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453B1 - 체결 클립 - Google Patents

체결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453B1
KR101864453B1 KR1020120070699A KR20120070699A KR101864453B1 KR 101864453 B1 KR101864453 B1 KR 101864453B1 KR 1020120070699 A KR1020120070699 A KR 1020120070699A KR 20120070699 A KR20120070699 A KR 20120070699A KR 101864453 B1 KR101864453 B1 KR 101864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detent
retaining member
fastening
insertion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148A (ko
Inventor
미쉘 쿰
제롬 마우러
주잔네 발루흐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0Trim molding fastener
    • Y10T24/309Plastic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17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10T24/44026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for cooperating with aperture in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요소(42)를 캐리어(44)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립(10)으로서, 삽입 방향(R)으로 캐리어(44)의 개구(46)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캐리어(44)의 개구(46) 배후에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복수 개의 팽창 아암(28)을 갖는 유지 부재(12)를 포함하고, 팽창 아암(28)이 초기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삽입 방향(R)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12)의 리세스(19)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팽창 부재(14)를 포함하며, 유지 부재(12) 및 팽창 부재(14)는 연결 웨브(16)에 의해 사전 조립 위치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웨브는 각각 사전에 결정되는 파괴 지점을 구성하며 특히 삽입 방향(R)에서 볼 때 유지 부재(12)의 전방 단부와, 삽입 방향(R)에서 볼 때 팽창 부재(14)의 후방 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인 체결 클립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체결 클립{FASTENING CLIP}
본 발명은, 구성요소를 캐리어(carrier)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립으로서, 삽입 방향으로 캐리어의 개구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구성요소의 개구 배후에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복수 개의 팽창 아암을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아암이 초기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의 리세스(recess)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팽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체결 클립에 관한 것이다.
구성요소를 캐리어에 체결하기 위한 다양한 2부품 체결 클립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들 체결 클립은, 예컨대, 구성요소를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해 캐리어의 개구 내로 끼워질 수 있는 유지 부재, 및 유지 부재를 팽창시키기 위해 유지 부재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 부재를 캐리어 상에 적소에 고정하는 팽창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팽창 아암은, 구성요소의 개구 배후에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유지 부재 상에 마련된다. 팽창 부재는, 팽창 부재가 팽창 아암을 팽창 위치로 시프트(shift)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팽창 아암은 구성요소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팽창 부재는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 내로 견인되며, 이에 따라 팽창 부재는 임의의 조립 위치에서 유지 부재 너머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캐리어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서의 체결 클립의 조립이 가능하다. 그러나, 체결 클립의 조립 또는 운송 중에, 이러한 체결 클립의 개별 부품은 분실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팽창 부재는 유지 부재의 조립 이전에 또는 이후에 유지 부재에서 위치설정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더욱 간단한 체결 클립으로서, 운송 및 조립 중에 개별 부품이 분실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체결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클립은 제조를 더욱 간단하게 하려는 의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캐리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립으로서, 삽입 방향으로 캐리어의 개구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구성요소의 개구 배후에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복수 개의 팽창 아암을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아암이 초기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의 리세스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팽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체결 클립이 마련된다. 사전 조립 위치에 있어서, 유지 부재 및 팽창 부재는, 연결 웨브(connecting web)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 웨브는 각각 사전에 결정되는 파괴 지점을 구성하고 특히 삽입 방향에서 볼 때 유지 부재의 전방 단부와 삽입 방향에서 볼 때 팽창 부재의 후방 단부 사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전 조립 상태에 있어서, 체결 클립은 단일 부품 구조이며, 유지 부재 및 팽창 부재는 이를테면 삽입 방향으로 앞뒤로 배치되고 연결 웨브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체결 클립은 삽입 방향으로 캐리어의 개구 내에 하나의 유닛으로서 끼워질 수 있다. 후속하여, 팽창 부재는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의 리세스 내로 견인되며, 상기 연결 웨브는 이러한 과정 중에 파괴되는 것인 사전에 결정된 파괴 지점으로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유지 부재에 대한 팽창 부재의 이동은 허용된다. 