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113B1 -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113B1
KR101860113B1 KR1020120037793A KR20120037793A KR101860113B1 KR 101860113 B1 KR101860113 B1 KR 101860113B1 KR 1020120037793 A KR1020120037793 A KR 1020120037793A KR 20120037793 A KR20120037793 A KR 20120037793A KR 101860113 B1 KR101860113 B1 KR 10186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present
trau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481A (ko
Inventor
유세진
백석윤
양미숙
장희경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37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113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항산화, 항노화, 미백 및 보습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본 발명은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항산화, 항노화, 미백 및 보습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하게 되고, 피부 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화의 현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화합물(free radical scavengers) 또는 과산화물 생성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이들 산화물들에 기인하는 노화 및 각종 질환의 억제 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처낭(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또는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BLUME)은
제주도에 야생하는 낙엽관목으로 수피는 회갈색이며, 잎은 어긋나고 난상 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측맥은 6-7쌍이고 표면은 잔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뒷면은 황록색으로서 털이 있고 맥 위에 선모가 있다. 엽병은 길이 1-2cm이며 선모(腺毛)가 있으며 어린 잎의 표면에 적색 무늬가 있다. 수피는 윤이 나는 회갈색이며 새가지는 갈색으로 선모(腺毛)가 있다.  상기 처낭에 대한 피부에서의 항노화, 미백 및 보습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처낭 추출물이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우수한 항산화, 항노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항산화, 항노화, 미백 및 보습에 탁월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처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처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처낭(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또는 Corylus heterophylla var. thunbergii BLUM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처낭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처낭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에 의해 건조시키고, 세말화 한 가루에 추출용매로서 유기용매인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30~70%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환류추출 후 여과하고,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처낭 건조 추출물로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처낭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처낭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효능 및 효과가 미약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안정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자유 라디칼 소거 또는 억제로 인하여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백용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고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처낭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항산화, 항노화, 보습 및 미백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보호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처낭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항산화, 항노화,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처낭 추출물의 제조
신선한 상태로 수확한 처낭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열풍건조를 통하여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한 가루 100g에 1000ml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환류 추출하고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 농축하여 최종 처낭 건조추출물 18g을 확보하였다.
[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시험 ( DPPH 테스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처낭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리 라디칼인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DPPH 산화 억제 효능을 비교 측정함으로써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즉, 제조예 1 에서 수득한 처낭 추출물에 대해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에서 수득한 제조예 1 의 처낭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을 각각 10㎕씩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양성 대조군으로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한다.
시험물질 IC50 (ppm)
트롤록스 (Trolox) 43
처낭 추출물 (제조예 1) 46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처낭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와 비교하여 유사한 효능 효과를 내어, 본 발명에 따른 처낭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2] 항노화 효과 -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 효능
상기 제조예 1 에서 얻은 처낭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능을 토코페롤 및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토코페롤 및 EGCG는 항산화물질로서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제조예 1 의 처낭 추출물 50ppm 농도, 토코페롤 및 EGCG 각각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콜라게나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콜라게나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28937938-pat00001
시험물질 콜라게나제 발현 정도(%)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76
EGCG 69
처낭 추출물 (제조예 1) 72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높고 피부내의 콜라겐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 피부 탄력 감소가 저해되며, 생성되는 주름의 양은 적어진다.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처낭 추출물은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토코페롤 및 EGCG보다도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처낭 추출물은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감소와 같은 항노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3] 미백 효과 - 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상기 제조예 1 에서 얻은 처낭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공지된 미백 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DMEM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lphorbol)-13-아세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를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공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각 시험물질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시험물질로는 하이드로퀴논과 상기 제조예 1 의 처낭 추출물을 각각 25ppm의 농도로 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Dooley의 방법).
Figure 112012028937938-pat00002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
비 처리군 0
하이드로퀴논 (양성 대조군) 48.2
처낭 추출물 (제조예 1) 52.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처낭 추출물은 공지된 미백 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4] 피부 보습 시험 - 인간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유도 시험
상기 제조예 1 처낭 추출물의 피부장벽기능과 피부 보습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광도를 이용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사람 신생아 각질형성세포(HEK) (Lonza, NHEK-Neo-Neonatal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Pooled)를 배지(KBM-gold)가 들어있는6-공 평판배양기(6-well plate)에 5x104세포/공(cells/well)로 분주하여37℃, 5% CO2에서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처낭 추출물 50ppm, 100ppm 농도를 상기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가 바닥 면적의 80~9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 세포를 수확(cell harvest)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을 가하여 3분간 소니케이션(sonication)을 수행하고 난 후, 10분간 끓였다. 이를 1200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를 하여 분리한 침전물을 다시 PBS 1㎖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 일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 분화 정도의 평가 시 기준으로 삼았다. 저 칼슘(0.03mM) 처리군과 고 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 농도에 시험물질을 첨가하여 각질형성세포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의 양을 측정하여 세포분화 촉진효과를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사용농도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
대조군 저 칼슘 처리군(0.03 mM) 100
고 칼슘 처리군 (1.2 mM) 208
처낭 추출물 (제조예 1) 50 ppm 125
100 ppm 16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처낭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처낭(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낭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각질형성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처낭(Corylus heterophylla Fisch. ex Trautv.)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KR1020120037793A 2012-04-12 2012-04-12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6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793A KR101860113B1 (ko) 2012-04-12 2012-04-12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793A KR101860113B1 (ko) 2012-04-12 2012-04-12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481A KR20130115481A (ko) 2013-10-22
KR101860113B1 true KR101860113B1 (ko) 2018-05-21

Family

ID=4963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793A KR101860113B1 (ko) 2012-04-12 2012-04-12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843B1 (ko) * 2018-12-27 2020-10-07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개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ilongjiang Medicine Journal, 2006, 19(1), pp. 40*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7, 55(4), pp. 1212-1220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999, 7(1), pp. 51-5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481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59797A (zh) 包含西潘莲提取物和火绒草细胞的化妆品组合物及用途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74114B1 (ko) 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16489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8464B1 (ko) 광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39927B1 (ko) 백화고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27113B1 (ko) 해송의 송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60113B1 (ko) 처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78B1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10074194A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2386547B (zh) 菠萝萃取物的皮肤保健用途
KR100563547B1 (ko) 싸리나무 및/또는 까마중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7B1 (ko) 천상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07123A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10134206A1 (en) Combination of at least two active ingredients for cosmetic use
KR101844980B1 (ko) 제주산버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62045A (ko) 파초일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54158B1 (ko) 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97442B1 (ko) 달뿌리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