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526B1 - 에이치빔 인발 장치 - Google Patents

에이치빔 인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526B1
KR101863526B1 KR1020180038868A KR20180038868A KR101863526B1 KR 101863526 B1 KR101863526 B1 KR 101863526B1 KR 1020180038868 A KR1020180038868 A KR 1020180038868A KR 20180038868 A KR20180038868 A KR 20180038868A KR 101863526 B1 KR101863526 B1 KR 101863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plate
lower plate
beam receiv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복
Original Assignee
황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복 filed Critical 황선복
Priority to KR102018003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 실린더; 에이치(H)빔 수용홈을 가지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로드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고,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서로 마주보며 접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뒷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축과,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집게형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상부판 및 제1 하부판과,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에이치빔의 배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상부판과 상기 제1 하부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제1 상부판과 상기 제1 하부판 사이에 상기 제1 지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의 안쪽 날개와 마주보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상부판 및 제2 하부판과,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에이치빔의 배의 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상부판과 상기 제2 하부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 지지면과, 상기 제2 상부판과 상기 제2 하부판 사이에 상기 제3 지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의 안쪽 날개와 마주보는 제4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면 상에 상기 에이치빔에 밀착되도록 요철부가 각각 부착되는 에이치빔 인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이치빔 인발 장치{Drawing apparatus for H beam}
본 발명은 토건 공사에 있어서 에이치(H)빔을 인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이치빔의 배와 한쪽 날개를 동시에 집어 인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에이치빔 인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건 공사에서 건축물의 지하층이나 지하철 등 지하 구조물들을 구축하기 위하여 지면의 하측으로 깊이를 갖는 터파기 공사를 행하고 있으며, 터파기 공사시 토압에 의해 흙벽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벽을 설치함과 아울러, 지면에서 용출되는 지하수가 공사 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차수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흙막이 및 차수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법으로 복수의 에이치빔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인접한 에이치빔 사이에 목재로 된 토류판을 삽입하여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한 후 공간이 형성된 흙막이 구조물의 뒤편에 흙을 메워 지반이 안정화 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에이치빔은 배와 배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2개의 날개를 포함하여 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는 35 내지 40m 정도의 빔으로써 이 중 몇m 만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지중에 근입된다.
이러한 에이치빔은 고가의 장비이며 임시로 설치되는 구조물이므로, 지하 구조물을 구축하는 공사가 완료되면 지중에 근입된 상기 에이치빔을 인발하여 회수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에이치빔은 지하 깊이 박혀 있어 인력으로 뽑을 수 없기 때문에 소정의 장치를 사용하게 되고, 이렇게 에이치빔을 회수할 때는 통상 유압식 실린더를 사용하여 강한 상승 압력으로 지중에 근입된 에이치빔을 인출하는 인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즉, 에이치빔 인발 장치는 이렇게 지중에 근입된 에이치빔을 사용 후 제거하는 장치로서, 홀더의 역할을 하는 부분을 에이치빔의 일부에 밀착시킨 후 유압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에이치빔을 지중으로부터 뽑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지중으로부터 일정 길이 뽑힌 에이치빔은 굴착기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중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회수하게 된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에이치빔 인발 장치는, 로드(15, 16)를 가지며 지면(L)에 설치된 베이스(11, 12) 상에 로드(15, 16)의 하단부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좌우 승하강 실린더(13, 14)와, 좌우 승하강 실린더(13, 14)의 상부에서 에이치빔(200)의 배(210)의 양면를 향해 각각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식 홀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식 홀더는 실린더(17, 18)와, 실린더(17, 18)의 일단부를 좌우 승하강 실린더(13, 14)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부(17a, 18a)와, 실린더(17, 18)의 로드(17b, 18b)의 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가압판(21, 22)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221, 222는 에이치빔(200)의 두 날개를 지시한다.
