시스템(10) 상에서 2차 영업을 성공한 영업인(30)을 직접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이 2차 영업을 수행하는 경우를 보다 권장함과 동시에 이러한 영업 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객리스트제공모듈(200)은,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상기 고객(40)으로부터 추가영업여부를 입력받아 추가영업인으로 지정하는 추가영업등록부(220) 및, 상기 추가영업인이 보유한 것으로서, 복수의 고객(40)에 대한 2차고객리스트를 더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210)에 입력하는 2차고객리스트입력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매파악모듈(300)은, 상기 2차영업정보를 상기 2차고객리스트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2차영업정보가 포함된 상기 2차고객리스트인 2차영업리스트를 파악하는 2차비교부(390) 및, 상기 2차영업리스트를 제공한 상기 추가영업인을 파악하여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는 추가영업인파악부(391) 및, 상기 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된 상기 추가영업인을 포함하는 고객리스트(50)를 판단하여, 해당 고객리스트(50)를 제공한 상기 영업인(30)을 리워드대상으로 더 지정하는 소개리워드판단부(39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객리스트제공모듈(200)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영업등록부(220)는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상기 고객(40)으로부터 추가영업여부를 입력받아 추가영업인으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 중 2차 영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고객(40)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즉 고객(40)이 또 다른 고객(40)을 소개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하여 추가영업여부를 입력받아 2차 영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고객(40)을 추가영업인으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고객리스트제공모듈(200)에 더 포함될 수 있는 2차고객리스트입력부(230)는 상기 추가영업인이 보유한 것으로서, 복수의 고객(40)에 대한 2차고객리스트를 더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210)에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고객리스트제공모듈(200)의 기본 구성과 유사하나, 다른 영업인(30)의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이 추가영업인으로서 등록되며, 해당 추가영업인으로부터 2차고객리스트를 제공받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매파악모듈(300)에 더 포함될 수 있는 2차비교부(390)는 상기 2차영업정보를 상기 2차고객리스트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2차영업정보가 포함된 상기 2차고객리스트인 2차영업리스트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2차영업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바, 2차고객정보를 상술한 2차고객리스트와 다시 비교 처리하여 2차영업정보가 포함된 2차고객리스트를 판단하고, 해당 2차고객리스트를 2차영업리스트로 지정한다. 이 때 2차영업리스트라 함은 2차 영업을 성공한 2차고객리스트이다.
구매파악모듈(300)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추가영업인파악부(391)는 상기 2차영업리스트를 제공한 상기 추가영업인을 파악하여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추가영업인, 즉 2차 영업을 수행한 고객(40)으로부터 2차 영업이 수행되어 그것이 성공하였음이 판단되었으므로 해당 추가영업인을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여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구매파악모듈(300)에 포함된 소개리워드판단부(392)는 상기 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된 상기 추가영업인을 포함하는 고객리스트(50)를 판단하여, 해당 고객리스트(50)를 제공한 상기 영업인(30)을 리워드대상으로 더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된 추가영업인을 소개한 영업인(30), 즉 해당 추가영업인이 어떤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해당 추가영업인을 소개한 영업인(30)에게도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1차 영업 및 2차 영업이 가능한 본 발명의 시스템(10)에 있어, 여러 명의 영업인(30)으로부터 고객리스트(50)를 제공받는 경우 복수의 고객리스트(50)에 중복된 고객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구매자가 어떠한 영업인(30)으로부터 제공된 고객리스트(50)를 기반으로 재화에 대한 구매를 수행하였는지를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영업인파악부(340)는 동일한 상기 구매자정보에 대해 두 개 이상의 상기 영업성공리스트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영업성공리스트를 중복영업리스트로 지정하는 중복영업파악파트(341) 및, 상기 중복영업리스트를 제공한 상기 영업인(30)을 리워드후보로 지정하는 리워드후보지정파트(342)와, 상기 리워드후보로부터 상기 고객리스트(50)가 입력된 리스트입력시점을 파악하여 상기 리워드후보 중 어느 하나를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는 선영업파악파트(3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업인파악부(340)에 포함된 중복영업파악파트(341)는 동일한 상기 구매자정보에 대해 두 개 이상의 상기 영업성공리스트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영업성공리스트를 중복영업리스트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하나의 상기 구매자정보에 대해 두 개 이상의 상기 영업성공리스트가 생성된다는 것은 해당 영업성공리스트에 동일한 구매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를 중복영업리스트로 지정하여 분류 처리한다.
