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970B1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970B1
KR101862970B1 KR1020167034813A KR20167034813A KR101862970B1 KR 101862970 B1 KR101862970 B1 KR 101862970B1 KR 1020167034813 A KR1020167034813 A KR 1020167034813A KR 20167034813 A KR20167034813 A KR 20167034813A KR 101862970 B1 KR101862970 B1 KR 10186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ever
emergency stop
governor rope
rope
gover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3995A (en
Inventor
나오히로 시라이시
겐 미야카와
세이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9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가 탑재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는, 조속기 로프(20)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는,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하부 탄성체(35)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상부 탄성체(36)가 마련되어 있다. In the elevator apparatus, a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ar 8, and an upper emergency stop 15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The lower emergency stop is provided with a lower lifting lever 16 for operating the lower emergency stop by being pulled up by the governor rope 20. The upper emergency stop is provided with an upper lifting lever 17 which is operated by the upper emergency stop by being pulled up by the governor rope. Between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governor rope, a lower elastic body 35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lifting lever and the governor rope, an upper elastic body 36 is provid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0001] ELEVATOR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상하에 비상(非常) 멈춤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n emergency stop device is mount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an elevator car.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프레임에 상부 제동(制動) 기구가 수납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 프레임에 하부 제동 기구가 수납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는, 상부 제동 기구의 레버에 결합되어 있다. 하부 제동 기구는, 연결봉을 매개로 하여 상부 제동 기구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속기 로프가 파지되어 상부 제동 기구의 레버가 조작되면, 하부 제동 기구의 레버도 조작되어, 상부 제동 기구 및 하부 제동 기구가 동시에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제동 기구 및 하부 제동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In a conventional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an upper braking mechanism is housed in an upper frame of a car, and a lower braking mechanism is housed in a lower frame of the car. The governor rope is coupled to the lever of the upper braking mechanism. The lower braking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upper braking mechanism via a connecting rod. Therefore, when the governor rope is gripped and the lever of the upper braking mechanism is operated, the lever of the lower braking mechanism is also operated so that the upper braking mechanism and the lower braking mechanism operate simultaneously. Thus, the upper braking mechanism and the lower braking mechanism can be downsiz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1-299179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1-299179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에서는, 상부 제동 기구 및 하부 제동 기구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서, 연결봉의 길이를 현장에서 정확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고, 설치 작업이 어려워, 작업성이 낮다.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adjus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in order to simultaneously operate the upper braking mechanism and the lower braking mechanism, the installation work is difficult, and the workability is l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device capable of more reliably operating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while improving workability in the field.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체(昇降體), 승강체의 하부에 탑재(搭載)되어 있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 승강체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 승강로 내에 부설(敷設)되어 있고, 승강체의 승강에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 및 승강체의 과대(過大)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고, 승강체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하면,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여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하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하부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상부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다.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an elevator body, a lower emergency stop devic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body, an upper emergency stop devic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body, And a lower lifting lever provided on the governor rope and the lower emergency stop so as to be circulated in accordance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and operated by pulling up by the governor rope, and a lower lifting lever provided on the upper emergency stop The upper lifting lever for lifting up the upper emergency stop by lifting by the governor rop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aveling at an excessive speed of the lifting body are monitored and the traveling speed of the lifting body is set at an excessive speed When it reaches, it has a governor that grasps the governor rope and operates the lower emergency stop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 In between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governor rope,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the lifting lever and a governor rope, it is provided with an upper elastic member.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체, 승강체의 하부에 탑재되어 있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 승강체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 승강로 내에 부설되어 있고, 승강체의 승강에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 및 승강체의 과대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고, 승강체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하면,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여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하며, 조속기 로프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어느 일방과의 사이에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하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할 때까지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다. Further,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apparatus includes an elevator, a lower emergency stop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an upper emergency stop mounted on the elevator, Therefore, the governor rope provided in the circulating traveling governor rope and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is provided in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for operating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by being pulled up by the governor rope, and is pulled up by the governor rope The upper lifting lever for operating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aveling at the excessive speed of the lifting body are monitored and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lifting body reaches the excessive speed, the governor rope is gripped and the lower emergency stop And a governor for operating the upper emergency stop, wherein the speed governor rope, Up lev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and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between one of the lifting lev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so that the rotation stroke of the lower lifting lever until the lower emergency stopping device operates and the upper pulling- The rotation stroke of the lifting lever is different in advance.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eleva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reliably operate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while improving workability in the fiel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초기 각도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초기 각도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elevator car of Fig. 1; Fig.
Fig. 3 is an enlarged front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lower emergency stop of Fig. 1;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lower emergency stop in Fig. 3 during opera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of Fig. 7;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ase where the initial lifting angles of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of FIG. 7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lifting lever of Fig. 9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lifting lever of Fig. 10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1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case where initial angles of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of FIG. 12 are different.
1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lifting lever in Fig. 13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1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lifting lever of Fig. 14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16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emergency stop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of Fig. 16 are operated.
18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lifting lever of Fig. 18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2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lifting lever in Fig. 19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2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lifting lever of Fig. 22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2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lifting lever of Fig. 23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2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or car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장치)(3), 디플렉터 풀리(deflector pulley)(4), 및 제어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쉬브(6),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 및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制動)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a machine room 2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a hoistway 1. In the machine room 2, a traction machine (drive device) 3, a deflector pulley 4, and a control device 5 are provided. The traction machine 3 includes a drive sheave 6, a traction machine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drive sheave 6, and a traction machine brake (not shown)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6 Have.

구동 쉬브(6) 및 디플렉터 풀리(4)에는, 현가체(7)가 감아 걸려져 있다. 현가체(7)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체(7)의 제1 단부에는, 승강체인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The suspension body 7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6 and the deflector pulley 4. As the suspension member 7, a plurality of ropes or a plurality of belts are used. At the first end of the suspension member 7, the elevator car 8, which is ascending and descending, is connected. A balance weight 9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suspension member 7.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고, 권상기(3)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제어장치(5)는, 권상기(3)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설정한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8)을 승강시킨다. The elevator car 8 and the balance weight 9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by the suspension member 7 and ascend and descend in the hoistway 1 by the driving force of the hoist 3. The control device 5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hoisting machine 3 to elevate the elevator car 8 at the set speed.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2) 및 균형추 완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2)는, 승강로(1)의 저부로의 엘리베이터 칸(8)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한다. 마찬가지로, 균형추 완충기(13)는, 승강로(1)의 저부로의 균형추(9)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한다. A pair of elevator car guide rails 10 for guiding the elevator car 8 up and down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11 for guiding the elevation of the balance weight 9 are installed in the hoistway 1 have. At the bottom of the hoistway 1, an elevator car cushioning device 12 and a counterweight cushioning device 13 are provided. The car damper 12 relieves the impact of the collision of the car 8 to the bottom of the hoistway 1. Likewise, the balancer shock absorber 13 relaxes the impact of the impact of the balance weight 9 on the bottom of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상부에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을 파지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비상 정지시킨다. 이 예에서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는, 동일한 제동력을 발생한다. A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is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ar 8. An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 8. As shown in Fig.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hold the car door guide rail 10 to stop the car 8 in an emergency. In this example,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generate the same braking force.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에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마련되어 있다. The lower emergency stop (14) is provided with a lower lifting lever (16) for operating the lower emergency stop (14). The upper emergency stop 15 is provided with an upper lifting lever 17 for operating the upper emergency stop 15.

