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036B1 -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036B1
KR101859036B1 KR1020170025750A KR20170025750A KR101859036B1 KR 101859036 B1 KR101859036 B1 KR 101859036B1 KR 1020170025750 A KR1020170025750 A KR 1020170025750A KR 20170025750 A KR20170025750 A KR 20170025750A KR 101859036 B1 KR101859036 B1 KR 10185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plate
pressure gas
high pressure
air knife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기복
김윤자
강법성
백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to KR1020170025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강판(B)의 양측에 위치하는 배플 플레이트(100)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표면에 에어나이프(A)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공(110)을 형성하여 상기 유도공(110)을 통과하는 고압기체가 서로 충돌하면서 에어나이프(A)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도금강판(B)의 측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와 도금강판의 사이에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도금강판의 측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산화 및 과도금을 최소화하여 생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 for plating high-anticorosive}
본 발명은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금강판의 측면 방향으로 외부공기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플 플레이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플장치(10)의 하부 양측에 설치하여 도금강판(B)의 폭(넓이)에 따라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에어나이프(A)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의 충돌로 인한 와류 및 과도금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기체가 배플 플레이트(100)와 충돌하면서 동시에 외부공기를 도금강판(B)의 측면으로 쉽게 유입시켜 도금강판(B)의 표면에 산화층을 유발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즉, 종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100)의 양측면에 에어나이프(A)의 고압기체가 충돌하면서 고압기체가 배플 플레이트(100)의 표면을 따라서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고 동시에 에어나이프(A)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사이 공간에 음압이 발생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도금강판(B)의 표면으로 혼입되어 생산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고압기체가 배플 플레이트(100)와 충돌하면서 미세한 아연입자를 비산시켜 탑 드로스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17405호(2007.12.12) 한국등록특허 제10-0807665호(2008.02.28) 한국등록특허 제10-0931536호(2009.12.14) 한국등록특허 제10-1382660호(2014.04.17) 한국등록특허 제10-1449148호(2014.10.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0052호(2015.01.28) 한국등록특허 제10-1490398호(2015.02.0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고압기체가 배플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서로 충돌하면서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는,
도금강판(B)의 양측에 위치하는 배플 플레이트(100)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표면에 에어나이프(A)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공(110)을 형성하여 상기 유도공(110)을 통과하는 고압기체가 서로 충돌하면서 에어나이프(A)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도금강판(B)의 측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도금강판(B)의 방향을 향하는 내측과 상기 유도공(110)의 사이에 차단부(111)를 형성하여 에어나이프(A)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의 충돌로 인한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도공(110)의 외측으로 보조차단부(112)를 형성하여 에어나이프(A)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의 충돌로 인한 와류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보조차단부(112)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유도공(120)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유도공(120)을 통과하는 고압기체가 서로 충돌하면서 에어나이프(A)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배플 플레이트(100)의 내측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방 및 후방으로 향하도록 호 형상의 확산부(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와 도금강판의 사이에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도금강판의 측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산화 및 과도금을 최소화하여 생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배플 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종래 배플 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종래 배플 플레이트와 고압기체의 충돌제트에 의한 압력과 난류현상을 나타내기 위한 해석사진.
도 4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와 고압기체의 충돌제트에 의한 압력과 난류현상을 나타내기 위한 해석사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와 고압기체의 충돌제트에 의한 압력과 난류현상을 나타내기 위한 해석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금강판(B)의 양측에 위치하는 배플 플레이트(100)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표면에 에어나이프(A)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공(110)을 형성하여 상기 유도공(110)을 통과하는 고압기체가 서로 충돌하면서 에어나이프(A)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도금강판(B)의 측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100)의 양측면에 에어나이프(A)의 고압기체가 충돌하면서 고압기체가 배플 플레이트(100)의 표면을 따라서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고 동시에 에어나이프(A)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음압이 발생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의 표면에 고압기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공(110)을 형성하였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에어나이프(A)의 작동으로 고압기체가 분사되면서 상기 유도공(110)을 통과하여 서로 충돌하면서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도금강판(B)의 측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도공(110)은 고압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형태 및 개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의 상부에는 배플장치(10)의 하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공(101)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도금강판(B)의 방향을 향하는 내측과 상기 유도공(110)의 사이에 고압기체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111)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유도공(110)이 도금강판(B)의 측면에 가까이 위치할 경우 고압기체의 충돌로 인한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상기 차단부(111)가 도금강판(B)의 측면으로 분사하는 고압기체를 차단하여 소음 및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도공(110)의 외측으로 보조차단부(112)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유도공(110)을 통과하는 고압기체의 충돌로 인한 와류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떨림을 방지하며, 상기 보조차단부(112)와 고압기체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와류현상이 상기 유도공(110)을 통과하는 고압기체와 서로 충돌하면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보조차단부(112)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유도공(120)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유도공(120)을 통과하는 고압기체가 서로 충돌하면서 에어나이프(A)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배플 플레이트(100)의 내측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방 및 후방으로 향하도록 호 형상의 확산부(130)를 형성하여 고압기체가 도금욕의 탕면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확산부(130)를 따라서 배플 플레이트(100)의 하부 전방 및 후방으로 유도하여 탕면의 비산 및 탑 드로스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배플장치
100: 배플 플레이트 110: 유도공
111: 차단부 112: 보조차단부
120: 보조유도공 130: 확산부
A: 에어나이프 B: 도금강판

