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148B1 -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148B1
KR101865148B1 KR1020170121812A KR20170121812A KR101865148B1 KR 101865148 B1 KR101865148 B1 KR 101865148B1 KR 1020170121812 A KR1020170121812 A KR 1020170121812A KR 20170121812 A KR20170121812 A KR 20170121812A KR 101865148 B1 KR101865148 B1 KR 10186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oft
allergic
nelumbo nucifera
ov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067A (ko
Inventor
이승은
이대영
노형준
이정훈
김금숙
김승유
안영섭
최재훈
이재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ublication of KR2017011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을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IgE를 억제하며, 리폭시게네이즈를 저해함으로써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and stame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s}
본 발명은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 외부에서 이물질들이 체내로 들어오면 우리 몸에서는 이들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면역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를 정상 면역반응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면역반응이 지나치면 신체 이상이 초래되는 과민반응이 유발되고, 과민반응 중에서 특수한 기전으로 우리 몸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를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한다.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은 알레르기 항원인 알러젠(allergen)으로 작용하는 외부 물질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체계에 의해 유발된다. 알러젠은 항원제시세포에 의해 세포 표면에 제시되고, 이렇게 제시된 항원은 B림프구에 의해 인식되어 형질세포(plasma cells)로 전환되며, 항원을 특정하게 인식하는 항체(IgE)를 분비하게 된다.
알레르기 질환은 알러젠에 반복적으로 접촉되어 기억세포(memory cell)에 의환 과도한 면역반응으로 발생하며, 항원과 결합하는 IgE는 조직의 비만세포(mast cells)의 수용체(FcεRI)에 결합하여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도한다. 비만세포의 탈과립은 히스타민(histamine), 헤파린(heparin), 류코트리엔(leukotrienes),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e) 및 다른 과민증인자(anaphylatic agents) 등을 분비하게 된다. 이렇게 분비된 면역활성 인자들이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며 염증(inflammation) 및 알레르기 반응(allergic reactions)을 발생시키는 원인이다.
과민반응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이라고 일컫는 제1형 과민반응은 특정한 항원에 대하여 나타나는 반응으로, 그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IgE 항체가 비만세포나 호염구(basophil)에 결합되어 유도되는 반응이다.
알러젠에 대하여 특이적인 IgE 항체가 많이 만들어지면 이들 항체는 비만세포나 호염구 표면에 있는 FcεRI 수용체와 결합하게 되며, 여기에 알러젠이 결합하여 이들 세포가 활성화되고, 여러 가지의 생리활성 물질이 분비되어 혈관확장, 혈관의 침투성 증가, 평활근 수축, 염증반응 등과 같은 변화가 유도된다.
이러한 반응은 이들 세포가 만들어내는 매개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국소적으로 또는 전신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알레르기 질환으로는 아토피 피부염, 비염, 천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에 있어서 비만세포는 매우 중요하다. 비만세포는 다른 세포와 달리 크고 굵은 이염색성의 과립을 함유하고 있으며, IgE가 비만세포가 가지고 있는 FcεRI(high-affinity receptor for IgE)에 결합된 상태에서 항원에 의해 자극을 받게 되면 여러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에 관여한다.
따라서 비만세포는 알레르기 반응 중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생리학적, 면역학적, 병리학적 과정, 즉 창상치유, 혈관생성, 기생충과 신생물에 대한 숙주의 반응, 급만성 염증반응과 IgE 매개의 즉각적인 알레르기 반응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알레르기 반응에서 비만세포 활성시 분비되는 매개물질로 혈관의 확장 및 통증의 원인이 되는 생체아민(biogenic amine)인 히스타민과 5-HT(세로토닌)이 있으며, 그 외에도 IL-1, 4, 6, 10, 13, MIF, TNF 등의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하여 염증 및 백혈구(leukocyte)의 이동(migration), 증식(proliferation)을 유도한다.
또한, 인지질 대사물(phospholipid metabolites)인 류코트리엔 B4(leukotrien B4, LTB4), 류코트리엔 C4(leukotrien C4, LTC4), 혈소판활성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 프로스타글란딘 D2(prostaglandin D2, PGD2)를 분비함으로써 백혈구 화학주성(leukocyte chemotaxis), 기도수축 및 통증을 유발한다.