기계실(2)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과대(過大)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는 조속기(調速機)(18)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18)는, 조속기 쉬브(19), 과대 속도 검출 스위치 및 로프 캐치(catch) 등을 가지고 있다. 조속기 쉬브(19)에는, 조속기 로프(20)가 감아 걸려져 있다. The machine room 2 is provided with a governor 18 for monito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running at an excessive speed of the elevator car 8. [ The governor 18 has a governor sheave 19, an overspeed detection switch, a rope catch, and the like. In the governor sheave 19, the governor rope 20 is wound around.

조속기 로프(20)는, 승강로(1) 내에 고리 모양으로 부설(敷設)되고, 하부 끌어올림 레버(16)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 접속되어 있다. 즉, 조속기 로프(20)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8)에 접속되어 있다. The governor rope 20 is laid annularly in the hoistway 1 and connected to the lower lifting lever 16 and the upper lifting lever 17. That is, the governor rope 20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8 via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또, 조속기 로프(20)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션 풀리(21)에 감아 걸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이 승강하면, 조속기 로프(20)가 순환 이동하고,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조속기 쉬브(19)가 회전한다. The governor rope 20 is wound around a tension pulley 21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istway 1. [ When the elevator car 8 ascends and descends, the governor rope 20 circulates and the governor sheave 19 rotates at a rotational speed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speed of the car 8.

조속기(1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한 것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검출되는 과대 속도로서는, 정격(定格) 속도(Vr)보다도 높은 제1 과대 속도(Vos)와, 제1 과대 속도보다도 높은 제2 과대 속도(Vtr)가 설정되어 있다. In the governor 18, it is mechanically detected that the running speed of the car 8 has reached an excessive speed. As the detected excessive speed, the first excessive speed Vos higher than the rated speed Vr and the second excessive speed Vtr higher than the first excessive speed are set.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가 제1 과대 속도(Vos)에 도달하면, 과대 속도 검출 스위치가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3)로의 급전(給電)이 차단되어, 엘리베이터 칸(8)이 긴급 정지한다. When the running speed of the car 8 reaches the first excessive speed Vos, the overspeed detection switch is operated. As a result, the power supply to the hoisting machine 3 is cut off, and the elevator car 8 stops urgently.

엘리베이터 칸(8)의 하강 속도가 제2 과대 속도(Vtr)에 도달하면, 로프 캐치에 의해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어, 조속기 로프(20)의 순환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하부 끌어올림 레버(16)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끌어 올려져,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비상 정지한다. When the descent speed of the car 8 reaches the second overspeed velocity Vtr, the governor rope 20 is gripped by the rope catch, and the circulation of the governor rope 20 is stopped. As a result, the lower lifting lever 16 and the upper lifting lever 17 are pulled up to operate the lower emergency stop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15, Stop.

또, 도 1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조속기(18), 조속기 로프(20) 및 텐션 풀리(21)가, 엘리베이터 칸(8)의 전후 방향의 엘리베이터 칸(8)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조속기 로프(20)가 엘리베이터 칸(8)의 바로 옆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1, the governor 18, the governor rope 20 and the tension pulley 21 are disposed behind the elevator car 8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8 for the sake of simplicity, Is arranged so that the governor rope (20) passes right beside the elevator car (8).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칸(8)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축(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를 도 2의 반시계 방향(작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한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를 도 2의 반시계 방향(작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작동한다. Fig. 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elevator car 8 of Fig. 1; The lower lifting lever 16 is rotatable about the lower lifting lever shaft 22.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operates by rotating the lower lifting lever 16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perating direction) of Fig. The upper lifting lever 17 is rotatable about the upper lifting lever shaft 23. The upper emergency stop 15 operates by rotating the upper lifting lever 17 counterclockwise (operating direction) in Fig.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의 작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 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하부 스토퍼로서의 하부 스토퍼 볼트(31)가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상부에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작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 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상부 스토퍼로서의 상부 스토퍼 볼트(32)가 장착되어 있다. A lower stopper bolt 31 as a lower stopper for restricting rota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lower lifting lever 16 (clockwise direction in FIG. 2)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8. An upper stopper bolt 32 as an upper stopper for restricting rota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upper lifting lever 17 (clockwise direction in Fig. 2)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8. [

조속기 로프(20)에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블록)(33)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블록)(34)가 고정되어 있다. 상부 로프 고정 부재(34)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33)의 상부에서 조속기 로프(20)에 고정되어 있다. A lower rope fixing member (block) 33 and an upper rope fixing member (block) 34 are fixed to the governor rope 20.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34 is fixed to the governor rope 2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33.

하부 로프 고정 부재(33)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하부 지지 암(33a)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로프 고정 부재(34)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상부 지지 암(34a)이 마련되어 있다.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33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arm 33a projecting horizontally.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34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ly projecting upper support arm 34a.

하부 지지 암(33a)과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와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하부 탄성체(35)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탄성체(35) 및 하부 로프 고정 부재(33)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Between the lower support arm 33a and the lower lifting lever 16, there is provided a lower elastic body 35 which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lifting lever 16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lower elastic member 35 and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33. [

상부 지지 암(34a)과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와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상부 탄성체(36)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탄성체(36)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34)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Between the upper support arm 34a and the upper lifting lever 17, there is provided an upper elastic body 36 which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lifting lever 17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upper elastic member 36 and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34. [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또,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The lower elastic member 35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36 ar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lower elastic member 35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36, for example, a spring such as a coil spring is used.

도 3은 도 1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는, 테이퍼 모양의 한 쌍의 가이드면(24a, 24b)이 형성된 가이드체(24)와, 가이드체(24)의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쐐기(25a, 25b)를 가지고 있다. 쐐기(25a, 25b)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의 회전에 연동하여, 가이드면(24a, 24b)을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the lower emergency stop 14 of Fig. 1,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includes a guide body 24 having a pair of tapered guide surfaces 24a and 24b and a pair of wedges 25a and 25b disposed inside the guide body 24, Lt; / RTI > The wedges 25a and 25b slide along the guide surfaces 24a and 24b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lower lifting lever 16.

