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290B1 - 롤러용 도금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용 도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290B1
KR101861290B1 KR1020170135171A KR20170135171A KR101861290B1 KR 101861290 B1 KR101861290 B1 KR 101861290B1 KR 1020170135171 A KR1020170135171 A KR 1020170135171A KR 20170135171 A KR20170135171 A KR 20170135171A KR 101861290 B1 KR101861290 B1 KR 10186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roller
rod
shaft por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환
Original Assignee
박범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환 filed Critical 박범환
Priority to KR1020170135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4Tubes; Rings; Hollow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8Rin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광학 등의 분야에서 누름 동작의 정밀도를 요하는 롤러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금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용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롤러(10) 형태의 대상물을 도금하기 위한 도금 장치로서, 내측에 수용공간(111)을 갖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의 전방으로 수용공간(111) 안쪽에 설치되는데, 도금액이 담긴 제1도금조(210)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그 전,후 이동 동작을 이용해 상기 제1도금조(210)를 도금 대상물인 롤러(10)가 위치한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도금 부재(2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에 설치되며,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도금 대상물인 롤러(10)를 끼워 조립되게 하며, 그 조립된 롤러(10)를 상기 제1도금조(210)에 침지시켜 1차 도금을 수행되게 하고, 상기 제1축부(310)가 롤러(10)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길이가 가변하는 작용을 통해 각기 다른 길이의 롤러(10)에 대응하여 축 결합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스윙암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롤러용 도금 장치 {P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쇄, 광학 등의 분야에서 누름 동작의 정밀도를 요하는 롤러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도금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롤러용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은 대상물의 표면에 금속 또는 합금의 얇은 층을 형성하여 대상물의 표면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며, 통상 도금은 전기 도금 방식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도금 방식은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 또는 합금을 음극으로 하고, 대상물을 양극으로 하며, 도금하고자 하는 금속 또는 합금 이온을 함유한 전해액 속에 대상물을 투입시킨 후 음극, 양극을 통해 전류를 전해액에 통과시켜 전해 작용을 유도함으로 대상물의 표면에 금속 또는 합금 이온을 전착시켜 일정 두께의 금속 도금 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41053호를 살펴보면,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도금액이 충입되는 도금조가 구비된 롤러 도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를 승강시키도록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승강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도금조의 양 측면에 위치되게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롤러의 중심축과 구동모터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금조의 상단 일측에는 롤러 표면의 도금액을 일정한 두께로 유지하는 브레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유압제1실린더인 구성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선해야할 기술적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경우 롤러 형태의 대상물을 도금하기 위해서는 롤러의 제자리 회전을 유지하면서 도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축 결합을 수행하는데, 롤러는 적용분야에 따라 각기 다른 길이로 제작됨으로 축 결합을 수작업으로 수행하여 복잡하고 도금 대상물의 조립 및 분리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생산성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롤러 형태의 대상물에 대한 도금은 보통 하나의 도금조에서 한 종류의 도금만 수행가능하고, 도금을 수행 후 수세와 같은 세척 작업은 별도의 세척조가 마련된 장소로 도금이 완료된 롤러를 이동시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도금 대상물의 세척을 위해 이동 중에 표면 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불량률이 높아지고, 하나 이상의 도금을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하지 못해 