위와 같은 구조에 따라, 좌우 가압판(21, 22)이 에이치빔(200)의 배(210)의 양면을 밀착 가압한 상태로 좌우 승하강 실린더(13, 14)를 작동시켜 상승시키면 에이치빔(200)이 지중으로부터 인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에이치빔 인발 장치는 크레인이 에이치빔(200)을 지중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기 이전에 인발 장치를 에이치빔(20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발 장치가 도 2 및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른 에이치빔 인발 장치는, 좌우 승하강 실린더(5, 6)에 의해 지지되도록 베이스(3, 4)가 설치되고, 베이스(3, 4)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좌우 가압판(7, 8)이 설치된다. 여기서, 도면부호 1, 2는 하부 베이스를 지시하고, 도면부호 5a, 6a는 로드를 지시한다.
이에 좌우 가압판(7, 8)이 에이치빔(200)의 양쪽 날개(221, 222)의 단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좌우 승하강 실린더(5, 6)를 작동시켜 상승시키면 에이치빔(200)이 지중으로부터 인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에이치빔 인발 장치는 에이치빔(200)의 한쪽 날개가 벽에 박혀 있거나 또는 벽에 인접한 상태로 에이치빔(200)이 지중에 설치된 경우에는 가압판(7, 8)을 양쪽 날개(221, 222) 중 하나에 밀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KR20-0465908 국내특허공보 KR10-0765375 국내공개특허공보 KR10-2014-000714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레인이 에이치빔을 지중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기 이전에 인발 장치를 에이치빔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고, 에이치빔의 한쪽 날개가 벽에 박혀 있거나 또는 벽에 인접한 상태로 에이치빔이 지중에 설치된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에이치빔 인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이치빔 인발 장치는, 승하강 실린더; 에이치(H)빔 수용홈을 가지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로드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고,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서로 마주보며 접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뒷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축과,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집게형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상부판 및 제1 하부판과,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에이치빔의 배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상부판과 상기 제1 하부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제1 상부판과 상기 제1 하부판 사이에 상기 제1 지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의 안쪽 날개와 마주보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상부판 및 제2 하부판과,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에이치빔의 배의 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상부판과 상기 제2 하부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 지지면과, 상기 제2 상부판과 상기 제2 하부판 사이에 상기 제3 지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의 안쪽 날개와 마주보는 제4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면 상에 상기 에이치빔에 밀착되도록 요철부가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1 축 보다 뒤쪽에 설치되는 제3 축; 상기 제3 축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실린더;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제2 축 보다 뒤쪽에 설치되는 제4 축; 상기 제4 축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타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에이치빔의 바깥쪽 날개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의 연결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에이치빔의 바깥쪽 날개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3 지지면과 상기 제4 지지면의 연결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승하강 실린더는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각각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압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압판을 상기 H빔 수용홈을 향해 각각 밀어 상기 에이치빔의 양쪽 날개의 단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는 제3 및 제4 실린더;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이치빔 인발 장치는 집게형 홀더를 이용하여 에이치빔의 배와 한쪽 날개를 동시에 집어 에이치빔을 인발할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이 에이치빔을 지중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기 이전에도 에이치빔 인발 장치를 에이치빔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이치빔의 한쪽 날개가 벽에 박혀 있거나 또는 벽에 인접한 상태로 에이치빔이 지중에 설치된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이치빔 인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다른 에이치빔 인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에이치빔 인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발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인발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에이치빔 인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이치(H)빔 인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인발 장치의 방향을 정의하면, 도면에 표시된 X, Y, Z는 각각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길이 방향은 좌우 방향으로, 폭 방향은 전후 방향으로, 높이 방향은 상하 방향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실린더는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그러나 본 발명의 실린더가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에이치빔(200)은 배(210)와 배(210)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2개의 날개(221, 222)를 포함하여 단면이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는 35 내지 40m 정도로서 이 중 몇m 만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지중에 매립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에이치빔 인발 장치는, 승하강 실린더(131-134), 베이스(120) 및 집게형 홀더를 포함한다.