도 5는 도 3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의 작동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가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끌어 올려지고, 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쐐기(25a, 25b)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정지한다.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wer emergency stop 14 of Fig. 3,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When the lower lifting lever 16 is pulled up against the elevator car 8 and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3, the wedges 25a and 25b move upwar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n, the wedges 25a and 25b are inserted between the guide member 24 and the car guide rail 10. As a result, the braking force is generated and the car 8 stops.

통상시에는, 쐐기(25a, 25b)는 내려진 위치에 있으며,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의 중간부는 하부 스토퍼 볼트(31)의 상단부에 놓여 있다. 이 때, 하부 스토퍼 볼트(31)의 상하 방향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쐐기(25a, 25b)가 완전히 들어갈 때까지의 상승 거리(e)(도 4)가 정해진다. 쐐기(25a, 25b)는, 상승 거리(e)만큼 상승하면 완전히 들어가고, 그것 이상은 움직일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도 그 위치(작동 위치)로부터 끌어올림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In the normal state, the wedges 25a and 25b are in the lowered position,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lifting lever 16 rests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opper bolt 31. [ At this tim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ower stopper bolt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ising distance e (Fig. 4) until the wedges 25a and 25b are fully inserted is determined. Since the wedges 25a and 25b rise completely by the rising distance e and can no longer move beyond the wedges 25a and 25b, the lower lifting lever 16 also rotates in the lifting direction from its position Can not.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구성 및 동작은,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와 동일하며,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도 가이드체(24) 및 쐐기(25a, 25b)가 마련되어 있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is the same as that of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is also provided with a guide body 24 and wedges 25a and 25b.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를 끌어올리는 힘에 대해서 충분히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쐐기(25a, 25b)를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완전히 들어가게 하여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에 의해서는 탄성 변형하지 않는다. The lower elastic member 35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36 have a sufficiently high rigidity against the force of pulling up the lower lifting lever 16 and the upper lifting lever 17 and the wedges 25a, Stopping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by fully engaging the guide rail 24 and the car door guide rail 10 with each other.

단,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는, 엘리베이터 칸(8)의 낙하시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 중 어느 일방만이 작동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8)이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더 낙하하려고 하는 힘에 대해서는 탄성 변형한다. It is to be noted that the lower elastic member 35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36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only one of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operates when the car 8 falls, (8) is elastically deformed with respect to a force which is to be further dropped on the governor rope (20).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하부 탄성체(35)를 개재시킴과 아울러,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상부 탄성체(36)를 개재시켰으므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작동 타이밍에 어긋남이 생겨도, 하부 탄성체(35) 또는 상부 탄성체(36)가 수축함으로써, 양쪽 모두의 비상 멈춤 장치(14, 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In this elevator device, a lower elastic member 35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lifting lever 16 and the governor rope 20, and a lower elastic member 35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lifting lever 17 and the governor rope 20, The lower elastic member 35 or the upper elastic member 36 shrinks even if the operation timing of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deviate from each other, The stoppers 14 and 15 can be operated more reliably.

즉, 끌어올림 레버(16, 17) 중, 먼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하는 쪽을 선행 레버, 나머지를 후행 레버로 하면, 선행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 후, 정지하고 있는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칸(8)이 더 하강하려고 함으로써, 선행 레버에 접속된 하부 탄성체(35) 또는 상부 탄성체(36)가 수축하고, 후행 레버가 작동 위치까지 회전한다. That is, when the leading lever and the remainder are the trailing levers, one of the lifting levers 16 and 17, which first rotates to the operating position,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n the stopped governor rope 20 As the car 8 is further lowered, the lower elastic member 35 or the upper elastic member 36 connected to the preceding lever is contracted and the rearward lever is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현장에서는, 탄성체(35, 36)가 변형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완전히 동기(同期)시키기 위한 미세 조정을 하지 않아도 족하며,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Therefore, at the installation site of the elevator apparatus, fine adjustment is not performed to completely synchronize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elastic members 35 and 36 are deformable And the workability in the field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can be more reliably operated.

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서, 동일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the same parts can be used.

게다가,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탄성체(35) 및 하부 로프 고정 부재(33)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탄성체(36)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34)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와의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동일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설계 변경 불요).The lower lifting lever 16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lower elastic member 35 and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33. The upper lifting lever 17 is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36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are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through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34 and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34. Even in the case of a product having a different distance between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No design change).

실시 형태 2.Embodiment 2 Fig.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2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조속기 로프(20)와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조속기 로프(20)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를 관통하고 있다. Next,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car 8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arranged so as to cross the governor rope 20. That is, the governor rope 20 passes through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조속기 로프(20)에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블록)(43)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블록)(44)가 고정되어 있다.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의 상부에서 조속기 로프(20)에 고정되어 있다. 실시 형태 2의 로프 고정 부재(43, 44)에는, 수평하게 돌출된 지지 암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A lower rope fixing member (block) 43 and an upper rope fixing member (block) 44 are fixed to the governor rope 20.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44 is fixed to the governor rope 20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43. The rope fixing members 43 and 44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not provided with support arms projecting horizontally.

하부 탄성체(35)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하부 탄성체(35) 및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The lower elastic member 35 is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43 and the lower lifting lever 41.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lower elastic member 35 and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43. [

상부 탄성체(36)는,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탄성체(36)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고, 조속기 로프(20)는, 엘리베이터 칸(8)의 상승시에도 하강시에도 엘리베이터 칸(8)과 함께 이동한다(이 점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조속기 로프(20)는,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를 관통하고 있다. The upper elastic member 36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44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through the upper elastic member 36 and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44. [ Thus,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are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so that the governor rope 20 can be lifted up or down even when the elevator car 8 is raised or lowered 8 (this point is also tru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governor rope 20 passes through the lower elastic member 35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36.

도 8은 도 7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에는, 조속기 로프(20)가 통과되는 하부 장공(41a)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에는, 조속기 로프(20)가 통과되는 상부 장공(42a)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20)로부터 끌어올림 레버(41, 42)에는, 상하 방향의 움직임만이 전해진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of Fig.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provided with a lower longitudinal hole 41a through which the governor rope 20 is passed.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provided with an upper elongated hole 42a through which the governor rope 20 passes. As a result, only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are transmitted from the governor rope 20 to the lifting levers 41, 42.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도 7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하부 비상 멈춤 장치(14)가 작동할 때까지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회전 스트로크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회전 스트로크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2<θ1).9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of FIG. 7 have different initial angles (the lower lifting lever 41 until the lower emergency stop 14 is activated) When the rotation stroke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different from the rotation stroke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until the upper emergency stop 15 is operated). In this example, the initial angle? 2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smaller than the initial angle? 1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 2 <? 1).

