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532B1 -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532B1
KR101737532B1 KR1020160018285A KR20160018285A KR101737532B1 KR 101737532 B1 KR101737532 B1 KR 101737532B1 KR 1020160018285 A KR1020160018285 A KR 1020160018285A KR 20160018285 A KR20160018285 A KR 20160018285A KR 101737532 B1 KR101737532 B1 KR 10173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gravure plate
main body
load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홍
Original Assignee
김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0492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375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홍 filed Critical 김진홍
Priority to KR102016001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18Curved printing formes or printing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04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metallic
    • B41N1/06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metallic for relief printing or intaglio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25D21/14Controlled addition of electrolyte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6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 C25D21/18Regeneration of process solutions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 형태의 그라비어 제판을 도금하는 장치와 관련되며, 실시예로,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파지한 그라비어 제판을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그라비어 제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그라비어 제판을 도금 처리하는 제1 도금조 및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와 제2 도금조가 전후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인출 길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에 파지된 그라비어 제판의 위치에 상기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가 위치하거나 상기 제2 도금조가 위치하는 공정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Apparatus for plating for Gravure engraving roll}
본 발명은 실린더 형태의 그라비어 제판을 도금하는 장치와 관련된다.
그라비어 인쇄는 실린더형 제판의 외주면에 인쇄 패턴을 음각으로 형성하고, 패턴에 잉크를 주입한 후 인쇄대상물에 패턴을 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존 판형 인쇄에 비하여 높은 인쇄 품질과 빠른 인쇄 속도로 인하여 포장재, 직물 인쇄분야에서 널게 사용되고 있다.
그라비어 제판은 인쇄 과정 중에 잉크, 잉크 페이스트 제거용 블레이드, 인쇄대상인 종이, 필름 등에 접촉함으로써 마모가 진행되며, 일정 수준 이상 마모가 진행되면 인쇄 품질의 저하가 발생되므로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라비어 제판의 제조 과정 중에는 원통형 제판의 외주면에 니켈 도금층, 동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 처리 단계가 포함된다. 종래의 기술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금 시스템은 탈지조, 대기조, 전해탈지, 니켈도금조, 동도금조 등의 장비를 길게 나열식으로 배치하고, 제판용 실린더가 각 장비를 차례로 거쳐 가며 각 공정별 처리가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도금 시스템은 설치 공간이 좁은 공장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하고, 공정별 요구되는 장비의 수와 구조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설치 비용이 높고, 사용자의 운영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1808호 (2012.12.0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51131호 (2005.06.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6205호 (2004.08.31)
본 발명은 공간 활용도를 개선하면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킨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파지한 그라비어 제판을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그라비어 제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그라비어 제판을 도금 처리하는 제1 도금조 및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와 제2 도금조가 전후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인출 길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에 파지된 그라비어 제판의 위치에 상기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가 위치하거나 상기 제2 도금조가 위치하는 공정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를 가로로 관통하는 회전 지지축,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회전지지축의 각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이송암, 각 상기 이송암의 끝단에서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으며, 어느 한 이송암에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원통형상인 그라비어 제판의 중공된 홀을 파지하는 로딩액추에이터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이송암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로딩액추에이터는 파지한 그라비어 제판의 단면 중심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금조의 양 측벽에는 상기 로딩액추에이터가 통과하는 호형상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의 저부에는 하강하는 상기 로딩액추에이터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제1 도금조와 연통된 제1 회수조와, 상기 제2 도금조와 연통되는 제2 회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수조 또는 상기 제2 회수조에는 도금액의 순환을 위한 유체펌프,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도금액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 도금액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가 상기 이송부에 파지된 그라비어 제판의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공정이송유닛의 일부분은 상기 본체의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배수구가 구비된 수조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 바닥에 세워지는 승강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강 이동이 가능하고, 상면에는 그라비어 제판이 오르는 나란한 거치롤러들을 구비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라비어 제판의 도금장치는 좁은 면적에 설치 가능하여 공간활용도를 개선한다. 제판의 세척, 전처리, 1차 도금 및 2차 도금을 하나의 장치에서 집약함으로써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이송부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100)는 본체(1), 이송부(2), 제1 도금조(3) 및 공정이송유닛(4)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정이송유닛(4)은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와 제2 도금조(41)를 구비한다.