이때, 승하강 실린더(131-134)는 로드를 가지며 후술하는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각각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좌우로 2개씩 총 4개의 승하강 실린더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승하강 실린더는 좌우 3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베이스(120)는 내측에 에이치빔(200)을 수용하기 위한 에이치빔 수용홈을 가지고, 승하강 실린더(131-134)의 로드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승하강 실린더(131-134)의 로드의 승하강에 의해 베이스(120)의 상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0)는 Y방향으로 전방이 개방되는 에이치빔 수용홈을 가지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에이치빔(200)은 한쪽 날개(221)가 에이치빔 수용홈의 개방된 전방을 향하도록 하고, 다른쪽 날개(222)는 에이치빔 수용홈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면(L)에는 베이스(120)와 마주보는 위치에 하부 보조 베이스(11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승하강 실린더(131-134)의 로드의 하단부는 하부 보조 베이스(11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보조 베이스(110)에는 베이스(120)의 에이치빔 수용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에이치빔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집게형 홀더는 베이스(120) 위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바디(150, 160)와, 제1 및 제2 축(155, 165)과, 제1 및 제2 바디(150, 16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143은 보강판을 지시하며, 경우에 따라 이러한 보강판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바디(150, 160)는 에이치빔(200)에 밀착되어 에이치빔(200)을 가압하는 집게의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X방향의 좌우 대칭으로 하나씩 구비된다.
제1 바디(150)는 Z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상부판(156)과 제1 하부판(157)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바디(150)는 제1 상부판(156)과 제1 하부판(157)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면(158)을 포함한다. 제1 지지면(158)은 제1 바디(150)가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에이치빔(200)의 배(210)의 일면과 X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한다.
또한, 제1 바디(150)는 제1 상부판(156)과 제1 하부판(157)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 지지면(159)를 포함한다. 제2 지지면(159)은 제1 지지면(15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바디(150)가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에이치빔(200)의 안쪽 날개(222)의 내측 면과 Y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한다.
이때, 제1 및 제2 지지면(158, 159)은 제1 바디(150)를 Y방향으로 구분할 때 제1 바디(150)의 전방 부분 중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지지면(158, 159)에는 요철부(151, 153)가 각각 부착된다. 요철부(151, 153)는 Z방향을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하여 이어진 이빨 형태로서, 각각 에이치빔(200)의 배(210)의 일면과 안쪽 날개(222)의 내측 면에 밀착되며 물려서 승하강 실린더(131-134)를 이용하여 에이치빔(200)을 들어올릴 때 집게형 홀더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요철부(151, 153)의 볼록부는 바람직하게는 뾰족하게 각이 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요철부(151, 153)는 금속 재질로서 제1 및 제2 지지면(158, 159) 상에 용접에 의해 각각 일체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2 바디(160)는 Z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상부판(166)과 제2 하부판(167)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바디(160)는 제2 상부판(166)과 제2 하부판(167)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 지지면(168)을 포함한다. 제3 지지면(168)은 제2 바디(160)가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에이치빔(200)의 배(210)의 타면과 X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한다.
또한, 제2 바디(160)는 제2 상부판(166)과 제2 하부판(167)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4 지지면(169)을 포함한다. 제4 지지면(169)은 제3 지지면(16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바디(160)가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에이치빔(200)의 안쪽 날개(222)의 내측 면과 Y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한다.
