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484B1 -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484B1
KR101860484B1 KR1020110090161A KR20110090161A KR101860484B1 KR 101860484 B1 KR101860484 B1 KR 101860484B1 KR 1020110090161 A KR1020110090161 A KR 1020110090161A KR 20110090161 A KR20110090161 A KR 20110090161A KR 101860484 B1 KR101860484 B1 KR 10186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cosmetic composition
photocatalyst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509A (ko
Inventor
박우람
황윤균
황정환
심종원
나용주
김은주
한지연
김준오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12002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하이드로겔 입자; 및 하이드로겔 입자에 결합된 광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ducing an Oxygen}
본 발명은 산소를 생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소는 녹색 식물의 광합성에 의해서 대부분 만들어진다. 산소는 많은 생물의 생명 활동에 있어 필수적인 물질로서, 공기 중 산소 함량이 16% 이하가 되면 그들의 생명 유지를 위협하게 된다.
이러한 산소는 의학 분야에서 치료를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공기 색전증, 일산화탄소 중독 또는 잠수부의 감압병과 같은 산소 결핍의 치료, 상처, 괴사 부위의 감염, 이식편의 손상, 화상 또는 근육 손상 치료의 보조 요법 또는 자폐증, 두통, 파킨슨병 등의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피부학 분야에서는 저산소증에 의한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하거나 피부 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해 산소를 활용하기도 한다.
생체 시스템에 위협이 되는 독성 물질로 작용한다고 알려진 활성 산소는 산소가 과한 경우뿐만 아니라 부족한 경우에도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생체 조직과 기관이 노화되면 혈관 신생능이 감소되므로 말초 혈관이 감소하고, 따라서 산소 부족(hypoxia) 상태가 발생한다. 이러한 산소 부족 상태에서 세포는 HIF(Hypoxia-Inducible-Factor)라는 전사 인자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HIF는 수백 개의 유전자 프로모터에 있는 산소 부족-반응성 인자(Hypoxia-Reponsive elements)와 결합하여 산소 부족 상태에 적응하고 생존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들을 발현시킨다. 이 때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즉, 노화로 의해 적절한 혈관 생성과 원활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산소가 부족해지고, 나아가 다량의 활성 산소가 생성되는 것이다. 한편, 가압 조건이 아닌 상압 조건에서는 과산소로 인해 활성 산소가 생성되는 경우는 드물다.
용매에 용해된 상태에서 활성 산소의 일반적인 수명은 수 ms에서 수 ns 정도로, 매우 짧다. 생체 시스템은 SOD(Superoxide Dismutase)라는 효소를 이용하여 금속 이온과의 전자 이동으로 활성 산소를 제거한다. 체내에서 생성된 활성 산소는 2O2 + 2H2O → O2 + H2O2 + 2OH의 반응을 거쳐 보다 안정화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또한 정상 생체 시스템에서는 활성 산소를 면역 시스템에 대한 외부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노화, 면역 시스템 이상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활성 산소 조절능이 감소하면 활성 산소가 독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활성 산소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신체에 산소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호흡기, 거치형 흡입식 장비, 산소 텐트와 같은 간이식 챔버, 산소를 직접 분사하는 노즐, 산소가 용해된 물과 같은 매개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번거롭고 높은 비용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보다 간편하고 직접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18183호(2008.02.27. 공개) 명세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96139호(2005.10.05. 공개) 명세서
본 발명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미세 하이드로겔 입자; 및 하이드로겔 입자에 결합된 광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상기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은 산소를 생성함으로써,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고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활성 산소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은 외상 및 창상 치유, 수술 후 회복, 피부 재생을 촉진하며,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의 산소 생성 반응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입자 및 이에 결합된 광촉매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산소 생성능 평가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산소 생성 결과 그래프이다.
