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685B1 -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85B1
KR101861685B1 KR1020160168737A KR20160168737A KR101861685B1 KR 101861685 B1 KR101861685 B1 KR 101861685B1 KR 1020160168737 A KR1020160168737 A KR 1020160168737A KR 20160168737 A KR20160168737 A KR 20160168737A KR 101861685 B1 KR101861685 B1 KR 10186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area
service
management server
maintenan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민
고승현
Original Assignee
오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민 filed Critical 오세민
Priority to KR102016016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비업자 단말이, 정비업자 영업정보를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정비업자 영업정보에 포함된 정비업자의 정비업소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가능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요청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서비스 요청 지역과 서비스 가능 지역을 비교하여 유효한 정비업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검색된 정비업자를 정비스케줄에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REPAIR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비업자의 위치와 서비스 가능한 시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정비 서비스를 예약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정비 서비스는 일정한 장소에 설비를 갖춘 정비업소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문에 자동차 정비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고객은 자동차를 정비업소로 이동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정비업자에게 설명하고 견적을 받은 후 양자 간 합의에 따라서 정비 서비스가 진행이 된다. 그리고 서비스가 완료되면 고객이 정비업소를 찾아가 자동차를 회수하는 것으로 정비 서비스가 종료된다.
하지만 기존의 정비 서비스 제공방식은 단순한 정비 서비스까지도 고객이 직접 자동차를 정비업소로 이동시켜 의뢰해야 하고, 정비업소의 다른 정비 스케줄에 따라서 불필요한 대기 시간이 소요되는 등 고객의 입장에서는 큰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 때문에 타이어 교체, 엔진 오일 교환 등의 경정비 수준의 정비 서비스는 고객의 자동차가 주차된 지역까지 정비업자가 직접 이동하여 출장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도 고객과 정비업자 사이에 전화상으로 서비스가 가능한 스케줄을 확인하여야 하고, 긴급하게 자동차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어느 정비업자를 통해 서비스를 의뢰를 해야 할지 몰라 난감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12462에 의하면, 중개 서버 상에 수리 대상 자동차 소유주에 의해 장소 및 시간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및 정비 업체에 상기 수리 상품이 포함하는 작업을 할당하고 상기 장소 및 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의 편의를 유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오프라인의 예약 과정을 온라인 방식으로 옮겨놓은 것일 뿐 최적화된 정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예약 과정은 아니고, 특히나 긴급한 상황에서는 실효성이 없다.
따라서 고객의 입장에서 언제 어디서든 불편함 없이 자동차 수리가 가능한 정비 서비스 제공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자동차 정비 서비스 예약 방식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정비업자의 위치와 서비스 가능한 시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사용자가 가장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정비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비업자 단말이, 정비업자 영업정보를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정비업자 영업정보에 포함된 정비업자의 정비업소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가능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요청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서비스 요청 지역과 서비스 가능 지역을 비교하여 유효한 정비업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검색된 정비업자를 정비스케줄에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 때, 유효한 정비업자를 검색하는 단계에서 검색된 정비업자가 2 이상인 경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는, 검색된 정비업자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정비업자를 정비스케줄에 배정할 수 있다.
이 때, 정비업자 리스트는 정비업자별 견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가능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분석된 정비업소 위치정보가 속하는 행정구역과 바로 인접한 행정구역을 서비스 가능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행정구역은 고유의 지역코드 형태로 구분되며, 서비스 가능 지역은 적어도 2개의 지역코드가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요청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분석된 사용자 위치정보가 속하는 행정구역과 바로 인접한 행정구역을 서비스 요청 지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행정구역은 고유의 지역코드 형태로 구분되며, 서비스 가능 지역은 적어도 2개의 지역코드가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정비업자 단말로 현재 위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정비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서비스 가능 지역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요청 시간보다 앞선 시간대에 정비스케줄에 미리 배정된 다른 정비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분석하는 단계 및 다른 정비 서비스가 진행되는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서비스 가능 지역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지역에서 정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의 높은 서비스 만족도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긴급한 상황에서도 최적의 정비업자를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고 신속하게 정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언급한 발명의 효과 이외에도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른 효과가 추가로 언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스케줄 정보의 세부 정보를 나타낸 도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정구역별 지역코드를 나타낸 도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의 정비업체 검색 세부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예시적인 구현이 이하에서 제공됨에도,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또는 방법은 현재 알려져 있거나 존재하는 임의의 수많은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처음부터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는, 여기서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설계 및 구현을 포함하는, 이하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구현, 도면 및 테크닉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들의 등가물의 모든 범위와 