이때, 제3 및 제4 지지면(168, 169)은 제2 바디(160)를 Y방향으로 구분할 때 제2 바디(160)의 전방 부분 중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지지면(168, 169)에는 요철부(161, 163)가 각각 부착된다. 요철부(161, 163)는 Z방향을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하여 이어진 이빨 형태로서, 각각 에이치빔(200)의 배(210)의 타면과 안쪽 날개(222)의 내측 면에 밀착되며 물려서 승하강 실린더(131-134)를 이용하여 에이치빔(200)을 들어올릴 때 집게형 홀더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요철부(161, 163)의 볼록부는 바람직하게는 뾰족하게 각이 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요철부(161, 163)는 금속 재질로서 제3 및 제4 지지면(168, 169) 상에 용접에 의해 각각 일체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축(155, 165)은 제1 및 제2 바디(150, 160)가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서로 마주보며 접힐 때 회전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 바디(150, 160)의 제2 및 제4 지지면(159, 169) 보다 뒷부분에 제1 및 제2 바디(150, 160)를 Z방향으로 각각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축(155, 165)의 하단은 베이스(120)의 좌우 지지판 위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제3 및 제4 축(154, 164)과, 제1 및 제2 실린더(174, 175)와, 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70)는 바디(171)가 베이스(120)의 상면에서 Y방향으로 에이치빔 수용홈의 뒤쪽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X방향으로는 제1 축(155)과 제2 축(165)의 한 가운데 위치할 수 있다.
제3 축(154)은 제1 바디(150)에서 제1 축(155) 보다 뒤쪽 부분에 제1 바디(150)를 Z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4 축(164)은 제2 바디(160)에서 제2 축(165) 보다 뒤쪽 부분에 제2 바디(150)를 Z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 실린더(174)는 제3 축(154)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실린더(175)는 제4 축(164)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실린더(174, 175)의 타단부는 지지부(170)의 바디(17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70)의 바디(171)에는 제1 및 제2 실린더(174, 175)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축(172, 173)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 실린더(174)가 작동하여 제1 실린더(174)의 로드(174a)가 연장되면 제3 축(154)이 밀리면서 제1 바디(150)가 제1 축(155)을 회전축으로 하여 에이치빔 수용홈 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실린더(175)가 작동하여 제2 실린더(175)의 로드(175a)가 연장되면 제4 축(164)이 밀리면서 제2 바디(160)가 제2 축(164)을 회전축으로 하여 에이치빔 수용홈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제1 바디(150)의 제1 지지면(158)과 제2 바디(160)의 제3 지지면(168)에 각각 부착된 요철부(151, 161)가 에이치빔(200)의 배(210)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어 에이치빔(200)의 배(210)를 가압하게 되고, 제1 바디(150)의 제2 지지면(159)과 제2 바디(160)의 제4 지지면(169)에 각각 형성된 요철부(153, 163)가 에이치빔(200)의 안쪽 날개(222)의 내측 면에 밀착되어, 제1 및 제2 바디(150, 160)가 에이치빔(200)을 단단히 잡은 상태가 되도록 하며, 이 상태로 승하강 실린더(131-134)의 로드가 상승하면 에이치빔(200)이 지중으로부터 인발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바디(150)는 제1 지지면(158)과 제2 지지면(159)의 연결부분인 코너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경우 제1 바디(150)를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킬 때 이 코너부가 에이치빔(200)의 바깥쪽 날개(221)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60)는 제3 지지면(168)과 제4 지지면(169)의 연결부분인 코너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경우 제2 바디(160)를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킬 때 이 코너부가 에이치빔(200)의 바깥쪽 날개에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제1 바디(150)는 제1 지지면(158)과 제2 지지면(159)의 연결부분이 경사면(152)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바디(160)는 제3 지지면(168)과 제4 지지면(169)의 연결부분이 경사면(16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바디(150, 160)를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각각 회전시킬 때 제1 및 제2 바디(150, 160)가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에이치빔(200)의 바깥쪽 날개(221)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필요시 지지부(170)에는 크레인의 고리가 걸림될 수 있도록 고리걸이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의 상하부에는 구동 장치의 상하 면을 각각 커버하도록 상부 및 하부 커버(142, 141)가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및 하부 커버(142, 141)에는 베이스(120)의 에이치빔 수용홈과 대응하는 에이치빔 수용홈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집게형 홀더의 제1 및 제2 바디(150, 160)의 요철부(151, 153, 161, 163)가 