물이 분해되어 산소, 수소 원자 및 전자를 생성하는 반응은 광촉매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자들은 광촉매에 의해 촉진되는 물에서부터의 산소 생성 반응을 이용하여, 피부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미세 하이드로겔 입자; 및 하이드로겔 입자에 결합된 광촉매를 포함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산소는 에너지 대사, 콜라겐 형성, 신혈관 생성 등에 관여하여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산소는 피부 손상 또는 상처 부위의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활성을 조절하여 살균 효과를 증대시키고, EGF와 같은 성장 인자를 자극하며, 케라티노사이트의 분화를 촉진할 뿐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을 증진시켜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를 촉진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은 산소를 생성함으로써, 피부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외상 및 창상 치유, 수술 후 회복,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산소 부족으로 인한 활성 산소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이드로겔(hydrogel)"은 물을 기본 성분으로 포함하는 겔, 물을 분산매로 하는 겔 또는 친수성 겔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미세 하이드로겔 입자는 미세구 형태, 즉 0.01 내지 100 ㎛의 미립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하이드로겔 입자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과 사용감을 고려하였을 때, 0.1 내지 100 ㎛, 구체적으로 1 내지 50 ㎛, 더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친수성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천연 폴리머,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PC(Posphatidyl choline)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알긴산(Alginate), 키토산(Chitosan), 폴리 카프로락톤(Poly(e-caprolactone)), 폴리 락트산(Poly(zlactic acid)), 폴리 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트리칼슘 포스페이트(Tricalcium phosph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천연 폴리머는 카라기난, 아가 또는 아가로스를 예로 들 수 있는 홍조류 유래 다당류, 만난,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또는 그 유도체를 예로 들 수 있는 만노오즈 함유 다당류 및 로커스트콩검, 구아검, 산탄검, 아라비아검, 젤란검 또는 카라야검을 예로 들 수 있는 천연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폴리아크릴아마이드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는 나이팜(Poly(N-isopropylacrylamide))를 포함한다.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는 친수성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HEA)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폭넓은 사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세공이 열린 공극성 구조를 통해 산소 또는 다른 물질이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공극성의 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은 알릴아민(allylamine)을 예로 들 수 있는 양전하 도너(positive charge don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양전하 도너는 하이드로겔 입자에 친전자성을 부여하여 산소 생성 반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광촉매는 빛을 조사하였을 때 물을 분해하여 산소를 생성하는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라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광촉매는 d-오비탈을 가지는 전이 금속, 이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전이 금속의 구체적인 예로는 티타늄, 바나듐, 망간, 철, 구리, 아연, 지르코늄, 몰리브덴, 루세늄, 팔라듐, 은, 텅스텐, 오스뮴, 이리듐, 백금, 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티타늄과 백금의 혼합물은 자외선과 가시광선 모두에 대해 폭넓은 흡광도를 나타내고, 높은 반응성을 가지며, 인체 친화도가 높다. 또한 상기 전이 금속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나므로, 피부에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고 가시광선을 조사함에 의해 산소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이 금속의 산화물은 ZnO, TiO2, IrO2, PtO2, PdO, RuO2, MnO2, Co3O4, Au2O3, ZrO2, SnO2, MgO 및 Al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서, 전이 금속은 전이 금속과 다른 금속/비금속의 합금 또는 전이 금속과 유기물이 결합한 유기 전이 금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광촉매는 그 비표면적에 비례하여 산소 생성 촉진 효과가 높아지므로, 광촉매의 비표면적을 넓히고 광촉매 간의 응집을 막기 위해 광촉매는 하이드로겔 입자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광촉매는 0.1 내지 1,000 nm, 구체적으로 1 내지 500 nm, 더 구체적으로 2 내지 10 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광촉매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효과가 높아지나, 0.1 nm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경우 비표면적 대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광촉매가 1,000 nm를 넘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 비표면적이 감소하여 낮은 효과를 나타내며 하이드로겔 입자에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광촉매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의 함량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0 ppm, 구체적으로 5 내지 500 ppm, 더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 pp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광촉매는 가시광선 감광성 광촉매 또는 자외선 감광성 광촉매를 포함한다. 