도 9의 상태로부터, 현가체(7)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낙하하고,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동시에 끌어 올려진다. 그러나, θ2<θ1이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먼저 작동 위치에 도달한다. 9, when the car 8 falls and the governor rope 20 is gripped by breakage or the like of the suspension member 7,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It is pulled up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2 <? 1, as shown in Fig. 10, the upper lifting lever 42 first reaches the operating position.

이 때,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서는,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가 있지만,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의 쐐기(25a, 25b)는 아직 들어가 있지 않다. 만일 탄성체(35, 36)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하부 끌어올림 레버(41)가 그것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는 작동하지 않아, 비상 멈춤 장치(14, 15) 전체로서는 충분한 제동력을 발생할 수 없다. At this time, in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the wedges 25a and 25b are inserted between the guide body 24 and the car guide rail 10, but the wedges 25a and 25b of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 25b) are not yet in place. If the elastic members 35 and 36 are not provided,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does not operate because the lower lifting lever 41 does not rotate any more than that, and the entire emergency stop devices 14 and 15 Sufficient braking force can not be generated.

이것에 대해서, 탄성체(35, 36)를 이용한 경우, 도 10의 상태로부터 상부 탄성체(36)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상부 탄성체(36)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범위에서 조속기 로프(20)를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엘리베이터 칸(8)을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에 이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도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stic members 35 and 36 are used, the governor rope 20 can be moved in the elevator car (for example, (The car 8 is mov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governor rope 20), and the lower lifting lever 41 can be further lifted. Then, as shown in Fig. 11, the lower lifting lever 41 can be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after the upper lifting lever 42 as well.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Therefore, similarly to Embodiment 1,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can be more reliably operated while improving workability in the field.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지지 암(33a, 34a) 상에 탄성체(35, 36)를 배치했으므로, 비상 멈춤 장치(14, 15)의 작동시에, 조속기 로프(20)에 모멘트가 발생하고, 로프 고정 부재(33, 34) 부근에서 조속기 로프(20)가 변형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2에서는, 조속기 로프(20)에 상하 방향의 힘밖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비상 멈춤 장치(14, 15)의 작동시에 조속기 로프(20)가 변형하기 어려워, 비상 멈춤 장치(14, 15)를 보다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elastic members 35 and 36 are disposed on the support arms 33a and 34a, a moment is generated in the governor rope 20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emergency stoppers 14 and 15,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overnor rope 20 is de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rope fixing members 33,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governor rope 20 is applied with only the upward and downward force, the governor rope 20 is hardly deformed during operation of the emergency stoppers 14, 15, (14, 15) can be operated more smoothly.

게다가, 실시 형태 2에서는, 탄성체(35, 36)가 조속기 로프(20)와 동축(同軸)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평 방향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elastic members 35 and 36 are disposed coaxially with the governor rope 20, space-sa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chieved.

게다가 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서, 동일한 부품을 이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same components can be used in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와의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설계 변경 불요).Further, the same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a product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is different (no design change is necessary).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조속기 로프(20)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봉(45)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봉(45)은, 예를 들면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봉(45)에는, 하부 지지부(45a) 및 상부 지지부(45b)가 마련되어 있다.Next,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car 8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a connecting rod 45 is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governor rope 20. The connecting rod 45 is made of, for example, metal. The connecting rod 45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ing portion 45a and an upper supporting portion 45b.

하부 지지부(45a)는, 연결봉(45)의 중간부보다도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45b)는, 연결봉(45)의 중간부보다도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45a is disposed below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45. [ The upper support portion 45b is disposed above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connecting rod 45. [

하부 탄성체(35)는, 하부 지지부(45a) 상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 하부 지지부(45a)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하부 탄성체(35) 및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The lower elastic member 35 is disposed on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45a and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45a.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lower elastic body 35 and the connecting rod 45. [

상부 탄성체(36)는, 상부 지지부(45b)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 상부 지지부(45b)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탄성체(36) 및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또, 하부 탄성체(35) 및 상부 탄성체(36)는, 연결봉(45)을 둘러싸고 있다. The upper elastic member 36 is disposed on the upper support portion 45b and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lifting lever 42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45b.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through the upper elastic body 36 and the connecting rod 45. [ The lower elastic member 35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36 surround the connecting rod 45.

연결봉(45)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하부 장공(41a)(도 8)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상부 장공(42a)(도 8)에 통과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하다. The connecting rod 45 is passed through the lower elongated hole 41a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elongated hole 42a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Fig. 8).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도 13은 도 12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1<θ2).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ase where the initial elevation angles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of FIG. 1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example, the initial angle? 1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smaller than the initial angle? 2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 1 <? 2).

도 13의 상태로부터, 현가체(7)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낙하하고,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동시에 끌어 올려진다. 그러나, θ1<θ2이기 때문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가 먼저 작동 위치에 도달한다. When the car 8 falls and the governor rope 20 is gripped by the breakage of the suspension member 7 or the like from the state of Fig. 13,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It is pulled up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1 <? 2, as shown in FIG. 14, the lower lifting lever 41 first reaches the operating position.

이 때,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에서는,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가 있지만,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쐐기(25a, 25b)는 아직 들어가 있지 않다. 만일 탄성체(35, 36)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그것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는 작동하지 않아, 비상 멈춤 장치(14, 15) 전체로서는 충분한 제동력을 발생할 수 없다. At this time, in the lower emergency stop 14, the wedges 25a and 25b are inserted between the guide body 24 and the car guide rail 10, but the wedges 25a and 25b of the upper emergency stop 15 , 25b) are not yet in place. If the elastic members 35 and 36 are not provide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does not operate because the upper lifting lever 42 does not rotate any more than it, and the entire emergency stop devices 14 and 15 Sufficient braking force can not be generated.

이것에 대해서, 탄성체(35, 36)를 이용한 경우, 도 14의 상태로부터 하부 탄성체(35)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하부 탄성체(35)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범위에서 연결봉(45) 및 조속기 로프(20)를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에 이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도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In contrast, when the elastic members 35 and 36 are used, the lower elastic member 35 contracts from the state of Fig. 14, so that the connecting rod 45 and the governor rope 20 Can be moved further in the up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vator car 8,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can be further lifted. Then, as shown in Fig. 15, the upper lifting lever 42 can be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following the lower lifting lever 41 as well.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Therefore, similarly to Embodiment 1,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can be more reliably operated while improving workability in the field.