리워드후보지정파트(342)는 상기 중복영업리스트를 제공한 상기 영업인(30)을 리워드후보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중복영업리스트를 제공한 영업인(30)을 바로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지 않고 리워드후보로 지정하는 이유는, 어떤 고객리스트(50)가 먼저 시스템(10)에 입력되었는지에 따라 리워드 지급률에 차등을 둘 수 있기 때문이다.
선영업파악파트(343)는 상기 리워드후보로부터 상기 고객리스트(50)가 입력된 리스트입력시점을 파악하여 상기 리워드후보 중 어느 하나를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리스트입력시점이 더 빠른 리워드후보, 즉 해당 고객리스트(50)를 먼저 제공한 리워드후보를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함으로써 고객리스트(50)를 먼저 제공한 영업인(30)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 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되지 않은 리워드후보의 경우 고객리스트(50)를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해당 고객리스트(50)에서 실제 구매자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리워드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를 위해 상술한 리워드분배모듈(600)은 상기 리워드대상에게 제공되는 기본리워드를 산출하는 기본리워드지정부(630) 및, 상기 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되지 않은 상기 리워드후보에게 제공되는 추가리워드를 산출하는 추가리워드지정부(640)와, 상기 기본리워드 및 상기 추가리워드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영업인(30)에게 제공되는 최종리워드를 산출하는 최종리워드산출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워드제공모듈(400)은, 상기 영업인(30)마다 산출된 상기 최종리워드를 제공하는 최종리워드제공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워드분배모듈(600)에 포함될 수 있는 기본리워드지정부(630)는 상기 리워드대상에게 제공되는 기본리워드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영업을 수행한 리워드대상, 즉 1차리워드대상에게 제공되는 기본적인 리워드인 기본리워드를 산출하는 것이다.
추가리워드지정부(640)는 상기 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되지 않은 상기 리워드후보에게 제공되는 추가리워드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리워드후보가 지정되고 그 중 어느 하나가 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되는 경우, 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되지 않은 리워드후보에도 소정의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가리워드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 때 바람직하게 추가리워드는 기본리워드에 비해 그 금액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종리워드산출부(650)는 상기 기본리워드 및 상기 추가리워드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영업인(30)에게 제공되는 최종리워드를 산출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영업인(30)이 리워드대상 및 리워드후보가 모두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해당 영업인(30)에게 발생한 기본리워드 및 추가리워드를 기반으로 최종리워드를 산출한다. 이에 따라 리워드제공모듈(400)에 포함된 최종리워드제공부(410)는 상기 영업인(30)마다 산출된 상기 최종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영업인파악부(340)에 의해 상기 영업인입력부(380)에 의해 입력된 상기 영업인(30)을 2차리워드대상으로 더 지정하는 경우, 상기 리워드분배모듈(600)에 더 포함될 수 있는 2차리워드산출부(660)가 상기 2차리워드대상에게 제공되는 2차리워드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는 2차 영업을 수행한 영업인(30) 역시 리워드를 제공받아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며, 이러한 2차 영업을 수행한 영업인(30)(추가영업인) 역시 리워드후보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영업인(30)은 다른 영업인(30)에게는 고객(40)일 수 있는 바, 그에 따라 한 명의 영업인(30)인 추가영업인도 리워드후보로 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그 모든 것을 합산해야만 보다 정확한 리워드산출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최종리워드산출부(650)는, 상기 기본리워드 및 상기 추가리워드 및 상기 2차리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영업인(30)에게 제공되는 최종리워드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리워드 산출이 가능하다.
최종리워드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 앞서, 최종리워드 산출 시 리워드의 종류에 따라, 즉 기본리워드, 추가리워드 및 2차리워드인지 여부에 따라 그 가중치를 달리 정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리워드가중치라고 할 것인데, 이 때 리워드가중치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의 관리자로부터 임의의 값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값이다.
