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393B1 - 불량 전지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불량 전지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393B1
KR101858393B1 KR1020170035086A KR20170035086A KR101858393B1 KR 101858393 B1 KR101858393 B1 KR 101858393B1 KR 1020170035086 A KR1020170035086 A KR 1020170035086A KR 20170035086 A KR20170035086 A KR 20170035086A KR 101858393 B1 KR101858393 B1 KR 101858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tive
cam
good
clamp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영
김성윤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민
Priority to KR102017003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1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for several cells simultaneously or successive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83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 전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1, 2차 건전지 제조 설비 중 로타리 설비에서 제품 생산 작업중 공정 불량품을 배출 할 때 두 개의 맞물려 회전하는 디스크에 설치된 원판 캠과 에어 실린더의 통제로 동작하는 클램핑에 의해 설비 정지, 감속 및 충격없이 배출 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불량 전지 배출장치{Defective Battery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원통형 전지(1,2차 전지 포함)제조 설비중 로타리 설비에서 연속 작업중 각종 검사 예를 들면 화상검사,V-A검사,규격검사 등으로 인하여 부적합품인 불량 전지를 배출하는 불량 전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량품이 발생하는 경우 전지 제조라인을 정지 시키지 않고서도 불량품을 제조라인으로부터 안전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불량 건전지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의 로타리 설비 운전중 건전지 불량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제조 라인을 정지 하거나 혹은 생산속도를 낮추거나 혹은 정상속도에서는 에어 실린더나 직선운동이 가능한 솔레노이드 등으로 빠른속도로 배출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이러한 경우 에어 실린더나 솔레노이드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건전지 제품의 외관이 쉽게 찌그러지거나 혹은 제품 내부의 극판, 격리막 봉구 물질 등이 파손 될 우려가 있다.
한편,불량전지를 배출하는 장치로는 하기와 같은 특허문헌들이 있다. 특허문헌1(특허 공개번호 제1998-069587호)에 공표된 '불량전지 배출장치'에 의하면, 리튬전지(Li/MnO2 Battery)를 자동조립생산하는 과정에서 부품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것과 같은 불량전지를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불량전지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라고 하여, 검사장치에서 불량전지로 판정을 받은 불량전지가 인덱스테이블에 의해 이송되어 오면 실린더에 의해 배출가이드판이 하강되어 불량전지의 진행측 외주면에 위치케되고, 이 상태에서 인덱스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불량전지가 배출가이드판의 만곡가이드면을 따라 배출되게 하여, 간단한 구조를 이루게 하면서도 배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되고, 검사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되며, 배출때에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아 검사장치의 오판정을 배제시킬 수 있게되고 배출장치의 오작동을 근본적으로 배제시키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2(실용 공개번호 제1998-023223호)의 '불량전지자동배출장치'에 의하면 본 고안은 리튬전지(Li/MnO2 Battery)를 자동조립생산하는 과정에서 부품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것과 같은 불량전지를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불량 전지자동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라고 하면서, 인덱스테이블이 정지된 소정의 위치에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지지평판에는 인덱스테이블과 인접하여 낙하유도공을 통공하여서 된 것이므로, 불량전지는 분사노즐에서 순간적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낙하되어지므로 극히 짧은 시간에 배출시킬 수 있고, 진동없이 배출시키므로 근접하는 검사장치에 악영향을 주지않으므로 오 판정이 발생될 염려가 없게 되며, 따라서 검사능률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공정을 보다 유기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어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품 생산 중 발생 하는 불량품을 생산속도는 그대로 유지 하면서 제품에 충격을 주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허 공개번호 제1998-069587호 실용 공개번호 제1998-02322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원통형 전지(1,2차 전지 포함)제조 설비중 로타리 설비에서 연속 작업중 검사에서 부적합품인 불량품 전지의 배출에 있어 생산속도를 그대로 유지 하면서도 집게로 안전하게 집어서 배출하여 배출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또한 