본체(1)는 지면 상에 세워지며, 제1 도금조(3)와 이송부(2)가 장착되는 구조물이다. 본체(1)의 중앙은 높게 형성되어 있고, 전방으로는 개방되어 있어 공정이송유닛(4)의 일부분을 내부에 수납 가능하다.
제1 도금조(3)는 본체(1)의 중앙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도금조(3)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도금액이 담기며, 이송부(2)에 의해 이동된 그라비어 제판(G)을 도금 처리하기 위한 전극, 전기 공급 수단, 도금액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배수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제1 도금조(3)는 사용하지 아니하였을 때에 닫을 수 있는 커버(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제1 도금조(3)가 본체(1)의 중간에 높게 위치함에 따라, 제1 도금조(3) 하부에는 빈 공간이 존재한다. 이 빈 공간은 본체(1)의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본체(1)의 전방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공정이송유닛(4)의 일부분이 수납될 수 있다.
공정이송유닛(4)에는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와 제2 도금조(41)가 전후로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1)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물이다.
이때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와 제2 도금조(41)는 높이 차이가 있다. 본체(1)를 기준으로 제2 도금조(41)는 본체(1)에 가깝게 위치되며, 제2 도금조(41)의 전방(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에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가 위치된다.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는 지면과 가깝게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도금조(41)는 제1 도금조(3)와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의 중간 높이 정도로써, 도금장치(10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제1 도금조(3), 제2 도금조(41) 및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의 순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이룬다. 낮은 높이의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는 그라비어 제판(G)을 쉽게 안치할 수 있게 한다.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는 수조형상의 하우징(421), 승강용 액추에이터(422), 한 쌍의 거치롤러(423a)를 구비하여 그라비어 제판(G)이 오르는 안착부(423)를 포함한다.
하우징(421)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바닥에는 배수관(도 5의 421a 참고)이 연결되어 있다. 액추에이터(422)는 하우징(421)의 바닥에 세워져 안착부(423)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422)의 둘레는 벽면(424)으로 마감되어 하우징(421) 내의 액체가 액추에이터(422)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안착부(423)는 액추에이터(422)의 실린더에 연결됨으로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안착부(423)의 상단에 구비된 한 쌍의 나란한 거치롤러(423a)는 실린더 형태의 그라비어 제판이 뉘여 오를 수 있도록 한다.
안착부(423)는 액추에이터(422)의 둘레를 둘러싼 벽면(424)을 덮는 상자 형태로, 한 쌍의 거치롤러(423a)에 오른 그라비어 제판을 세척하는 과정 중에 발생한 오수 등 이물질이 액추에이터(422)에 닿지 않고 하우징(421) 바닥의 배수관(42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액추에이터(422)의 작동으로 안착부(423)는 높낮이가 조절되는데, 이는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그라비어 제판의 높이를 후술하는 이송부(2)의 로딩액추에이터(23)의 위치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에는 그라비어 제판의 세척과 탈지를 위하여 뉘인 그라비어 제판에 세정수를 뿌려주기 위한 노즐 부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도금조(41)는, 제1 도금조(3)와 마찬가지로, 그라비어 제판을 도금 처리하기 위한 전극, 전기 공급 수단, 도금액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배수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본체(1)와 공정이송유닛(4)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본체(1)의 양 측벽에는 공정이송유닛(4)의 전후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한 슬라이딩 홀(11)이 형성되어 있다. 공정이송유닛(4)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딩 홀을 타고 구르는 구름롤러들(401)이 구비된다. 구름롤러들(401)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홀(11)을 타고 구름으로써, 공정이송유닛(4)이 본체(1)의 전후로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본체(1)에는 구동모터(402)와, 이 구동모터(402)에 의해 작동되며 출력축에 피니언(404)이 결합된 감속기(403)가 구비되고, 공정이송유닛(4)에는 피니언(404)에 물려지는 래크(405)가 구비되어 있어, 구동모터(402)의 작동에 따라 피니언(404)이 회전하여 공정이송유닛(4)이 전후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구동모터(402)의 작동은 도시를 생략한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동화 방식으로 공정이송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이송부(2)는 본체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그라비어 제판(G)을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이송부(2)는 회전 지지축(21), 한 쌍의 이송암(22), 로딩액추에이터(23) 및 회전동력부(24)를 포함한다.