그 외에도 조직손상, 통증, 안지오텐신 합성(angiotensin synthesis)을 유도하는 카이메스(chymase), 트립타아제(tryptase) 등의 효소와 코르티코트로핀분비효소(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CRH), 엔돌핀(endolphins), 엔도텔린(endothelin), 키닌(kinins), 소마토스타틴 물질 P(somatostatin substance P, SP), 혈관작용 소장펩타이드(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우로코르틴(urocortin),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등의 펩타이드를 분비하여 염증, 소양, 통증, 혈관확장 및 기도수축 등의 일련의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제는 알러젠에 의해 비만세포 등에서 분비된 히스타민이나 류코트리엔 등의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환자에게서 투여 후 단기간 내에 내성을 보이기 때문에 환자들의 증상호전을 위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질병의 원인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에는 미비할 뿐만 아니라 약제들에 의한 부작용도 심각한 상황이다(Rabe KF, et al., Eur Respir J Suppl., 34:34s-40s, 2001).
한편, 연꽃(Nelumbo nucifera)은 노란색 꽃이 피는 다년생 수생 식물로서, 음식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 동부지역 특히 중국에서 다양한 의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연꽃의 씨앗은 조직 염증, 암 및 나병 치료 그리고 독약 등의 다양한 용도에 응용되고 있다. 또한, 연꽃의 근경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Jin-Tuarn L., Ying-ShuL., Chien-Jung L., Ann-Ru W., Food Chem. Tox., 45, 486-493 (2007); Dongmei et al., 2007). 또한 연꽃 잎은 지혈 작용을 가지는 전통 중국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고, 실험동물에서도 고지혈증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a Cour et al., 1995).
이외에도 연꽃의 수술은 건조시키면 향기가 좋은 중국차 잎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콩팥세포에서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입증된 바 있다 (Jung et al., 2003). 그러나 지금까지 연꽃 수술 및 자방 추출물이 알레르기 또는 염증 질환 치료효과가 있다는 것은 보고된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연 자방(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및 연 수술(Nelumbo nucifera Gaertn., sta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1차 추출 후,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2차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0.1 내지 100 ㎍/㎖의 농도로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 자방(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및 연 수술(Nelumbo nucifera Gaertn stamen) 추출물은 1-에이코실알코올(1-eicosanol), 시클로아르테놀(cycloartenol), 펜타데카논산(petadecanoic acid), 트랜스-스쿠알렌(trans-squalene, 2,6,10,14,18,22-Tetracosahexaene,2,6,10,15,19,23-hexamethyl), 헥사데카논산 메틸에스테르(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스테로이드 지방산(steroidal lipid)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천식, 아나필락시스 쇼크, 식품 알레르기, 화분증, 약제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두드러기, 습진,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β-hexoxaminidase)의 분비를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면역글로불린 E를 억제하며,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를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L-4(Interleukin 4)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연 자방(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및 연 수술(Nelumbo nucifera Gaertn., sta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을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IgE의 분비를 억제하며, 리폭시게네이즈를 저해함으로써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인체에 적용시, 세포 독성이 낮아 고용량 투여가 가능하다.
도 1은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MTT 분석을 통해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2는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 용매별 분획물의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저해 활성을 측정한 데이터이다.
도 3은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연 수술 추출물, 연 자방 추출물의 처리 농도별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저해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연 수술 추출물, 연 자방 추출물의 처리 농도별 IL-4 생성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아토피 유발 마우스의 혈장 중 IgE의 함량을 측정한 데이터이다.
