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972B1 - 일축 편심 나사 펌프 - Google Patents

일축 편심 나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972B1
KR101864972B1 KR1020167014162A KR20167014162A KR101864972B1 KR 101864972 B1 KR101864972 B1 KR 101864972B1 KR 1020167014162 A KR1020167014162 A KR 1020167014162A KR 20167014162 A KR20167014162 A KR 20167014162A KR 101864972 B1 KR101864972 B1 KR 10186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asing
engaging
holder
engag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449A (ko
Inventor
아츠시 타니토
타카시 사토
Original Assignee
헤이신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이신 엘티디. filed Critical 헤이신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78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 F04C2/1071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 F04C2/1073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with helical teeth the inner and outer member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threads and one of the two being made of elastic materials, e.g. Moineau type where one member is stationary while the other member rotates and orbits
    • F04C2/1075Construction of the stationary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57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or pumps
    • F04C15/0061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 F04C15/0065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from the prime mover to driven parts of the pump, e.g. clutches, couplings, transmissions for eccentric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Abstract

제1 걸림수부를 갖는 케이싱(6)과, 케이싱(6)에 연접되어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8)와, 스테이터(8)에 삽입 통과 가능하고 수나사형의 축체로 이루어지는 로터(9)와, 제2 걸림수부를 가지고 케이싱(6)과는 반대측에서 스테이터(8)에 연접되는 엔드 스터드(10)와, 스테이터(8)를 케이싱(6)과 엔드 스터드(10)의 사이에 유지하는 홀더(23)를 구비한다. 홀더(23)는 케이싱(6)의 제1 걸림수부에 걸리는 제1 걸림부(38)와, 엔드 스터드(10)의 제2 걸림수부에 걸리는 제2 걸림부(39)와, 제1 걸림부(38)와 제2 걸림부(39)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부(3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일축 편심 나사 펌프{UNIAXIAL ECCENTRIC SCREW PUMP}
본 발명은 일축 편심 나사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축 편심 나사 펌프로서 출력축에 직결된 수나사 모양의 로터와, 하우징 내에 베어링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동시에, 그 회전축선이 로터의 회전축선에 대해서 편심하여 배치되는 암나사 모양의 내면을 가지는 스테이터를 구비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일축 편심 나사 펌프는, 하우징이 본체부의 양단부에 흡입부와 토출부를 각각 나사 고정한 구성이다.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스테이터는 수지제의 소모품으로서 정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는데, 나사를 느슨하게 하여 본체부로부터 흡입부와 토출부를 분해하고, 그 후 장착하는 작업은 귀찮고 번거로운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출원 2012-17660호 공보
본 발명은 소모품인 스테이터의 교환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1 걸림수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연접되어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삽입 통과 가능하고, 수나사형의 축체로 이루어지는 로터와,
제2 걸림수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싱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연접되는 엔드 스터드와,
상기 스테이터를 상기 케이싱과 상기 엔드 스터드 사이에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케이싱의 제1 걸림수부에 걸리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엔드 스터드의 제2 걸림수부에 걸리는 제2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부를 갖추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를 제공한다.
이 구성에 의해, 조정부에 의해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의 간격을 넓게 하는 것만으로도, 제1 걸림수부로부터 제1 걸림부를 이탈시킴과 함께, 제2 걸림수부로부터 제2 걸림부를 이탈시켜서, 로터로부터 스테이터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새로운 스테이터로 교환하는 경우, 그 중심 구멍에 로터를 삽입 통과한 상태로, 케이싱의 제1 걸림수부에 제1 걸림부를 걸고, 엔드 스터드의 제2 걸림수부에 제2 걸림부를 걸어둠으로써, 홀더에 의해 케이싱과 엔드 스터드 사이에 스테이터를 유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조정부에 의해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의 간격을 좁게 하는 체결을 실행함으로써, 케이싱과 엔드 스터드 사이에 스테이터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 걸림수부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이고, 상기 스테이터와는 반대측의 면에 제1홈을 가지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적어도 상기 제1홈에 걸리는 제1 걸림쇠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1홈에 제1 걸림쇠를 걸어둠으로써, 케이싱의 제1 플랜지부에 대한 홀더의 제1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안정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조정부에 의한 체결을 실시하기 전의 스테이터의 유지 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체결작업을 순조롭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 걸림수부는 상기 엔드 스터드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로서, 상기 스테이터와는 반대측의 면에 제2홈을 가지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홈에 걸리는 제2 걸림쇠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2홈에 제2 걸림쇠를 걸어둠으로써, 한층 더 조정부에 의해 체결하기 전의 스테이터의 유지 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체결작업을 순조롭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스테이터를 그 축심이 연직 방향과 합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케이싱을 상기 스테이터의 상방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케이싱의 제1 플랜지부에만 홈부를 형성하고, 홀더의 제1 걸림부에만 걸림쇠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조정부에 의한 체결작업 전의 유지 상태를 보다 더 안정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홀더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제1 걸림부의 걸림쇠는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부의 홈부는 상기 걸림쇠를 걸림 가능한 원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홀더의 걸림쇠가 상기 홈부에 걸린 상태로, 인접하는 걸림쇠가 서로 맞닿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스테이터의 주위에서 홀더끼리의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있고, 밸런스 좋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홀더는 2개이고,
상기 걸림쇠는 180도의 범위로 각각 형성하면 좋다.