도금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41053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러 형태의 대상물을 도금을 위한 위치로 반자동식으로 축 결합가능하게 하면서, 그 롤러의 각기 다른 길이에 대응하여 축 결합의 위치가 가변하면서 조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도금 대상물의 조립 작업을 단순화시키면서 도금 대상물의 조립 및 분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롤러용 도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 과정에서 도금 대상인 롤러를 하나 이상의 도금조가 구비된 위치로 롤러가 직접 이동하면서 하나 이상의 종류로 도금을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도금 작업성을 향상되도록 하는 동시에, 롤러의 세척을 위한 세척조를 필요에 따라 롤러의 조립 위치로 이동 배치될 수 있게 하여 롤러의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표면오염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롤러 형태의 대상물을 도금하기 위한 도금 장치로서,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전방으로 수용공간 안쪽에 설치되는데, 도금액이 담긴 제1도금조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그 전,후 이동 동작을 이용해 상기 제1도금조를 도금 대상물인 롤러가 위치한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도금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에 설치되며,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축부와 제2축부 사이에 도금 대상물인 롤러를 끼워 조립되게 하며, 그 조립된 롤러를 상기 제1도금조에 침지시켜 1차 도금을 수행되게 하고, 상기 제1축부가 롤러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길이가 가변하는 작용을 통해 각기 다른 길이의 롤러에 대응하여 축 결합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스윙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용 도금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금 대상물인 롤러를 도금 위치로 고정하는 조립 작업이 단순화되어 도금 대상물의 조립 및 분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종류로 도금을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되어 도금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롤러의 세척을 위한 세척조가 필요에 따라 롤러의 고정 위치로 배치되어 세척을 위한 롤러의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표면오염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용 도금 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용 도금 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롤러용 도금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롤러용 도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도금 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체 부재(100); 제1도금조(210)가 마련된 도금 부재(200); 도금 대상물인 롤러(10)를 조립시키는 스윙암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구성으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롤러용 도금 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도금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금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금 장치 중 본체 부재의 정면도 측면도, 도 4는 도금 장치 중 도금 부재의 정면도 측면도, 도 5는 도금 장치 중 스윙암 부재의 정면도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상기 본체 부재(100)는;
내측에 수용공간(111)을 갖으며, 도금 부재(200), 스윙암 부재(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제2도금조(120)를 선택적 구비하여 1차 도금 또는 2차 도금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본체 부재(100)는; 베이스부(110), 제2도금조(120), 덮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 부재(100)는; 안쪽에 수용공간(111)을 갖는 베이스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한 쌍의 측판(112)이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면서 그 대향된 측판(112) 사이 하부로 하판(113)이 연결되어 고정됨으로 한 쌍의 측판(112) 사이에 도금 부재(200), 스윙암 부재(300)가 각각 설치되게 하는 수용공간(111)이 마련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10)의 측판의 전방 하부 내측에는 도금 부재(2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가이드 기능의 가이드홀(114)이 장홀 형태로 관통 형성되고, 수용공간(111)의 전방 내측 하부에 후술하는 도금 부재(200)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3모터(115)가 피니언(115a)이 구비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수용공간(111)의 내측으로 스윙암 부재(300)에 인접한 측에 도금액이 담기면서 마련된 제2도금조(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도금조(120)는, 상향 개구부를 갖는 함체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10)의 후방 내측의 수용공간(111)에 고정결합되고, 제2도금조(120)의 안쪽 공간에 도금 종류에 따른 다양한 금속 또는 합금이 포함된 도금액이 담겨 전해 