도 6은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연 수술 추출물, 연 자방 추출물의 아토피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물질인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아토피 치료효과, 피부 염증 억제 효과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 내 "연 자방"은 연씨방, 연방, 연봉으로도 불리며, 연꽃의 씨앗을 둘러싸고 있는 부위를 의미하고, 상기 연 자방은 자방 내에 미성숙 암술 또는 성숙한 암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 자방(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및 연 수술(Nelumbo nucifera Gaertn., sta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을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IgE를 억제하며, 리폭시게네이즈를 저해하여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높은 농도에서도 세포 독성이 낮아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연 수술 추출물 또는 연 자방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베타-헥소미니데이즈의 방출 억제효과, IL-4 방출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토피 유도 마우스에서 스크래치 동작 수가 30% 내지 50%이상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상온 추출 등의 추출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온추출 방법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메탄올로 40℃ 내지 60℃에서 1차 추출한 후,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2차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메탄올의 농도는 60% 내지 100%일 수 있고, 7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메탄올의 농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내의 유효한 화합물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40℃ 내지 60℃일 수 있고, 45℃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추출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면역질환치료 또는 염증질환치료에 효과적인 화합물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고, 추출온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 자방 및 연 수술 내 성분 변화 가능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추출물은 0.1㎍/㎖ 내지 100 ㎍/㎖의 농도로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을 수 있고, 2㎍/㎖ 내지 50㎍/㎖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추출물의 농도가 상기 농도 범위 미만인 경우, 세포 증식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고, 추출물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세포 독성의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100㎍/㎖ 농도에서 94% 이상의 세포증식능을 보였는 바, 본 발명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상기 연 자방(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및 연 수술(Nelumbo nucifera Gaertn., stamen) 추출물은 1-에이코실알코올(1-eicosanol), 시클로아르테놀(cycloartenol), 펜타데카논산(petadecanoic acid), 트랜스-스쿠알렌(trans-squalene, 2,6,10,14,18,22-Tetracosahexaene,2,6,10,15,19,23-hexamethyl), 헥사데카논산 메틸에스테르(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스테로이드 지방산(steroidal lipid)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합물 중 1-에이코실알코올(1-eicosanol), 시클로아르테놀(cycloartenol), 펜타데카논산(petadecanoic acid),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스테로이드 지방산(steroidal lipid)은 우수한 IL-4 방출저해효과를 가지며, 펜타데카논산(petadecanoic acid), 트랜스-스쿠알렌(trans-squalene, 2,6,10,14,18,22-Tetracosahexaene,2,6,10,15,19,23-hexamethyl), 및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은 우수한 β-헥소사미니데이즈 저해 효과를 가진다.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천식, 아나필락시스 쇼크, 식품 알레르기, 화분증, 약제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두드러기, 습진,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염증질환은 피부 염증질환일 수 있고, 아토피 피부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β-hexoxaminidase)의 분비를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면역글로불린 E를 억제하며,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를 저해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L-4(Interleukin 4)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이 연 수술 추출물 또는 연 자방 추출물보다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저해능이 유의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이 연 수술 추출물 또는 연 자방 추출물보다 IL-4 분비 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을 모두 가지는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상기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 자방 및 연 수술(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 sta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고혈압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1-1.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준비
연 자방 및 연 수술은 2008년 7월 17일 음성에서 채취한 후 건조하여 분쇄하였으며, 상기 연 자방은 자방 내에 미성숙 또는 성숙한 암술이 포함된 것을 사용하였다. 그 다음, 34 g을 취해 가속용매추출장치를 이용해 50에서 80% 메탄올로 추출 한 후 감압농축장치로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10.44 g의 조추출물을 얻었다. 연 자방 및 연 수술의 수율은 30.7%로 확인되었다. 그 외 실험에 사용된 연 시료는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추출방법은 동일하게 추진하였다. 여기서 제조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in vitro 실험 및 in vivo 활성실험에 사용하였다.
식물명 학 명 추출부위 산지 채취/입수시기 추출에 사용된 시료량 (g) 수율(%)
Nelumbo nucifera Gaertn. 인삼약초연구소 2008.07.17 11 24.8
Nelumbo nucifera Gaertn. 수술 및 자방 인삼약초연구소 2008.07.17 34 30.7
Nelumbo nucifera Gaertn. 줄기 인삼약초연구소 2008.07.17 43 22.7
Nelumbo nucifera Gaertn. 인삼약초연구소 2008.07.17 23 15.7
Nelumbo nucifera Gaertn. 자방 인삼약초연구소 2008.07.17 59.57 32.2
Nelumbo nucifera Gaertn. 수술 인삼약초연구소 2008.07.17 84.42 27.3
1-2. 분획물 조제 및 성분 분리
2014년 서천 및 함양에서 채취한 연 자방 및 연 수술을 80% 메탄올로 추출한 후 여과하고 40이하의 감압조건으로 용매를 제거하여 조추출물을 얻었다. 이 조추출물에 증류수 200 ㎖를 가하고 n-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각 200 ㎖)로 연속하여 추출하여 용매별 분획물을 얻어 여러가지 활성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렇게 조제된 분획물들 중에서 n-헥산층 5 g은 실리카겔 등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였으며,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메탄: 메탄올의 농도구배를 사용하여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MS 기기분석을 통해 구조를 동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6 종의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여기서 분획된 화합물은 in vitro 활성실험에 사용하였다.