상기 홀더의 조정부는, 양단측에 형성되는 나사 절삭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또는 암나사부와, 중간부에 형성되는 회전 조작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회전 조작부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조정부에 의해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의 간격을 동시에 조정할 수가 있어, 작업성을 보다 더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터 내에 로터를 삽입 통과한 상태로, 케이싱의 제1 걸림수부에 제1 걸림부를 걸고, 엔드 스터드의 제2 걸림수부에 제2 걸림부를 걸게 하였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탈부착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펌프 장치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축 편심 나사 펌프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개략 정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방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방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a)은 도 5의 홀더의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엔드 스터드의 일부와 유량 안정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일축 편심 나사 펌프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개략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개략 정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특정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 「측」, 「단」을 포함한 용어)를 이용하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펌프 장치(1)를 나타낸다. 이 펌프 장치(1)는 탱크(2) 내에 수용한 유동체를 일축 편심 나사 펌프(3)로 일정량씩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탱크(2)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피반송물인 유동체(예를 들면, 도공액)가 수용되어 있다. 탱크(2)의 상부에는 제1 접속관(4)이 접속되어 있다. 또, 탱크(2)의 저면은 경사져 있고, 가장 낮아진 위치(하단부)에는 제2 접속관(5)이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관(4)은 일축 편심 나사 펌프(3)의 펌프 케이싱(6)의 상단부에 설치한 커플링 커버(19)(후술한다)에 접속되고, 제2 접속관(5)은 펌프 케이싱(6)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일축 편심 나사 펌프(3)는 펌프 케이싱(6)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기(7), 하단부에 설치된 스테이터(8), 로터(9) 및 엔드 스터드(10)와, 구동기(7)로부터의 동력을 로터(9)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11)를 구비한다.
펌프 케이싱(6)은 금속재료를 통 모양으로 한 것으로, 하부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통관(6a)이 연장되어 있다. 연통관(6a)에는 상기 제2 접속관(5)이 접속된다. 또, 펌프 케이싱(6)의 내부에는 커플링 로드(12)가 수용되어 있다. 커플링 로드(12)의 상단부는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1수나사부(12a)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1수나사부(12a)는 펌프 케이싱(6)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커플링(13)에 나합(Threadedly engaged)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커플링(13)은 커플링 로드(12)의 제1수나사부(12a)가 나합되는 축부(14)와, 구동기(7)의 출력축(7a)에 고정되는 출력축 삽입부(15)로 이루어진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출력축 삽입부(15)는 약 C자형으로, 그 둘레방향 양단부에 나합한 볼트(15a)를 체결함으로써 출력축(7a)을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축부(14)의 외주면에는 환상 플레이트(16)가 장착되어 있다. 즉, 축부(14)의 외주면에는 환상 홈이 형성되고, 거기에는 고무제의 환상 플레이트(16)가 장착되어 있다. 축부(14)의 하단부는 환상 플레이트(16)로부터 하방측으로 돌출되고, 환상 플레이트(16)와 단부(17)를 구성하고 있다. 또, 축부(14)의 하단 외주연부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환상 볼록부(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환상 플레이트(16), 단부(17) 및 환상 볼록부(18)에 의해, 바이센베르크 효과로 유동체가 커플링(13)측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만, 환상 플레이트(16), 단부(17) 또는 환상 볼록부(18) 중 적어도 1개가 있으면, 유동체의 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커플링(13) 및 펌프 케이싱(6)의 상단부는 커플링 커버(19)로 덮여 있다. 