도금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2도금조(120)는 도금액의 공급, 배출 및 도금액의 여과를 위한 장치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제2도금조(120)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서 결합되도록 수용공간(111)의 안쪽에 수평으로 힌지(131)를 이용해 결합되고, 제1실린더(132)의 작동에 따라 제2도금조(12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130)는, 베이스부(110)의 측판 상부 사이에 제2도금조(120)의 상부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덮개(130)가 제2도금조(120) 상부에 힌지(131)를 이용해 수평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130)의 상부 일측에는 제1실린더(132)의 로드가 연결되고, 그 제1실린더(132)의 몸체는 베이스부(110)에 연결됨으로 상기 제1실린더(132)의 신축 작동에 의해 덮개(130)를 제2도금조(120) 상부에서 개폐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130)는 평상시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선택에 따라 1차 도금 이외에 2차 도금을 필요로 하는 경우 상기 덮개(130)를 개방하여 스윙암 부재(300)를 통해 롤러(10)가 이동 위치하여 제2도금조(120) 내부로 침지 가능하게 함으로 2차 도금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2차 도금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제2도금조(120)를 닫아 도금액의 오염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도금 부재(200)는;
상기 본체 부재(100)의 전방으로 수용공간(111) 안쪽에 설치되는데, 도금액이 담긴 제1도금조(210)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그 전,후 이동 동작을 이용해 상기 제1도금조(210)를 도금 대상물인 롤러(10)가 위치한 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1차 도금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도금 부재(200)는; 제1도금조(210), 세척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도금 부재(200)는; 본체 부재(100)의 수용공간(111) 전방 내측으로 스윙암 부재(300)에 인접한 측에 도금액이 담기면서 마련된 제1도금조(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도금조(210)는, 상향 개구부를 갖는 함체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10)의 전방 내측의 수용공간(111)에 스윙암 부재(300)의 하부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제1도금조(210)의 안쪽 공간에 도금 종류에 따른 다양한 금속 또는 합금이 포합된 도금액이 담겨 전해 도금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제1도금조(210)는 도금액의 공급, 배출 및 도금액의 여과를 위한 장치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도금조(210)는, 한 쌍의 베이스부(110)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홀(114) 끼워져 상기 가이드홀(114)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21) 및, 본체 부재(100)의 수용공간(111) 내측에 구비된 제3모터(115)의 피니언(115a)에 체결되어 회전운동력이 전달되고, 그 전달되는 회전운동력을 직선운동력으로 전환하는 작용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래크(2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221)는, 바퀴 형태로 제1도금조(210)의 하부 측방에 가이드홀(114)에 연결 가능한 위치에 대응하여 축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가이드부(221)가 가이드홀(114)에 끼워져 연결됨으로 도금 부재(200)가 가이드홀(114)을 따라서 전,후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래크(223)는, 피니언(115a)에 체결 가능한 다수의 기어 이가 일 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막대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1도금조(210)의 하부 측방으로 제3모터(115)의 피니언(115a)에 연결가능한 위치로 결합된다. 상기 래크(223)에 피니언(115a)의 회전동력이 전달됨으로 래크(223)가 직선이동운동을 하고, 그 래크(223)의 이동에 따라 도금 부재(200)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동력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도금 부재(200)는; 제1도금조(210)의 전방에 결합되며, 내부로 세척을 위한 액체가 분사되는 세척조(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세척조(220)는, 상향 개구부를 갖는 함체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금조(210)의 전방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도금조(21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 작동과 동일한 작동을 수행하며, 상기 세척조(220)의 내부에는 도금 대상물인 롤러(10)를 도금 전에 세척하거나, 도금 후 세척하기 위한 액체(약품, 물)를 분사하여 롤러(10)에 대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도금 부재(20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동작을 통해 상기 제1도금조(210) 또는 세척조(220) 중 어느 하나가 롤러(10)가 위치한 측으로 선택적 이동될 수 있고, 1차 도금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도금 부재(200)를 전방을 이동시켜 제1도금조(210)가 스윙암 부재(300) 하부로 위치되게 하고, 세척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도금 