체결 클립의 부재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유지 부재에서의 팽창 부재의 추후 위치설정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더욱 간단한 조립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팽창 부재는 유지 부재로부터 떨어질 수 없다. 추가적으로, 체결 클립은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서 일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조립 위치에서 팽창 부재를 유지 부재 상의 적소에 고정하기 위해, 유지 부재 상에 그리고 팽창 부재 상에 대응하는 멈춤쇠 부재가 마련되는데, 중간 조립 위치에서는 사전에 결정된 파괴 지점이 파괴되며 팽창 부재는 부분적으로 유지 부재 내로 삽입되지만, 팽창 아암은 초기 위치에 있게 된다. 체결 클립의 조립 중에, 팽창 부재는, 사전에 결정된 파괴 지점의 파괴 이후에, 대응하는 멈춤쇠 부재가 서로 잠기게 될 때까지 유지 부재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중간 위치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팽창 아암은 아직 팽창 위치로 외측을 향해 이동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체결 클립은 여전히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컨대, 적소에서의 후속 변화 또는 심지어 체결 클립의 분리가 허용되며, 이는 매번 팽창 부재가 분실되지 않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팽창 부재는 또한, 팽창 부재가 유지 부재의 팽창 아암을 팽창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로 멈춤쇠 부재에 대해 변위 가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컨대 멈춤쇠 후크 및 장원형 리세스에 의해 멈춤쇠 연결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원형 리세스 내에서 멈춤쇠 후크는 시프트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팽창 부재는 멈춤쇠 연결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간 조립 위치로부터 최종 조립 위치로 시프트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부재 및 유지 부재는 구속하는 방식으로(captively) 서로 연결되지만,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 내에 팽창 부재를 삽입하기 위해, 예컨대 견인 수단, 특히 스크류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견인 수단은 팽창 부재와 결합되며 삽입 방향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 내로 팽창 부재를 견인하도록 되어 있다. 보통, 체결 클립은, 캐리어의 후방측으로부터 액세스(access) 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캐리어 내에 삽입된다. 견인 수단은, 심지어 이러한 설치 상태에서도 팽창 부재가 시프트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상기 설치 상태에서는 팽창 부재에 대한 직접적인 액세스는 가능하지 않다.
팽창 아암의 팽창 이전에, 체결 클립은 보통 개구에서 특정 틈새를 갖는데, 이는 견인 수단의 조임을 가능하게 하지만, 또한 정확한 위치설정을 더욱 곤란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체결 클립은 개구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팽창 아암의 결합 이전에 캐리어의 개구에서 적소에 유지 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예컨대 유지 부재의 외측 상에 멈춤쇠 텅(detent tongues)이 마련될 수 있는데, 멈춤쇠 텅은 캐리어의 개구 내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지 부재를 적소에 예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충분히 큰 유지력이 제공되므로, 유지 부재, 즉 체결 클립은 개구로부터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캐리어를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총 유지력은 단지 추후 팽창 아암의 팽창에 의해서만 마련된다.
예컨대 쌍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멈춤쇠 텅이 마련되며, 이에 따라 유지 부재는 개구 내에서 중앙으로 센터링(centering)된다. 추가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복수 개의 멈춤쇠 텅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심지어 상이한 두께의 캐리어의 경우에도 충분한 예비 고정이 가능해진다.
유지 부재, 즉 체결 클립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구조이며, 멈춤쇠 텅이 대향하는 측면 상에 마련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팽창 아암은 유지 부재의 2개의 나머지 표면 상에 마련되며, 즉 멈춤쇠 텅에 대해 90 °만큼 각각 오프셋되어 마련된다.
팽창 부재는 예컨대 삽입 슬로프(insertion slopes)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팽창 아암을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압박한다.
추가적인 장점 및 특성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이 더욱 간단한 체결 클립으로서, 운송 및 조립 중에 개별 부품이 분실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는 체결 클립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체결 클립의 제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클립의 제1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체결 클립의 제2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체결 클립의 상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 IV-IV를 따라 취한 체결 클립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팽창 부재의 중간 조립 위치에서 도 1의 체결 클립의 제1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체결 클립의 제2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캐리어에 삽입된 상태인 도 5의 체결 클립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체결 클립의 제2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팽창 부재의 최종 조립 상태에서 도 1의 체결 클립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체결 클립의 제2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구성요소를 캐리어에 체결하기 위한, 예컨대 라이닝 부품을 차량 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립(10)으로서, 삽입 방향(R)으로 캐리어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 클립을 제시한 것이다. 체결 클립은 유지 부재(12) 및 팽창 부재(14)를 갖는데, 이들 부재는 도 1 내지 도 4에 제시된 사전 조립 위치에서 연결 웨브(1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유지 부재(12)는, 삽입 방향(R)으로 연속적인 리세스(19) 및 삽입 방향에서 볼 때 유지 부재(12)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는 플랜지(20)를 구비하는 장원형 베이스 본체(18)를 갖는다. 베이스 본체(18)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단면을 갖는다(도 3 참고).