나아가, 상기 리워드가중치는 상술한 관리자로부터 입력 또는 상기 시스템(10)의 자체적 설정뿐만 아니라, 기본리워드, 추가리워드, 및 2차리워드에 각각 설정한 가중치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즉,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리워드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06328529-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02
는 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03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04
의 영업성공횟수로서 리워드대상 및 리워드후보와 2차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된 횟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05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06
에 대해 산출된 기본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07
은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08
에 대해 산출된 추가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09
은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0
의 2차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1
은 시스템(10)에 등록된 전체 영업인(30)의 수를 의미하며, 이때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2
이고,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3
,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4
,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5
이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수학식 2는 기본리워드, 추가리워드 및 2차리워드 각각에 가중치(즉, 기본리워드가중치, 추가리워드가중치, 2차리워드가중치)를 부여하여 리워드가중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함으로 인해 상기 최종리워드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수학식 1을 살펴보면,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6
의 영업성공횟수가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7
회일 때 기본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8
과 추가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19
및 2차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0
의 값은 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1
의 영업성공횟수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기본리워드가중치, 추가리워드가중치, 2차리워드가중치 값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기본리워드는 영업인(30)이 1차 영업을 성공할 시 받는 리워드이므로, 기본리워드가중치 값이 추가리워드가중치 및 2차리워드가중치 값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원리로 추가리워드가중치 값은 2차리워드가중치 값보다 큰 것이 적합하다.
예를 들어,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2
의 영업성공횟수가 1회일 때 기본리워드가중치를 0.5, 영업성공횟수가 5회일 때 기본리워드가중치를 0.8과 같이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영업성공횟수가 증가할수록 기본리워드가중치의 크기 역시 증가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영업 성공에 대한 보상을 상기 리워드가중치를 통해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추가리워드가중치 및 2차리워드가중치 역시 상기 기본리워드가중치와 같은 원리로 그 값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본리워드가중치와 추가리워드가중치 및 2차리워드가중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될 수 있는 값이며, 본 발명의 시스템(10)에서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3
의 영업성공횟수 증가에 따른 기본리워드가중치와 추가리워드가중치 및 2차리워드가중치 값의 변화율 역시 기 설정될 수 있는 값이다.
이와 같이 산출된 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4
를 반영한 다음의 수학식 2를 기반으로 상기 영업인(30)에게 제공되는 최종리워드를 산출하게 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5
여기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6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7
에 대해 산출된 최종리워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8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29
의 영업성공횟수로서 리워드대상 및 리워드후보와 2차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된 횟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0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1
의 영업성공횟수가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2
회일 때의 기본리워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3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4
의 영업성공횟수가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5
회일 때의 추가리워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6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7
의 영업성공횟수가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8
회일 때의 2차리워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39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0
가 제공한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블라인드대상(51)의 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1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2