함께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특정 측면이 본 개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논의되었지만, 출원인은 이러한 기술적 측면에 대해 결코 권리를 포기하지 않으며, 본 개시는 여기서 논의된 하나 이상의 종래의 기술적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10),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 및 정비업자 단말(30)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정비업자 단말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비업자와 관련된 정비업자 단말은 2 이상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점을 가정하고 상세한 설명을 계속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정비 서비스를 의뢰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이며, 정비업자 단말(30)은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비업자가 소지한 단말이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는 사용자와 정비업자 사이에 정비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과 정비업자 단말(30) 사이에 각종 정보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스케줄 분석부(210), 데이터베이스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후술할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정비스케줄을 분석하고 업데이트 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담당하고, 데이터베이스부(220)는 정비스케줄 정보를 저장하며, 통신부(230)는 사용자 단말(10) 및 정비업자 단말(30)과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 위치 정보, 예약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우선,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의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정비업자 단말(30)을 통해 등록된 정비업자의 영업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220)에 등록한다. (S100) 영업정보는 정비업자가 제공하는 정비 서비스의 종류, 영업 가능한 서비스 시간, 정비업소가 위치한 주소, 정비 서비스별 가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등록된 영업정보를 기반으로 정비업자의 스케줄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업데이트 처리한다. (S110) 이 때,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정비업소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가능 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가능 지역에 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정구역별 지역코드를 나타낸 도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정비업자(30)는 지도상 여러 곳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수가 존재할 수 있다. 방사형으로 구분된 각 구역은 임의의 행정구역을 의미하며, 각각의 행정구역에는 A1, A2, ... B1, B2, C1, C2, ... D1, D2, ... 등과 같이 고유의 지역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행정구역은 종류는 번지 단위, 동 단위, 구 단위 등으로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지역코드의 형식은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며, 숫자, 문자 또는 특수문자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가령, S100 단계를 통해 등록된 정비업자(30)의 정비업소 위치가 C2구역에 위치한다면, 일단 스케줄정보에는 C2이라는 지역코드 정보가 부여된다. 이 C2이라는 지역코드가 바로 서비스 가능 지역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부호 31, 32, 33, 34 등은 다른 정비업자가 운영하는 경쟁업체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이 때, 서비스 가능 지역은 정비업소가 위치하는 행정구역뿐만 아니라 해당 구역을 벗어나 바로 인접한 행정구역이 포함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즉, C2 구역뿐만 아니라 그에 바로 인접한 B2, C1, C3, D2도 서비스 가능 지역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정비업자(30)에게는 (B2, C1, C2, C3, D2)의 지역코드가 부여되며, 이들 구역들이 서비스 가능 지역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좁은 지역에 여러 경쟁업체가 있더라도 명확한 영업 가능 범위를 구분하여 불필요한 경쟁이 이루어지지 않고 본 서비스에 적극적인 참가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정비업자(30)는 지도상에서 고정된 위치에 영업소를 두고 활동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른 고객의 정비 서비스가 예약되어 있는 경우 해당 시간에는 타 지역에 위치하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요청 시간보다 앞선 시간대에 정비스케줄에 미리 배정된 다른 정비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비업소의 위치가 아닌, 해당 시간대에 정비 서비스가 진행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서비스 가능 지역을 업데이트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비업자(30)는 현재 C2지역에 위치하지만, C3지역으로 5월 6일 11:00~12:00시에 정비 서비스가 예약되어 있고,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시간이 12:00~13:00시라고 가정한다.
이런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시간보다 앞선 시간에 다른 정비 서비스가 배정되어 있고, 해당 정비 서비스 시간에는 C2가 아닌 C3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서비스 가능 지역은 5월 6일 11:00~12:00 사이에는 (B3, C2, C3, C4, D3)의 서비스 가능 지역으로 업데이트 처리가 되어 추후 정비업자 검색 단계에서 검색대상이 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면, S110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수리를 요청하는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가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로 전달된다. (S120)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비 서비스의 종류, 정비 서비스를 원하는 시간, 사용자가 위치한 주소, 긴급 상황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사용자 주소와 다른 사용자가 정비 서비스를 원하는 지역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1 이상의 정비업자의 정비스케줄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맞는 정비업자를 검색한다. (S130)
이하, 정비스케줄을 분석하고 서비스 가능한 정비업자를 검색하는 S130 단계는 도 4를 통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전달된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를 분석한다. (S200)
이후,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분석된 사용자의 위치정보 또는 별도의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요청 지역을 결정한다. (S210) 도 3을 다시 참고하여, 가령 사용자(10)의 고장이 발생 차량이 현재 C2 구역에 있다고 한다면, 긴급 상황인 경우에는 C2 구역 내에 있는 정비업소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서비스 요청 지역은 C2구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신속함에 구애받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행정구역뿐만 아니라 해당 구역과 바로 인접한 행정구역이 포함되도록 서비스 요청 지역을 확장 처리할 수도 있다. 즉, C2 구역뿐만 아니라 그에 바로 인접한 B2, C1, C3, D2에 위치한 정비업자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서비스 요청 지역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사용자(10)에게는 (C2, B2, C1, C3, D2)의 지역코드가 부여되며, 이들 구역들이 서비스 요청 지역이 되는 것이다.