부재(20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세척조(220)가 스윙암 부재(300) 하부로 위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도금 부재(200)의 이동은 제3모터(115)의 동력을 통해 반자동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세척조(220)는; 롤러(10)를 안착시키는 안착부(221) 및 상기 안착부(221)를 상,하 왕복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2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221)는, 세척조(22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데, 복수의 원통이 서로 수평으로 대향된 형태로 축 결합되는 구조이고, 롤러(10)를 안착부(221)의 복수의 원통 상부에 안착시킴으로 원통 형태의 구조를 통해 안착부(221)에 안착된 롤러(10)가 제자리 회전가능하고, 그 제자리 회전 동작에 의해 롤러(10)의 외주 모든 면에 대한 세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222)는, 세척조(220)의 내측 하부에 수직으로 고정결합되며, 제2실린더(222)의 로드는 안착부(221) 하단에 연결되고, 제2실린더(222)의 몸체는 세척조(220) 내측 바닥에 고정결합됨으로 상기 제2실린더(222)의 신축 작동에 의해 안착부(221)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안착부(221)의 상,하 이동 동작에 의해 스윙암 부재(300)로부터 롤러(10)를 안착시킨 후 안착된 롤러(10)를 세척액의 분사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롤러(10)의 세척을 위한 세척조(220)를 필요에 따라 롤러(10)의 조립 위치로 이동 배치할 수 있어 롤러(10)의 이동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표면오염에 의한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윙암 부재(300)는;
상기 본체 부재(100)에 설치되며,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도금 대상물인 롤러(10)를 끼워 조립되게 하며, 그 조립된 롤러(10)를 상기 제1도금조(210)에 침지시켜 1차 도금을 수행되게 하고, 상기 제1축부(310)가 롤러(10)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길이가 가변하는 작용을 통해 각기 다른 길이의 롤러(10)에 대응하여 축 결합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스윙암 부재(300)는; 제1축부(310), 제2축부(320), 한 쌍의 암부(330), 구동축(340), 제2모터(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윙암 부재(300)는; 도금 대상물인 롤러(10)의 일측단에 끼워 조립되는 제1축부(3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축부(310)는, 한 쌍의 암부(330) 일측에 결합되면서 본체 부재(100)에 구비된 구동축(340)의 일측에 연결되며, 롤러(10)의 일측단 내측으로 일부 끼워지도록 첨단을 갖는 축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축부(310)는, 롤러(10)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제1연결캡(311a)이 전단에 구비되고, 후단에 피스톤(311b)이 구비된 제1로드(311); 상기 피스톤(311b)이 전,후 이동가능한 공간을 갖도록 제1로드(311) 후방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311b)의 전방으로 공기를 선택적 주입하는 제1공기홀(312a) 및 상기 피스톤(311b)의 후방으로 공기를 선택적 주입하는 제2공기홀(312b)을 갖는 제1하우징(31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로드(311)는, 원형 축 형태로 제작되며, 제1로드(311)의 전단 내측에 첨부를 갖는 원뿔 형태의 제1연결캡(311a)이 끼워져 고정되고, 제1로드(311)의 후단으로 원판 형태의 피스톤(311b)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로드(311)는 중앙에 제1로드(311)의 전방 측으로 공기를 유입되게 하는 제1유입홀(311c)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312)은, 상기 제1로드(311)의 후방 부분을 감싸는 공간이 내측에 마련된 원통 함체 형태로 제작되며, 제1하우징(312)의 전방으로 제1로드(311)의 외주 크기에 대응한 제1하우징홀(312d)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홀(312d)의 안쪽으로 피스톤(311b)의 외주 크기에 대응한 작동공간(312c)이 마련되고, 제1하우징(312)의 외측 부분이 한 쌍의 암부(330) 중 일측에 관통되면서 체결되어 암부(330)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홀(312d)과 제1로드(311)의 접촉 면에는 공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과 같은 기밀 구조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하우징(312)의 내측 작동공간(312c)에는 상기 제1로드(311)의 중앙 제1유입홀(311c)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축(313)이 마련되고, 상기 공기축(313)은 제1유입홀(311c)의 안쪽에 삽입됨으로 제1로드(311)는 공기축(313)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1로드(311)와 제1연결캡(311a) 사이에는 제1단턱홈(311d)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홈(311d)이 일측에는 제1유입홀(311c)이 연결된다.
즉, 제1축부(310)는 상기 제1공기홀(312a)에 공기를 주입하여 피스톤(311b)이 후퇴하거나, 또는 상기 제2공기홀(312b)에 공기를 주입하여 피스톤(311b)이 전진하는 작용을 통해 제1로드(311)가 전,후 왕복 이동하면서 길이가 가변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각기 다른 길이에 대응하여 제1축부(310)의 결합 위치가 가변하면서 롤러(10)에 대한 조립을 수행함에 따라 도금 대상물인 롤러(10)의 길이에 상관없이 조립 작업이 단순화되고, 롤러(10)의 조립 및 분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이 향상되게 한다.