No. 샘플 화학식 분자량 화합물 이름
1 9W C20H42O 298.32 1-Eicosanol
2 9_3 C30H50O 426.72 Cycloartenol
3 10 C15H30O2 242.39 Petadecanoic acid
4 9_11 C30H50 410.71 2,6,10,14,18,22-Tetracosahexaene,2,6,10,15,19,23-hexamethyl
5 16_31 - - Steroidal lipid
6 45_70 C17H34O2 270.25 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7 7W C29H50O 414.71 β-Sitosterol
1-3. 세포의 배양
실험에 사용된 비만 세포(mast cells)인 RBL-2H3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Korean Cell Line Bank, KCLB)에서 구입하였으며, 15% 소태아혈청(FBS), 100 mM 피루브산 나트륨, 페니실린이 보충된 48 웰 배양 플레이트에 2.55 세포수/웰에 분주하여 5% CO2,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2
2-1. 연 부위별 추출물의 세포 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3에서 준비한 비만 세포를 배양 후, 실시예 1-1에서 준비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비만 세포에 24시간 처리하고 음성 대조군으로 용매인 dimethyl sulfoxide (DMSO)를 첨가하였다. 하루 동안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USB, Cleveland, Ohio, USA) 용액 200 ㎍/㎖ 되도록 넣고 3시간동안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 100 ㎕를 첨가한 후 Biotek Synergy HT plate reader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 추출물은 100 ㎍/㎖의 농도에서 매우 높은 세포증식효과를 보였다. 연 꽃잎 추출물의 세포증식효과가 약 96%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세포증식효과가 94%로 높았다.
시료명 사용부위 Cell viability (% of control), 최종농도 100 ㎍/㎖
Nelumbo nucifera Gaertn . 꽃잎 96.7 ±1.2
Nelumbo nucifera Gaertn . 자방 및 수술 94.0 ±1.1
Nelumbo nucifera Gaertn . 61.2 ±1.2
Nelumbo nucifera Gaertn . 줄기 89.9 ±1.6
2-1.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유래 화합물의 세포 독성 평가
상기 실시예 1-3에서 준비한 비만 세포를 배양 후,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유래 화합물을 비만 세포에 24시간 처리하였다. 각 처리 농도는 0.32부터 200 ?M로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용매인 dimethyl sulfoxide (DMSO)를 첨가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R406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하루 동안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USB, Cleveland, Ohio, USA) 용액 200 ㎍/㎖ 되도록 넣고 3시간동안 37, 5% 이산화탄소배양기에서 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 100 ㎕를 첨가한 후 Biotek Synergy HT plate reader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여러가지 용매 분획물에 대한 세포증식효과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연 자방 및 연 수술에서 분리된 화합물들은 세포증식을 크게 억제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으며, 대체로 양성 대조군인 R406보다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화합물들이 세포독성이 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3-1. 연 부위별 추출물의 베타- 헥소사미니데이즈의 방출량 측정
알러지 반응은 염증성 질환의 한 종류로, 비만 세포가 탈과립되어 일어나는데 이때 히스타민이 분비되게 된다. 히스타민은 비만 세포에서 합성, 저장되고 급성 염증반응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는 히스타민과 비만 세포 내에 함께 존재하는 효소로 탈과립에 의해 누출되는 히스타민의 양과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항알러지 효과 확인의 지표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에,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항알러지 반응을 확인하기 위하여,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의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3에서 준비한 비만 세포를 배양한 후, Tyrode'buffer로 교체하고 DNP-Ig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200 ng/㎖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1에서 준비한 연 부위별 추출물을 1시간 전 처리한 후 DNP-BSA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50 ng/㎖을 넣고 2시간 동안 37 에서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얼음 위에서 탈과립 반응을 멈추었다. 96웰 검정 플레이트에 상층액 25 ㎕와 2.4 mM 4-methylumbelliferyl-N-acetyl-b-D-glucosaminid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100 ㎕를 혼합 후 1시간동안 37 에서 배양 하였다. 그 후, 0.1 M 글리신-카보네이트 버퍼 (pH 10.0) 175 ㎕를 첨가하여 반응을 멈추고 Biotek Synergy HT plate reader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형광을 (ex: 360 nm em:450 nm)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20 ㎍/㎖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억제능이 38.3%로 나타나,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억제능을 보였다.