가 제공한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전체 고객정보의 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3
는 리워드가중치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2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학식 1은 최종리워드를 산출하는 식으로서, 최종리워드는 기본리워드, 추가리워드 및 2차리워드를 기반으로 산출되어야 정확한 리워드 산출이 가능하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이다. 이때 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4
를 더 고려함으로써 기본리워드, 추가리워드, 최종리워드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차등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수학식 2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5
값은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6
값보다 큰 값이 산출되며,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7
값은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8
값보다 큰 값이 산출되어 각 리워드 값에 대한 중요도를 차등적으로 반영하여 최종리워드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앞선 설명에서 블라인드처리모듈(500)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해당 블라인드처리모듈(500)을 통한 블라인드대상(51)의 블라인드 처리 구성 시, 리워드분배모듈(600)에 포함될 수 있는 영업공개율파악부(610)는 상기 영업인(30)이 제공한 상기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전체 상기 고객정보의 개수와 상기 블라인드대상(51)의 개수를 비교 처리하여 영업공개율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상기 최종리워드를 산출할 때 영업공개율(즉,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49
)을 반영하여, 영업공개율이 클수록 큰 값의 최종리워드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0
의 영업공개율이 1인 경우(즉, 블라인드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영업공개율이 0.5인 경우(즉, 전체 고객정보 중 절반을 블라인드 처리한 경우) 산출된 최종리워드 값은 더 클 것이다. 이는 곧 블라인드 처리를 하지 않고 고객리스트(50)를 공유할 경우 더 많은 리워드를 받도록 하여 고객리스트(50)의 공개를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술한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한 최종리워드 산출을 통해 각각의 가중치의 관계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전체 영업인(30)의 수 대비 상기 영업인(30)이 가져가는 리워드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합리적인 리워드 산출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계층도(6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며 도 5에 대해 설명하면, 영업인(30)의 고객리스트(50) 공유 현황과 고객리스트(50) 내의 고객(40)의 2차 영업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10)에서 추가적으로 계층도(6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계층도생성모듈(800)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계층도생성모듈(800)은 계층도(60)의 시작점이 되는 영업인(30)을 기준 영업인(61)으로 설정하는 기준영업인설정부(810)와, 기준 영업인(61)이 보유한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을 1차 고객(62)으로 설정하는 1차고객설정부(820) 및, 상기 2차영업정보에 포함된 고객(40)을 2차 고객(64)으로 지정하여 파악하는 2차고객파악부(830)와, 상기 2차영업정보에 포함된 고객(40)이 입력한 영업인(30)을 2차 영업인(63)으로 하여 이를 파악하는 2차영업인파악부(840)와, 상기 기준 영업인(61)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1차 고객(62)을 계층 구조로 배치하고, 상기 1차 고객(62) 중에서 파악된 상기 2차 영업인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2차 고객(64)을 계층 구조로 추가 배치한 계층도(60)를 생성하는 계층도생성부(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영업인설정부(810)는 상기 영업인등록모듈(100)과 연동되어 영업인정보를 입력받은 후 영업인정보에 포함된 영업인(30)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영업인(61)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고객리스트(50)의 공유를 파악하기 위해 계층도(60)를 생성하고자 하는 특정 영업인(30)을 선정하는 것으로서, 계층도(60) 생성 시 그 기준점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1차고객설정부(820)는 상기 고객리스트제공모듈(200)과 연동되어 상기 기준 영업인(61)에 해당하는 고객리스트(50)를 입력받아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을 1차 고객(62)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치된 기준 영업인(61)을 중심으로 그물 구조와 같이 1차 고객(62)을 배치하도록 1차 고객(62)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차고객파악부(830)는 상기 2차영업정보분류부(370)와 연동되어 2차영업정보에 포함된 고객(40)을 2차 고객(64)으로 지정한 후 이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상술했다시피 2차영업정보에 포함된 고객(40), 즉 2차 고객(64)은 상기 영업성공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고객(40)을 의미한다. 이는 다시 말해, 또 다른 영업인(30) 또는 영업성공리스트에 포함된 고객(40)이 상기 2차 고객(64)에게 영업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파악한 2차 고객(64)을 통해 기준 영업인(61)에 대한 계층도(60)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2차영업인파악부(840)는 상기 영업인입력부(380)와 연동되어 상기 2차 고객(64)이 입력한 영업인정보를 2차 영업인(63)으로 지정하여 이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2차 영업인(63)은 상기 1차고객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1차 고객(6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2차 고객(64)에게 영업을 수행한 고객(40)을 의미한다.