또, 연결봉(45)을 이용한 것에 의해,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끌어올림 레버(41, 42) 및 탄성체(35, 36)와의 접촉에 의해 조속기 로프(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Use of the connecting rod 45 prevents the governor rope 20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 between the lifting levers 41 and 42 and the elastic members 35 and 36 in addition to the same effect as the second embodiment ,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achieving a long life span.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다음으로,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4에서는, 조속기 로프(20)에 로프 고정 부재(블록)(46)가 고정되어 있다. 로프 고정 부재(46)에는, 중간 연결 부재(47)가 고정되어 있다. 중간 연결 부재(47)는, 조속기 로프(20)에 평행하게 배치된 로드부(47a)와, 로드부(47a)의 중간부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고 로프 고정 부재(46)에 접속된 돌출부(47b)를 가지고 있다. Next, Fig. 1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car 8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a rope fixing member (block) 46 is fixed to the governor rope 20. To the rope fixing member 46,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47 is fixe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47 includes a rod portion 47a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overnor rope 20 and a projection portion 47b projecting horizontally from the middle portion of the rod portion 47a and connected to the rope fixing member 46 ).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에는, 막대 모양의 하부 연결 부재(48)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탄성체(35)는, 중간 연결 부재(47)와 하부 연결 부재(48)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는, 막대 모양의 상부 연결 부재(49)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탄성체(36)는, 중간 연결 부재(47)와 상부 연결 부재(49)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A rod-shaped lower connecting member 48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lifting lever 16. The lower elastic member 35 is connected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47 and the lower connecting member 48. A rod-shaped upper linking member 49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lifting lever 17. The upper elastic member 36 is connected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47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49.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연결 부재(48), 하부 탄성체(35) 및 중간 연결 부재(47)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연결 부재(49), 상부 탄성체(36) 및 중간 연결 부재(47)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The lower lifting lever 16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through the lower linking member 48, the lower elastic body 35 and the intermediate linking member 47. The upper lifting lever 17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through the upper linking member 49, the upper elastic body 36 and the intermediate linking member 47.

하부 연결 부재(48), 하부 탄성체(35), 로드부(47a), 상부 탄성체(36) 및 상부 연결 부재(49)는, 조속기 로프(20)에 평행한 직선 상에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The lower connecting member 48, the lower elastic member 35, the rod portion 47a, the upper elastic member 36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49 are arranged in alignment o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governor rope 20.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7은 도 16의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작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4의 구성에서는, 하부 탄성체(35)가 신장되고, 상부 탄성체(36)가 수축함으로써, 하부 끌어올림 레버(16)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가 달라도,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양쪽 모두를 작동시킬 수 있다. 1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of Fig. 16 operate. The lower elastic member 35 is extended and the upper elastic member 36 is contract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lifting lever 16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lifting lever 1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15) can be operated.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Therefore, similarly to Embodiment 1,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can be more reliably operated while improving workability in the field.

또, 조속기 로프(20)와의 고정부가 한 개소로 족하여, 설치 작업의 생력화(省力化, 노동력을 줄임)를 도모할 수 있다. Further, the fixing portion of the governor rope 20 can be provided at one place, and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made labor-saving (labor saving and labor reduction).

또, 로드부(47a)를 상하로 연장하여, 로드부(47a)의 하단부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와의 사이에 하부 탄성체(35)를 접속하거나, 로드부(47a)의 상단부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와의 사이에 상부 탄성체(36)를 접속하거나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하부 연결 부재(48) 및 상부 연결 부재(49)를 생략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lower elastic member 35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od portion 47a and the lower lifting lever 16 by extending the rod portion 47a up and down, The upper elastic body 36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lifting lever 17 and the upper elastic body. Thereby, the lower linking member 48 and the upper linking member 49 can be omitted.

실시 형태 5.Embodiment 5:

다음으로,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조속기 로프(20)에는, 로프 고정 부재(블록)(51)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로프 고정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0)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하부 장공(41a)(도 8)에 통과되어 있다. Next, Fig. 1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car 8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pe fixing member (block) 51 is fixed to the governor rope 20.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pe fixing member 51. The governor rope 20 is passed through the lower long hole 41a (FIG. 8)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중간부에는, 막대 모양의 하부 연결 부재(52)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는, 막대 모양의 상부 연결 부재(53)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부 연결 부재(52)의 상단부와 상부 연결 부재(53)의 하단부와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체(54)가 접속되어 있다. A lower end portion of the bar-shaped lower connecting member 5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 upper end of the rod-shaped upper connecting member 5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lifting lever 17.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necting member 52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53, an elastic body 54 which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nnected.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로프 고정 부재(51)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는, 상부 연결 부재(53), 탄성체(54), 하부 연결 부재(52),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로프 고정 부재(51)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5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rope fixing member 51. [ The upper lifting lever 17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upper connecting member 53, the elastic body 54, the lower connecting member 52,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rope fixing member 51 . That is, in the fifth embodiment, an elastic body 54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lifting lever 17 and the governor rope 20.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에는, 공장에서 사전에 차이가 부여되어 있다. 즉,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가 작동할 때까지의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회전 스트로크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다. 실시 형태 5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 θ2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2<θ1).The initial angles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17 are given advance differences in the factory. That is, the rotation stroke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until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is operated and the rotation stroke of the upper lifting lever until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operates It is different. In Embodiment 5, the initial angle? 2 of the upper lifting lever 17 is smaller than the initial angle? 1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 2 <? 1).

탄성체(54)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를 끌어올리는 힘에 대해서 충분히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고, 쐐기(25a, 25b)를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완전히 들어가게 하여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에 의해서는 탄성 변형하지 않는다. The elastic body 54 has a sufficiently high rigidity against the force of pulling up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17 and the wedges 25a and 25b are guided by the guide body 24, And is not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orce for operating the lower emergency stop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15) by being completely inserted between the rail (10).

단, 탄성체(54)는, 엘리베이터 칸(8)의 낙하시에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 중 어느 일방(실시 형태 5에서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만이 작동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8)이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더 낙하하려고 하는 힘에 대해서는 탄성 변형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However, only one of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in the fifth embodiment) is operated when the car 8 falls down So that the car 8 is elastically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force that the car 8 is about to fall further to the governor rope 20 in a state.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8의 상태로부터, 현가체(7)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낙하하고,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동시에 끌어 올려진다. 그러나, θ2<θ1이기 때문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17)가 먼저 작동 위치에 도달한다. When the car 8 falls and the governor rope 20 is gripped by the breakage of the suspension member 7 or the like from the state of Fig. 18,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17 It is pulled up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2 &lt;? 1, the upper lifting lever 17 first reaches the operating position as shown in Fig.