가시광선 감광성 광촉매는 380nm 내지 750nm 파장의 가시광선에 감광할 수 있고, 자외선 감광성 광촉매는 200nm 내지 380nm 파장의 자외선에 감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은 빛 에너지를 전자적 에너지 형태로 광촉매에 전달하는 감광성 천연 색소 또는 합성 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산소 생성 반응을 촉진하는 경우, 가시광선만으로는 광촉매가 반응에 필요한 정도로 충분한 에너지를 전달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빛 에너지를 전자적 에너지 형태로 광촉매에 전달하는 감광성 천연 색소 또는 합성 색소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천연 색소 또는 합성 색소는 포르피린(Porphyrin)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엽록소(Chlorophyl) 또는 피코시아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감광성 천연 색소 또는 합성 색소를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또는 그 가공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을 식물 잎 추출물을 포함하며, 식물 잎 추출물은 인삼, 차(茶), 콩과 같은 육상 식물 또는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와 같은 조류의 잎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파우더, 페이스트,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멀티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 포말(foam)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수, 로션, 에센스, 크림, 연고, 젤, 팩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은 산소를 생성하므로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생성된 산소를 피부에 직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은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이후에, 피부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빛은 일상 생활 속에서 태양광 또는 인공광에 의해 노출되는 파장의 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별도의 빛 조사 없이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것만으로도 일상 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빛은 380nm 내지 750nm 파장의 가시광선 또는 200nm 내지 380nm 파장의 자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시광선은 일반 직사광선을 UV 필터로 가시광선 영역만을 추출한 것이다.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경우 피부에 유해 광선을 조사하지 않고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피부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주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수상으로, 모노머(PEG-diacrylate와 PEG-methadicacrylate의 등비 혼합물)와 개시제(암모늄 퍼설패이트, Ammoniumpersulfate), 전이금속 촉매로서 백금-티타늄 복합체(Pt-TiO2 Complex), 엽록소(Chlorophyl), 양전하 도너(Positive charge doner)로서 알릴아민(Allylamine), 개시제로서 암모늄 퍼설패이트(Ammonium Persulfate)를 물(water)에 넣고 녹인다. 오일상으로서, 헥산(Hexane)에 계면 활성제(Arlacel)를 넣어 녹인다. 오일상에 수상 혼합물을 투입하여 3500 rpm에서 5분간 호모 믹싱한다. 믹싱한 에멀전을 교반기로 서서히 교반하며 가속화제 (TEMED)를 투입한다. 경화가 완료되면 침전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IPA(Isopropyl alcohol)와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다. 이후 0.1% 탄산수소나트륨 용액(Sodium Bicarbonate solution)을 이용하여 촉매의 반응성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각 성분의 함량은 아래 표와 같다.
성분 함량 비고
PEG 디아크릴레이트(700) 10g 모노머
PEG 메타디아크릴레이트(725) 10g
엽록소 0.01g ZnDPEG (ZnD630-9)
알릴아민 0.1g 양전하 도너
백금-티타늄 복합체 1ml 1000 ppm 용액
78.8g 수상이 100g이 되도록 함
계면 활성제 3g 아라셀
헥산 100g
상기와 같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확대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화장료 조성물에는 10 내지 30 ㎛ 크기의 하이드로겔 입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광촉매가 별도의 결합제 사용 없이도 하이드로겔 입자에 양호하게 안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산소 생성능 평가
2,000s까지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100% 질소 조건에 두었다가(N2 purging), 2,500s 이후 화장료 조성물에 빛을 조사하고 UV 필터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산소 생성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도 3과 같다. 도 4에 시간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산소 생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가시광선 조사 후 화장료 조성물에서 산소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스스로 산소를 생성하여 피부에 직접적으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Claims (14)

  1. 미세 하이드로겔 입자;
    하이드로겔 입자에 결합된 광촉매; 및
    양전하 도너로 알릴아민(Allylamine)을 포함하며,
    상기 미세 하이드로겔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0.1 내지 100 ㎛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아크릴계 친수성 모노머 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입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나이팜(Poly(N-isopropylacrylamide))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광촉매는 전이금속, 이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광촉매는 0.1 내지 1,000 n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광촉매는 380nm 내지 750nm 파장의 가시광선에 감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빛 에너지를 전자적 에너지 형태로 광촉매에 전달하는 감광성 천연 색소 또는 합성 색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감광성 천연 색소 또는 합성 색소를 포함하는 식물 잎 추출물 또는 그 가공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광촉매는 200nm 내지 380nm 파장의 자외선에 감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활성 산소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 이후에,
    피부에 빛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방법.