에이치빔(200)의 배(210)의 양면과 안쪽 날개(221, 222)에 동시에 밀착된 상태로 에이치빔(200)을 단단히 잡아서 들어 올려 인발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인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이치빔(200)의 바깥쪽 날개(221)가 벽에 박혀 있거나 또는 벽에 근접한 상태로 에이치빔(200)이 지면에 매립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에이치빔(200)을 집어 인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에이치빔 인발 장치는, 베이스(120')에 추가의 에이치빔 고정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이치빔 고정수단은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압판(121, 122)과, 제1 및 제2 가압판(121, 122)을 X방향으로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각각 밀어 에이치빔(200)의 양쪽 날개(221, 222)의 단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여 에이치빔(200)을 가압하는 제3 및 제4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요시 제3 및 제4 실린더 대신에 클램프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에이치빔 인발 작업시 작업효율 및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에이치빔이 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에이치빔이 매립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 하부 베이스
120, 120': 베이스
121, 122: 제1 및 제2 가압판
131-134: 승하강 실린더
150, 160: 제1 및 제2 바디
151, 153, 161, 163: 요철부
152, 162: 경사면
153, 163: 제2 및 제4 지지면
154, 164: 제3 및 제4 축
155, 165: 제1 및 제2 축
156, 166: 제1 및 제2 상부판
157, 167: 제1 및 제2 하부판
158, 159: 제1 및 제2 지지면
168, 169: 제3 및 제4 지지면
174, 175: 제1 및 제2 실린더

Claims (5)

  1. 승하강 실린더;
    에이치(H)빔 수용홈을 가지고,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로드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고,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제1 및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가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서로 마주보며 접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뒷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축과,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집게형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상부판 및 제1 하부판과,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에이치빔의 배의 일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상부판과 상기 제1 하부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면과, 상기 제1 상부판과 상기 제1 하부판 사이에 상기 제1 지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의 안쪽 날개와 마주보는 제2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상부판 및 제2 하부판과,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에이치빔의 배의 타면 및 상기 제1 지지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2 상부판과 상기 제2 하부판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3 지지면과, 상기 제2 상부판과 상기 제2 하부판 사이에 상기 제3 지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의 안쪽 날개와 마주보는 제4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면 상에 상기 에이치빔에 밀착되도록 요철부가 각각 부착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1 축 보다 뒤쪽에 설치되는 제3 축;
    상기 제3 축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실린더;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제2 축 보다 뒤쪽에 설치되는 제4 축;
    상기 제4 축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1 및 제2 실린더의 타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인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에이치빔의 바깥쪽 날개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1 지지면과 상기 제2 지지면의 연결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향해 회전시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에이치빔의 바깥쪽 날개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제3 지지면과 상기 제4 지지면의 연결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인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실린더는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각각 2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인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에이치빔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가압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압판을 상기 H빔 수용홈을 향해 각각 밀어 상기 에이치빔의 양쪽 날개의 단부에 각각 밀착되도록 하는 제3 및 제4 실린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치빔 인발 장치.
