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848B1 - 도가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도가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848B1
KR101858848B1 KR1020160168930A KR20160168930A KR101858848B1 KR 101858848 B1 KR101858848 B1 KR 101858848B1 KR 1020160168930 A KR1020160168930 A KR 1020160168930A KR 20160168930 A KR20160168930 A KR 20160168930A KR 101858848 B1 KR101858848 B1 KR 10185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actuator
transfer device
crucibles
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현경
신선휴
최엄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6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2014/0825Crucible or pot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46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one or more movable arms, e.g.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가니 이송장치는 복수의 도가니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가 배치되고, 자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파지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가니 이송장치는 가스분석기에 다수의 도가니를 순차적으로 반입 및 반출시킴으로써, 시료의 가스분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료의 분석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가니 이송장치{Crucible Moving Device}
본 발명은 도가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가니를 분석장치로 반입 및 반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도가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가스분석기용 도가니 이송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도가니 이송장치는 하나의 클램핑부를 통해 도가니를 가스분석기에 반입하고 반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도가니 이송장치는 도가니를 하나씩 이송시키는 방식이므로, 가스분석기의 도가니를 반출하고 새 도가니를 가스분석기에 반입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고 이로 인해 시료의 분석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도가니 이송장치는 하나의 클램핑부가 다수의 도가니를 일일이 이송시키는 방식이므로, 클램핑부의 과부하로 인한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KR 2005-0015908 A KR 2006-007695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가니를 통한 가스분석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도가니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는 복수의 도가니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가 배치되고, 자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파지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는 복수의 도가니를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도가니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에서 상기 도가니 공급부는 복수의 도가니 수용공간이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 배치되고 자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판 형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는 상기 머리부를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와 감속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양 방향으로 피스톤 로드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에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양방향 실린더의 일 단과 연결되는 제1파지 부재; 및 상기 양방향 실린더의 타 단과 연결되는 제2파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파지부의 제1파지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파지부의 제2파지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에서 상기 파지부는 진공흡착을 통해 도가니를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가스분석기에 다수의 도가니를 순차적으로 반입 및 반출시킴으로써, 시료의 가스분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료의 분석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지부와 액추에이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부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도가니 이송장치를 이용한 도가니 이송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도가니 이송장치를 이용한 도가니 이송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시료가 담긴 도가니를 가스분석장치(200)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파지부(110), 머리부(120), 액추에이터(130)를 포함한다. 아울러,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도가니를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도가니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아울러,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분석이 완료된 도가니를 별도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도가니 폐기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전술된 도가니 이송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설명한다.
파지부(110)는 복수의 도가니를 동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파지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파지 부재(112, 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파지부(110)를 구성하는 파지 부재의 수가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파지부(110)는 3개 이상의 파지 부재(112, 1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2개 이상의 도가니(정확하게는 도가니에 담긴 시료)를 2개 이상의 분석장치로 동시 또는 시차를 두고 이송시킬 수 있다.
파지 부재(112, 114)는 중량의 도가니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파지 부재(112, 114)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집게 형태의 기구 구조물일 수 있다. 그러나 파지 부재(112, 114)의 형태가 기구 구조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파지 부재(112, 114)는 진공압을 통해 도가니를 흡착하거나 탈착시킬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머리부(120)는 파지부(110) 및 액추에이터(1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머리부(120)의 상부에는 파지부(110) 및 액추에이터(13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머리부(120)의 내부에는 파지부(110) 및 액추에이터(13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120)는 자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머리부(120)는 가스분석장치(200)에 배치되고, 가스분석장치(200)의 몸체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자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머리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22)와 감속기어(124)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22)는 머리부(120)의 자전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감속기어(124)는 머리부(122)의 자전운동 시 도가니에 수용된 시료가 넘치지 않도록 자전속도를 조절하는 구실을 한다.