베이스 본체(18)는 대향하는 2개의 측면(22)을 갖는데(도 1 참고), 각각의 측면은 그 위에 복수 개의 멈춤쇠 텅(24; detent tongue)이 마련되고, 이 멈춤쇠 텅은 체결 클립(10)의 삽입 방향(R)으로 앞뒤로 측면(22) 상에 배치되며, 즉 멈춤쇠 텅의 각 쌍은 유지 부재(12)의 플랜지(20)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있게 된다. 베이스 본체(18)의 나머지 2개의 측면(도 2 참고) 각각에, 즉 단면에 있어서 멈춤쇠 텅(24)에 대해 90 °만큼 오프셋되어, 각각 하나의 팽창 아암(28)이 형성되는데, 이 팽창 아암은 여기서는 삽입 방향(R)에서 볼 때 유지 부재(12)의 후방 단부에 있는 베이스 본체(18)와 연결되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의 형태이다. 또한 유지 부재(12)의 제1 측면(22) 상에는 장원형 리세스(30)가 마련되는데, 이 장원형 리세스는 삽입 방향(R)에서 볼 때 멈춤쇠 텅(24)의 전방에 마련된다.
팽창 부재(14)는 또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단면을 갖는데, 팽창 부재(14)의 단면은, 팽창 부재(14)가 삽입 방향(R)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12)의 리세스(19)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멈춤쇠 후크(34; detent hook)는, 팽창 부재(14)의 대향하여 위치하는 2개의 제1 측면(32) 상에 마련되는데, 상기 제1 측면은 유지 부재(12)의 제1 측면(22)에 대응하고, 멈춤쇠 후크(34)는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12)의 베이스 본체(18) 상의 장원형 리세스(30) 내에 래칭(latching)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측면(36)은, 유지 부재(12)의 팽창 아암(28)과 협동할 수 있고 팽창 위치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팽창 아암을 이동시킬 수 있는 삽입 슬로프(38; insertion slope)로서 제2 측면 상에 마련되는 것인 삽입 슬로프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리세스(19)에는, 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견인 수단, 특히 스크류(screw)가 마련된다. 스크류는 유지 부재(12)의 플랜지(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크류를 돌리기 위해 삽입 방향(R)으로 리세스(19) 내에 공구가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의 나사는 팽창 부재(14)와 결합하며, 이에 따라 팽창 부재(14)는, 스크류를 돌림으로써 삽입 방향(R)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12)의 리세스(19) 내로 견인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사전 조립 위치에서의 체결 클립을 도시한 것이며, 이때 유지 부재(12) 및 팽창 부재(14)는 연결 웨브(16; connecting web)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특히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 웨브(16)는 삽입 방향(R)으로 유지 부재(12)의 전방 단부에 그리고 삽입 방향(R)으로 팽창 부재(14)의 후방 단부에 마련되고 이에 따라 유지 부재(12) 및 팽창 부재(14)는 이를테면 삽입 방향(R)으로 연결 웨브(16)에 의해 앞뒤로 유지된다.
이러한 사전 조립 위치에 있어서, 체결 클립(10)은 구성요소(42)의 개구(40) 내로 삽입될 수 있고(도 7 및 도 8 참고), 이러한 구성요소(42)는 후속하여 캐리어(44)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 클립(10)은 캐리어(44)의 개구(46)를 통과하게 된다. 그 후, 팽창 아암(28)은 팽창되고, 이에 따라 체결 클립(10)은 캐리어(44)에서 적소에 고정되므로, 구성요소(42)는 캐리어(44)에 대해 압박된다(도 9 및 도 10 참고).
구성요소(42) 및 캐리어(44) 내로 체결 클립(10)을 삽입한 이후에, 팽창 부재(14)는 삽입 방향(R)에 대해 반대로 견인 수단에 의해 유지 부재(12)의 리세스(19) 내로 견인된다. 팽창 부재(14)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사전에 결정되는 파괴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연결 웨브(16)가 절단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팽창 부재(14)는 유지 부재(12)에 대해 시프트 가능하게 된다. 후속하여, 멈춤쇠 후크(34)가 유지 부재(12)의 베이스 본체(18) 상의 장원형 리세스(30) 내로 결합될 때까지, 팽창 부재(14)는 유지 부재(12)의 리세스(19) 내로 견인된다.