회전 지지축(21)은 본체(1)를 가로로 가로지르며, 끝단이 본체(1)의 측면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본체(1)에서 돌출된 회전 지지축(21)의 각 끝단에는 이송암(22)이 장착된다. 이때 좌, 우의 이송암(22)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로딩액추에이터(23)는 각 이송암(22)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된다. 로딩액추에이터(23)의 선단부에는 원추형인 파지구(234)가 구비되어 있다. 파지구(234)의 선단부가 그라비어 제판(G)의 중공홀(H)에 파고들면서 그라비어 제판(G)이 이송부(2)에 파지된다. 이 파지구(234)는 그라비어 제판(G)의 사이즈에 따라 교체 가능하다.
어느 한 이송암(22)의 로딩액추에이터(23)에는 파지구(234)가 본체의 가로 방향(거치롤러에 안착된 그라비어 제판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오른쪽의 이송암(22)에는 실린더 케이스(231) 내에서 공압에 의해 파지구(234)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로딩뭉치(232)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로딩뭉치(232)의 가로 방향 이동은, 공압에 따른 작동 방식 외에 피니언과 래크를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스크루를 이용한 기계적 구동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나아가 로딩액추에이터(23)는 파지구(234)에 물려 파지한 그라비어 제판(G)의 단면 중심을 회전 축으로 하여, 그라비어 제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의 왼쪽에 놓인 이송암(22)에는 파지된 그라비어 제판(G)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이송암(22)에 구비된 로딩액추에이터(23)는,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B)을 통해 이송암(22)에 결합되어 있다. 이송암(22) 내에는 모터(235)와 감속기(236)가 구비되고, 감속기(236)의 출력축과 로딩액추에이터(23)는 벨트(237)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모터(235)의 회전시에 벨트(237)로 연결된 로딩액추에이터(23)가 그 길이 방향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파지구(234)가 좌우로 이송하도록 구성한 오른쪽 이송암(22)의 로딩액추에이터(23)에서, 파지구(234)가 연결된 로드(233)는 로딩뭉치(232) 내에서 자유회전 가능하게 베어링(B)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모터(235)의 회전에 따라 일측의 로딩액추에이터(23)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그라비어 제판(G)이 단면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회전동력부(24)는 이송암(22)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본체(1)의 일측에 구비되는 작동모터(241), 감속기(242) 및 감속기(242)의 출력축과 회전 지지축에 연결되는 스프라킷(243)에 걸리는 체인(244)을 포함한다.
작동모터(241)의 회전에 따라 회전 지지축(2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송암(22)과 이에 파지된 그라비어 제판이 원형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동력부(24)는 체인(244)을 사용하지만, 회전 지지축을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다양한 동력전달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본체(1)의 후방에는 제1 도금조(3)와 연통된 제1 회수조(5)와, 제2 도금조(41)와 연통되는 제2 회수조(6)가 구비된다.
제1 회수조(5)는 제1 도금조(3)와 배관으로 연통되어 있으며, 회수관(51)을 통해 제1 도금조(3)의 도금액을 유입받아 재생 처리한 후 공급관(52)을 통해 다시 제1 도금조로 되돌려준다. 제1 회수조(5)는 도금액을 제1 도금조(3)로 되돌리기 위한 유체펌프(53),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54), 도금액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 도금액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유체펌프(53)는 낮은 위치의 제1 회수조(5)에서 높은 위치의 제1 도금조(3)로 처리된 도금액을 이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필터(54)는 도금 처리 과정 중 생성된 각종 이물질을 여과하여 도금액의 청정 상태를 유지한다. 온도조절수단으로 도금액을 적절히 냉각시키기 위한 상온수를 순환시키는 냉각 파이프(55) 또는 히터(도시 생략)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센서로는 도금액의 온도 측정, pH 측정 , 불순물 농도 측정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공지된 센서들(도시 생략)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회수조(6)는 제2 도금조(41)와 배관으로 연통되어 있으며, 제1 도금조(3)와 마찬가지로 유체펌프, 필터, 온도조절수단, 센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제1 회수조(5)와 제2 회수조(6)는 각기 제1 도금조(3)와 제2 도금조(41)에 사용되는 도금액의 상태에 맞추어 도금액을 준비하고, 재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금액 처리를 위한 별도의 도금액 준비 수조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의 작용과 세부 구성을 살펴본다.