또한, 상기 스윙암 부재(300)는; 제1축부(310)의 타측에서 도금 대상물인 롤러(10)의 일측단에 끼워 조립되는 제2축부(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축부(320)는, 제1축부(310)의 반대쪽에서 한 쌍의 암부(330) 일측에 결합되면서 본체 부재(100)에 구비된 구동축(340)의 일측에 연결되며, 롤러(10)의 일측단 내측으로 일부 끼워지도록 첨단을 갖는 축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축부(320)는, 롤러(10)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제2연결캡(321a)이 전단에 구비된 제2로드(321); 상기 제2로드(321)를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하우징(322); 상기 제2로드(32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상기 제2로드(321)에 전달시키는 제1모터(3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로드(321)는, 원형 축 형태로 제작되며, 제2로드(321)의 전단 내측에 첨부를 갖는 원뿔 형태의 제2연결캡(321a)이 끼워져 고정되고, 제2로드(321)의 후단으로 제1모터(323)에 연결되기 위한 모터축(321b)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로드(321)는 중앙에 제2로드(321)의 전방 측으로 공기를 유입되게 하는 제2유입홀(321c)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제2유입홀(321c)은 상기 모터축(321b)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2하우징(322)은, 상기 제2로드(321)의 후방 외주면을 감싸는 제2하우징홀(322a)이 관통형성되는 원통체로 제작되며, 상기 제2하우징(322)의 외측 부분이 한 쌍의 암부(330) 중 제1축부(310)의 반대쪽 암부(330) 일측에 관통되면서 체결되어 암부(330)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홀(322a)과 제2로드(321)의 접촉 면에는 제2로드(321)의 제자리 회전을 위한 베어링 구조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터(323)는, 상기 제2로드(321)의 후방 모터축(321b)에 축 결합되면서 회전동력을 상기 제2로드(321)에 전달 가능하고, 상기 제1모터(323)의 일부는 제2하우징(322)에 체결되면서 암부(330)에 고정된다.
상기 제2로드(321)와 제1연결캡(321a) 사이에는 제2단턱홈(321d)이 형성되고, 상기 제2단턱홈(321d)의 일측에는 제2유입홀(321c)이 연결된다.
즉, 제2축부(320)는 제1모터(323)의 회전동력이 제2로드(321)에 전달되는 작용으로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조립된 롤러(10)가 제자리 회전작동 가능하고, 그 제2축부(320)에 의한 롤러(10)의 제자리 회전동작을 통해 롤러(10)의 전방향 도금이 가능하여 도금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스윙암 부재(300)는; 본체 부재(100)의 수용공간(111) 내측에 연결된 구동축(340)의 양측 부분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1축부(310) 및 제2축부(320)를 구동축(340)에 연결되게 하고, 상기 구동축(340)을 통해 회전하는 작용으로 상기 제1축부(310) 및 제2축부(320) 사이에 조립된 롤러(10)를 구동축(340)을 중심으로 선회동작하게 하는 한 쌍의 암부(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암부(330)는, 판 형태의 제1플레이트(331), 제2플레이트(332)가 각각 마련되는데, 상기 제1플레이트(331), 제2플레이트(332) 한쪽에는 구동축(340)에 축 결합되는 제1암부홀(333a)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1암부홀(333a)의 타측에는 제1축부(310), 제2축부(320)가 결합되기 위한 제2암부홀(333b)이 관통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1플레이트(331), 제2플레이트(332)가 제1암부홀(333a)을 이용해 구동축(340) 양단부에 서로 대향되면서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암부(330)가 구동축(340)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331), 제2플레이트(332)는 제1도금조(210), 세척조(220), 제2도금조(120)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이를 통해 상기 제2암부홀(333b)은 제1도금조(210) 및 제2도금조(120)에 롤러(10)가 결합되는 중심 축에 동일 중심으로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암부(330)는 제2암부홀(333b) 각각에 제1축부(310) 및 제2축부(320)가 서로 대칭 형태로 결합됨으로 상기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롤러(10) 결합을 위한 이격 공간을 갖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암부(330)에 대칭 형태로 결합된 제1축부(310) 및 제2축부(320)는 구동축(340)의 회전력이 한 쌍의 암부(330)를 통해 전달됨으로 상기 구동축(340)을 중심으로 제1축부(310) 및 제2축부(320)가 선회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암부(330)는 선회동작을 이용해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조립된 롤러(10)를 제1도금조(210)에 침지시키거나, 또는 롤러(10)를 제2도금조(120)에 침지시키거나, 또는 롤러(10)를 세척조(220)에 위치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또는 그 이상의 동작이 가능하고, 상기 제1도금조(210)에 의한 1차 도금, 제2도금조(120)에 의한 2차 도금과 더불어 세척공정을 선택적으로 수행되게 한다.
