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046B1 -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046B1
KR101865046B1 KR1020137006148A KR20137006148A KR101865046B1 KR 101865046 B1 KR101865046 B1 KR 101865046B1 KR 1020137006148 A KR1020137006148 A KR 1020137006148A KR 20137006148 A KR20137006148 A KR 20137006148A KR 101865046 B1 KR101865046 B1 KR 101865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shackle
bracket
axle
st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748A (ko
Inventor
미쓰루 에노모토
마노루 아케다
노부히로 시부야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히노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호리키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히노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호리키리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2Links, pins, or b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2Leaf spring longitudin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1장의 리프 스프링(5)의 중간부에서 액슬(2)을 현가하도록 한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며, 리프 스프링(5)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섀클(6)에 대한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의 하방을 향한 기울어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수단과, 섀클(6)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수단(걸어두기 폴(13))을 구비하고, 섀클(6)에 형성되고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을 절손 발생시에 밑에서 지지하는 스톱퍼 플레이트(12)(스톱퍼)에 의해 제 1 규제 수단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DEVICE}
본 발명은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슬(axle)을 프레임에 현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서스펜션 장치에는 각종 형식을 채용한 것이 있지만, 이들 중에서 복수장의 리프 스프링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서스펜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데다가 강도가 커서 내구성도 높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종래부터 트럭 등의 차량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스펜션 장치에 있어서는, 만일, 리프 스프링 중 어느 하나가 절손(折損)되어도 액슬의 위치 결정이 가능해지도록 리프 스프링을 복수장 포개어 장착하는 것이 상식이었지만,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차량 중량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1장의 리프 스프링으로 서스펜션 장치를 구성하여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종류의 리프 서스펜션에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정보로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 등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6-173986호
그러나, 리프 스프링을 1장으로 해 버리면, 액슬을 현가하고 있는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리프 스프링이 절손된 경우에, 그 절손 개소보다 후측의 리프 스프링이 하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여 지면과 접촉하고, 이것을 지지대로 하여 차체가 장대높이뛰기상으로 들려 올라가 차륜이 지면으로부터 이간되어 버릴 우려가 있으며, 예를 들면, 전륜측인 경우에는, 조타 불능이나 제동 불능의 상태에 빠지는 것이 우려되고, 후륜측인 경우에는, 제동 불능 상태나, 구동력을 지면에 전달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지는 것이 우려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되어도,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이 하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여 지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이드 레일의 액슬을 사이에 개재한 전후 위치에 프론트 브래킷과 리어 브래킷을 설치하고, 1장의 리프 스프링의 전단부를 프론트 브래킷에 선회 부착(樞着)하고 또한 후단부를 전후로 요동 자유 자재인 섀클을 개재하여 리어 브래킷에 선회 부착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중간부에서 상기 액슬을 현가하도록 한 서스펜션 장치로서, 상기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상기 섀클에 대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의 하방을 향한 기울어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수단과, 상기 섀클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섀클에 형성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을 절손 발생시에 밑에서 지지하는 스톱퍼에 의해 상기 제 1 규제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면,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섀클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제 2 규제 수단에 의해 규제되는 한편,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이 제 1 규제 수단을 이루는 스톱퍼에 의해 밑에서 지지되어, 리프 스프링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절손된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이 지면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레일의 액슬을 사이에 개재한 전후 위치에 프론트 브래킷과 리어 브래킷을 설치하고, 1장의 리프 스프링의 전단부를 프론트 브래킷에 선회 부착하고 또한 후단부를 전후로 요동 자유 자재인 섀클을 개재하여 리어 브래킷에 선회 부착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중간부에서 상기 액슬을 현가하도록 한 서스펜션 장치로서, 상기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상기 섀클에 대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의 하방을 향한 기울어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수단과, 상기 섀클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단부와 상기 섀클의 연결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단부의 회전을 러버의 전단 변형으로 허용하고 또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을 절손 발생시에 상방으로 튀겨 올리는 반력(反力)을 미리 부여하여 장착된 부시(bush)에 의해 상기 제 1 규제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면,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섀클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제 2 규제 수단에 의해 규제되는 한편,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이 