커플링 커버(19)는 금속재료를 통 모양으로 한 것으로, 상부 측면으로부터 측방을 향해 연통관(20)이 연장되어 있다. 커플링 커버(19)의 상단 개구부에는 플랜지부(19a)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점대칭 위치 2곳에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9b)이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미리 구동기(7)의 하단면에 나합한 볼트(19d)를, 커플링 커버(19)의 플랜지부(19a)에 형성한 긴 구멍(19b)의 지름 확대 부분에 삽입 통과시켜서 커플링 커버(19)를 회전시킨 후, 볼트(19d)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커플링 커버(19)는 패킹(19c)을 통해 밀착한 상태로 구동기(7)의 하단면에 고정된다. 커플링 커버(19)의 하단 개구부는 내경측으로 돌출하고, 그 내주면에 설치한 패킹(19e)을 통해 펌프 케이싱(6)의 외주면에 밀착하고 있다. 연통관(20)에는 상기 탱크(2)에 접속한 제1 접속관(4)이 접속되어 있다. 또, 구동기(7)로부터 돌출하는 출력축(7a)의 기저부에는 오일씰(19f)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플링 커버(19) 내에는, 패킹(19c, 19e) 및 오일씰(19f)에 의해 밀폐상태로 할 수 있고, 커플링 커버(19) 내를 N2 퍼지하기에 좋다. 또, 오일씰(19f) 자체는 원래 구동기(7)에 설치된 것이므로, 새롭게 패킹을 추가할 필요가 없고, 구조를 간소화하여 저렴하게 대응할 수가 있다.
도 5에 나타내듯이, 펌프 케이싱(6)의 하단 개구부에는 제1 걸림수부인 플랜지부(21)가 일체화되어 있다. 플랜지부(21)의 상면에는 제1 환상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환상홈(22)에는, 후술하는 홀더(23)의 제1 걸림쇠(43A)가 걸린다. 펌프 케이싱(6)의 하단 개구부의 중심 위치에는 커플링 로드(12)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커플링 로드(12)의 하단부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2수나사부(12b)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로터(9)에 나합한다.
펌프 케이싱(6)의 하단부에는 스테이터(8)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동력전달기구(11)를 통해서 구동기(7)로부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로터(9)가 삽입되어 있다. 스테이터(8)의 선단부분에는 엔드 스터드(1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8) 및 로터(9)는, 펌프 케이싱(6)과 엔드 스터드(10)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홀더(23)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스테이터(8)는 통 모양의 외장체(24)와 그 내면에 밀착한 상태로 배치되는 스테이터 본체(25)로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본체(25)는 이송하는 재료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되는 고무, 수지 등의 탄성 재료를 통 모양(예를 들면,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 스테이터(8)의 중심구멍은 그 내주면이 n개로 단단 또는 다단의 암나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로터(9)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축체를 n-1개로 단단 혹은 다단의 수나사 형상으로 한 것이다. 로터(9)는 스테이터(8)의 중심구멍 내에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이송공간(26)을 형성한다. 로터(9)의 일단부는 펌프 케이싱(6)측의 커플링 로드(12)에 연결되고, 구동기(7)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스테이터(8)의 내측에서 자전함과 동시에 스테이터(8)의 내주면을 따라서 공전한다. 즉, 로터(9)는 스테이터(8)의 중심구멍 내에서 편심 회전함으로써, 이송공간(26) 내의 재료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엔드 스터드(10)는 금속재료를 통 모양으로 한 것으로, 그 축심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통부(27)가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터(8) 및 로터(9)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공간(26)의 개구부와 연통하고 있다. 연통부(27)의 상단 개구부에는 플랜지부(27a)가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제2 환상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환상홈(28)에는 후술하는 홀더(23)의 제2 걸림쇠(43B)가 걸린다.