KR1020180038868A 2018-04-03 2018-04-03 에이치빔 인발 장치 KR101863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68A KR101863526B1 (ko) 2018-04-03 2018-04-03 에이치빔 인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868A KR101863526B1 (ko) 2018-04-03 2018-04-03 에이치빔 인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526B1 true KR101863526B1 (ko) 2018-06-29

Family

ID=6278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868A KR101863526B1 (ko) 2018-04-03 2018-04-03 에이치빔 인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5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267A (ko) * 2019-02-19 2020-08-27 곽주민 회전축방식에 의한 h-빔 인발장비 및 이에 의한 h-빔 인발시스템
KR20230172923A (ko) 2022-06-16 2023-12-26 (주)도하 빔인출기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빔인출기
KR20240013545A (ko) 2022-07-22 2024-01-30 김나영 빔인출기
KR20240025137A (ko) 2022-08-18 2024-02-27 (주)도하 중장비용 수평자세 유지 장치
KR102670340B1 (ko) * 2023-03-30 2024-05-29 보경산업 주식회사 차수벽 시공용 엔드 케이싱과 엔드 케이싱을 이용한 차수벽 시공공법 및 차수벽 시공용 엔드케이싱 풀링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0205U (ko) * 1977-11-17 1979-06-07
KR100765375B1 (ko) 2006-10-02 2007-10-10 한두희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에이취 빔 인출장치
JP2011162990A (ja) * 2010-02-09 2011-08-25 Fuji Steel Corp 山留用h型鋼材の引抜装置
KR200465908Y1 (ko) 2010-12-07 2013-03-19 주식회사 영창토건 근입 및 인발장치
KR20140007146A (ko) 2012-07-09 2014-01-17 김만태 인발 작업이 가능한 굴삭기 및 굴삭기를 이용한 인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0205U (ko) * 1977-11-17 1979-06-07
KR100765375B1 (ko) 2006-10-02 2007-10-10 한두희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에이취 빔 인출장치
JP2011162990A (ja) * 2010-02-09 2011-08-25 Fuji Steel Corp 山留用h型鋼材の引抜装置
KR200465908Y1 (ko) 2010-12-07 2013-03-19 주식회사 영창토건 근입 및 인발장치
KR20140007146A (ko) 2012-07-09 2014-01-17 김만태 인발 작업이 가능한 굴삭기 및 굴삭기를 이용한 인발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267A (ko) * 2019-02-19 2020-08-27 곽주민 회전축방식에 의한 h-빔 인발장비 및 이에 의한 h-빔 인발시스템
KR102168441B1 (ko) * 2019-02-19 2020-10-21 곽주민 회전축방식에 의한 h-빔 인발장비 및 이에 의한 h-빔 인발시스템
KR20230172923A (ko) 2022-06-16 2023-12-26 (주)도하 빔인출기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빔인출기
KR20240013545A (ko) 2022-07-22 2024-01-30 김나영 빔인출기
KR20240025137A (ko) 2022-08-18 2024-02-27 (주)도하 중장비용 수평자세 유지 장치
KR102670340B1 (ko) * 2023-03-30 2024-05-29 보경산업 주식회사 차수벽 시공용 엔드 케이싱과 엔드 케이싱을 이용한 차수벽 시공공법 및 차수벽 시공용 엔드케이싱 풀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526B1 (ko) 에이치빔 인발 장치
CN108894225B (zh) 一种适用于周转型钢结构护坡桩的拔桩器
CN105625429B (zh) 一种拔桩装置及其使用方法
JP2011162990A (ja) 山留用h型鋼材の引抜装置
JP2019035268A (ja) 杭抜き機の杭キャップ、及び杭キャップを用いた杭抜き工法
KR20190110269A (ko) 가설 흙막이 토류판 회수장치 및 회수방법
CN109518691B (zh) 一种拔桩机
CN115977111A (zh) “前斜后直”双排钢板桩环保型基坑支护结构及施工方法
EP093782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enlarged pile heads
KR101171678B1 (ko) 인발기
CN214169064U (zh) 一种套管接长式塑料排水板插打装置
KR20080109113A (ko) 시트파일 인발장치
CN216689399U (zh) 一种钢管桩辅助拔除装置
KR960016752B1 (ko) H빔 뽑는 장치
JP2020020094A (ja) 杭抜き機、及び杭抜き工法
JPS63233119A (ja) 刃口部分割によるケ−ソン沈設工法
CN211922622U (zh) 一种桩基拆除装置
KR102592160B1 (ko) 회수가 용이한 친환경 이중 토류판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7325413U (zh) 一种基坑边坡用高安全性的加固装置
CN209854722U (zh) 拔桩装置
CN216275785U (zh) 一种增大塔吊施工半径的高陡坡富水砂层基础施工装置
CN215210989U (zh) 一种注浆微型桩
CN220999173U (zh) 一种蔬菜大棚桩柱撬杠
CN212937135U (zh) 一种植物移栽工具
KR100783472B1 (ko)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에이취 빔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