제 1 규제 수단을 이루는 부시의 튀겨 올리는 힘에 의해 들려 올라가고, 리프 스프링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절손된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이 지면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 레일의 액슬을 사이에 개재한 전후 위치에 프론트 브래킷과 리어 브래킷을 설치하고, 1장의 리프 스프링의 전단부를 프론트 브래킷에 선회 부착하고 또한 후단부를 전후로 요동 자유 자재인 섀클을 개재하여 리어 브래킷에 선회 부착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중간부에서 상기 액슬을 현가하도록 한 서스펜션 장치로서, 상기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상기 섀클에 대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의 하방을 향한 기울어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수단과, 상기 섀클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슬의 직후에 설치된 타이 로드(tie-rod)에 형성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을 절손 발생시에 밑에서 지지하는 스톱퍼에 의해 상기 제 1 규제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면,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섀클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제 2 규제 수단에 의해 규제되어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의 후방을 향한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이 제 1 규제 수단을 이루는 스톱퍼에 의해 밑에서 지지되어, 리프 스프링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절손된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이 지면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에 의하면,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되어도, 리프 스프링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할 수 있어,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이 하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여 지면과 접촉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을 지지대로 하여 차체가 장대높이뛰기상으로 들려 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하여 안전성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톱퍼 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톱퍼 플레이트의 추가적인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프 스프링의 절손 발생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시의 상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리프 스프링의 절손 발생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톱퍼 플레이트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톱퍼 플레이트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리프 스프링의 절손 발생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이드 레일(1)의 액슬(2)을 사이에 개재한 전후 위치에 프론트 브래킷(3)과 리어 브래킷(4)을 설치하고, 1장의 리프 스프링(5)의 전단부를 프론트 브래킷(3)에 선회 부착하고 또한 후단부를 전후로 요동 자유 자재인 섀클(6)을 개재하여 리어 브래킷(4)에 선회 부착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5)의 중간부에서 상기 액슬(2)을 현가하도록 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액슬(2)이 리프 스프링(5)의 중간부 하면에 U 볼트(7)를 개재하여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리프 스프링(5)의 전단부가 상방향으로 감겨 아이(8; eye)로서 형성되고, 상기 아이(8)가 사이드 레일(1)측의 프론트 브래킷(3)에 장비(裝備)된 수평 핀(9)에 대해 회동 자유 자재로 감겨 있는 동시에,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단부가 전단부측과 같이 상방향으로 감겨 아이(10)로서 형성되고, 상기 아이(10)가 사이드 레일(1)측의 리어 브래킷(4)에 수평 핀(11')을 중심으로 전후로 요동 자유 자재로 장비된 섀클(6) 하부의 수평 핀(11)에 대해 회동 자유 자재로 감겨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프 스프링(5)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상기 섀클(6)에 대한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의 하방을 향한 기울어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수단으로서, 상기 섀클(6)의 저면부에 전방을 향하여 소요 길이 튀어나오는 스톱퍼 플레이트(12)(스톱퍼)가 장착되어 있고, 절손 발생시에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12)에 의해 밑에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섀클(6)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수단으로서, 상기 섀클(6)의 상단부에 후방을 향하여 소요 길이 튀어나오는 걸어두기 폴(13; retainer pawl)이 돌설되어 있고, 절손 발생시에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12)에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의 하중이 작용하여 섀클(6)이 후방을 향하여 요동하려고 해도, 상기 걸어두기 폴(13)이 리어 브래킷(4)의 단차부(4a)와 걸어 맞춰져 섀클(6)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은 트럭 등의 대상 차량이 정(定)적재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섀클(6)의 걸어두기 폴(13)이 리어 브래킷(4)의 단차부(4a)와 걸어 맞춰져 후방으로의 요동이 규제되는 한편, 스톱퍼 플레이트(12)는 리프 스프링(5)의 하면에 대해 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틈은 공(空)적재 상태가 되어도 약간 남도록 되어 있다.
즉, 리프 스프링(5)의 후단부는 정적재 상태에서 평탄화했을 때에 가장 후방으로 튀어나오게 되기 때문에, 정적재 상태에서 섀클(6)의 걸어두기 폴(13)이 리어 브래킷(4)의 단차부(4a)와 걸어 맞춰져 후방으로의 요동이 규제되도록 해 두면, 섀클(6)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스톱퍼 플레이트(12)와 리프 스프링(5)의 하면의 틈이 공적재 상태가 되어도 약간 남도록 해 두면, 서스펜션 스트로크 범위에서 스톱퍼 플레이트(12)가 리프 스프링(5)의 하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스톱퍼 플레이트(12)에 의해 규제되는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의 기울어 움직임 각도는, 액슬(2)의 직후에서 리프 스프링(5)에 절손이 발생하여 후방 부분 길이가 가장 커지는 케이스라도,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의 지면(G)으로의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각도 범위 내에서 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12)에 하방으로 휘어지는 곡면 형상을 부여하여 리프 스프링(5)의 하면에 대해 곡면 부분이 선 접촉으로 닿도록 하거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톱퍼 플레이트(12)의 상면에 러버(14)를 장착하거나 하여, 스톱퍼 플레이트(12) 선단의 엣지 부분이 리프 스프링(5)의 하면에 닿지 않도록 하면, 스톱퍼 플레이트(12)와 리프 스프링(5)이 접촉했을 때에 발생하는 소리가 경감된다.