도 8에 나타내듯이, 엔드 스터드(10)의 측면부의 개구에는 유량 안정 부재(29)가 장착되어 있다. 유량 안정 부재(29)는, 일단 개구부를 엔드 스터드(10) 측에 접속되는 메인 하우징(30)과, 이 메인 하우징(30)의 타단 개구부를 폐쇄하는 서포트 하우징(31)을 구비한다. 양 하우징(30, 31)에 의해 형성되는 내주부(32)는, 외경측으로 지름을 확대하고 있고, 그 환상 양 단면에는 환상홈(3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주부(32)에는 통 모양의 탄성체(33)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체(33)는 경질 슬리브(34)의 내주면에 스펀지(35)를 점착하고, 추가로 그 내주면에 고무 튜브(36)를 점착한 것이다. 고무 튜브(36)의 양단부에는 상기 환상홈(32a)에 위치하는 환상 볼록부(36a)가 형성되고, 내주면은 엔드 스터드(10)의 개구부의 내경 치수와 일치한다.
상기 구성의 유량 안정 부재(29)에 의하면, 엔드 스터드(10)로부터 토출되는 유동체의 유량이 변동하면, 그 변동량에 따라서 고무 튜브(36) 및 스펀지(35)가 외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에 따라, 미세한 유동량의 변동이면, 유량 안정 부재(29)로 흡수하고, 이 유량 안정 부재(29)를 통과한 후의 유동체의 유동 상태를 안정시킬 수가 있다.
도 5 및 도 7(b)에 나타내듯이, 홀더(23)는 조정부인 스테이 볼트(37)의 양단부에 제1 걸림부(38)와 제2 걸림부(39)를 각각 나합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홀더(23)는 제1 홀더(40)으로 제2 홀더(41)로 이루어지는 2개 1세트로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 볼트(37)는, 양단부 외주면에 제1수나사(37a)와 제2수나사(37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수나사(37a)와 제2수나사(37b)는, 그 나사 절삭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스테이 볼트(37) 자체는 단면이 정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축심과 평행한 한 쌍의 평탄면(37c)이 3세트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면(37c)은 스패너 등의 공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스테이 볼트(37)를 축심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여기에서는, 정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 3세트의 평탄면으로 구성했지만, 한 쌍의 평탄면(37c)(예를 들면, 중앙부에 설치한 부분적인 것이어도 좋다.), 사각기둥 등, 공구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구성이면, 어느 것을 채택해도 좋다.
제1 걸림부(38) 및 제2 걸림부(39)는, 각각 한 쌍의 반원부(42)(도 7(a)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반원부(42)로 원통 모양의 외주면 및 내주면이 형성된다. 외주면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해 형성되는 큰 지름부(42a), 원추부(42b) 및 작은 지름부(42c)로 이루어진다. 또, 내주면은 일단부가 내측으로 돌출하고, 그 선단이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며, 축심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쇠(43)로 되어 있다. 제1 걸림부(38)의 걸림쇠(43)(제1 걸림쇠(43A))는, 펌프 케이싱(6)의 플랜지부(21)에 형성한 제1 환상홈(22)에 걸 수 있게 되어 있다. 제2 걸림부(39)의 걸림쇠(43)(제2 걸림쇠(43B))는, 엔드 스터드(10)의 연통부(27)의 플랜지부(27a)에 형성한 제2 환상홈(28)에 걸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일방의 걸림부(38 또는 39)의 양 반원부(42)의 걸림쇠(43)를 환상홈(22 또는 28)에 걸은 상태에서는, 반원부(42)의 둘레방향의 단부끼리 대향 또는 맞닿음으로써 둘레방향의 상대적인 위치가 결정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걸림쇠(43)(제1 걸림쇠(43A) 및 제2 걸림쇠(43B))는 원호 모양이고, 대응하는 제1 환상홈(22) 및 제2 환상홈(28)의 걸림 위치를 회전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펌프 케이싱(6) 및 엔드 스터드(10)의 회전 방향의 위치는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며, 펌프 케이싱(6)의 연통관(6a) 및 엔드 스터드(10)의 토출구의 위치를 원하는 회전 방향 위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력전달기구(11)는 상기 커플링(13) 및 상기 커플링 로드(12)에 의해 구성되고, 구동기(7)의 구동력을 로터(9)에 전달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3)는, 도 9에 나타내는 브래킷(44)을 통해서 지지벽(45)에 지지된다. 