이 때,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에서는,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가 있지만,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의 쐐기(25a, 25b)는 아직 들어가 있지 않다. At this time, in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the wedges 25a and 25b are inserted between the guide body 24 and the car guide rail 10, but the wedges 25a and 25b of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 25b) are not yet in place.

이 후, 탄성체(54)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탄성체(54)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범위에서 조속기 로프(20)를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엘리베이터 칸(8)을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 이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도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The governor rope 20 is further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 8 in the range in which the elastic body 54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hrinkage of the elastic body 54 (Mov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wer lever 20), so that the lower lifting lever 41 can be further lifted. Then, as shown in Fig. 20, the lower lifting lever 17 can be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Therefore, similarly to Embodiment 1,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can be more reliably operated while improving workability in the field.

또,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탄성체(54)를 1개로 할 수 있다. Since the initial angles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17 are different in advance, the number of the elastic bodies 54 can be reduced to one.

게다가, 비상 멈춤 장치(14, 15)의 작동시에 조속기 로프(20)가 변형하기 어려워, 비상 멈춤 장치(14, 15)를 보다 스무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Moreover, the governor rope 20 is hard to deform during operation of the emergency stop devices 14, 15, so that the emergency stop devices 14, 15 can operate more smoothly.

게다가 또, 조속기 로프(20)와의 고정부가 1개소로 족하여, 설치 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is only one fixing portion to the governor rope 20,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can be improved.

또, 하부 연결 부재(52) 또는 상부 연결 부재(53)을 생략하여, 탄성체(54)를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또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에 직접 접속해도 괜찮다.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elastic member 54 to the lower lifting lever 41 or the upper lifting lever 17 by omitting the lower connecting member 52 or the upper connecting member 53. [

실시 형태 6.Embodiment 6:

다음으로,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로프 고정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20)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상부 장공(42a)에 통과되어 있다. Next, Fig. 2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car 8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pe fixing member 51. The governor rope 20 is passed through the upper elongated hole 42a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에는, 막대 모양의 하부 연결 부재(52)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중간부에는, 막대 모양의 상부 연결 부재(53)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The lower lifting lever 1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d-shaped lower connecting member 52. [ The upper end of the rod-like upper connecting member 5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고정 부재(51)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16)는, 하부 연결 부재(52), 탄성체(54), 상부 연결 부재(53), 상부 끌어올림 레버(42) 및 로프 고정 부재(51)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6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through a fixing member 51. [ The lower lifting lever 16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lower connecting member 52, the elastic body 54, the upper connecting member 53, the upper lifting lever 42 and the rope fixing member 51 . That is, in the sixth embodiment, an elastic body 54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lifting lever 16 and the governor rope 20.

실시 형태 6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16)의 초기 각도 θ1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1<θ2).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동일하다. In Embodiment 6, the initial angle? 1 of the lower lifting lever 16 is smaller than the initial angle? 2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 1 <? 2).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fth embodiment.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5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ame effect as in the fif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 하부 연결 부재(52) 및 상부 연결 부재(53)에 인장 하중만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 부재(52, 53)의 강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연결 부재(52, 53)의 설계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only tensile load acts on the lower connecting member 52 and the upper connecting member 53,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s 52 and 53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design of the connecting members 52 and 53 can be facilitat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실시 형태 7.Embodiment 7:

다음으로,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조속기 로프(20)에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에 대응하는 지지부인 하부 지지부로서의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에 대응하는 지지부인 상부 지지부로서의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가 고정되어 있다. Next, Fig. 2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car 8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overnor rope 20 is provided with a lower rope fixing member 43 as a lower supporting portion which is a suppor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raising lever 41 and a lower rope fixing member 43 as a suppor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aising lever 42, (44) is fixed.

탄성체(54)는, 조속기 로프(20)를 둘러싸고 있으며,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탄성체(54) 및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7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The elastic member 54 surrounds the governor rope 20 and is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43 and the lower lifting lever 41.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elastic member 54 and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43. [ That is, in the seventh embodiment, an elastic body 54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governor rope 20.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를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6과 동일하다. The upper raising lever 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44.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44. [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sixth embodiment.

즉, 실시 형태 7은, 실시 형태 2의 구성으로부터 상부 탄성체(36)를 없애고,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을,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θ1<θ2).That is, in the seventh embodiment, the upper elastic member 36 is eliminat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initial angle? 1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made smaller than the initial angle? 2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θ1 <θ2).

도 22의 상태로부터, 현가체(7)의 파단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이 낙하하고, 조속기 로프(20)가 파지되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42)가 동시에 끌어 올려진다. 그러나, θ1<θ2이기 때문에,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가 먼저 작동 위치에 도달한다. 22, when the car 8 falls and the governor rope 20 is gripped by breakage or the like of the suspension member 7,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It is pulled up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1 <? 2, as shown in FIG. 23, the lower lifting lever 41 first reaches the operating position.

이 때,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에서는, 쐐기(25a, 25b)가 가이드체(24)와 엘리베이터칸 가이드 레일(10)과의 사이에 들어가 있지만,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의 쐐기(25a, 25b)는 아직 들어가 있지 않다. At this time, in the lower emergency stop 14, the wedges 25a and 25b are inserted between the guide body 24 and the car guide rail 10, but the wedges 25a and 25b of the upper emergency stop 15 , 25b) are not yet in place.

이 후, 탄성체(54)가 수축하는 것에 의해, 탄성체(54)의 탄성 변형 가능한 범위에서 조속기 로프(20)를 엘리베이터 칸(8)에 대해서 상부 방향으로 더 이동(엘리베이터 칸(8)을 조속기 로프(20)에 대해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를 더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에 이어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도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The governor rope 20 is further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r 8 in the range in which the elastic body 54 can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hrinkage of the elastic body 54 (Mov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lifting lever 20), so that the upper lifting lever 42 can be lifted further. Then, as shown in Fig. 24, the upper lifting lever 42 can be rotated to the operating position after the lower lifting lever 41 as well.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Therefore, similarly to Embodiment 1,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can be more reliably operated while improving workability in the field.

또,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조속기 로프(20)가 변형하기 어렵고, 수평 방향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와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와의 사이의 거리가 다른 제품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설계 변경 불요).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governor rope 20 is not easily deformed and the sp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saved.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is The same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other products (no design change is required).

게다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 및 상부 끌어올림 레버(17)의 초기 각도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탄성체(54)를 1개로 할 수 있어, 저비용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itial angles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upper lifting lever 17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vance, the number of the elastic bodies 54 can be reduced, and the cost and weight can be reduced.