시료명 사용부위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저해율(%), 최종농도 20 ㎍/㎖
Nelumbo nucifera Gaertn . 꽃잎 13.1 ±2.7
Nelumbo nucifera Gaertn . 수술 및 자방 38.3 ±7.7
Nelumbo nucifera Gaertn . 56.3 ±1.5
Nelumbo nucifera Gaertn . 줄기 32.7 ±5.2
3-2. 용매별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베타- 헥소사미니데이즈의 방출량 측정
상기 실시예 3-1과 같은 방법으로 용매별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디클로로메탄 또는 헥산으로 추출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이 높은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억제능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부탄올로 추출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이 높은 억제능을 보였다. 반면,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로 추출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평균 15%대의 낮은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억제능을 보였다.
3-3.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유래 화합물의 베타- 헥소사미니데이즈의 출량 측정
상기 실시예 3-1과 같은 방법으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유래 화합물 3, 4 및 7의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화합물 3, 4 및 7의 IC50은 0.1~3.2 ?M로서 양성대조물질인 R406의 6.8 ?M보다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억제능이 우수하였다.
Sample IC50 (μM)
compound 3 1.1
compound 4 3.2
compound 7 0.1
R406* 6.8
*Positive control : selleck, S2194
3-4.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연 수술 추출물, 연 자방 추출물의 농도별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의 방출량 측정
연 부위별 추출물을 2㎍/㎖, 10㎍/㎖ 및 50㎍/㎖씩 처리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농도 범위에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억제능이 연 수술 추출물 또는 연 자방 추출물보다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4-1. 연 부위별 추출물의 IL-4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능 측정
사이토카인 IL-4의 과량 생산은 알러지 질환과 연관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 4에서는 연 부위별 추출물 처리에 따른 IL-4 사이토카인 생성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준비한 비만세포에, 블랭크 대조군(Blank control), 각 표준물질(양성 대조군 R406) 및 연 부위별 추출물 시료 20 ㎍/㎖씩을 웰에 가한 후 모든 웰에 1?anti-IL-4 50 ㎕를 가하고 커버해서 실온(18~25)에서 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커버를 제거하고 수차례 플레이트를 세척한 후 1?solution 100 ㎕를 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리-커버(re-cover)하고 배양하고 세척하였다. 각 웰에 chromogen TMB substrate solution 100 ㎕를 가한 후 알루미늄 호일에 있는 플레이트를 싸서 실온, 암소에서 10 내지 20 분간 배양하였다. 각 웰에 stop reagent 100 ㎕를 가해 Biotek Synergy HT plate reader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즉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이 다른 부위보다 IL-4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였으며, 세포증식효과도 94%이상으로 매우 좋았다.