계층도생성부(850)는 상기 기준 영업인(61)과 1차 고객(62) 또는 상기 1차 고객(62) 중 상기 2차영업인파악부(840)에 의해 파악된 2차 영업인(63) 및 2차 고객(64)을 연결선(66)으로 연결하여 계층도(60)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생성된 계층도(60)는 본 발명의 시스템(10)을 통해 영업을 하는 영업인(30)은 본인의 영업 현황을 그림으로 쉽고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계층도생성모듈(800)은 상기 중복영업리스트로부터 중복적으로 파악된 고객(40)을 중복 고객(65)으로 지정하는 중복고객파악부(860)와, 상기 중복 고객(65)을 중심으로 둘 이상의 계층도(60)를 연결하여 영업인(30)의 고객리스트(50) 공유에 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계층도연결부(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복고객파악부(860)는 상기 중복영업파악파트(341)와 연동되어 상기 중복영업리스트에 포함된 고객(40)을 중복 고객(65)으로 지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했다시피 한 고객(40)이 서로 다른 두 영업인(30)으로부터 재화를 구매한 경우 중복영업리스트에 등록되는데, 중복고객파악부(860)는 이렇게 중복영업리스트에 포함된 고객(40)을 중복 고객(65)으로 지정하여 영업인(30)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계층도연결부(870)는 상기 파악된 중복 고객(65)을 중심으로 둘 이상의 계층도(6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자세히 설명하면 서로 다른 두 영업인(30)이 한 명의 중복 고객(65)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중복 고객(65)을 중심으로 하여 각 영업인(30)을 기준 영업인(61)으로 하여 생성된 계층도(60)를 연결선(66)에 의해 서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5를 통해 나타낸 일 실시예와 같이 연결된 계층도(60)를 통해 중복 고객(65)이 어떤 영업인(30)들로부터 재화를 구매하였는지 알 수 있으며, 영업인(30)들 간의 공유된 고객리스트(50)에 포함된 고객(40)을 계층 구조를 통해 한눈에 알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계층도생성모듈(800)은 연결선(66)의 길이를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최종리워드의 고저에 따라 차등 제어하는 연결선길이제어부(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최종리워드의 값이 크면 산출된 최종리워드와 연관된 영업인(30)과 고객(40) 사이의 연결선(66)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나아가, 상기 연결선길이제어부(880)는 상기 최종리워드에 더하여 상기 고객(40)의 구매 여부(즉, 영업인(30)의 영업성공횟수)와 블라인드 처리된 고객정보의 개수 및 선영업 횟수에 따라 연결선(66)의 길이를 더 반영하여 연결선(66)의 길이를 차등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선길이제어부(880)는 상기 영업인(30)의 영업성공횟수를 파악하는 영업성공횟수파악파트(881), 영업인(30)이 고객리스트(50)를 블라인드 처리하였는지, 얼마나 많은 고객정보를 블라인드 처리하였는지를 파악하는 블라인드개수파악파트(882), 그리고 중복영업을 한 영업인(30)이 상기 중복 고객(65)에 대해 먼저 영업을 실행하였는지를 파악하는 선영업횟수파악파트(8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업성공횟수파악파트(881)는 상기 영업성공리스트를 입력받아 영업인(30)이 얼마나 많이 영업을 성공했는지 그 횟수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영업성공횟수에 따라 연결선(66)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다.
블라인드개수파악파트(882)는 영업인(30)이 상기 고객정보를 블라인드 처리하였는지, 나아가 얼마나 많은 고객정보를 블라인드 처리하였는지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블라인드 처리를 했다면 연결선(66)의 길이를 길게, 그리고 블라인드 개수가 많을수록 연결선(66)의 길이를 길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업인(30)이 블라인드를 해제한 경우 연결선(66)의 길이를 다시 짧게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영업횟수파악파트(883)는 두 영업인(30)으로부터 영업을 받은 상기 중복 고객(65)을 대상으로 영업을 한 영업인(30)이 다른 하나의 영업인(30)보다 빠른 시점에 영업을 수행했고 그 횟수가 얼마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기 선영업파악파트(343)와 연동되어 어느 영업인(30)이 먼저 영업을 수행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악된 최종리워드, 영업성공횟수, 블라인드 처리된 고객정보의 개수 및 선영업 횟수를 기반으로 연결선(66)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3,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1
여기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2
는 연결선(66)의 길이,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3
은 상기 연결선(66)의 기본 설정된 길이,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4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5
의 영업성공횟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6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7
의 최종리워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8
는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59
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고객정보의 개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60
은 영업인(30)
Figure 112018006328529-pat00061
의 선영업 횟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062
는 리워드보정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 3의 파라미터인 u, s, t, r은 자연수이므로 상기 수학식 3을 통해 산출된 연결선(66)의 길이는 상기 파라미터의 크기에 따라 기본 설정된 연결선(66)의 길이보다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리워드보정치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연결선(66)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선(66)을 차등 제어하여 상기 계층도(60)를 생성하면 연결선(66)의 길이를 통해 영업인(30)의 영업 성공 정도, 최종리워드, 고객정보 공개 정도 및 선영업 횟수를 간접적으로 파악하여 영업인(30)의 영업 능력을 효율적으로 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시스템 20 : 메인서버