브래킷(44)은 펌프 케이싱(6)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클램프(46)와, 이 클램프(46)를 지지하는 브래킷 본체(47)로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46)는 선단 부분을 볼트·너트로 체결함으로써 환상이 되어, 펌프 케이싱(6)의 외주면에 압접한다. 브래킷 본체(47)에는 측부 테두리로부터 노치(48)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원형 모양으로 확장된 유지 구멍부(48a)로 되어 있다. 지지벽(45)에 설치한 볼트(49)를 노치에 삽입 통과하고, 유지 구멍부(48a)에 위치시킨 상태로 볼트(49)를 체결함으로써, 지지벽(45)에 대해서 브래킷(44)을 통하여 일축 편심 나사 펌프(3)를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펌프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탱크(2) 내의 유동물을 토출시키는 경우, 구동기(7)를 구동하고, 커플링(13) 및 커플링 로드(12)를 통해서 로터(9)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8)의 내주면과 로터(9)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공간(26)이 이들의 길이방향, 즉,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탱크(2)로부터 토출된 유동물이 이송공간(26)에 흡입되어 엔드 스터드(10)로 이송된다. 그리고 엔드 스터드(10)에 다다른 유동물은, 여기서 방향이 변환되어 유량 안정 부재(29)에 의해 유동 상태를 안정시키면서 더 이송된다.
그런데, 상기 펌프 장치(1)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구성된 스테이터(8)가 로터(9)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마모되어, 유동물을 적절히 이송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이 하여 스테이터(8)를 교환한다.
즉, 볼트(19d)를 느슨하게 하여 구동기(7)로부터 커플링 커버를 제거하고, 펌프 케이싱(6)을 따라서 하방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볼트(15a)를 느슨하게 하여 구동기(7)의 출력축(7a)과 커플링(13)의 연결상태를 해제한다. 또, 제1 접속관(4)과 연통관(20)의 접속, 및 제2 접속관(5)과 연통관(6a)의 접속을 각각 해제한다. 이 때, 탱크(2)로부터 유동물이 유출하지 않도록 제1 접속관(4) 및 제2 접속관(5)를 폐쇄해 둔다.
이어서, 볼트(49)를 느슨하게 하여 브래킷(44)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일축 편심 나사 펌프(3)를 구동기(7)보다 하방측 부분(종동부(3a))에서 제거한다. 제거한 종동부(3a)는 상기 지지벽(45) 외에 다른 위치에 설치한 상기 볼트(49)와 같은 볼트(도시하지 않음. 핀 등 나합할 수 없는 구성이어도 좋다.)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이 위치 결정은 볼트(49)보다도 상방측의 교환 위치에서 실시한다. 즉, 볼트(49)에 의한 종동부(3a)의 위치 결정은, 설치 상태에서의 일축 편심 나사 펌프의 전체 높이를 억제하기 위해, 최하단에 위치하는 엔드 스터드(10)의 하부가 바닥면의 근방이 되는 설치위치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 설치위치에서는 로터(9)로부터 스테이터(8)를 빼내기 위한 빼냄공간(범위)를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구동기(7)로부터 종동부(3a)를 떼어내어, 적어도 빼냄공간(범위)를 확보 가능한 만큼, 설치위치에 대해 상방에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종동부(3a)가 교환 위치에 위치가 결정되면, 제1 홀더(40) 및 제2 홀더(41)의 스테이 볼트(37)를 도시하지 않은 공구로 회전시키고, 그 양단부에 각각 설치한 제1 걸림부(38)와 제2 걸림부(39)의 나합 상태를 점점 느슨하게 한다. 이 때, 스테이 볼트(37)의 양단부에서는 수나사부(37a, 37b)가 역나사로 되어있기 때문에, 스테이 볼트(37)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양방의 걸림부(38, 39)와의 나합 상태를 동시에 느슨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걸림부(38)와 제2 걸림부(39)의 거리가 벌어지면, 제1 걸림쇠(43A)가 펌프 케이싱(6)의 제1 환상홈(22)으로부터 이탈함과 동시에, 제2 걸림쇠(43B)가 엔드 스터드(10)의 제2 환상홈(28)으로부터 이탈한다. 이처럼 홀더(23)에 의한 유지상태가 해제되면, 엔드 스터드(10)를 제거하는 동시에, 스테이터(8)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로터(9)로부터 이탈시킨다.