이러한 중간 조립 위치는 도 5 내지 도 8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 조립 위치에 있어서, 팽창 부재(14)는 삽입 방향(R)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12)에 대해 이동 가능한데, 변위 경로는 장원형 리세스(30)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중간 조립 위치에 있어서, 팽창 부재(14)의 삽입 슬로프(38)는 이미 팽창 아암(28)에 대면하지만, 팽창 아암에 대해 힘을 가하지는 않으며, 이에 따라 팽창 아암은 계속 초기 위치에 있게 되고, 이때 팽창 아암(28)은 유지 부재(12)의 베이스 본체(18) 너머로 돌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러한 방식으로 사전에 결정된 파괴 지점의 파열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 체결 클립(10)을 구성요소(42)의 개구(40) 내로 끼우기 이전에 팽창 부재(14)가 중간 조립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구성요소는, 멈춤쇠 후크(34) 및 장원형 리세스(30)에 의해 형성되는 멈춤쇠 연결에 의해 중간 조립 위치에서 또한 서로 구속하는 방식으로 연결되며,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부품의 분실 위험 없이 간단한 삽입이 보장된다.
특히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 클립은 멈춤쇠 텅(24)에 의해 구성요소(42)의 개구(40)에서 중간 조립 위치에 예비 고정되며, 이에 따라 멈춤쇠 텅(24)은 체결 클립이 미끄러져 나가거나 또는 그 위치가 옮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멈춤쇠 텅(24)은 단지 조립 중에 체결 클립(10)을 적소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이며, 캐리어(44)에서 구성요소(42)를 적소에 고정하기에 충분한 유지력을 인가할 수 없다.
삽입 방향(R)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 개의 멈춤쇠 텅(24)이 유지 부재(12) 상에 마련되면, 체결 클립(10)은 심지어 구성요소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도 멈춤쇠 텅에 의해 적소에 신뢰성 있게 고정된다.
적소에서의 최종 고정은 다음 조립 단계에서 행해지는데, 이 단계에서 팽창 부재(14)는 중간 조립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추가로 유지 부재(12)의 리세스(19) 내로 견인된다(도 9 및 도 10).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삽입 슬로프(38)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팽창 아암(28)을 강제하며, 이에 따라 팽창 아암(28)은 캐리어(44)의 후방 측에서 떨어져 전개되고 이에 따라 체결 클립(10)을 고정시키므로 구성요소(42)를 캐리어(44)에서 적소에 고정시킨다.
체결 클립(10)의 직사각형 형상은, 팽창 부재(14)를 유지 부재(12) 내로 견인하기 위해 스크류를 돌릴 때 유지 부재(12)가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보장한다. 그러나, 체결 클립(10)은, 체결 클립(10)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도 또한 창안 가능하다. 특히 둥근 단면을 이용하는 경우, 전술한 공동 회전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요소들을 베이스 본체(18)의 외측 둘레에 마련하는 것도 또한 창안 가능하다.
R : 삽입 방향
10 : 체결 클립
12 : 유지 부재
14 : 팽창 부재
16 : 연결 웨브(connecting webs)
19 : 리세스
28 : 팽창 아암
42 : 구성요소
44 : 캐리어
46 : 개구

Claims (9)

  1. 구성요소(42)를 캐리어(44; carrier)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립(10)으로서, 삽입 방향(R)으로 캐리어(44)의 개구(46)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캐리어(44)의 개구(46) 배후에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복수 개의 팽창 아암(28)을 포함하는 유지 부재(12)를 포함하며, 팽창 아암(28)이 초기 위치로부터 팽창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삽입 방향(R)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12)의 리세스(19) 내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팽창 부재(14)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12) 및 팽창 부재(14)는 연결 웨브(16; connecting webs)에 의해 사전 조립 위치에서 서로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 웨브는 각각 사전에 결정되는 파괴 지점을 구성하며 삽입 방향(R)에서 볼 때 유지 부재(12)의 전방 단부와, 삽입 방향(R)에서 볼 때 팽창 부재(14)의 후방 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 조립 위치에서 팽창 부재(14)를 유지 부재(12) 상의 적소에 고정하기 위해, 유지 부재(12) 상에 그리고 팽창 부재(14) 상에 대응하는 멈춤쇠 부재(detent member)가 마련되며, 중간 조립 위치에서 상기 사전에 결정되는 파괴 지점은 파괴되고 팽창 부재(14)는 부분적으로 유지 부재(12) 내로 삽입되지만, 팽창 아암(28)은 초기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멈춤쇠 후크(34; detent hook) 및 장원형 리세스(30)에 의해 멈춤쇠 연결이 형성되며, 상기 장원형 리세스 내에서 멈춤쇠 후크(34)는 시프트(shift)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팽창 부재(14)는 멈춤쇠 연결을 해제(release)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간 조립 위치로부터 최종 조립 위치로 시프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12) 상에 견인 수단이 마련되며, 이 견인 수단은 팽창 부재(14)와 결합하고 삽입 방향(R)에 대해 반대로 유지 부재(12) 내로 팽창 부재를 견인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캐리어(44)의 개구(46)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멈춤쇠 텅(24; detent tongues)이 유지 부재(12)의 외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멈춤쇠 텅(24)이 마련되며, 각각의 멈춤쇠 텅은 서로 쌍을 이루어 대향하게 위치하고 삽입 방향(R)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12)는 직사각형 구조이며 멈춤쇠 텅(24)은 대향하는 측면(22)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8. 제7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12)의 나머지 두 개의 표면(26) 상에 팽창 아암(28)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팽창 부재(14)는, 팽창 아암(28)을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압박하는 삽입 슬로프(38; insertion slop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클립.