액추에이터(130)는 파지부(11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30)는 파지 부재(112, 11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액추에이터(130)는 제1파지 부재(112)를 도가니 공급부(140) 측으로부터 가스분석장치(200)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파지 부재(114)를 가스분석장치(200) 측으로부터 도가니 공급부(140)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터(130)는 양방향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액추에이터(130)의 형태가 양방향 실린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가니 공급부(140)는 다수의 도가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가니 공급부(140)는 다수의 도가니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44)이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 배치된 회전판(142) 형태일 수 있다. 도가니 공급부(140)는 다수의 도가니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가니 공급부(140)의 회전판(142)은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도가니 공급장치(100)는 다수의 도가니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가스분석장치(200)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파지 부재를 통해 도가니의 반출 및 반입을 짧은 시간 내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분석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를 이용한 도가니 이송순서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분석대상 도가니의 적출, 분석완료 도가니의 적출, 분석완료 도가니의 반출, 분석대상 도가니의 반입 등의 단계로 도가니를 이송시킬 수 있다.
1) 분석대상 도가니의 적출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도가니 공급부(140)에 적재된 분석대상 도가니(300)를 파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110)의 제1파지 부재(112)는 액추에이터(130)에 의해 회전판(142)의 도가니(3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회전판(14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 제2파지 부재(114)는 분석 중인 도가니(3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가스분석장치(200)는 도가니(302)에 담긴 시료의 분석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2) 분석완료 도가니의 적출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제1파지 부재(112)를 통한 분석대상 도가니(300)의 파지동작이 완료되면, 분석완료된 도가니(302)를 파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110)의 제2파지 부재(114)는 액추에이터(130)에 의해 가스분석장치(200)의 도가니(302)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가스분석장치(20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 제1파지 부재(112)는 분석대상 도가니(300)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판(1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3) 분석완료 도가니의 반출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분석대상 도가니(300) 및 분석완료 도가니(302)의 파지가 완료되면, 이들 도가니(300, 302)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120)는 180도 또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분석대상 도가니(300)를 가스분석장치(200) 측으로 위치시키고, 분석완료 도가니(302)를 도가니 공급부(140) 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추가로,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도가니(300, 302)들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 분석완료 도가니(302)를 도가니 공급부(140)로 옮겨놓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분석완료 도가니(302)가 회전판(140)의 수용공간(144)에 완전히 위치되도록, 제2파지 부재(114)를 도가니 공급부(14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4) 분석대상 도가니의 반입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분석대상 도가니(300) 및 분석완료 도가니(302)의 위치가 변경되면, 분석대상 도가니(300)가 가스분석장치(200)의 검사대에 놓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분석대상 도가니(300)를 파지하고 있는 제1파지 부재(112)를 가스분석장치(20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100)는 위와 같이 복수의 도가니(300, 302)를 순차적으로 반입 및 반출시키므로, 시료의 가스분석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액추에이터(130)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된다.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제1파지 부재(112)와 제2파지 부재(114)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액추에이터(130)는 제1액추에이터(132)와 제2액추에이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132)는 제1파지 부재(112)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액추에이터(132)는 제1파지 부재(112)를 도가니 공급부(140)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도가니 공급부(14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액추에이터(134)는 제2파지 부재(114)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액추에이터(134)는 제2파지 부재(114)를 가스분석장치(200)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가스분석장치(20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복수의 파지 부재(112, 114)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가니의 반출 및 반입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를 이용한 도가니 이송순서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도가니의 반출, 도가니의 위치변경, 도가니의 반입 등의 단계로 도가니를 이송시킬 수 있다.