이에 따라 도금 대상인 롤러(10)가 제1도금조(210), 제2도금조(120)가 구비된 위치로 롤러(10)가 직접 이동하면서 하나 이상의 종류로 도금을 하나의 도금 장치(1)에서 수행가능함에 따라 도금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스윙암 부재(300)는; 본체 부재(100)의 수용공간(111) 내측에 수평으로 연결되면서 제2모터(350)의 동력을 통해 제자리 회전동작하는 구동축(3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340)은, 본체 부재(100)의 수용공간(111) 폭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축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10)의 한 쌍의 측판(112)에 각각 구동축(340)의 양단부가 축 결합되어 제자리 회전가능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구동축(340)과 한 쌍의 측판(112)이 결합된 사이에는 제자리 회전동작을 위한 베어링 구조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축(340)의 일단으로 제2모터(350)에 인접한 측에는 상기 제2모터(350)에 체인, 벨트 등으로 연결되기 위한 스프로킷, 벨트 풀리 등이 결합된다.
상기 제2모터(350)는, 본체 부재(100)의 베이스부(110) 측방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340)의 일단으로 결합된 스프로킷, 벨트 풀리에 체인, 벨트 등으로 연결됨으로 회전동력을 상기 구동축(340)에 전달하여 한 쌍의 암부(330)가 회전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축부(310) 및 제2축부(320)는; 제1로드(311) 또는 제2로드(321)의 선단 외측에 선택적 결합되는데, 상기 제1로드(311)에 형성된 제1단턱홈(311d) 또는 제2로드(321)에 형성된 제2단턱홈(321d)에 이동돌부(361)가 끼워져 전,후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고, 상기 이동돌부(361) 측으로 제1유입홀(311c) 또는 제2유입홀(321c)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공급되면 전진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그 전진동작을 통해 롤러(10)의 내측 중심을 밀폐하는 고정부(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60)는, 제1로드(311) 또는 제2로드(32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제1로드(311) 또는 제2로드(321)의 외주 크기에 대응한 원통체로 제작되며, 고정부(360)의 원통체 내측에 제1단턱홈(311d) 또는 제2단턱홈(321d)의 외주 크기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이동돌부(361)가 제1단턱홈(311d) 또는 제2단턱홈(321d)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돌출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이동돌부(361)와 제1단턱홈(311d) 또는 제2단턱홈(321d)이 밀착되는 부분에는 기밀을 유지하도록 오링과 같은 구조가 적용되고, 상기 고정부(360)의 선단에는 롤러(10) 측면에 밀착되면서 밀폐 작용을 수행하도록 패킹이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360)는 상기 제1단턱홈(311d) 또는 제2단턱홈(321d)에 연결된 제1유입홀(311c) 또는 제2유입홀(321c)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그 유입된 공기는 상기 이동돌부(361)의 일측면 측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이동돌부(361)가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1단턱홈(311d) 또는 제2단턱홈(321d)을 따라서 전진하고, 그 전진동작에 의해 고정부(360)의 선단부가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조립된 롤러(10)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롤러(10)의 내측 중심 구멍을 밀폐함으로 도금 작업 중 도금액이 롤러(10)의 내측 중심 구멍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용 도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의하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도금 장치(1)는 최초 스윙암 부재(300)의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는 본체 부재(100) 전방에 위치하고, 도금 부재(200)의 제1도금조(210)는 상기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도금을 준비한다.
이때, 도금을 위한 롤러(10)는 스윙암 부재(300)의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끼워져 조립되는데, 상기 제1축부(310)가 롤러(10)의 길이에 대응하여 전,후 이동하면서 롤러(10)의 일측단에 내측에 끼워져 각종 롤러(10)의 다양한 길이에 대응한다.