30 : 영업인 40 : 고객
50 : 고객리스트 51 : 블라인드대상
60 : 계층도 61 : 기준 영업인
62 : 1차 고객 63 : 2차 영업인
64 : 2차 고객 65 : 중복 고객
66 : 연결선 100 : 영업인등록모듈
110 : 영업인가입부 120 : ID부여부
130 : 2차도메인생성부 200 : 고객리스트제공모듈
210 : 데이터베이스 220 : 추가영업등록부
230 : 2차고객리스트입력부 300 : 구매파악모듈
310 : 판매내역제공부 320 : 구매자파악부
330 : 고객리스트비교부 340 : 영업인파악부
341 : 중복영업파악파트 342 : 리워드후보지정파트
343 : 선영업파악파트 350 : 구매URL파악부
360 : URL기반영업파악부 370 : 2차영업정보분류부
380 : 영업인입력부 390 : 2차비교부
391 : 추가영업인파악부 392 : 소개리워드판단부
400 : 리워드제공모듈 410 : 최종리워드제공부
500 : 블라인드처리모듈 510 : 블라인드대상지정부
520 : 블라인드처리부 530 : 관심정보분류부
540 : 해제기준입력부 550 : 영업기간비교부
560 : 리워드비교부 570 : 블라인드해제부
600 : 리워드분배모듈 610 : 영업공개율파악부
620 : 블라인드반영부 630 : 기본리워드지정부
640 : 추가리워드지정부 650 : 최종리워드산출부
660 : 2차리워드산출부 700 : 영업대상선정모듈
800 : 계층도생성모듈 810 : 기준영업인설정부
820 : 1차고객설정부 830 : 2차고객파악부
840 : 2차영업인파악부 850 : 계층도생성부
860 : 중복고객파악부 870 : 계층도연결부
880 : 연결선길이제어부 881 : 영업성공횟수파악파트
882 : 블라인드개수파악파트 883 : 선영업횟수파악파트

Claims (5)

  1.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으로서,
    영업을 수행하는 영업인으로부터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영업인등록모듈;
    상기 영업인이 보유한 것으로서, 복수의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고객리스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고객리스트제공모듈;
    상기 고객리스트를 기반으로 영업대상을 선정하는 영업대상선정모듈;
    세무회계 기장서버와 연동되어 재화 판매내역을 제공받는 판매내역제공부와,
    상기 세무회계 기장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재화를 구매한 구매자의 구매자정보를 파악하는 구매자파악부 및,
    상기 구매자정보를 상기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고객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구매자정보가 포함된 상기 고객리스트인 영업성공리스트를 파악하는 고객리스트비교부 및,
    상기 영업성공리스트를 제공한 상기 영업인을 파악하여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상기 구매자정보에 대해 두 개 이상의 상기 영업성공리스트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영업성공리스트를 중복영업리스트로 지정하는 중복영업파악파트 및, 상기 중복영업리스트를 제공한 상기 영업인을 리워드후보로 지정하는 리워드후보지정파트와, 상기 리워드후보로부터 상기 고객리스트가 입력된 리스트입력시점을 파악하여 상기 리워드후보 중 어느 하나를 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는 선영업파악파트를 구비한 영업인파악부와,
    상기 영업성공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상기 구매자정보를 2차영업정보로 분류하는 2차영업정보분류부 및,
    상기 2차영업정보로 분류된 상기 구매자로부터 상기 구매자에게 영업을 수행한 영업인정보를 입력받는 영업인입력부를 포함하는, 구매파악모듈;
    상기 리워드대상에게 제공되는 기본리워드를 산출하는 기본리워드지정부 및, 상기 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되지 않은 상기 리워드후보에게 제공되는 추가리워드를 산출하는 추가리워드지정부와, 상기 기본리워드 및 상기 추가리워드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영업인에게 제공되는 최종리워드를 산출하는 최종리워드산출부를 포함하는 리워드분배모듈;
    상기 영업인으로부터 상기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기 고객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선택받아 블라인드대상으로 지정하는 블라인드대상지정부 및, 상기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블라인드대상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블라인드처리부와, 상기 영업인으로부터 기준영업기간 및 기준리워드액을 입력받아 해제기준정보를 생성하는 해제기준입력부 및, 상기 영업인이 상기 영업인등록모듈에 가입을 수행한 가입일로부터 현재시간정보까지 추산된 가입기간 및 상기 기준영업기간을 비교 처리하여 기간비교정보를 생성하는 영업기간비교부와, 상기 영업인이 기 제공받은 리워드와 상기 기준리워드액을 비교 처리하여 리워드비교정보를 생성하는 리워드비교부 및, 상기 기간비교정보 및 상기 리워드비교정보를 상기 해제기준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상기 블라인드대상에 대한 블라인드 처리를 해제하는 블라인드해제부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처리모듈;
    상기 리워드대상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영업인마다 산출된 상기 최종리워드를 제공하는 최종리워드제공부를 포함하는, 리워드제공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영업인파악부는, 상기 영업인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영업인을 2차리워드대상으로 지정하고,
    상기 리워드분배모듈은, 상기 2차리워드대상에게 제공되는 2차리워드를 산출하는 2차리워드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리워드산출부는, 상기 기본리워드 및 상기 추가리워드 및 상기 2차리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영업인에게 제공되는 최종리워드를 산출하고,
    상기 리워드분배모듈은,
    상기 영업인이 제공한 상기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전체 상기 고객정보의 개수와 상기 블라인드대상의 개수를 비교 처리하여 영업공개율을 파악하는 영업공개율파악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리워드산출부는, 상기 최종리워드에 상기 영업공개율을 더 반영하여 산출되고,
    상기 최종리워드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기반으로 상기 영업인에게 제공되는 최종리워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8025696720-pat00114

    (여기서,
    Figure 112018025696720-pat00115
    는 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25696720-pat00116