실시 형태 8.Embodiment 8:

다음으로,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8은, 실시 형태 7의 탄성체(54)를 상부 로프 고정 부재(44)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의 사이에 배치하며,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를 하부 로프 고정 부재(43)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를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θ2<θ1). 즉, 실시 형태 8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7과 동일하다. Next, Fig. 2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car 8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54 of the seventh embodiment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44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and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fixed to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43, And the initial angle? 2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made smaller than the initial angle? 1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 2 <? 1). That is,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elastic body 54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lifting lever 42 and the governor rope 20.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실시 형태 7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ame effect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실시 형태 9.Embodiment 9:

다음으로,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9에서는, 조속기 로프(20)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봉(45)이 연결되어 있다. 탄성체(54)는, 상부 지지부(45b)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부 지지부(45b)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하부 지지부(45a)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Next, Fig. 2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car 8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mbodiment 9, a connecting rod 45 is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governor rope 20. The elastic member 54 is disposed on the upper support portion 45b and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support portion 45b and the upper lifting lever 42. [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45a.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탄성체(54) 및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9에서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a connecting rod 45. [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elastic body 54 and the connecting rod 45. [ That is, in Embodiment 9, an elastic body 54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lifting lever 42 and the governor rope 20.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2<θ1).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The initial angle? 2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smaller than the initial angle? 1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 2 <? 1).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즉, 실시 형태 9는, 실시 형태 3(도 12)의 구성으로부터 하부 탄성체(35)를 없애고,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를,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보다도 작게 한 것이다. That is, in Embodiment 9, the lower elastic member 35 is eliminated from the configuration of Embodiment 3 (Fig. 12), and the initial angle [theta] 2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initial angle [theta] 1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It is small.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비상 멈춤 장치(14) 및 상부 비상 멈춤 장치(15)를 보다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This configuration also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14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15 more reliably while improving the workability in the field as in the first embodiment.

또,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연결봉(45)을 이용한 것에 의해, 끌어올림 레버(41, 42) 및 탄성체(54)와의 접촉에 의해 조속기 로프(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by using the connecting rod 4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overnor rope 20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 with the lifting levers 41, 42 and the elastic body 54, .

실시 형태 10.Embodiment 10:

다음으로,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10에서는, 탄성체(54)가, 하부 지지부(45a) 상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지지부(45a)와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상부 지지부(45b)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Next, Fig. 2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vator car 8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nth embodiment, the elastic body 54 is disposed on the lower support portion 45a and is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support portion 45a and the lower lifting lever 41.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45b.

상부 끌어올림 레버(42)는,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끌어올림 레버(41)는, 탄성체(54) 및 연결봉(45)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로프(20)에 접속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10에서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와 조속기 로프(20)와의 사이에 탄성체(54)가 마련되어 있다. The upper lifting lever 42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through a connecting rod 45. [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20 via the elastic body 54 and the connecting rod 45. [ That is, in the tenth embodiment, an elastic body 54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lifting lever 41 and the governor rope 20.

하부 끌어올림 레버(41)의 초기 각도 θ1은, 상부 끌어올림 레버(42)의 초기 각도 θ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θ1<θ2).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9와 동일하다. The initial angle? 1 of the lower lifting lever 41 is smaller than the initial angle? 2 of the upper lifting lever 42 (? 1 <? 2).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ninth embodiment.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실시 형태 9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same effect as in the nin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 상기의 예에서는, 도면에서 설명하기 쉽도록, 초기 각도 θ1,θ2가 다른 경우를 상정(想定)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끌어올림 레버와 쐐기와의 관계도 개개로 다르기(편차를 포함함) 때문에, 동일한 초기 각도에서도, 쐐기의 상승 거리(e)가 상하의 비상 멈춤 장치에서 다를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In the above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initial angles? 1 and?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easily explained in the figure. However, in re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ting lever and the wedge is also different (including the deviation), so that the rising distance e of the wedge may be differe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mergency stops, even at the same initial angl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fficiently cope with such a case.

또, 승강체는 균형추라도 괜찮다. 즉, 균형추의 상하에 비상 멈춤 장치를 탑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can be balanc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emergency stop device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lance weight.

게다가,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기기의 레이아웃 및 로핑 방식 등은, 도 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2: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권상기의 위치 및 수(數) 등도 도 1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layout and the roping system of the entire elevator apparatus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Fig.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n elevator apparatus of 2: 1 roping. In addi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traction machine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Fig.

게다가 또,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또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등, 여러 가지의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elevator apparatuses such as, for example,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 double deck elevator, or a one shaft multi-car type elevator.

Claims (10)