시료명 사용부위 IL-4 생성 억제능
Nelumbo nucifera Gaertn . 꽃잎 59.2 ±3.6
Nelumbo nucifera Gaertn . 자방 및 수술 59.2 ±1.2
Nelumbo nucifera Gaertn . 46.5 ±0.4
Nelumbo nucifera Gaertn . 줄기 36.8 ±2.5
4-2.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유래 화합물의 IL-4 방출
상기 실시예 4-1과 같은 방법으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유래 화합물 1, 3, 5 및 7의 IL-4 방출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화합물1, 3, 7이 1.8 내지 5.7 ?M의 IC50을 나타내 양성대조물질인 R406보다 매우 우수하였으며, 화합물 5도 3.0 ㎍/㎖의 IC50를 나타내 3.6 ㎍/㎖의 값을 보인 R406보다도 매우 우수한 IL-4 방출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Sample IC50 (?M) IC50 (㎍/㎖)
compound 1 1.8 -
compound 3 2.7 -
compound 7 5.7 -
R406* 31.3 -
compound 5 - 3.0
R406* - 3.6
*Positive control : selleck, S2194
4-3.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연 수술 추출물, 연 자방 추출물의 농도별 IL-4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능 측정
연 부위별 추출물 시료를 2㎍/㎖, 10㎍/㎖ 및 50㎍/㎖씩 처리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IL-4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능이 2㎍/㎖, 10㎍/㎖ 의 농도에서 연 수술 추출물 또는 연 자방 추출물의 IL-4 생성 억제능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리폭시제네이즈 저해 활성 측정
리폭시게나제(5-LO, 5'는 동?식물체 세포내에 널리 분포하여 염증반응매개, 신호전달 매개 등 여러 가지 생물활성을 나타내는 효소로서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과 같이 분자내에 1,4-cis, cis-pentadiene(1,4-pentadiene) 구조를 갖는 불포화지방산에 분자상 산소를 첨가하여 1,3-cis, trans-diene 5-hydroperoxide를 생성하는 산화효소로 아라키돈산으로부터 각종 염증 및 알러지성 질환에 관여하는 leucotriene 생합성의 첫 번째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구조적, 메커니즘적으로 5-LO와 유사한 SLO (soybean lipoxygenase)를 이용하여 lipoxygen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항알러지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0.1 M 트리스 완충용액 (Tris buffer, pH 8.5) 2 ㎖에 각각의 농도별로 시료 20 ㎕를 첨가하고 기질인 리놀레산 (최종농도 110 ?M) 20 ㎕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soybean lipoxygenase (type , 500 UNIT/최종농도) 20 ㎕를 첨가한 후 5분간 반응시키고, 2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IC50 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폭시제네이즈에 대한 연 자방 및 수술 추출물의 억제효과가 IC50 8.43 ㎍/㎖으로서 양성대조물질인 NDGA의 4.53 ㎍/㎖보다는 낮았으나 비교적 우수한 리폭시제네이즈 저해효과가 우수하였다.
Sample IC50 (㎍/㎖)
Nelumbo nucifera Gaertn . (연, 자방 및 수술) 8.43
NDGA 4.53
*Positive control : NDGA (Nordihydroguaiaretic acid)
실시예 6.
6-1. 실험동물 준비
아토피실험을 위한 실험동물로는 NC/Nga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본 실험에 앞서 1주일이상 실험환경에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사육실은 12시간의 명암주기와 23의 실내온도를 유지시켰고, 사료는 대한바이오링크에서 구입한 멸균된 고형사료를 급여하였고, 자외선으로 살균한 물을 급수하였다.
아토피 유발은 목과 등부위를 제모하고 24시간 후 4% SDS (sodium dodecyl sulfate)로 피부의 barrier disruption을 유도하고 3시간 후 집먼지 진드기를 주 2회씩 14일 동안 총 4회 50 ㎎/회 도포하여 아토피를 유도하였다.
6-2. 2주간 실험 동물에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처리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5% 농도로 50% 에탄올에 녹여 조제한 후 실시예 6-1의 방법으로 준비한 아토피 유발 마우스에 주 6회 13일 동안 매일 오전에 피부에 도포하였다.
6-3.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아토피 유도 마우스 혈청 중 IgE 감소효
상기 실시예 6-1의 방법으로 준비한 마우스의 혈청을 복부대동맥에서 취하여 15분간 냉장보관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 실온에서 2.5 시간 흔들어서 배양하였다. 용액을 버리고 세척한 후 1X Biotinylated IgE Detection Antibody 100 ㎕를 추가하여 흔들면서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고, 다시 용액을 제거하고 세척하였다. 1X HRP-Streptavidin solution 100 ㎕를 추가하고 흔들면서 실온에서 45 분 배양하고, 용액 제거 및 세척을 반복하였다. 그 후 각 웰에 TMB One-Step Substrate Reagent 100 ㎕를 추가하여 실온에서 30 분 배양하고 각 웰에 Stop Solution 50 ㎕를 추가한 후 즉시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아토피 유도로 정상군보다 음성대조군(NC)에서 IgE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연 추출물을 도포한 마우스에서는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이 연잎 추출물보다 더 IgE의 감소효과가 컸으며 이는 양성대조물질(PC, 타크로리무스 연고)보다도 우수하였다.