최소화하여 제품자체의 손상 방지와 아울러 제조라인의 손상 역시 방지 할 수 있게 한 불량 전지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불량 전지 배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불량 전지 배출장치는, 기체(機體)에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전지 공정품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정품 공급 디스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정품 공급 디스크들의 어느 하나에는 전지 공정품의 불량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설치된 전지 공정품 공급부; 상기 전지 공정품 공급부의 어느 하나의 공정품 공급 디스크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정품 공급 디스크로부터 공급되는 전지 공정품 중 양품의 공정품만을 잡아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수직으로 입설된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캠선도를 갖는 제1캠과 이 제1캠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축부를 중심으로하여 회전되게 설치된 제1회전축부에 설치되며 주연부에는 양품의 공정품을 수용 지지하는 반원형 지지홈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원판상의 양품 이송 디스크와 상기 반원형 지지홈들과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양품 이송 디스크의 주연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어느 일단부는 상기 제1캠의 캠선도와 구름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축부를 중심으로하여 회전시 상기 제1캠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캠선도에 따라서 양품을 잡는 집게 작용을 하도록된, 상기 양품 이송 디스크에 고정 지지된 한쌍의 고정축들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오무려졌다가 펼쳐지는 집게 작용을 하는 집게편들과 이 집게편들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인장 스프링과 그리고 어느하나의 집게편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캠에 구름 접촉되게 설치된 구름롤러로 이루어진 제1클램프로 구성된 양품 이송부; 상기 양품 이송부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양품 이송부의 상기 제1클램프들에 의해 잡혀서 이송되지 못하고 통과하는 불량품만을 잡아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1축부와는 높이를 달리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제2축부와 상기 제2축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캠선도를 갖는 제2캠과 이 제2캠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축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회전축부에 설치되며 주연부에는 불량 공정품을 수용 지지하는 반원형 지지홈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원판상의 불량품 배출 디스크와 상기 반원형 지지홈들과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불량품 배출 디스크의 주연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어느 일단부는 상기 제2캠의 캠선도와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2회전축부와 같이 회전시 상기 제2캠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캠선도에 따라서 집게 작용을 하는, 상기 불량품 배출 디스크에 고정 지지된 한쌍의 고정축들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오무려졌다가 펼쳐지는 집게 작용을 하는 집게편들과 이 집게편들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인장 스프링과 그리고 어느하나의 집게편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캠에 구름 접촉되게 설치된 구름 롤러로 이루어진 제2클램프로 구성된 불량품 배출부; 상기 양품 이송부와 상기 불량품 배출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클램프들과 제2 클램프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검출부에 의한 양품 혹은 불량품 인지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양품 이송부의 제1클램프들과 상기 불량품 배출부의 제2클램프들중 어느 하나의 클램프들과 결합되는 상태로 신장되어 해당 클램프의 작동을 구속하거나 혹은 해제하는 상태로 수축되어 상기 제1 혹은 제2클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기체의 상부로부터 현수(懸垂) 상태를 이루어 상기 양품 이송부와 상기 불량품 배출부와 각각 대향 설치된 에어로타리 죠인트부와 상기 양품 이송부의 제1클램프들 및 상기 불량품 배출부의 제2클램프들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에어로타리 죠인트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해당 클램프들의 작동을 구속 혹은 불구속 상태를 이루게 상기 에어로타리 죠인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에 의해 신장 혹은 수축 작동되게 한 에어실린더들로 구성된 제어 실린더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양품 이송부의 어느 일측에는 양품 이송과정에서 충돌로 발생되는 충격음을 감지하는 양품 충격 감지용 센서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불량품 배출부의 어느 일측에는 불량품 이송과정에서 충돌로 발생되는 충격음을 감지하는 불량품 충격 감지용 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충격음 감지시 메인 구동수단을 정지시키는 신호로 