    는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17
    의 영업성공횟수로서 리워드대상 및 리워드후보와 2차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된 횟수,
    Figure 112018025696720-pat00118
    는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19
    에 대해 산출된 기본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0
    은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1
    에 대해 산출된 추가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2
    은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3
    의 2차리워드가중치,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4
    은 시스템에 등록된 전체 영업인의 수를 의미하며, 이때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5
    이고,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6
    ,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7
    ,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8
    )
    수학식 2,
    Figure 112018025696720-pat00129

    (여기서,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0
    는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1
    에 대해 산출된 최종리워드,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2
    는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3
    의 영업성공횟수로서 리워드대상 및 리워드후보와 2차리워드대상으로 지정된 횟수,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4
    는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5
    의 영업성공횟수가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6
    회일 때의 기본리워드,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7
    는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8
    의 영업성공횟수가
    Figure 112018025696720-pat00139
    회일 때의 추가리워드,
    Figure 112018025696720-pat00140
    는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41
    의 영업성공횟수가
    Figure 112018025696720-pat00142
    회일 때의 2차리워드,
    Figure 112018025696720-pat00143
    는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44
    가 제공한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블라인드대상의 수,
    Figure 112018025696720-pat00145
    는 영업인
    Figure 112018025696720-pat00146
    가 제공한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전체 고객정보의 수,
    Figure 112018025696720-pat00147
    는 리워드가중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영업인정보에 포함된 상기 영업인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영업인으로 설정하는 기준영업인설정부와,
    상기 기준 영업인에 해당하는 고객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을 1차 고객으로 설정하는 1차고객설정부 및,
    상기 2차영업정보에 포함된 고객을 2차 고객으로 지정하여 파악하는 2차고객파악부와,
    상기 2차 고객이 입력한 영업인정보에 해당하는 영업인을 2차 영업인으로 지정하여 파악하는 2차영업인파악부 및,
    상기 기준 영업인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1차 고객을 계층 구조로 배치하고, 상기 2차 영업인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2차 고객을 계층 구조로 추가 배치한 계층도를 생성하는 계층도생성부를 구비하는 계층도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도생성모듈은,
    상기 중복영업리스트에 포함된 고객을 중복 고객으로 지정하는 중복고객파악부와,
    상기 파악된 중복 고객을 중심으로 둘 이상의 계층도를 연결하는 계층도연결부 및,
    상기 최종리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기준 영업인과 상기 고객 또는 상기 고객과 상기 2차 고객을 연결하는 연결선의 길이를 차등 제어하는 연결선길이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길이제어부는,
    상기 영업성공리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영업인의 영업성공횟수를 파악하는 영업성공횟수파악파트 및,
    상기 영업인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상기 고객정보의 개수인 블라인드 개수를 파악하는 블라인드개수파악파트와,
    상기 선영업파악파트와 연동되어 상기 영업인의 선영업 횟수를 파악하는 선영업횟수파악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리워드와 상기 영업성공횟수 및 상기 블라인드 개수와 상기 선영업 횟수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선의 길이를 차등 제어하며,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상기 연결선의 길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수학식 3,
    Figure 112018006328529-pat00097

    (여기서,
    Figure 112018006328529-pat00098
    는 연결선의 길이,
    Figure 112018006328529-pat00099
    은 상기 연결선의 기본 설정된 길이,
    Figure 112018006328529-pat00100
    는 영업인
    Figure 112018006328529-pat00101
    의 영업성공횟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102
    는 영업인
    Figure 112018006328529-pat00103
    의 최종리워드,
    Figure 112018006328529-pat00104
    는 영업인
    Figure 112018006328529-pat00105
    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고객정보의 개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106
    은 영업인
    Figure 112018006328529-pat00107