Claims (4)

  1. 도금강판(B)의 양측에 위치하는 배플 플레이트(100)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표면에 에어나이프(A)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공(110)을 형성하여 상기 유도공(110)을 통과하는 고압기체가 서로 충돌하면서 에어나이프(A)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도금강판(B)의 측면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는 도금강판(B)의 방향을 향하는 내측과 상기 유도공(110)의 사이에 차단부(111)를 형성하여 에어나이프(A)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의 충돌로 인한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공(110)의 외측으로 보조차단부(112)를 형성하여 에어나이프(A)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기체의 충돌로 인한 와류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보조차단부(112)의 외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유도공(120)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유도공(120)을 통과하는 고압기체가 서로 충돌하면서 에어나이프(A)와 배플 플레이트(100)의 사이에 양압을 발생시켜 외부공기가 배플 플레이트(100)의 내측 방향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 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전방 및 후방으로 향하도록 호 형상의 확산부(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KR1020170025750A 2017-02-27 2017-02-27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KR101859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750A KR101859036B1 (ko) 2017-02-27 2017-02-27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750A KR101859036B1 (ko) 2017-02-27 2017-02-27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036B1 true KR101859036B1 (ko) 2018-05-21

Family

ID=6245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750A KR101859036B1 (ko) 2017-02-27 2017-02-27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0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184B1 (ko) 2010-05-18 2011-01-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비접촉식 배플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184B1 (ko) 2010-05-18 2011-01-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비접촉식 배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12005A (ja) 水洗大便器
KR101859036B1 (ko) 고내식 도금용 배플 플레이트
JP2016124452A (ja) 車体下部構造
CN106853940B (zh) 电梯装置
JP6308865B2 (ja) 複合溶接装置
JP5224006B2 (ja) 溶融金属メッキ槽の整流部材及び連続溶融金属メッキ装置
JP2016215714A (ja) カウルルーバ
JP2001123435A (ja) 水路構造
CN107337055B (zh) 电梯装置
WO2019188503A1 (ja) 溶融亜鉛浴設備
JPS5922071B2 (ja) ポンプ吸込水槽の渦発生防止装置
JP2007283810A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CN209119736U (zh) 线束过孔护套
KR20130061766A (ko) 용융금속 도금조의 정류 부재 및 연속 용융금속 도금 장치
KR102621165B1 (ko) 벨마우스
KR20190073568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8052405A (ja) 車両前部構造
JP2015217424A (ja) 複合溶接装置
US20230132492A1 (en) Additive manufacturing device and blowing nozzle
US8882177B2 (en) Aerodynamic noise reduction device
JP2016068808A (ja) 車両のデフレクタ
JPS60195211A (ja) 空中放流衝撃型減勢槽
KR20150010052A (ko) 에어 나이프용 배플 장치
JPH07279886A (ja) ポンプの吸込水槽の渦発生防止装置
JP5556286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ガスワイピ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