또한, 여기에 도시하고 있는 예에서는 별도 부품의 스톱퍼 플레이트(12)를 섀클(6)의 저면부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지만, 섀클(6)의 저면부에 스톱퍼 플레이트(12)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서스펜션 장치를 구성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5)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섀클(6)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걸어두기 폴(13)과 리어 브래킷(4)의 단차부(4a)가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규제되는 한편,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스톱퍼 플레이트(12)에 의해 밑에서 지지되고, 리프 스프링(5)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절손된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지면(G)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리프 스프링(5)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되어도, 리프 스프링(5)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할 수 있어,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하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여 지면(G)과 접촉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을 지지대로 하여 차체가 장대높이뛰기상으로 들려 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하여 안전성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에 제 1 규제 수단을 스톱퍼 플레이트(12)에 의해 구성하고 있었던 것 대신,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단부와 상기 섀클(6)의 연결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단부의 회전을 러버(15, 16, 17)의 전단 변형으로 허용하고 또한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을 절손 발생시에 상방으로 튀겨 올리는 반력을 미리 부여하여 장착된 부시(18)에 의해 제 1 규제 수단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즉, 리프 스프링(5)의 후단부의 아이(10)를 섀클(6) 하부의 수평 핀(11)에 감을 때에는, 수평 핀(11)과 아이(10) 사이에 부시(18)가 개장(介裝)되게 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 부시(18)를 리프 스프링(5)의 후단부의 아이(10)와 수평 핀(11)에 대해 회동 불가능한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끼워 맞추고, 리프 스프링(5)의 후단부의 회전을 러버(15, 16, 17)의 전단 변형으로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부시(18)의 축심과 직각인 방향의 강성은 높게 하여 조종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한, 회전 강성은 낮게 하여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하고, 게다가, 러버(15, 16, 17)의 회전 변형은 최대한 작게 하여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기 때문에, 도 6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시(18)의 내통(19)과 외통(20) 사이에 개장되는 원통상의 러버(15, 16, 17)를 인터 링(21, 22)을 사이에 개재하면서 반경 방향으로 적층한 동심상의 다중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그 조립시에는, 도 6의 부시(18)를 미리 리프 스프링(5)의 아이(10)에 장착해 두고, 이것을 차량에 장착할 때에, 상하 하중을 가하여 리프 스프링(5)을 상방을 향하여 활 모양으로 휘어지게 한 상태로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섀클(6) 하부에 대해 수평 핀(11)이나 볼트·너트를 개재하여 상기 부시(18)의 내통을 일체적으로 축지시키고, 상기 상하 하중을 풀어서 리프 스프링(5)을 휘어진 상태로부터 통상의 사용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하면 좋고, 이와 같이 하면, 절손 발생시에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을 상방으로 튀겨 올리는 반력이 미리 부여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서스펜션 장치를 구성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5)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섀클(6)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걸어두기 폴(13)과 리어 브래킷(4)의 단차부(4a)가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규제되는 한편,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부시(18)의 튀겨 올리는 힘에 의해 들려 올라가 리프 스프링(5)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절손된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지면(G)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리프 스프링(5)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되었을 때에, 리프 스프링(5)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할 수 있어,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하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여 지면(G)과 접촉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을 지지대로 하여 차체가 장대높이뛰기상으로 들려 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하여 안전성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특히 