    의 선영업 횟수,
    Figure 112018006328529-pat00108
    는 리워드보정치)
KR1020180006747A 2017-07-31 2018-01-18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865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8728 WO2019142990A1 (ko) 2017-07-31 2018-07-31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6892 2017-07-31
KR1020170096892 2017-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408B1 true KR101865408B1 (ko) 2018-06-29

Family

ID=6278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747A KR101865408B1 (ko) 2017-07-31 2018-01-18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5408B1 (ko)
WO (1) WO20191429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314B1 (ko) * 2018-09-20 2020-01-30 김화선 고객 추천을 통한 면세점 판매 상품 선정 관리 시스템
KR102301727B1 (ko) 2021-03-25 2021-09-13 김형철 온라인 쇼핑몰업의 세무 정보 정기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7358B (zh) * 2022-05-11 2023-09-12 浙江开心果数智科技有限公司 适用于营销服务平台的售后服务分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670A (ja) * 2000-06-21 2002-01-11 Kokusai Kogyo Co Ltd 営業技術情報活用支援システム
JP2007525728A (ja) * 2003-04-25 2007-09-06 アイポリシー ネット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階層的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
KR20120087328A (ko) * 2011-01-17 2012-08-07 김형석 인터넷 및 모바일 기기에 기초한 소개 마케팅 운영 방법
KR20130007219A (ko) * 2011-06-30 2013-01-18 (주)아모레퍼시픽 영업점 간 마케팅충돌분석 소스정보 제공시스템
KR20150102161A (ko) * 2014-02-27 2015-09-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가변 쿠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670A (ja) * 2000-06-21 2002-01-11 Kokusai Kogyo Co Ltd 営業技術情報活用支援システム
JP2007525728A (ja) * 2003-04-25 2007-09-06 アイポリシー ネット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階層的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
KR20120087328A (ko) * 2011-01-17 2012-08-07 김형석 인터넷 및 모바일 기기에 기초한 소개 마케팅 운영 방법
KR20130007219A (ko) * 2011-06-30 2013-01-18 (주)아모레퍼시픽 영업점 간 마케팅충돌분석 소스정보 제공시스템
KR20150102161A (ko) * 2014-02-27 2015-09-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가변 쿠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314B1 (ko) * 2018-09-20 2020-01-30 김화선 고객 추천을 통한 면세점 판매 상품 선정 관리 시스템
KR102301727B1 (ko) 2021-03-25 2021-09-13 김형철 온라인 쇼핑몰업의 세무 정보 정기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2990A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38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using a peer-to-peer trading network
US201202656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oint of sale functiona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090125394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s in-store assistant
WO2013052189A1 (en) Geolocation based transaction facilitation system, metho, and apparatus
EP2745251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automate haggling before physical point-of-sale commerce
KR101865408B1 (ko)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CN112036986A (zh) 一种网上商城的多渠道电商运营平台
KR100324213B1 (ko) 인터넷 상거래 시스템
KR102249527B1 (ko) 온라인 쇼핑몰 통합 결제 플랫폼
KR101124346B1 (ko) 전자창고를 이용한 오픈마켓형 전자 상거래 방법
JP2002216000A (ja) 情報処理方法及びポイント管理方法
KR101909835B1 (ko) 온라인 영업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777332B1 (ko) 캐쉬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업자 서버
JP6956912B1 (ja) 見積提示装置、見積提示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01273416A (ja) 多対多双方向競売方式による通信商品取引所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Teltzrow et al. Analyzing consumer behavior at retailers with hybrid distribution channels: a trust perspective
KR101478795B1 (ko) 글로벌 마케팅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7152907B2 (ja) 顧客間レンタル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191814A (zh) 一种自动询价采购的方法及系统
KR10068308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독립 쇼핑몰 운영 방법
KR101981944B1 (ko) 전자쿠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907220B1 (ko) 개인별 맞춤 상품 및 서비스 입찰 방법
JP4411307B2 (ja) 無体財産権を有する商品の販売支援システム、無体財産権を有する商品の販売支援方法、及び無体財産権を有する商品の販売支援プログラム
Timotius et al. Buyers-sellers’ value of courier services: assessment in the Indonesian C2C e-commerce
KR101683227B1 (ko) 물품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