KR1020120070699A 2011-07-01 2012-06-29 체결 클립 KR101864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106310.6 2011-07-01
DE102011106310A DE102011106310B4 (de) 2011-07-01 2011-07-01 Befestigungscl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48A KR20130004148A (ko) 2013-01-09
KR101864453B1 true KR101864453B1 (ko) 2018-06-04

Family

ID=4627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699A KR101864453B1 (ko) 2011-07-01 2012-06-29 체결 클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27553B2 (ko)
EP (1) EP2541075A3 (ko)
KR (1) KR101864453B1 (ko)
CN (1) CN102852922B (ko)
DE (1) DE10201110631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2615B2 (en) 2012-07-18 2017-02-21 Jmea Corporation Detachable front delivery assembly for a tissue repair system
CN105235607A (zh) * 2015-10-26 2016-01-13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固定装置及含该固定装置的三角饰板
DE102017102643A1 (de) * 2017-02-10 2018-08-16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Rückwand an einer Seitenzarge eines Schubkastens
CN108302104B (zh) * 2018-02-09 2024-04-09 宁波积家创意家居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方管的膨胀扣
DE102018103095B4 (de) * 2018-02-12 2020-06-10 Lisa Dräxlmaier GmbH Klemmvorrichtung zur befestigung an einem bauteil und verbindungsanordnung umfassend eine klemmvorrichtung
CN110170826A (zh) * 2019-06-28 2019-08-27 南京灵雀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双工位e型卡簧装配设备及其工作方法
US11111944B2 (en) * 2019-08-29 2021-09-07 Fca Us Llc Clip having two interlocking parts improving retention force
GB2590410B (en) * 2019-12-16 2022-03-23 Three Smith Group Ltd Anchor assembly
JP7484273B2 (ja) * 2020-03-19 2024-05-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固定構造および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54910A1 (de) 1977-12-09 1979-06-13 Erich Mundhenke Befestigungsvorrichtung zum einsetzen in eine aufnahme in einer wandung oder zum verbinden von aufnahmen aufweisenden elementen
DE102008017451B4 (de) 2008-04-05 2010-02-11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DE202010008192U1 (de) 2010-07-30 2010-10-07 Newfrey Llc, Newark Befestigungselement und Befestigungsanordnung mit einem Befestigungselement
DE102007016484B4 (de) 2007-04-05 2018-03-15 Volkswagen Ag Lösbarer Spreizclip für eine Clipsverbindung mehrerer Bauteil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2144A (en) * 1945-01-01 1951-02-20 Shellmar Products Corp Blind rivet
US2941439A (en) * 1957-01-30 1960-06-21 Illinois Tool Works Rivet and integral expander pin connected thereto by area of limited cross section
GB1015318A (en) * 1963-11-30 1965-12-31 Firth Cleveland Fastening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lind rivets
US3352195A (en) * 1965-12-16 1967-11-14 Illinois Tool Works Self-retained nut with imperforate head
CA951552A (en) * 1970-03-02 1974-07-23 Alan Martin Threaded blind fastener
US3765295A (en) * 1971-08-18 1973-10-16 Fastway Fasteners Plastic drive pin anchor
GB1517624A (en) * 1975-02-25 1978-07-12 Nichiei Bussan Co Ltd Blind rivet
US4083289A (en) * 1977-02-14 1978-04-11 Illinois Tool Works Inc. Plastic fastener
FR2571323B1 (fr) 1984-10-04 1987-01-30 Saint Gobain Vitrage Dispositif automatique d'actionnement des organes de nettoyage d'un vitrage de vehicule automobile
US4826378A (en) * 1985-07-22 1989-05-02 R B & W Corporation Sealing cap tubular rivet head and assembly
JPH0422088Y2 (ko) * 1987-08-07 1992-05-20
JPH01180003U (ko) * 1988-06-10 1989-12-25
DE3931804A1 (de) * 1989-09-23 1991-04-04 Raymond A Kg Plastikknopf
DE19861428B4 (de) 1998-03-17 2008-01-10 Robert Bosch Gmbh Optischer Sensor
US6077009A (en) * 1999-04-09 2000-06-20 Huck International, Inc. Blind fastener with high strength blind head and high clamp and high shear load resistance
DE20213144U1 (de) * 2002-08-27 2003-01-09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ES2246681B1 (es) * 2004-01-26 2007-03-16 I.T.W. España, S.A. Dispositivo de fijacion entre un panel y un soporte.