먼저 도금할 그라비어 제판은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에 뉘어져 안착된다.
이때 그라비어 제판의 길이가 본체의 가로 폭보다 짧은 경우, 각 단부가 중공홀에 삽입되는 원뿔형 이음구를 사용하여 2대 이상의 제판이 동시에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에 안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로딩액추에이터(23)가 그라비어 제판(G)의 중공홀의 높이로 이동할 위치에 맞추어, 공정이송유닛(4)을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즉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에 안치된 그라비어 제판(G)이 이송부(2)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공정이송유닛(4)을 후진시킨다. 이때 공정이송유닛(4)의 제2 도금조(41)는 회전 지지축(21)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 본체(1)의 내부로 수납된다.
회전동력부(24)를 작동하여, 로딩액추에이터(23)가 그라비어 제판의 중공홀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이송암(22)를 회전시킨다.
이때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의 액추에이터(422)를 작동시켜 안착부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송부(2)의 로딩액추에이터(23)의 위치에 맞추어 그라비어 제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딩액추에이터(23)의 중심과 안착부에 오른 그라비어 제판(G)의 중공홀 중심의 맞춤 정렬은, 이송암(22)의 회전 작동, 안착부(423)의 승강 작동 및 공정이송유닛(4)의 전후진 작동의 조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공정이송유닛(4)이 본체(1) 내로 수평이동하여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맞추고, 이송암(22)이 회전하여 로딩액추에이터(23)를 그라비어 제판의 중공홀 근처로 맞춘 후 안착부(423)를 승강시키며 그라비어 제판(G)의 중공홀과 로딩액추에이터(23)에 구비된 파지구(234)의 중심을 맞출 수 있다.
제어부는 작업자가 입력한 그라비어 제판의 외경 사이즈를 변수로 하여, 고정이송유닛의 위치, 이송암의 회전 각도, 안착부의 높이를 산출하고, 그에 따라 공정이송유닛, 이송암의 회전, 안착부의 상승을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로딩액추에이터(23)의 파지구(234)가 전진하여, 그라비어 제판(G)의 중공홀 양단에 각 로딩액추에이터(23)의 파지구(234)가 끼워지게 된다.
이송부(2) 내의 모터(235)가 작동하여 그라비어 제판(G)을 회전시키고, 작업자는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에 안치되어 회전하는 그라비어 제판의 표면을 세척/탈지 처리하게 된다. 세척하면서 발생하는 오수 등은 하우징(42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42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라비어 제판(G)의 전처리가 완료된 다음 이송부(2)를 작동하여 그라비어 제판(G)을 높게 들어 올리고, 공정이송유닛(4)을 본체(1)에서 인출시킨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본체 내에 수납되어 있던 제2 도금조(41)가 공정이송유닛(4)의 인출과 함께 본체(1)의 전방으로 나오게 된다.
공정이송유닛(4)이 전방으로 인출되어 제2 도금조(41)가 개방된 이후 이송부(2)가 역으로 회전하여 그라비어 제판(G)을 제2 도금조(41)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제2 도금조(41)의 측면에 형성된 호형 전극(411)에 로딩액추에이터(23)가 오르면서 그라비어 제판(G)에 전기가 가해진다. 하단부가 제2 도금조(41)의 도금액에 잠기는 그라비어 제판은, 이송암(22) 내의 모터(235)가 작동하는 중에 도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외주면 전체에 도금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제2 도금조(41)에서 이루어지는 도금은 니켈 도금이 될 수 있다.
제2 도금조(41)의 도금액은 제2 회수조(6)에서 공급된 도금액으로, 도금 과정 중에 필요한 경우에는 잠시 도금을 멈추고, 제2 도금조(41)의 도금액을 제2 회수조(6)의 도금액과 순환시킬 수 있다.
제2 도금조(41)에서의 도금이 종료된 이후 이송부(2)를 회전시켜, 제1 도금조(3)로 그라비어 제판을 이동시킨다.