여기서, 1차 도금을 수행하는 경우, 한 쌍의 암부(330)가 제1도금조(210) 측으로 회전하면서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조립된 롤러(10)가 선회하고, 그 선회동작에 의해 롤러(10)가 제1도금조(210)의 내부 도금액에 침지됨으로 1차 도금이 실시되게 된다.
도 7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1차 도금을 수행한 후, 한 쌍의 암부(330)는 상향 회전하여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조립된 롤러(10)가 복귀 선회하는 동작으로 롤러(10)를 제1도금조(210)의 외부로 이탈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금 부재(200)의 세척조(220)는 본체 부재(10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동작에 의해 후퇴하면서 상기 세척조(220)가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하부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암부(330)가 다시 세척조(220) 측으로 회전하면서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조립된 롤러(10)가 선회하고, 그 선회동작에 의해 롤러(10)가 세척조(220)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세척액이 분사됨으로 세척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 세척작업은 안착부(221)에 안착된 롤러(10)가 회전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221)에 안착된 롤러(10)는 제2실린더(222)의 로드 수축을 통해 하강하면서 세척액의 분사 방향으로 위치된다.
도 8에 의하면, 1차 도금 수행 후 2차 도금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제2도금조(120)의 덮개(130)를 개방하는 동시에 한 쌍의 암부(330)가 제2도금조(120) 측으로 회전하면서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조립된 롤러(10)가 선회하고, 그 선회동작에 의해 롤러(10)가 제2도금조(120)의 내부 도금액에 침지됨으로 2차 도금이 실시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 도금이 실시되면, 선택에 따라 한 쌍의 암부(330)를 다시 최초 위치로 회전시키면서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에 조립된 롤러(10)를 선회시키는 동시에, 세척조(220)를 롤러(10)가 선회하는 위치로 후퇴시키면서 그 롤러(10)를 세척조(220)에 위치되게 함으로 추가적인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도금 장치 100; 본체 부재
110; 베이스부 120; 제2도금조
130; 덮개 200; 도금 부재
210; 제1도금조 220; 세척조
300; 스윙암 부재 310; 제1축부
320; 제2축부 330; 한 쌍의 암부
340; 구동축 350; 제2모터

Claims (5)

  1. 롤러(10) 형태의 대상물을 도금하기 위한 도금 장치로서,
    내측에 수용공간(111)을 갖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의 전방으로 수용공간(111) 안쪽에 설치되는데, 도금액이 담긴 제1도금조(210)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그 전,후 이동 동작을 이용해 상기 제1도금조(210)를 도금 대상물인 롤러(10)가 위치한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도금 부재(2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에 설치되며,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도금 대상물인 롤러(10)를 끼워 조립되게 하며, 그 조립된 롤러(10)를 상기 제1도금조(210)에 침지시켜 1차 도금을 수행되게 하고, 상기 제1축부(310)가 롤러(10)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길이가 가변하는 작용을 통해 각기 다른 길이의 롤러(10)에 대응하여 축 결합을 수행가능하게 하는 스윙암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 부재(100)는, 수용공간(111)의 내측으로 스윙암 부재(300)에 인접한 측에 도금액이 담기면서 마련된 제2도금조(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금 부재(200)는, 제1도금조(210)의 전방에 세척조(220)가 마련되고, 전,후 슬라이드 이동동작을 통해 상기 제1도금조(210) 또는 세척조(220) 중 어느 하나가 롤러(10)가 위치한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축부(310)는,
    롤러(10)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제1연결캡(311a)이 전단에 구비되고, 후단에 피스톤(311b)이 구비된 제1로드(311)와;
    상기 피스톤(311b)이 전,후 이동가능한 공간을 갖도록 제1로드(311) 후방에 결합되되, 상기 피스톤(311b)의 전방으로 공기를 선택적 주입하는 제1공기홀(312a) 및 상기 피스톤(311b)의 후방으로 공기를 선택적 주입하는 제2공기홀(312b)을 갖는 제1하우징(312) 및;
    상기 제1공기홀(312a)에 공기를 주입하여 피스톤(311b)이 후퇴하거나, 또는 상기 제2공기홀(312b)에 공기를 주입하여 피스톤(311b)이 전진하는 작용을 통해 제1로드(311)가 전,후 왕복 이동하면서 길이가 가변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축부(320)는,
    롤러(10)의 일측단에 끼워지는 제2연결캡(321a)이 전단에 구비된 제2로드(321)와;
    상기 제2로드(321)를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하우징(322)과;
    상기 제2로드(32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상기 제2로드(321)에 전달시키는 제1모터(323) 및;
