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116B1 -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3116B1 KR101863116B1 KR1020170127791A KR20170127791A KR101863116B1 KR 101863116 B1 KR101863116 B1 KR 101863116B1 KR 1020170127791 A KR1020170127791 A KR 1020170127791A KR 20170127791 A KR20170127791 A KR 20170127791A KR 101863116 B1 KR101863116 B1 KR 1018631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d wall
- psc beam
- fixing
- connecting member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은 단부의 상단이 절취된 블럭아웃부, 블럭아웃부 하부의 단부턱을 갖는 본체; 단부면에 결합면을 제공하도록 본체에 교축방향으로 매립되는 정착부재; 수직관통홀이 구성되며 정착부재의 결합면에 결합되어 본체의 단부면으로부터 교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의 수직관통홀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수직앵커철근을 포함하여 블럭아웃부에 조립되는 철근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의 작용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을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격부 영구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일체식 교대 교량을 시공하기 위해 매달기 거푸집의 설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의 교각 위치의 설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종래기술 1의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측 종단면도, 도 11b는 평면도, 도 11c는 종단면도, 도 11d는 횡단면도이다.
도 12a는 종래기술 2의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단부측 종단면도, 도 12b는 평면도, 도 12c는 종단면도, 도 12d는 횡단면도이다.
12 : 단부턱 13 : 단부면
14 : 전단키 15 : 돌출전단키
20 : 정착부 재 21 : 정착판
22 : 정착철근 23 : 고정너트
30 : 연결부 재 31 : 수직관통홀
32 : 판재 연결부재 33 : 중간정착판
34 : 보강리브 35 : 철근 연결부재
40 : 철근조립체 41 : 수직앵커철근
42 : 갈고리앵커철근 43 : 수평앵커철근
50 : 이격부 영구거푸집 51 : 수평판
52 : 상방수직돌기 53 : 하방수직돌기
54 : 방수재 55 : 채움재
60 : 매달기동바리 61 : 브라켓
62 : 볼트 63 : 매달기 거푸집
Claims (9)
- 단부의 상단이 절취된 블럭아웃부(11), 블럭아웃부(11) 하부의 단부턱(12)을 갖는 본체(10);
단부면(13)에 결합면을 제공하도록 본체(10)에 교축방향으로 매립되는 정착부재(20);
수직관통홀(31)이 구성되며 정착부재(20)의 결합면에 결합되어 본체(10)의 단부면(13)으로부터 교축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30); 및
연결부재(30)의 수직관통홀(31)을 수직하게 관통하는 수직앵커철근(41)을 포함하여 블럭아웃부(11)에 조립되는 철근조립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 제1항에 있어서,
정착부재(20)와 연결부재(30)는,
단부면(13)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2개 이상 구성되고, 높이 방향으로도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2개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 제2항에 있어서,
정착부재(20)는,
볼트홀이 천공되고 단부면(13)에 일면이 노출되는 정착판(21), 정착판(21)의 타면 볼트홀 위치에 결합되는 고정너트(23), 고정너트(23)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본체(10)에 매립되는 정착철근(22)으로 구성되고,
연결부재(30)는,
수직관통홀(31)이 천공된 판재 연결부재(32), 볼트홀이 천공되고 판재 연결부재(32)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중간정착판(33)으로 구성되어 정착부재(20)의 고정너트(23)에 볼트(B)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 제2항에 있어서,
정착부재(20)는,
단부면(13)에 일면이 노출되는 정착판(21), 정착판(21)의 타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정착철근(22)으로 구성되고,
연결부재(30)는,
U자형으로 절곡된 철근으로 철근 연결부재(35)로 구성되어 정착판(21)에 직접 용접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 제2항에 있어서,
이격된 정착부재(20,20) 사이에의 단부면(13)에는 형성되는 요철의 전단키(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착부재(20)가 본체(10)에 매립되도록 일체로 제작하는 단계(S100);
연결부재(30)를 정착부재(20)에 결합하는 단계(S200);
연결부재(30)가 정착부재(20)에 결합된 본체(10)의 단부를 단부턱(12)의 끝단이 흉벽(4)의 끝단과 마주하도록 받침장치(3)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S300);
흉벽(4) 상단에 이격부 영구거푸집(50)을 단부턱(12)의 하면 모서리부에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S400); 및
블럭아웃부(11)와 이격부 영구거푸집(50)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부벽체(2)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을 이용한 반일체식교대 교량 시공방법. - 제6항에 있어서,
S400 단계에서 이격부 영구거푸집(50)은,
수평판(51), 수평판(51)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방수직돌기(52,52), 수평판(51)의 하면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하방수직돌기(53,5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을 이용한 반일체식교대 교량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수평판(51)의 하면에 한 쌍의 하방수직돌기(53,53) 사이에 방수재(54) 및 채움재(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을 이용한 반일체식교대 교량 시공방법. - 제6항에 있어서,
S500 단계에서,
서로 이웃한 단부턱(12,12) 상면에 브라켓(61)을 서로 이웃하는 단부턱(13,13)방향으로 설치하고 브라켓(61)에 매달기 거푸집(63)을 매달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단부벽체(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을 이용한 반일체식교대 교량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791A KR101863116B1 (ko) | 2017-09-29 | 2017-09-29 |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7791A KR101863116B1 (ko) | 2017-09-29 | 2017-09-29 |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3116B1 true KR101863116B1 (ko) | 2018-05-31 |
Family