전륜측의 액슬(2)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상기의 제 1 실시예의 경우에 제 2 규제 수단을 스톱퍼 플레이트(12)에 의해 구성하고 있었던 것 대신, 상기 액슬(2)의 직후에 설치되어 있는 타이 로드(23)에 후방을 향하여 소요 길이 튀어나오는 스톱퍼 플레이트(24)(스톱퍼)가 장착되어 있고, 절손 발생시에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24)에 의해 밑에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섀클(6)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수단으로서, 상기 섀클(6)의 상단부에 후방을 향하여 소요 길이 튀오나오는 걸어두기 폴(13)이 돌설되어 있고, 절손된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을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24)로 밑에서 지지할 때에,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스톱퍼 플레이트(24) 위에서부터 지면으로 탈락되어 버리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걸어두기 폴(13)에 의해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의 후방을 향한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24)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톱퍼 플레이트 본체(24a)와 베이스 플레이트(2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톱퍼 플레이트 본체(24a)의 기단(基端)부와 베이스 플레이트(24b) 사이에서 타이 로드(23)를 클램프 하도록 하여 볼트·너트로 체결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서스펜션 장치를 구성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5)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섀클(6)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걸어두기 폴(13)과 리어 브래킷(4)의 단차부(4a)가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규제되어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의 후방을 향한 이동이 규제되는 한편,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스톱퍼 플레이트(24)에 의해 밑에서 지지되어 리프 스프링(5)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절손된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지면(G)에 접촉할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제 3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리프 스프링(5)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되었을 때에, 리프 스프링(5)의 하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할 수 있고,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이 하방향으로 기울어 움직여 지면(G)과 접촉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 스프링(5)의 후방 부분을 지지대로 하여 차체가 장대높이뛰기상으로 들려 올라가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하여 안전성의 대폭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서스펜션 장치는 상기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 사이드 레일
2 액슬
3 프론트 브래킷
4 리어 브래킷
5 리프 스프링
6 섀클
12 스톱퍼 플레이트(스톱퍼: 제 1 규제 수단)
13 걸어두기 폴(제 2 규제 수단)
14 러버
15 러버
16 러버
17 러버
18 부시(제 1 규제 수단)
23 타이 로드
24 스톱퍼 플레이트(스톱퍼: 제 1 규제 수단)
G 지면

Claims (3)

  1. 삭제
  2. 사이드 레일의 액슬을 사이에 개재한 전후 위치에 프론트 브래킷과 리어 브래킷을 설치하고, 1장의 리프 스프링의 전단부를 프론트 브래킷에 선회 부착하고 또한 후단부를 전후로 요동 자유 자재인 섀클을 개재하여 리어 브래킷에 선회 부착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중간부에서 상기 액슬을 현가하도록 한 서스펜션 장치로서,
    상기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상기 섀클에 대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의 하방을 향한 기울어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수단과, 상기 섀클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단부와 상기 섀클의 연결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단부의 회전을 러버의 전단 변형으로 허용하고 또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을 절손 발생시에 상방으로 튀겨 올리는 반력을 미리 부여하여 장착된 부시에 의해 상기 제 1 규제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서스펜션 장치.
  3. 사이드 레일의 액슬을 사이에 개재한 전후 위치에 프론트 브래킷과 리어 브래킷을 설치하고, 1장의 리프 스프링의 전단부를 프론트 브래킷에 선회 부착하고 또한 후단부를 전후로 요동 자유 자재인 섀클을 개재하여 리어 브래킷에 선회 부착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중간부에서 상기 액슬을 현가하도록 한 서스펜션 장치로서,
    상기 리프 스프링이 중간부보다 후측에서 절손된 경우에 상기 섀클에 대한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의 하방을 향한 기울어 움직임을 규제하는 제 1 규제 수단과, 상기 섀클의 후방을 향한 소정 각도 이상의 요동을 규제하는 제 2 규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액슬 직후에 설치된 타이 로드에 형성되고 상기 리프 스프링의 후방 부분을 절손 발생시에 밑에서 지지하는 스톱퍼에 의해 상기 제 1 규제 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서스펜션 장치.