제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형 전지(1,2차 전지 포함)제조 설비중 로타리 설비에서 연속 작업중 검사에서 부적합품인 불량품 전지의 배출에 있어 생산속도를 그대로 유지 하면서도 집게로 안전하게 집어서 배출하여 배출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없게하는 효과 부여와 아울러 전지 제조라인의 파손 우려도 방지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건전지 배출장치를 위에서 보아 상부의 제어 실린더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1을 화살표 a 방향에서 보아 상부에 제어 실린더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도면 부호 162로 지시된 제1클램프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5A,5B,5C는 도4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도면 부호 182로 지시된 제2클램프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7A,7B,7C는 도6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A, 8B는 도 3에서 도면부호 152로 표시된 에어 실린더가 하방의 제1클램프를 구속 및 해제하는 작동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들이고,
도 9A, 도9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지 공정품에서 전극 탭이 정상으로 접혀진 양품(良品)의 상태를 각각 예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고,
도 10A, 도10B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지 공정품에서 전극 탭이 불량으로 접혀진 불량품 상태를 각각 예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전지 배출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 할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 건전지 배출장치를 위에서 보아 상부의 제어 실린더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1을 화살표a 방향에서 보아 상부에 제어 실린더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량 전지 배출장치(100)는 도9A, 도9B의 표시와 같이 젤리 롤(Jelly Roll)(12)에서 도면부호 14와 같이 접혀진 전극 탭으로 이루어진 양품(良品)의 전지 공정품(10)(이하,'양품'이라 한다.)으로부터, 도 10A, 도 10B의 표시와 같이 젤리 롤(12a)에서 도면부호 14a와 같이 접혀진 전극 탭으로 이루어진 불량의 전지 공정품(10a)(이하, '불량품'이라한다)을 검출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이 불량 전지 배출장치(100)구성을 대별(大別)하면, 전지 공정품 공급부(120), 전지 공정품의 불량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140), 양품 이송부(160), 불량품 배출부(180), 및 제어 실린더부(19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전지 공정품 공급부(120)는 기체(110)에서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위치되어 축(124a,124b)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제1,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들(122a,122b)로 이루어져, 도 9A 및 도 10A 표시와 같은 양품 (10)및 불량품(10a)들이 섞인 모든 전지 공정품(20)을 안내 가이드들(126a,126b)을 따라서 연속하여 상기 양품 이송부(160)와 그리고 불량품 배출부(180)로 공급하여, 도 9A의 표시와 같은 양품(10)은 상기 양품 이송부(160)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게 하고, 도 10A 표시와 같은 불량품(10a)은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에 의하여 배출한다.
상기 전지 공정품 공급부(120)로부터 상기 양품 이송부(160), 및 불량품 배출부(180)로 공급되는 전지 공정품들(10)에 대한 불량 유무 검출은 검출부(140)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 검출부(140)에 의한 양품(10) 혹은 불량품(10a)의 검출 결과 여부에 따라 상기 양품 이송부(160) 혹은 불량품 배출부(180)가 작동하여 당해 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거나 혹은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상기 검출부(140)는 복수개의 제1,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들(122a,122b)로 이루어진 전지 공정품 공급부(12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제1,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들(122a,122b)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지 공정품(20)이 도 9A의 표시와 같은 양품(良品)(10)인지 혹은 도 10A의 표시와 같은 불량품(10a)인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부(140)는 도1,및 도2의 표시와 같이, 기체(110)에서 제1공정품 공급 디스크(122a)의 일측으로부터 입설된 지주(14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공정품 공급 디스크(122a)에 의해서 상기 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122b)로 이송되는 건전지 공정품(20)의 전극용 탭쪽으로 광신호가 작용되게 하는 엔코더 (144)(Encoder)이다.
이 엔코더(144)는 그 이전 공정에서 작업 완료되어 상기 제1공정품 공급 디스크(122a)쪽으로 공급되는 건전지 공정품(20)의 불량 유무를 검출하는데, 전지 공정품(20)의 불량 유무 요인은 이전 공정에서 실시된 젤리 롤(12,12a)의 전극 탭의 절곡 위치이다. 예컨데 탭의 위치가 도 9A의 탭(14)과 같은 위치로 절곡되어 있으면 정상인 양품(良品)(10)이고, 반면에 도 10A의 표시와 같은 탭(14a)위치로 절곡되어 있으며 불량품(10a)이다.