신제품 스테이터(8)는, 우선, 그 중심구멍에 로터(9)를 삽입하고, 펌프 케이싱(6)에 대해서 스테이터(8)를 장착한다. 또, 홀더(23)의 제1 걸림부(38)의 제1 걸림쇠(43A)를 펌프 케이싱(6)의 제1 환상홈(22)에 걸어둠으로써, 펌프 케이싱(6)에 대해서 홀더(23)를 건다. 이 상태로, 스테이터(8)의 하단부에 엔드 스터드(10)를 배치하고, 그 플랜지부(27a)에 형성한 제2 환상홈(28)에 홀더(23)의 제2 걸림부(39)의 제2 걸림쇠(43B)를 건다. 이에 따라, 펌프 케이싱(6)에 대해서 스테이터(8) 및 엔드 스터드(10)가 홀더(23)에 의해 가이드 된 가고정 상태가 된다. 여기서, 공구를 사용하여 홀더(23)의 스테이 볼트(37)를 회전시켜서, 제1 걸림부(38) 및 제2 걸림부(39)를 접근시키고, 제1 걸림쇠(43A) 및 제2 걸림쇠(43B)에 의한 걸림 상태를 강고한 것으로 한다.
여기서, 종동부(3a)를 교환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로 되돌리고, 볼트(49)를 체결하여 지지벽(45)에 고정한다. 그리고, 종동부(3a)의 커플링(13)을 구동기(7)의 출력축(7a)에 연결하여 커플링 커버(19)로 덮고, 구동기(7)의 하단면에 볼트로 고정한다. 또, 제1 접속관(4)과 연통관(20)을 접속시키는 동시에, 제2 접속관(5)과 연통관(6a)을 접속하여 연통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신제품 스테이터(8)로의 교환 작업이 종료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23)를 제1 홀더(40)와 제2 홀더(41)로 구성하도록 했지만, 1개로 구성하거나 3개 이상으로 구성하거나 할 수도 있다. 단, 엔드 스터드(10)를 균등한 힘으로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홀더(23)의 수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홀더(23)는 회전 방향으로 위치를 결정하지 않았지만, 위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공구로 회전시키는 스테이 볼트(37)의 위치를 확정할 수 있어서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홀더(23)의 걸림쇠(43)를 펌프 케이싱(6)의 제1 환상홈(22) 또는 엔드 스터드(10)의 제2 환상홈(28)에 걸도록 했지만,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듯이, 약 L자형 절곡부(38a)의 하면을 펌프 케이싱(6)의 플랜지부(21)의 상면에 놓아두는 정도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요컨대, 홀더(23)의 양단부를 펌프 케이싱(6)과 엔드 스터드(10)(펌프 케이싱(6)만으로도 좋다)에 걸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을 채택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3)를 세로 방향으로 사용하도록 했지만, 가로 방향으로 사용하는 경우라도, 상기 구성의 홀더(23)를 사용하여 스테이터(8)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플링 로드(12)의 양단부에 제1수나사부(12a) 및 제2수나사부(12b)를 형성하고, 커플링(13) 및 로터(9)에 암나사구멍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커플링 로드(12)의 양단부에 암나사구멍, 커플링(13) 및 로터(9)에 수나사부를 각각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스테이 볼트(37)의 양단부에 제1수나사(37a)와 제2수나사(37b)를 형성하고, 제1 걸림부(38) 및 제2 걸림부(39)에 암나사구멍을 형성하도록 했지만, 스테이 볼트(37)에 암나사구멍, 제1 걸림부(38) 및 제2 걸림부(39)에 수나사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도 11에 나타내듯이, 스테이 볼트(37)의 양단부에 수나사부 또는 암나사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어느 일방의 단부에만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1…펌프 장치
2…탱크
3…일축 편심 나사 펌프
4…제1 접속관
5…제2 접속관
6…펌프 케이싱
6a…연통관
7…구동기
7a…출력축
8…스테이터
9…로터
10…엔드 스터드
11…동력전달기구
12…커플링 로드
12a…제1수나사부
12b…제2수나사부
13…커플링
14…축부
15…출력축 삽입부
16…환상 플레이트
17…단부
18…환상 볼록부
19…커플링 커버
19a…플랜지부
19b…긴 구멍
19c…패킹
19d…볼트
19e…패킹
19f…오일씰
20…연통관
21…플랜지부
22…제1 환상홈
23…홀더
24…외장체
25…스테이터 본체
26…이송공간
27…연통부
27a…플랜지부
28…제2 환상홈
29…유량 안정 부재
30…메인 하우징
31…서포트 하우징
32…내주부
32a…환상홈
33…탄성체
34…슬리브
35…스펀지
36…고무 튜브
36a…환상 볼록부
37…스테이 볼트(조정부)
37a…제1수나사
37b…제2수나사
37c…평탄면
38…제1 걸림부
39…제2 걸림부
40…제1 홀더
41…제2 홀더
42…반원부
43…걸림쇠
43A…제1 걸림쇠
43B…제2 걸림쇠
44…브래킷
45…지지벽
46…클램프
47…브래킷 본체
48…노치
48a…유지 구멍부
49…볼트

Claims (9)

  1. 제1 걸림수부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연접되어 내주면이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 삽입 통과 가능하고, 수나사형의 축체로 이루어지는 로터와,