KR1020137006148A 2010-08-31 2011-08-26 서스펜션 장치 KR101865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3544A JP5735235B2 (ja) 2010-08-31 2010-08-31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JP-P-2010-193544 2010-08-31
PCT/JP2011/004753 WO2012029266A1 (ja) 2010-08-31 2011-08-26 サスペンショ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748A KR20140022748A (ko) 2014-02-25
KR101865046B1 true KR101865046B1 (ko) 2018-06-08

Family

ID=4577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148A KR101865046B1 (ko) 2010-08-31 2011-08-26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73933B2 (ko)
EP (1) EP2612774B1 (ko)
JP (1) JP5735235B2 (ko)
KR (1) KR101865046B1 (ko)
CN (1) CN103189220B (ko)
BR (1) BR112013004759A2 (ko)
ES (1) ES2715225T3 (ko)
MX (1) MX342162B (ko)
WO (1) WO2012029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7349A1 (de) * 2015-10-12 2017-04-1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Befestigungsschäkel zur befestigung einer blattfeder an einem fahrzeugaufbau
IT201800009056A1 (it) * 2018-10-01 2020-04-01 Iveco Magirus Sospensione per un veicolo pesante provvista di un dispositivo di sicurezza
US11167614B2 (en) 2019-02-19 2021-11-09 Rassini Suspensiones, S.A. De C.V. Progressive rate leaf spring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2388A (en) * 1937-06-09 1939-03-28 J F Darby Spring shackle
US2843395A (en) * 1956-08-29 1958-07-15 Peterbilt Motors Company Rear end suspension
US2973951A (en) * 1958-01-21 1961-03-07 Metalastik Ltd Spring assemblies
US3841655A (en) * 1971-12-30 1974-10-15 Sauer Achsenfab Spring suspension for motor vehicle axles
JPS5728007U (ko) * 1980-07-25 1982-02-13
JPS5960009U (ja) * 1982-10-15 1984-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ヤツクル
US4872653A (en) * 1988-04-11 1989-10-10 Chuchua Brian N Shackle for use in limiting the movement of an end of a leaf spring in a wheeled vehicle
JPH0426873U (ko) * 1990-06-28 1992-03-03
JP2878540B2 (ja) 1992-12-10 1999-04-05 三菱製鋼株式会社 車両懸架装置用板ばね装置
ZA9892B (en) * 1997-01-09 1998-07-08 Antonette Irene Lamberti Leaf spring stabiliser
US6601836B1 (en) * 2000-08-08 2003-08-05 The Boler Company Leaf spring eye wrap scarf gap cover component
US6951343B2 (en) * 2003-03-06 2005-10-04 Bds Co. Inc. Vehicle suspension apparatus
SE527302C2 (sv) * 2004-06-16 2006-02-07 Volvo Lastvagnar Ab En anordning för upphängning av en bladfjäder hos ett fordon
US20080128968A1 (en) * 2006-11-30 2008-06-05 Platner David K Composite spring with bushing attachment
CN201280041Y (zh) * 2008-08-08 2009-07-29 河南省树民动力机械制造有限公司 机车中置减震缓冲装置
CA2686020C (en) * 2008-11-24 2018-10-16 Standen's Limited Device for limiting rotation of an axle in a leaf spring eye and suspension system featuring same
JP5422247B2 (ja) * 2009-04-09 2014-02-19 日本発條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2774A4 (en) 2014-06-11
JP5735235B2 (ja) 2015-06-17
JP2012051404A (ja) 2012-03-15
BR112013004759A2 (pt) 2016-08-02
CN103189220B (zh) 2015-11-25
US8973933B2 (en) 2015-03-10
EP2612774B1 (en) 2019-02-20
US20130140786A1 (en) 2013-06-06
ES2715225T3 (es) 2019-06-03
KR20140022748A (ko) 2014-02-25
MX2013002424A (es) 2013-08-01
MX342162B (es) 2016-09-15
CN103189220A (zh) 2013-07-03
EP2612774A1 (en) 2013-07-10
WO2012029266A1 (ja)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8241B2 (en) Leaf spring attachment member
US8998183B2 (en) Suspension apparatus
JP2010173642A (ja) シャックルアッセンブリ
KR101865046B1 (ko) 서스펜션 장치
WO2005095153A1 (en) Quick evacuation of air in an air sprung chair
US20070069495A1 (en) Air suspension system for use on a motor vehicle
KR101849067B1 (ko) 서스펜션 장치
CN110719853A (zh) 车辆轮轴的悬架系统
KR100462680B1 (ko) 화물차 캡의 틸팅 제어장치
JP3783450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14138729U (zh) 一种驾驶室前悬置装置
KR100501385B1 (ko) 화물 차량 캡의 피칭모션억제장치
CN103079941B (zh) 用于四点悬置式卡车驾驶室的可折叠型安全撑杆机构
JP2001302194A (ja) フォークリフトの緩衝用アタッチメント
JPH11245639A (ja) トーションバによる衝撃エネルギー吸収構造
CN107878140B (zh) 一种车辆
JP2004237749A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後輪支持装置
JP2020138685A (ja) 作業車
CN115783067A (zh) 一种轻型货车驾驶室前悬置装置及轻型货车
JPH0211408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01098096A1 (en) Suspension lock-out system and methodology
EP1506917A3 (en) Stabilization device for vehicle
JPH0665169U (ja) キヤブの前後振動吸収装置
JPH0661666U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