따라서 엔코더(Encoder)(144)로 발생되는 광신호가 상기 제1공정품 공급 디스크(122a)에 의해서 상기 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122b)로 이송되는 전지 공정품(20)의 탭쪽으로 작용되는 과정에서, 탭의 위치가 도 9A의 양품(10)의 탭(14)과 같이 절곡되어 있으면 양품의 검출신호가, 이와는 달리 도 10A의 표시와 같은 불량품(10a)의 탭(14a)과 같이 절곡되어 있으면 불량품 검출신호를 각각 출력하여, 상기 양품 이송부(160), 및 불량품 배출부(180)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로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엔코더(Encoder)(144)는 전지 공정품(20)의 탭의 절곡위치에 대한 변위를 검출하여 양품(良品)(10)인지 혹은 불량품(10a)인지를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검출부(140)의 작용 즉, 엔코더(Encoder)(144)에 의한 전극 탭(14,14a)의 변위를 검출하여 도 9A의 양품(良品)(10)인지 혹은 도 10A의 불량품(10a)인지를 검출하는 작용은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검출부(140)에 의한 전지 공정품의 불량 유무 검출 결과에 따라 구동되는 양품 이송부(160), 및 불량품 배출부(180)중, 먼저 양품 이송부(160)를 보면,
다수개의 제1클램프들(162)을 구비하여 상기 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122b)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부(140)로부터 양품 검출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122b)로부터 공급되는 전지 공정품(20)중 양품(10)만을 상기 제1클램프(162)로 잡은 후 가이드(164)와 양품 이송컨베이어(168)를 통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 역시 상기 제1클램프(162)에 상응하는 다수개의 제2클램프(182)를 구비하여 상기 양품 이송부(160)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며, 또한 상기 검출부(140)로부터 불량품 검출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2클램프(182)는 상기 양품 이송부(16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불량품만을 상기 제2클램프(182)로 잡은후 가이드(184)와 불량품 배출 컨베이어(18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양품 이송부(160), 및 불량품 배출부(180)에 대한 상세구성 및 작용은 도 3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확대 단면도이고,도 4는 도 1에서 도면 부호 162로 지시된 제1클램프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5A,5B,5C는 도4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도면 부호 182로 지시된 제2클램프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7A,7B,7C는 도6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8A, 8B는 도 3에서 도면부호 152로 표시된 에어 실린더가 하방의 제1클램프를 구속 및 해제하는 작동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의 표시와 같이, 양품 이송부(160)는, 수직으로 입설된 제1축부(16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축부(161)의 상단에는 캠선도(163-1)를 갖는 제1캠(163)이 고정 설치되고(도1참조), 이 제1캠(163)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제1축부(161)를 중심으로 하여 제1회전축부(165)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이 제1회전축부(165)의 상단에는 원판상의 양품 이송 디스크(166)가 제1회전축부(165)와 같이 회전되게 설치되며, 또한 양품 이송 디스크(166)의 주연부에는 양품을 수용 지지하는 반원형 지지홈들(166-1)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이 반원형 지지홈들(166-1)과의 대응 위치에는 상기 제1클램프(162)를 상기 양품 이송 디스크(166)의 주연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어느 일단부는 상기 제1캠(163)의 캠선도(163-1)(도1참조)와 구름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1축부(161)를 중심으로하여 회전시 상기 제1캠(163)의 캠선도(163-1)(도1참조)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캠선도(163-1)에 따라서 양품(10)(도9A 참조)을 잡는 집게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의 구성 역시, 도3의 표시와 같이, 상기 양품 이송부(160)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데,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의 제2축부(181)는 상기 제1축부(161)와는 높이를 달리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양품 이송부(160)와 불량품 배출부(180)의 상호간에 간섭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축부(181)의 상단에 캠선도(183-1)를 갖는 제2캠(183)이 고정 설치되고(도1참조), 이 제2캠(183)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축부(181)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회전축부(185)에는 주연부에 불량품을 수용 지지하는 반원형 지지홈들(186-1)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불량품 배출 디스크(186)가 제2회전축부(185)와 같이 회전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반원형 지지홈들(186-1)과의 대응 위치에는 상기 불량품 배출 디스크(186)의 주연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제2클램프(182)를 설치하되 이 제2클램프(182)의 어느 일단부는 상기 제2캠(183)의 캠선도(183-1)와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어(도1참조), 상기 제2회전축부(185)와 같이 회전시 상기 