그라비어 제판이 제1 도금조(3)로 이송하려면, 이송부(2)는 최고점을 넘어 본체의 후방으로 젖혀져야 한다. 제1 도금조(3)가 높게 위치함에 따라, 제1 도금조(3) 내에 그라비어 제판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제1 도금조(3)의 양 측벽에는 로딩액추에이터(23)가 통과하는 호형상의 안내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안내홈(31)이 휘어진 곡률은 이송부(2)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한 가상원의 원주를 따른다. 안내홈(31)을 따라 로딩액추에이터(23)가 진입함으로써 제1 도금조(3)의 깊숙한 곳까지 그라비어 제판이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안내홈(31)의 저부에는 하강하는 로딩액추에이터(23)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32)가 구비되어 있다. 호형인 지지부(32)의 상단부는 로딩액추에이터(23)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스프링(33)은 그라비어 제판을 파지한 상태로 하강함에 따른 충격으로부터 로딩액추에이터(23)를 보호한다. 또한 로딩액추에이터(23)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로딩액추에이터(23)의 외주면과 지지부(32) 상단부와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도금 중에 회전하는 그라비어 제판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지 않게 한다.
제1 도금조(3)에서 그라비어 제판은 이송암(22) 내의 모터(235)의 작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그아비아 제판 외주면 전체에 도금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2 도금조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제1 회수조(5)의 도금액이 제1 도금조(3)의 도금액과 순환될 수 있다. 제1 도금조(3)에서의 도금은 동 도금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도금조(3)에서는 애노드(예를 들면 구리박막)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는 전극 변위 수단(34)이 구비된다. 도 3에서 제1 도금조의 상부에는 핸들(341)이 구비되어 있다. 핸들(341)은 돌림에 따라 각도가 달라지는 것이고, 핸들(341)에는 제1 도금조을 가로로 가로지는 전극바(34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극바(342)에는 도금에 사용되는 금속막(343)(예를 들면 구리박막)이 연결되어 있다.
핸들(341)을 조작함에 따라 제1 도금조(3)의 중앙에 놓인 피도금물(그라비어 제판)과 금속막(343)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그라비어 제판의 외주면에 수행되는 도금 상태를 달리할 수 있다. 특히 도금 금속의 이온화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금속막(343)의 가장자리를 피도금물과 가깝게 이동시킴으로써 도금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1 도금조(3)에서의 도금 처리가 완료된 후 이송부(2)가 회전하여 다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에 그라비어 제판을 안착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1 도금조(3)에서의 도금 처리 전후에 공정이송유닛(4)은 본체(1)의 내부로 일부분이 수납되어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가 그라비어 제판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42)에 안착된 그라비어 제판의 도금 상태를 체크 한 후 로딩액추에이터(23)에 의한 파지를 해제하고, 도금 처리가 완료된 그라비어 제판을 인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 장치는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와 제2 도금조가 공정이송유닛에 형성되어 있으며, 공정 순서에 따라 공정이송유닛이 본체에 일부 수납되거나 인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스윙 운동을 하는 이송부를 통해 그라비어 제판의 로딩, 언로딩, 세정, 1차 도금, 2차 도금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나열식 도금 처리 시스템에 비하여 적은 공간에 설치되는 도금 장치를 통하여 공간 활용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는 공장 면적이 작은 중소형 도금 업체에게 적은 면적으로 도금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하는 혜택이 있다.