KR1020110090161A 2010-09-06 2011-09-06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60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077 2010-09-06
KR20100087077 2010-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509A KR20120024509A (ko) 2012-03-14
KR101860484B1 true KR101860484B1 (ko) 2018-05-23

Family

ID=4581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161A KR101860484B1 (ko) 2010-09-06 2011-09-06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60484B1 (ko)
CN (1) CN103189044B (ko)
WO (1) WO201203332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588A (ko) * 2019-09-10 2021-03-18 (주) 에스테팜 광자극을 이용한 마스크팩 또는 패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8914B2 (en) 2015-08-13 2019-05-07 Coty Inc. Formula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cutaneous uptake of molecular oxygen by skin
CN106076385A (zh) * 2016-06-12 2016-11-09 江苏大学 一种温度响应型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582495A (zh) * 2016-10-27 2017-04-26 江苏大学 一种三元复合光催化纳米反应器及其制备方法和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907A (ja) 2001-09-26 2003-04-03 Lion Corp 皮膚化粧料
JP2006111606A (ja) 2004-10-18 2006-04-27 Minoru Kobayashi 光触媒含有頭髪用組成物
JP2007153835A (ja) * 2005-12-07 2007-06-21 Kao Corp ハイドロゲル粒子
KR100809488B1 (ko) 2006-07-19 2008-03-03 도용진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3535B2 (en) * 2007-02-23 2013-01-01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Wound healing dressing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209897A1 (en) * 2008-02-20 2009-08-20 Lotec, Inc. Dba Vesta Sciences, Inc. Photoactivated Antimicrobial Wound Dressing and Method Relating Theret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907A (ja) 2001-09-26 2003-04-03 Lion Corp 皮膚化粧料
JP2006111606A (ja) 2004-10-18 2006-04-27 Minoru Kobayashi 光触媒含有頭髪用組成物
JP2007153835A (ja) * 2005-12-07 2007-06-21 Kao Corp ハイドロゲル粒子
KR100809488B1 (ko) 2006-07-19 2008-03-03 도용진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시이트형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blog.naver.com/zkdlfh1148/150016665728*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588A (ko) * 2019-09-10 2021-03-18 (주) 에스테팜 광자극을 이용한 마스크팩 또는 패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21049735A1 (ko) * 2019-09-10 2021-03-1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광자극을 이용한 마스크팩 또는 패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239390B1 (ko) * 2019-09-10 2021-04-13 (주) 에스테팜 광자극을 이용한 마스크팩 또는 패치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3323A3 (ko) 2012-06-28
CN103189044A (zh) 2013-07-03
CN103189044B (zh) 2015-06-24
KR20120024509A (ko) 2012-03-14
WO2012033323A2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3772B (zh) 一种美白防晒化妆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1991222B1 (en) Melatonin and immunostimulating substance-based compositions
CN102824278B (zh) 用于防止皮肤老化的化妆品组合物
JP4926312B2 (ja) 白金コロイド含有化粧品
JP2016510022A (ja) 日焼け止め剤を含むマイクロカプセル
KR101860484B1 (ko) 산소 생성 화장료 조성물
Jin et al. Thermosensitive hydrogel loaded with nickel–copper bimetallic hollow nanospheres with SOD and CAT enzymatic-like activity promotes acute wound healing
DE10226990A1 (de) Topisch applizierbare Mikro-Emulsionen mit binärer Phasen- und Wirkstoffdifferenzierbarkeit,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Versorgung der Haut mit bioverfügbarem Sauerstoff
CN103607998A (zh) 壳多糖和活性成分复合物的制备方法及由此获得的复合物
Abu Hajleh et al. The revolution of cosmeceuticals delivery by using nanotechnology: a narrative review of advantages and side effects
CN103876982A (zh) 一种纳米脂质体乳液及其制备方法
Chen et al. Microfluidic encapsulated manganese organic frameworks as enzyme mimetics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treatment
CN113423379B (zh) 利用金属-有机骨架材料和三嵌段共聚物的用于透皮递送的复合物
US20200214943A1 (en) Nano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for highly efficient skin brightening, whitening, moisturizing and spot fad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511148B1 (ko)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2401083B1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arisma et al. UVA-triggered drug release and photo-protection of skin
Grumezescu Nanobiomaterials in Galenic formulations and cosmetics: Applications of nanobiomaterials
CN113893244B (zh) 一种具有抗蓝光作用的组合物
CN104490747B (zh) 具有防辐射、光保护防御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EP3479846B1 (en) Hydrogel-based nanoemulsion for selectively labeling cancer les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ozos-Nonato et al. Novel Nanotechnological Strategies for Skin Anti-aging
KR20180069487A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8289837A (zh) 含溴莫尼定的免冲洗化学泡沫及其在治疗红斑痤疮中的用途
CN109833266A (zh) 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