1) 도가니의 반출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분석대상 도가니(300)와 분석완료 도가니(302)를 동시에 반출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제1액추에이터(132)를 이용하여 제1파지 부재(112)를 분석대상 도가니(300)가 배치된 도가니 공급부(140)로 이동시키고, 제2액추에이터(134)를 이용하여 제2파지 부재(114)를 분석완료 도가니(302)가 배치된 가스분석장치(2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2) 도가니의 위치 변경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분석대상 도가니(300)와 분석완료 도가니(302)의 파지가 완료되면, 머리부(120)의 자전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분석대상 도가니(300)와 분석완료 도가니(302)를 머리부(120)와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분석대상 도가니(300)를 파지하고 있는 제1파지 부재(112)와 분석완료 도가니(302)를 파지하고 있는 제2파지 부재(114)를 머리부(12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동작은 파지부(110)와 인근 장치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110)의 회전 반경을 작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이 완료되면,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도가니(300, 302)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가니 이송장치(102)의 머리부(120)는 180도 또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분석대상 도가니(300)를 가스분석장치(200) 측으로 위치시키고, 분석완료 도가니(302)를 도가니 공급부(140) 측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3) 도가니의 반입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분석대상 도가니(300) 및 분석완료 도가니(302)의 위치가 변경되면, 각각의 도가니(300, 302)가 필요한 장소에 위치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분석대상 도가니(300)를 파지하고 있는 제1파지 부재(112)를 가스분석장치(200) 측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분석완료 도가니(302)를 파지하고 있는 제2파지 부재(114)를 도가니 공급부(14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단계로 작동하는 도가니 이송장치(102)는 복수의 도가니(300, 302)를 동시에 반입 및 반출시키므로, 시료의 가스분석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0 도가니 이송장치
110 파지부
112 제1파지 부재
114 제2파지 부재
120 머리부
122 모터
124 감속기어
130 액추에이터
132 제1액추에이터
134 제2액추에이터
136 피스톤 로드
140 도가니 공급부
142 회전판
144 수용공간
146 축
200

Claims (8)

  1. 복수의 도가니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가 배치되고, 자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파지부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파지부의 제1파지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파지부의 제2파지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파지 부재 및 상기 제2파지 부재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도가니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도가니를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도가니 공급부를 포함하는 도가니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공급부는 복수의 도가니 수용공간이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 배치되고 자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회전판 형태인 도가니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를 자전시키도록 구성되는 모터와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도가니 이송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진공흡착을 통해 도가니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도가니 이송장치.
KR1020160168930A 2016-12-12 2016-12-12 도가니 이송장치 KR10185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30A KR101858848B1 (ko) 2016-12-12 2016-12-12 도가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30A KR101858848B1 (ko) 2016-12-12 2016-12-12 도가니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848B1 true KR101858848B1 (ko) 2018-05-17

Family

ID=6248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930A KR101858848B1 (ko) 2016-12-12 2016-12-12 도가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2465A (ja) * 2007-04-12 2008-12-04 Leco Corp 坩堝シャトル組立体及び動作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2465A (ja) * 2007-04-12 2008-12-04 Leco Corp 坩堝シャトル組立体及び動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6171B2 (en) Gripper
JP5232853B2 (ja) 自動検査室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制御可能なランダム・アクセス・サンプル操作装置
JP6013124B2 (ja) 診断カセットを把持及び保持するための装置
US9393639B2 (en) Spot welding cap changer
US6543555B2 (en) Automatic loader for drill rods
US20140375072A1 (en) Gripper device having holding points
JP2008073824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ハンド装置
JP2009202332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ハンド装置
US10207313B2 (en) Gripping device for mechanical fasteners
EP2940723B1 (en) End-effector device
JP2011177862A (ja) 把持装置
JP2008073823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ハンド装置
US10494243B2 (en) Activating device for screw caps
JP6137641B2 (ja) ワークピッキング装置
KR101858848B1 (ko) 도가니 이송장치
JP2009125868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ハンド装置
WO2015083310A1 (ja) 加工ユニットおよび加工装置
JP2005153123A (ja) グリッパ装置とそのグリッパ装置を用いたワーク搬送装置
JP2008080471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ハンド装置の制御方法
JP2014051271A (ja) 修理工場の機械上などにある車両のホイールリムをロックするための器具
US8220621B2 (en) IC device conveying apparatus
JP5021780B2 (ja) Icデバイスの搬送装置
JP3762396B2 (ja) 試験サンプル保持移送器
CN114206545B (zh) 用于操纵扭锁的夹持器
TW201434578A (zh) 物料搬移裝置及其應用之作業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