    제2 걸림수부를 가지며, 상기 케이싱과는 반대측에서 상기 스테이터에 연접되는 엔드 스터드와,
    상기 스테이터를 상기 케이싱과 상기 엔드 스터드 사이에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케이싱의 제1 걸림수부에 걸리는 제1 걸림부와, 상기 엔드 스터드의 제2 걸림수부에 걸리는 제2 걸림부와,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부를 갖고,
    상기 홀더의 조정부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를 균등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고, 양단측에 형성되는 나사 절삭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는 제1 나사부 및 제2 나사부와, 중간부에 형성되는 회전 조작부를 갖고,
    상기 제1 나사부 및 상기 제2 나사부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수부는, 상기 케이싱에 형성되는 제1 플랜지부이고, 상기 스테이터와는 반대측의 면에 원형 형상의 제1홈을 가지며,
    상기 홀더는 2개이고,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홈에 걸리는 반원 형상의 제1 걸림쇠를 갖고,
    상기 제1 걸림수부에서는, 상기 2개의 홀더의 각 제1 걸림부의 제1 걸림쇠의 둘레방향의 단부끼리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수부는 상기 엔드 스터드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제2 플랜지부이고, 상기 스테이터와는 반대측의 면에 원형 형상의 제2홈을 가지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홈에 걸리는 반원 형상의 제2 걸림쇠를 갖고,
    상기 제2 걸림수부에서는, 상기 2개의 홀더의 각 제2 걸림부의 제2 걸림쇠의 둘레방향의 단부끼리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를 그 축심이 연직 방향과 합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케이싱을 상기 스테이터의 상방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축 편심 나사 펌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7014162A 2013-10-29 2014-10-16 일축 편심 나사 펌프 KR101864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24415 2013-10-29
JPJP-P-2013-224415 2013-10-29
PCT/JP2014/077565 WO2015064372A1 (ja) 2013-10-29 2014-10-16 一軸偏心ネジポ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449A KR20160078449A (ko) 2016-07-04
KR101864972B1 true KR101864972B1 (ko) 2018-06-05

Family

ID=5300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162A KR101864972B1 (ko) 2013-10-29 2014-10-16 일축 편심 나사 펌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25766B2 (ko)
JP (1) JP6318454B2 (ko)
KR (1) KR101864972B1 (ko)
CN (1) CN105683575B (ko)
DE (1) DE112014004925T5 (ko)
MY (1) MY186832A (ko)
TW (1) TWI617742B (ko)
WO (1) WO2015064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4449B2 (ja) * 2016-07-25 2018-08-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ステータおよび電動機
DE102016121582A1 (de) 2016-11-10 2018-05-17 Seepex Gmbh Exzenterschneckenpumpe
JP6824537B1 (ja) * 2019-09-24 2021-02-03 兵神装備株式会社 一軸偏心ねじポンプ
KR20230027902A (ko) 2021-08-20 2023-02-28 정평두 식품 토출 롤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794A (ja) * 2004-12-10 2006-06-22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一軸偏心ねじポンプ
JP4250713B2 (ja) * 2003-05-30 2009-04-08 兵神装備株式会社 一軸偏心ねじポンプ及びその取扱方法
CN202449811U (zh) 2012-02-10 2012-09-26 山河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托盘搬运车推杆长度调节装置
KR20130131421A (ko) 2010-12-27 2013-12-03 헤이신 엘티디. 1축 편심 나사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2307A (en) * 1969-09-26 1972-02-15 Abner A Brickhouse Quick-release coupling