이후,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정비업자의 서비스 가능 지역과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지역에 부여된 할당 범위가 동일한 지역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S220) 도 3의 사용자는 C2에 위치해 있고, 정비업자(30) 또한 C2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는 동일한 지역 내에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
한편,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양자가 동일한 지역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분류되면, 확장된 영역으로 다시 한 번 검색을 진행한다. (S230)
사용자의 확장된 서비스 요청 지역이 (C2, B2, C1, C3, D2)인 경우 C3 구역에 위치하는 다른 정비업자(31)도 검색 결과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 지역이 C2로 한정되고, 정비업자(31)의 확장된 서비스 가능 지역을 인접 행정 구역까지로 한 경우라면 (B3, C2, C3, C4, D3)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검색 결과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확장된 서비스 요청 지역과 확장된 서비스 가능 지역이 서로 겹쳐지는 구역에 있는 정비업자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검색 결과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위와 같이 진행한 뒤에도 검색결과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거리 M km 내에 존재하는 모든 정비업자를 검색하고, 정비업자가 검색이 될 때까지 1km씩 검색범위를 증가하면서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영역 내 정비업자가 모두 검색이 되면 사용자가 요청한 정비 서비스와 정비업자가 제공 가능한 정비 서비스가 일치하는지 검증을 하고, (S240) 이후 사용자가 요청한 정비 서비스 시간이 정비업자가 제공 가능한 정비 서비스 시간 범위 내에서 유효한지 검증을 한 뒤에, (S250) 서비스 가능한 정비 업체로 분류하고, (S260) 나머지 정비업자들은 분류제외 처리 한다. (S270)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도 4의 S260 단계에서 분류된 서비스 가능한 정비업자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0)에 전달한다. (S140) 이 때,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정비업자별 견적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에서 다수의 정비업자들 중에서 하나의 정비업자가 선택되고,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와 정비업자 단말(30)로 차례로 예약 요청 및 서비스 예약이 이루어진다. (S150 및 S160)
이후, 정비스케줄 분석부(210)는 사용자가 요청한 시간과 장소에 대하여 정비업자(30)의 정비스케줄을 업데이트 처리한다. (S17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스케줄 정보의 세부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비스케줄 정보는 정비업자 ID, 정비업자의 영업정보, 예약된 서비스 종류, 예약된 서비스 시간, 예약된 서비스 지역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비업자 ID는 다수의 정비업자들을 각각 구분할 수 있도록 부여된 고유의 식별코드이다.
정비업자의 영업정보는 도 1의 S100 단계를 통해서 등록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약된 서비스의 종류는 타이어 교체, 엔진 오일 교체, 견인 등 이루어질 서비스의 종류를 의미한다.
예약된 서비스 시간은 정비업자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전 시간대를 의미한다.
예약된 서비스 지역코드는 정비업자가 예약된 서비스 시간대에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머무는 지역을 의미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구역별로 구분된 지역에 부여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비업자 소유의 정비업소에서 진행하는 경우와 출장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지역코드가 달리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의 요청에 따라 예약이 모두 이루어졌다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스케줄 정보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약 1)
정비업자 ID: C2-04
서비스 종류: 타이어 교체
서비스 시간: 오전 11:00 ~ 오후 12:00
서비스 지역코드: C2
(예약 2)
정비업자 ID: C2-04
서비스 종류: 엔진오일 교환
서비스 시간: 오전 11:00 ~ 오후 12:00
서비스 지역코드: C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의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은 도 1의 S120 단계와 같이 정비 서비스 요청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 (S300) 이 때,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해 있다는 긴급 정보가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0)는 S300 단계 이후에, 정비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이라는 정보를 정비업자 단말(30)에 전달하고, 정비업자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한다. (S310)
이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0)는 수신한 정비업자의 현재위치를 기반으로 정비스케줄을 업데이트 한다. (S320) 평소 정비업자(30)는 C2 구역에 정비업소를 두고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나, 출장 서비스를 나가 있거나 이동 중인 경우 해당 구역을 벗어나 있을 것이므로 이런 경우를 새로운 현재위치를 전송받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정비업자 검색을 위해 후보 정비업자들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
이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0)는 도 1의 S130 단계와 같이 정비스케줄을 분석하고, (S330) 조건에 맞는 정비업자가 검색되는 경우 곧바로 서비스 예약을 진행한다. (S340)
이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는 도 1의 S170 단계와 같이 정비스케줄을 업데이트 처리한다. (S35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의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은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로 정비 서비스 요청을 전달하는데, 이 때 시간과 위치 정보를 제외하고 우선적으로 정비업자만을 특정하여 요청이 이루어진다. (S400) 사용자는 기존에 본 서비스를 이용하였거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추천받은 정비업자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해당 정비업자로부터 정비 서비스가 이루어지기를 원할 경우 본 실시예가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는 정비스케줄 정보를 분석하여, (S410) 해당 정비업자의 서비스 가능한 시간과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에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10)에서 전송된 시간 및 위치 정보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고, (S430) 이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와 정비업자 단말(30)로 차례로 예약 요청 및 서비스 예약이 이루어진다. (S440 및 S450)
이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20)는 도 1의 S170 단계와 같이 정비스케줄을 업데이트 처리한다. (S46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사용자 단말