승강체(昇降體),
상기 승강체의 하부에 탑재(搭載)되어 있는 하부 비상(非常) 멈춤 장치,
상기 승강체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
상기 승강로 내에 부설(敷設)되어 있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에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승강체의 과대(過大)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고, 상기 승강체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여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 상기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하부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 상기 조속기 로프와의 사이에는, 상부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A lifting body,
A lower emergency stop devic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n upper emergency stop devic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scending /
A governor rope that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circulates alo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oistway,
A lower lifting lever provided on the lower emergency stop and operating the lower emergency stop by being pulled up by the governor rope,
An upper raising lever which is provided in the upper emergency stop and operates the upper emergency stop by being pulled up by the governor rope,
Wherein the control unit monito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aveling at an excessive speed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nd,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reaches an excessive speed, grasps the governor rope to operate the lower emergency stop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And,
Between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governor rope, a lower elastic body is provided,
And an upper elastic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lifting lever and the governor ro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하부 로프 고정 부재 및 상부 로프 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탄성체는, 상기 하부 로프 고정 부재와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탄성체는, 상기 상부 로프 고정 부재와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and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are fixed to the governor rope,
Wherein the lower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rope fixing member and the lower lifting lever,
Wherein the upper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rope fixing memb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에는, 하부 장공(長孔)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에는, 상부 장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조속기 로프는, 상기 하부 장공 및 상기 상부 장공에 통과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lifting lever is provided with a lower elongated hole,
The upper lifting lever is provided with an upper slot,
Wherein the governor rope passes through the lower longitudinal hole and the upper longitudinal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양단부 사이에는, 연결봉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에는, 하부 지지부 및 상부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에는, 하부 장공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에는, 상부 장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은, 상기 하부 장공 및 상기 상부 장공에 통과되어 있고,
상기 하부 탄성체는, 상기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탄성체는,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ng rod is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governor rope,
The connecting rod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ing portion and an upper supporting portion,
The lower lifting lever is provided with a lower slot,
The upper lifting lever is provided with an upper slot,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passed through the lower longitudinal hole and the upper longitudinal hole,
Wherein the lower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lifting lever,
Wherein the upper elastic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lifting le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중간 연결 부재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탄성체는, 상기 중간 연결 부재와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탄성체는, 상기 중간 연결 부재와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governor rope,
Wherein the lower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and the lower lifting lever,
Wherein the upper elastic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승강체,
상기 승강체의 하부에 탑재되어 있는 하부 비상 멈춤 장치,
상기 승강체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상부 비상 멈춤 장치,
상기 승강로 내에 부설되어 있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에 따라서 순환 이동하는 조속기 로프,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하부 끌어올림 레버,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의해 끌어 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승강체의 과대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고, 상기 승강체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조속기 로프를 파지하여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 및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속기를 구비하며,
상기 조속기 로프와,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어느 일방과의 사이에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와 상기 상부 비상 멈춤 장치가 작동할 때까지의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의 회전 스트로크가 사전에 다르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elevator,
A lower emergency stop devic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n upper emergency stop devic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scending /
A governor rope attached to the hoistway and circulatingly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hoistway,
A lower lifting lever provided on the lower emergency stop and operating the lower emergency stop by being pulled up by the governor rope,
An upper lifting lever provided on the upper emergency stop and operating the upper emergency stop by being pulled up by the governor rope,
A governor for monitor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raveling at an excessive speed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and for gripping the governor rope to operate the lower emergency stop and the upper emergency stop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reaches an excessive speed Respectively,
An elastic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governor rope and either one of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Wherein the rotary stroke of the lower lifting lever until the lower emergency stop device is operated differs in advance from the rotation stroke of the upper lifting lever until the upper emergency stop device operat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로프 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어느 일방은, 상기 로프 고정 부재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는, 상기 탄성체를 매개로 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rope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governor rope,
Either the lower lifting lever or the upper lifting lever is connected to the rope fixing member,
Wherein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elastic bod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에 대응하는 지지부인 하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에 대응하는 지지부인 상부 지지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어느 일방과 그것에 대응하는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체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부 끌어올림 레버 및 상기 상부 끌어올림 레버 중 타방은, 그것에 대응하는 지지부에 접속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governor rope has a lower support portion as a suppo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lifting lever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as a suppo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fting lever,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any one of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upper lifting lever and a supporting por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other of the lower lifting lever and the lower lifting lever is connected to a supporting portion corresponding thereto.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로서의 하부 로프 고정 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부로서의 상부 로프 고정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overnor rope has a lower rope fixing member as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and an upper rope fixing member as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 로프의 양단부 사이에는, 연결봉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봉에는, 상기 하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connecting rod is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governor rope,
Wherein the connecting rod is provided with the lower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support portion.
KR1020167034813A 2014-05-14 2014-05-14 Elevator apparatus KR1018629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2848 WO2015173914A1 (en) 2014-05-14 2014-05-14 Eleva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95A KR20170003995A (en) 2017-01-10
KR101862970B1 true KR101862970B1 (en) 2018-05-30

Family

ID=54479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813A KR101862970B1 (en) 2014-05-14 2014-05-14 Elevator apparatu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07832B2 (en)
JP (1) JP6169266B2 (en)
KR (1) KR101862970B1 (en)
CN (1) CN106458508B (en)
DE (1) DE112014006658T5 (en)
WO (1) WO201517391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4280A1 (en) * 2015-11-06 2017-05-11 Eisenmann Se Lifting system for lifting and / or lowering loads
JP6751367B2 (en) * 2017-04-25 2020-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KR101949243B1 (en) 2017-09-20 2019-02-19 (주)디 앤드 디 Elevator safety plank
JP7256971B1 (en) 2021-11-10 2023-04-1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Elevator stop device and elevator
KR102672006B1 (en) 2024-02-13 2024-06-04 (주)광덕산업 Align device for elevator frame and align method using th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3432A (en) * 1976-12-01 1978-04-11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arrangement
JPS577763U (en) * 1980-06-12 1982-01-14
JPS577763A (en) 1980-06-16 1982-01-14 Toyoda Mach Works Ltd Rotary servo valve
JPS58119573A (en) * 1982-01-07 1983-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device
JPH01299179A (en) 1988-05-27 1989-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emergency stop of elevator
EP0440839B2 (en) 1990-02-06 1999-02-03 Thyssen Aufzüge Gmbh Arrangement to prevent uncontrolled movement of elevators
MY118747A (en) 1995-11-08 2005-01-31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increased safety in elevators
JP3532349B2 (en) 1996-06-11 2004-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safety equipment
DE69818683T2 (en) 1998-11-20 2004-09-16 Montanari Giulio E C. S.R.L. Safety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JP4802373B2 (en) 2001-02-15 2011-10-2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Elevator safety device
CN101428722B (en) * 2004-04-20 2012-09-05 三菱电机株式会社 Emergency stop system for elevator
CN101588979A (en) 2007-01-23 2009-11-25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apparatus
FI119982B (en) * 2007-10-18 2009-05-29 Kone Corp Elevator provided with a prisoner arrangement
CN101700850B (en) * 2009-11-05 2012-09-05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Elevator stopping device
CN101979298B (en) * 2010-10-20 2013-03-1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Elevator safety stop trigger device
CN102514997A (en) * 2011-12-08 2012-06-27 安徽丰海起重设备制造有限公司 Fall-protection safety device of lif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69266B2 (en) 2017-07-26
CN106458508A (en) 2017-02-22
KR20170003995A (en) 2017-01-10
US20170121148A1 (en) 2017-05-04
CN106458508B (en) 2018-12-07
DE112014006658T5 (en) 2017-01-26
JPWO2015173914A1 (en) 2017-04-20
WO2015173914A1 (en) 2015-11-19
US10807832B2 (en)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546B1 (en) Elevator device
KR101862970B1 (en) Elevator apparatus
KR101974760B1 (en) Elevator apparatus
JP2011105459A (en) Double-deck elevator device
WO2014027398A1 (en) Double-deck elevator
JP5959668B2 (en) Elevator equipment
JP5571130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470271B1 (en) Double-deck elevator
JP6751373B2 (en)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JP2007176624A (en) Elevator
WO2015173913A1 (en) Elevato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8349693B (en) Elevato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82030B1 (en) Elevator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same
JP6336225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7001778A (en) Method for adjustment of position of tension pulley for speed governor and support arm
JP5327835B2 (en) Elevator emergency stop replacement method, mounting adapter, elevator car and elevator counterweight
JPWO2006022015A1 (en) Elevator equipment
JP2013129493A (en) Moving cable apparatus for elevator
JP6751367B2 (en)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JP2020007120A (en)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of clearance under compensation sheave
KR101830837B1 (en) Tension device for elevator governor rope
JP6223234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9043760A (en) Guide rail installation method
CN109720959B (en) Speed governor and elevator
JP2012051702A (en) Moving temporary wor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