6-4.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연 자방 추출물, 연 수술 추출물의 아토피 개선효과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의 아토피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6-1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우스 피부에 아토피를 유발하였다. 아토피 유발 마우스에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연 자방 추출물, 연 수술 추출물을 각각 5% 농도로 50% 에탄올에 녹여 조제한 후 6회/주, 6주 동안 매일 오전에 도포하였다.
아토피 유발 시료 도포를 진행한지 39일째에 각 실험동물의 스크레치 행동을 동물행동측정장치(LABORAS, Netherland)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스크래치 동착수가 연 수술 추출물 또는 연 자방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 (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 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메탄올로 추출한 뒤,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2차 추출한 연 자방(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및 연 수술(Nelumbo nucifera Gaertn., sta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0.1 내지 100 ㎍/㎖의 농도로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 자방(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및 연 수술(Nelumbo nucifera Gaertn stamen) 추출물은 1-에이코실알코올(1-eicosanol), 시클로아르테놀(cycloartenol), 펜타데카논산(petadecanoic acid), 트랜스-스쿠알렌(trans-squalene, 2,6,10,14,18,22-Tetracosahexaene,2,6,10,15,19,23-hexamethyl), 헥사데카논산 메틸에스테르(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스테로이드 지방산(steroidal lipid)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천식, 아나필락시스 쇼크, 식품 알레르기, 화분증, 약제 알레르기, 식물 알레르기, 두드러기, 습진,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은 베타-헥소사미니데이즈(β-hexoxaminidase)의 분비를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면역글로불린 E를 억제하며,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를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L-4(Interleukin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메탄올로 추출한 뒤,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부탄올,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로 2차 추출한 연 자방(Nelumbo nucifera Gaertn., ovary) 및 연 수술(Nelumbo nucifera Gaertn., sta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170121812A 2015-11-09 2017-09-21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5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6939 2015-11-09
KR1020150156939 2015-11-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824A Division KR20170054315A (ko) 2015-11-09 2016-11-09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067A KR20170110067A (ko) 2017-10-10
KR101865148B1 true KR101865148B1 (ko) 2018-07-04

Family

ID=590486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824A KR20170054315A (ko) 2015-11-09 2016-11-09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170121812A KR101865148B1 (ko) 2015-11-09 2017-09-21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824A KR20170054315A (ko) 2015-11-09 2016-11-09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54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524A (ko) 2021-01-25 2022-08-0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연자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56682A (zh) * 2022-12-29 2023-04-14 南京植创生物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莲子蛋白肽胶囊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alytica Chimica Acta, 2012, Vol.724, pp.127-135.
Food Sci. Biotechnol., 2015, Vol.24, No.4, pp.1475-1480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1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524A (ko) 2021-01-25 2022-08-02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연자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50914A (ko) 2021-01-25 2023-10-31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연자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067A (ko) 2017-10-10
KR20170054315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389B1 (ko) 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 및 비알러지성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AU2015331082B2 (en)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r fraction of genus Justicia plant
US20230125075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KR20150026579A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794567B1 (ko) 곰보배추 특정 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정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5148B1 (ko) 연 자방 및 연 수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51874A (ko) 탱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0833652B1 (ko) Bace-1의 활성을 저해하는 파고지 종자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111790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6280A (ko) 타히보 추출물 또는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131016A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20130011111A (ko) 피토스테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77202B1 (ko) 감잎으로부터 추출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대한 항균성추출물
KR101403999B1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40043610A (ko) 모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과민성 면역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3462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알러지조성물
KR20170054314A (ko) 오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23463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항알러지 조성물
KR10062962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복분자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148936A (ko) 산꼬리풀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ks 513)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염증,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7657A (ko) 비파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