ID=6245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7791A Active KR101863116B1 (ko) | 2017-09-29 | 2017-09-29 |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311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28380A (zh) * | 2019-09-05 | 2019-12-03 |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 一种自适应吊杆角度的锚箱 |
KR102181972B1 (ko) * | 2020-07-20 | 2020-11-24 | 주식회사 에스티 | 선매립 앵커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점검시설 |
KR102249063B1 (ko) | 2020-10-16 | 2021-05-07 | (주)신승이앤씨 | 정착판을 이용하여 내구성 및 빔단부의 결합성을 향상시킨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라멘교 및 그의 시공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7344B1 (ko) | 2007-09-21 | 2009-11-19 | 박무용 |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
KR101128866B1 (ko) | 2011-01-21 | 2012-03-26 | (주)유송엔지니어링 |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해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를 이용한 벽체 전단보강철근 배근방법 |
KR101694396B1 (ko) | 2016-04-26 | 2017-01-10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반일체식 교량용 ps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KR101751724B1 (ko) | 2016-08-31 | 2017-06-29 | (주)한맥기술 | 부재의 강성비 조절을 통하여 모멘트를 재분배하여 형고를 낮춘 저형고 일체식 psc i형 거더교 |
-
2017
- 2017-09-29 KR KR1020170127791A patent/KR10186311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7344B1 (ko) | 2007-09-21 | 2009-11-19 | 박무용 |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
KR101128866B1 (ko) | 2011-01-21 | 2012-03-26 | (주)유송엔지니어링 | 벽체의 전단보강을 위해 일체형 전단보강철근 조립체를 이용한 벽체 전단보강철근 배근방법 |
KR101694396B1 (ko) | 2016-04-26 | 2017-01-10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반일체식 교량용 ps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KR101751724B1 (ko) | 2016-08-31 | 2017-06-29 | (주)한맥기술 | 부재의 강성비 조절을 통하여 모멘트를 재분배하여 형고를 낮춘 저형고 일체식 psc i형 거더교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28380A (zh) * | 2019-09-05 | 2019-12-03 |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 一种自适应吊杆角度的锚箱 |
CN110528380B (zh) * | 2019-09-05 | 2024-04-12 |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 一种自适应吊杆角度的锚箱 |
KR102181972B1 (ko) * | 2020-07-20 | 2020-11-24 | 주식회사 에스티 | 선매립 앵커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교량 점검시설 |
KR102249063B1 (ko) | 2020-10-16 | 2021-05-07 | (주)신승이앤씨 | 정착판을 이용하여 내구성 및 빔단부의 결합성을 향상시킨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라멘교 및 그의 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85745B (fi) | Brandsaeker prefabricerad staolbalk. | |
KR101863116B1 (ko) | 단부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sc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 |
KR101613784B1 (ko) | 조인트 노후 교량을 무조인트 교량으로 시공하는 방법 | |
JP4002771B2 (ja) | 既設単純桁橋梁を連続化した連続桁構造 | |
KR102040363B1 (ko) | 무천공방식의 정착고리철근을 이용한 교대측과 교량측 간의 연결슬래브조인트 시공방법 | |
KR101693767B1 (ko) |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 |
JP5203277B2 (ja) | プレキャスト床版のパネル間継手 | |
KR101133420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거더교의연속화 공법 | |
KR20080093261A (ko) |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 |
KR20130047403A (ko) | 스템형상을 갖는 격벽교대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 |
KR102202618B1 (ko) | 단부확장 돌출플랜지와 받침 콘크리트 블럭을 갖는 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 |
KR100758711B1 (ko) | 중공 형강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의 상부를 콘크리트속채움한 구성을 가진 복공판 | |
KR20170083917A (ko) | 상부 충전 플랜지 튜브를 갖는 하이브리드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2261661B1 (ko) | 폴리우레아 유도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유도배수 시공 방법 | |
KR20160019286A (ko) | 단부다이아프램을 구비한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시공방법 | |
KR100480471B1 (ko) | 허니컴 거더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연속화연결구조 및 연속화 방법 | |
KR100225536B1 (ko) | 교량상판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JP2861219B2 (ja) | 橋梁補修用鋼床版とその取付方法 | |
KR100499976B1 (ko) | 피씨 강선 및 티형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철근콘크리트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20060028828A (ko) | 슬래브 일체형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 |
KR100638673B1 (ko) | 일체식교대 교량에 있어 교대와 강재 거더의 접합부구조및 그 시공방법 | |
KR20080004752U (ko) |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 |
JPH0820915A (ja) | プレキャスト床版 | |
KR100584869B1 (ko) | 지상에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조립하고 교량 상부슬래브를 타설양생하여 제작한 단위 프리스트레스트합성보 교량 및 이를 조립하여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합성보 교량 시공방법 | |
JP7290461B2 (ja) | 桁材と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続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