20 :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
30 : 정비업자 단말

Claims (9)

  1. 정비업자 단말이, 정비업자의 정비업소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정비업자 영업정보를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상기 정비업소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가능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위치정보와 서비스 요청 시간을 포함하는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를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요청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정비스케줄을 분석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 시간보다 앞선 시간대에 출장 정비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상기 출장 정비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출장 정비 서비스가 제공되는 위치를 상기 서비스 가능 지역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서비스 요청 지역과 서비스 가능 지역을 비교하여 유효한 정비업자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검색된 정비업자를 정비스케줄에 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가능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분석된 정비업소 위치정보가 속하는 행정구역과 바로 인접한 행정구역을 서비스 가능 지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분석된 사용자 위치정보가 속하는 행정구역과 바로 인접한 행정구역을 서비스 요청 지역으로 할당하고,
    상기 유효한 정비업자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지역과 상기 정비업소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 지역과 동일한 지역에 있는 정비업소의 정비업자를 선택하거나,
    상기 서비스 요청 지역과 상기 출장 정비 서비스가 제공되는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서비스 요청 지역과 동일한 지역으로 이동한 정비업자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효한 정비업자를 검색하는 단계에서 검색된 정비업자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는, 검색된 정비업자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된 정비업자를 정비스케줄에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비업자 리스트는 정비업자별 견적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정구역은 고유의 지역코드 형태로 구분되며,
    상기 서비스 가능 지역은 적어도 2개의 지역코드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정구역은 고유의 지역코드 형태로 구분되며,
    상기 서비스 요청 지역은 적어도 2개의 지역코드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비 서비스 요청 정보를 상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상기 정비업자 단말로 현재 위치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정비 서비스 관리 서버가, 상기 정비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서비스 가능 지역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KR1020160168737A 2016-12-12 2016-12-12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6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37A KR101861685B1 (ko) 2016-12-12 2016-12-12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37A KR101861685B1 (ko) 2016-12-12 2016-12-12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685B1 true KR101861685B1 (ko) 2018-05-28

Family

ID=6245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737A KR101861685B1 (ko) 2016-12-12 2016-12-12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3439A (zh) * 2020-05-25 2020-08-25 七星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箱式环网柜智能管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4461B1 (ja) * 2012-08-22 2014-07-23 光彦 神澤 車両レンタル管理システム、車両レンタル管理プログラム、車両レンタル顧客端末、および車両レンタル顧客端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4461B1 (ja) * 2012-08-22 2014-07-23 光彦 神澤 車両レンタル管理システム、車両レンタル管理プログラム、車両レンタル顧客端末、および車両レンタル顧客端末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3439A (zh) * 2020-05-25 2020-08-25 七星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箱式环网柜智能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4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networked vehicle resources in priority environments
KR101701406B1 (ko) 위치기반 자동차 자가정비 대행서비스 제공 방법
CN104798122B (zh) 用于为车辆寻找停车位的方法
CN103606085B (zh) 一种下发售后服务数据的方法及服务器
JP4464045B2 (ja) テレマティック及びルートガイダンスアプリケーションに関する交通予想をマッピングするために改良された方法及びシステム
US7356407B2 (en) Optimal route calculation based upon cohort analysis
KR101554154B1 (ko)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
EP357447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vehicle availability report with respect to a location
US111326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source management
CN110175687A (zh) 物流园区车辆智能调度方法和装置
CN110766506A (zh) 一种订单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6287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networked vehicle resources
CN107085748A (zh) 预测性车辆任务调度
KR101826570B1 (ko) 차량부품 교체 서버 및 서비스 방법
CN112036638A (zh) 一种订单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1861685B1 (ko) 온라인 정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30976A (ko)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14221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WO2013137180A1 (ja) 予約管理システム及び予約管理方法
JP2020095375A (ja) 洗車システム
JP7006503B2 (ja) 乗合支援システム、乗合支援装置及び乗合支援方法
KR102446224B1 (ko) 맞춤형 정비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1641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승객/화물 운송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35206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차용 부품 포인트 마케팅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90141533A (ko) 차량 점검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차량점검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