US3838949A (en) * 1973-03-15 1974-10-01 Sumimoto Shipbuilding & Machin Helical gear pump
JP2856439B2 (ja) 1989-06-28 1999-02-10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信号符号化復号化方式
JPH0332184U (ko) * 1989-08-08 1991-03-28
JP2004263629A (ja) * 2003-03-03 2004-09-24 Tadahiro Omi スクリュー真空ポンプ
JP2005344585A (ja) * 2004-06-02 2005-12-15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一軸偏心ねじポンプ
DE102005013466B3 (de) * 2005-03-21 2006-10-05 Netzsch-Mohnopumpen Gmbh Spannvorrichtung
PL2176552T3 (pl) * 2007-08-17 2012-10-31 Seepex Gmbh Mimośrodowa pompa śrubowa z dzielonym statorem
CN201153693Y (zh) * 2008-01-28 2008-11-26 孟宪超 桌面可调式学生阅览桌
CN201649748U (zh) * 2009-11-24 2010-11-24 中国石化集团第十建设公司 储罐及容器底圈壁板垂直度调节支撑装置
JP2012017660A (ja) 2010-07-06 2012-01-26 Furukawa Industrial Machinery Systems Co Ltd 一軸偏心ねじポンプ
JP5331253B2 (ja) * 2010-08-25 2013-10-30 古河産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一軸偏心ねじポンプにおけるステータシール構造
CN202087952U (zh) * 2011-05-07 2011-12-28 芜湖瑞创投资股份有限公司 一种收割机脱谷室内壁扩张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0713B2 (ja) * 2003-05-30 2009-04-08 兵神装備株式会社 一軸偏心ねじポンプ及びその取扱方法
JP2006161794A (ja) * 2004-12-10 2006-06-22 Heishin Engineering & Equipment Co Ltd 一軸偏心ねじポンプ
KR20130131421A (ko) 2010-12-27 2013-12-03 헤이신 엘티디. 1축 편심 나사 펌프
CN202449811U (zh) 2012-02-10 2012-09-26 山河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托盘搬运车推杆长度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18454B2 (ja) 2018-05-09
CN105683575B (zh) 2017-12-05
CN105683575A (zh) 2016-06-15
WO2015064372A1 (ja) 2015-05-07
TWI617742B (zh) 2018-03-11
US10125766B2 (en) 2018-11-13
DE112014004925T5 (de) 2016-07-21
JPWO2015064372A1 (ja) 2017-03-09
MY186832A (en) 2021-08-24
KR20160078449A (ko) 2016-07-04
TW201537032A (zh) 2015-10-01
US20160245285A1 (en)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972B1 (ko) 일축 편심 나사 펌프
EP2650449A2 (en) Excavator fastener
ES2961350T3 (es) Dispositivo de unión, en particular, para unir una estantería a una pared de un mueble
KR101440123B1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장치
US20170321827A1 (en) Faucet coupling structure
JP2009074620A (ja) 継手部材の接続構造
JP6040812B2 (ja) 流路切換バルブ
JP2023118706A (ja) フィルタシステム
KR20180124999A (ko) 설치 장치
US8408240B2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US20120266991A1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CN211834689U (zh) 持针器的卡口结构及持针器控制组件
EP1967325A1 (en) Washer bending device
CN102472270A (zh) 柱塞驱动式计量泵
US9969010B2 (en) Hole saw drill guide
JP6450359B2 (ja) 水道用メータリリース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CA2986792C (en) Knife attachment arrangement for mower knives driven in an oscillating manner
CN103185319B (zh) 灯具支架以及使用该灯具支架的灯具
RU2703219C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2013226629A (ja) 固定部材および切削工具
CN208270805U (zh) 一种便于安装和更换光学元件的激光耦合装置
ITUB201568360U1 (it) Testa portautensili rotante.
JP2005344585A (ja) 一軸偏心ねじポンプ
RU6137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конусной оправки
TW202212050A (zh) 內孔研磨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