100 : 도금장치
1 : 본체 11 : 슬라이딩 홀
2 : 이송부
21 : 회전 지지축 22 : 이송암
23 : 로딩액추에이터 231 : 실린더 케이스 232 : 로딩뭉치
233 : 로드 234 : 파지구 B : 베어링 235 : 모터
236 : 감속기 237 : 벨트
24 : 회전동력부
241 : 작동모터 242 : 감속기 243 : 스프라킷 244 : 체인
3 : 제1 도금조
31 : 안내홈 32 : 지지부 33 : 스프링 34 : 전극 변위 수단
341 : 핸들 342 : 전극바 343 : 금속막
4 : 공정이송유닛
401 : 구름롤러 402 : 구동모터 403 : 감속기 404 : 피니언
405 : 래크
41 : 제2 도금조 411 : 전극
42 :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
421 : 하우징 421a : 배수관 422 : 액추에이터
423 : 안착부 423a : 거치롤러 424 : 벽면
5 : 제1 회수조
51 : 회수관 52 : 공급관 53 : 유체펌프 54 : 필터
55 : 냉각 파이프
6 : 제2 회수조
G : 그라비어 제판 H : 중공홀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파지한 그라비어 제판을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그라비어 제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그라비어 제판을 도금 처리하는 제1 도금조 및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와 제2 도금조가 전후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인출 길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에 파지된 그라비어 제판의 위치에 상기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가 위치하거나 상기 제2 도금조가 위치하는 공정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가 상기 이송부에 파지된 그라비어 제판의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공정이송유닛의 일부분은 상기 본체의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를 가로로 관통하는 회전 지지축,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회전지지축의 각 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이송암,
    각 상기 이송암의 끝단에서 마주보게 설치되어 있으며, 어느 한 이송암에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원통형상인 그라비어 제판의 중공된 홀을 파지하는 로딩액추에이터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이송암을 회전시키는 회전동력부를 포함하는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로딩액추에이터는 파지한 그라비어 제판의 단면 중심을 회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인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제1 도금조의 양 측벽에는 상기 로딩액추에이터가 통과하는 호형상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의 저부에는 하강하는 상기 로딩액추에이터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제1 도금조와 연통된 제1 회수조와, 상기 제2 도금조와 연통되는 제2 회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수조 또는 상기 제2 회수조에는
    도금액의 순환을 위한 유체펌프,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도금액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 도금액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로딩/언로딩겸 전처리부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배수구가 구비된 수조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 바닥에 세워지는 승강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승강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강 이동이 가능하고, 상면에는 그라비어 제판이 오르는 나란한 거치롤러들을 구비하는 안착부
    를 포함하는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KR1020160018285A 2016-02-17 2016-02-17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KR10173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285A KR101737532B1 (ko) 2016-02-17 2016-02-17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285A KR101737532B1 (ko) 2016-02-17 2016-02-17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532B1 true KR101737532B1 (ko) 2017-05-18

Family

ID=5904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285A KR101737532B1 (ko) 2016-02-17 2016-02-17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290B1 (ko) * 2017-10-18 2018-05-25 박범환 롤러용 도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597A (ja) 1998-07-16 2000-02-02 Think Laboratory Co Ltd カセット形ロール自動脱着装置
JP2015036424A (ja) * 2013-08-10 2015-02-23 株式会社島谷技研 表面処理装置及び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597A (ja) 1998-07-16 2000-02-02 Think Laboratory Co Ltd カセット形ロール自動脱着装置
JP2015036424A (ja) * 2013-08-10 2015-02-23 株式会社島谷技研 表面処理装置及び洗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290B1 (ko) * 2017-10-18 2018-05-25 박범환 롤러용 도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623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кузовов автомобилей
EP0934827B1 (en) Rotogravure printing and coating machine
KR101944172B1 (ko) 케미컬 드럼 용기 자동 커플링 시스템의 캡 개폐장치
US11517944B2 (en) Device for cleaning cylindrical rollers, machine comprising said device, and cleaning method
RU2702389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гружения корпусных деталей
KR101737532B1 (ko) 그라비어 제판 도금장치
KR100925634B1 (ko) 줄마크 발생 방지용 강판에지 연마 장치
KR20170017956A (ko) 케미컬 드럼 용기의 자동 커플링 시스템
EP1140381B1 (en) Rinsing device
CN112267142A (zh) 一种自动化电镀生产线
CN105658517A (zh) 自动化船清洗用船坞以及用于在自动化船清洗用船坞中清洗船的相关方法
DK177220B1 (da) Anlæg til overfladebehandling af en langstrakt flade, fortrinsvis overfladen af en vindmøllevinge
CN212886751U (zh) 一种自清洁光学镜头玻璃生产装置
CN116200747B (zh) 基于印刷设备版辊铜层的喷淋式高精细深度腐蚀工艺
CN112829458A (zh) 一种印刷机凹版辊自动清洗机
CN211386018U (zh) 清洁设备
CN105314401B (zh) 自动翻转浸液设备
KR20050079559A (ko) 전기 도금 장치
CN215858908U (zh) 一种涂装设备
CN115747781A (zh) 一种铝制品表面钝化处理系统
KR100419784B1 (ko) 스트립 산세 장치
CN115384175A (zh) 一种印刷机换辊装置
CN215612738U (zh) 一种具有柔性升降结构的辊涂设备
CN213476139U (zh) 过液输送组件、铜排压轮装置及铜排连续镀锡设备
CN218925680U (zh) 用于生产酸洗平整卷和黑平卷的多功能装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86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619

Effective date: 2018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