JP4446837B2 (ja) * 2004-08-26 2010-04-07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連結装置
DE102005051243A1 (de) * 2005-10-26 2007-05-03 Fischerwerke Artur Fischer Gmbh & Co. Kg Befestigungselement zum Befestigen in einem Durchgangsloch in einer Platte bei einseitiger Zugänglichkeit, Setzwerkzeug und Demontagewerkzeug für das Befestigungselement
JP4379415B2 (ja) * 2005-12-14 2009-12-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Ea材の取付構造
DE102006016277A1 (de) * 2006-03-31 2007-10-04 Siemens Ag Schnellverschluss
DE202006005665U1 (de) 2006-04-05 2007-08-16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Optische Sensorvorrichtung
DE202008010262U1 (de) * 2008-04-18 2008-10-16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bindungsbaugruppe zur Befestigung eines Anbauelements auf einem Trägerelement
DE202008006958U1 (de) * 2008-05-23 2008-10-0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Verbindungsbaugruppe zur Befestigung eines Anbauelements auf einem Trä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54910A1 (de) 1977-12-09 1979-06-13 Erich Mundhenke Befestigungsvorrichtung zum einsetzen in eine aufnahme in einer wandung oder zum verbinden von aufnahmen aufweisenden elementen
DE102007016484B4 (de) 2007-04-05 2018-03-15 Volkswagen Ag Lösbarer Spreizclip für eine Clipsverbindung mehrerer Bauteile
DE102008017451B4 (de) 2008-04-05 2010-02-11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DE202010008192U1 (de) 2010-07-30 2010-10-07 Newfrey Llc, Newark Befestigungselement und Befestigungsanordnung mit einem Befestigung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1075A3 (de) 2016-12-28
DE102011106310B4 (de) 2013-01-31
CN102852922A (zh) 2013-01-02
US20130133162A1 (en) 2013-05-30
EP2541075A2 (de) 2013-01-02
DE102011106310A1 (de) 2013-01-03
US8627553B2 (en) 2014-01-14
CN102852922B (zh) 2016-03-09
KR20130004148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453B1 (ko) 체결 클립
JP4535892B2 (ja) クリップ
US8444100B2 (en) Retainer structure
US9464647B2 (en) Pillar garnish mounting structure and tether clip
US20110014005A1 (en) Clip
US9283902B2 (en) Tether clip and garnish attach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783033B2 (ja) ガーニッシュ取付装置およびテザークリップ
CN108291567B (zh) 卡扣
US20120195709A1 (en) Conne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removable fastening an attachment part to a carrier
JP2013113419A5 (ko)
JP5212771B2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用トリムのトリムクリップ
JP6096791B2 (ja) パネルを締結するリベット機構
JP2006161890A (ja) 留め具及びエアバッグ取付構造
EP3101336A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 device, and methods for mounting the mounting arrangement
US11828313B2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ing two planar elements
US20180112699A1 (en) Multi-engagement push clip assembly
JP6217500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JP201109464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保持用クリップ
CN111664153B (zh) 铆钉型紧固件
JP2007170458A (ja) 2段係止クリップ
EP3038861B1 (en) Socket joint with integrated tube anchors
JP2011036030A (ja)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付きワイヤハーネス
JP2005188623A (ja) クリップ
KR101903538B1 (ko)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나 브레이크 부스터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냅 핀 고정 결합구조
JP2014126133A (ja) ツーピース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