    상기 제1모터(323)의 회전동력이 제2로드(321)에 전달되는 작용으로 제1축부(310)와 제2축부(320) 사이에 조립된 롤러(10)가 제자리 회전작동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부재(100)는 제2도금조(120)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서 결합되도록 수용공간(111)의 안쪽에 수평으로 힌지(131)를 이용해 결합되고, 제1실린더(132)의 작동에 따라 제2도금조(12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130)는 2차 도금을 수행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제2도금조(120)를 닫아 차폐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2차 도금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제2도금조(120)를 개방하여 선택적으로 제2도금조(120)를 개폐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축부(310) 및 제2축부(320)는, 제1로드(311) 또는 제2로드(321)의 선단 외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제1로드(311)에 형성된 제1단턱홈(311d) 또는 제2로드(321)에 형성된 제2단턱홈(321d)에 이동돌부(361)를 이용해 끼워져 전,후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고, 상기 이동돌부(361) 측으로 제1유입홀(311c) 또는 제2유입홀(321c)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공급되면서 전진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그 전진동작을 통해 롤러(10)의 내측 중심에 밀착되어 밀폐기능을 하는 고정부(3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60)의 선단에는 롤러(10)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밀폐작용을 수행하도록 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 롤러용 도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35171A 2017-10-18 2017-10-18 롤러용 도금 장치 KR101861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171A KR101861290B1 (ko) 2017-10-18 2017-10-18 롤러용 도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171A KR101861290B1 (ko) 2017-10-18 2017-10-18 롤러용 도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290B1 true KR101861290B1 (ko) 2018-05-25

Family

ID=6229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171A KR101861290B1 (ko) 2017-10-18 2017-10-18 롤러용 도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523B1 (ko) * 2018-12-25 2019-06-04 김희두 광학용 로라 도금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532B1 (ko) * 2016-02-17 2017-05-18 김진홍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532B1 (ko) * 2016-02-17 2017-05-18 김진홍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523B1 (ko) * 2018-12-25 2019-06-04 김희두 광학용 로라 도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290B1 (ko) 롤러용 도금 장치
US4126533A (en) Apparatus for selective electroplating of workpieces
US40665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electrodepositing of aluminum
KR20160045367A (ko) 미세 구형 도금장치
KR101704615B1 (ko) 도금 장치
CN115805028B (zh) 一种电解液自动配比混合装置
DE2716805A1 (de) Vorrichtung zum galvanischen abscheiden von aluminium
CN114481275B (zh) 一种用于转子加工的滚浸设备及其加工方法
US3133007A (en) Plating apparatus
CN111996578A (zh) 湿式基板处理装置以及自动润滑脂供给系统
KR100628897B1 (ko) 스핀들 염색장치 및 스핀들의 제조방법
KR100536133B1 (ko) 배럴형 연속 도금장치
CN109930192A (zh) 用于金属工件修复的电刷镀装置
JP5581522B2 (ja) バレルめっき装置
KR101751183B1 (ko) 마이크로 전해가공 장치
EP0042504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galvanischen Abscheiden von Aluminium
CN112680776A (zh) 一种旋转式电解装置
DE19932524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ochemischen Behandlung
JPS6046195B2 (ja) 高速メツキ装置
FR2563540A1 (fr) Dispositif pour effectuer un depot metallique sur les parties frottantes d'un rotor de turbine
KR101409983B1 (ko) 플런저 이동식 윤활유 자동 주유장치
KR20080009907A (ko) 차량용 피스톤 부분표면처리장치
CN219093605U (zh) 一种五金配件压铸机
US20160369420A1 (en) Articles from microarc process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CN209352988U (zh) 一种无电缆电镀滚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