제2캠(183)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캠선도(183-1)에 따라서 집게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도 4내지 도7A,7B참조), 상기 제1,제2클램프(162,182)는 상기 양품 이송 디스크(166)와 불량품 배출 디스크(186)각각에 고정 지지되는(도3참조)한쌍의 고정축들(162-1,182-1)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이 고정축들(162-1,182-1)에는 집게편들(162-2, 182-2)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벌어졌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집게 작용을 하며, 또한 집게편들(162-2,182-2)에는 집게편들(162-2,182-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인장 스프링(162-3,182-3)이 상, 하부로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어느하나의 집게편(162-2,182-2)의 일단에는 상기 제1,제2캠들(163,183)에 구름 접촉되게 설치된 구름 롤러들(162-4,18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 실린더부(190)는, 도2 및 도3의 표시와 같이, 상기 양품 이송부(160)와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의 상부에서 상기 제1클램프들(162)과 제2 클램프들(182)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검출부(140)에 의한 양품 혹은 불량품 인지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양품 이송부(160)의 제1클램프들(162)중 어느 하나의 해당 클램프 혹은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의 제2클램프들(182)중 어느 하나의 해당 클램프들과 결합되는 상태로 신장되어 해당 클램프의 작동을 억제하거나 혹은 해당 클램프들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로 수축되어 해당 클램프의 작동을 실시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구성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 실린더부(190)는 상기 양품 이송부(160) 및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의 상부에 각각 대향 설치하고 있는데, 양측 모두 동일하여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즉, 상기 제어 실린더부(190)는, 상기 기체(110)의 상부로부터 현수(懸垂)되는 상태를 이루어 상기 양품 이송부(160)와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와 각각 대향 설치된 에어로타리 죠인트부(192)를 구비하고 있고, 이 에어로타리 죠인트부(192)에는 상기 양품 이송부(160)의 제1클램프들(162) 및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의 제2클램프들(182)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에어로타리 죠인트부(192)의 둘레를 따라 수직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해당 클램프들(162,182)의 작동을 구속 혹은 불구속 상태를 이루게 상기 에어로타리 죠인트부(192)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에 의해 신장 혹은 수축 작동되게 한 에어실린더들(194)이 구비되어 있다.
도8A의 표시와 같이, 상기 에어실린더(194)가 신장되어 상기 제1클램프(162)혹은 상기 제2클램프(182)의 집게편(162-2)혹은 (182-2)의 사이로 선단부가 들어가면 상기 제1클램프(162)혹은 상기 제2클램프(182)의 작동이 억제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도8B의 표시와 같이, 상기 에어실린더(194)가 수축되면서 그 선단부가 상기 제1클램프(162)혹은 상기 제2클램프(182)의 집게편(162-2)혹은 (182-2)로부터 이탈되어지게 되면 상기 제1클램프(162)혹은 상기 제2클램프(182)는 자유롭게 집게 작동을 할수 있게 된다.
도면1에서 도면부호 50은, 양품(10)이 양품 이송디스크(166)에 의해 가이드(164)를 따라 양품 배출 컨베이어(188)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양품(10)상호간의 충돌 혹은 배출컨베이어(188)에 부딪히게 되는 충격을 감지하는 양품 충격 감지용 센서로, 상기 양품 충격 감지용 센서(5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메인 구동부를 중단시키는 신호로 제공된다. 그 이유는 충돌로 인하여 이송되는 양품(10)의 정렬이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경우, 계속적인 기계장치의 트러블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이다.
도면부호 70 역시 불량품 충격 감지용 센서로, 불량품 배출 컨베이어(188)에서 불량품(10a)의 배출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양품 충격 감지용 센서(50)에서와 같은 동일한 안전장치의 작용을 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양품 이송부(160) 및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의 작용을 다시 상기 도면들(도 1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표시와 같이, 전지 공정품 공급부(120)의 구동 개시는 전지 공정품 공급부(120)로부터 양품 이송부(160) 및 불량품 배출부(180)쪽으로 불량품을 포함한 전지 공정품(20)을 공급하며, 이러한 전지 공정품 공급부(120)의 전지 공정품(20)과정에서 검출부(140)에 의한 양품인지 혹은 불량품인지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양품 이송부(160) 혹은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의 상기 제1클램프들(162) 혹은 제2클램프(182)의 작동으로 상기 양품(10)(도9참조)을 다음공정으로 이송하거나 혹은 불량품(10a)(도10참조)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
평상시에는, 도3의 표시와 같이, 상기 양품 이송부(160) 및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에 각각 구비된 상기 제1,제2클램프들(162,182)은, 상기 양품 이송부(160) 및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에 각각 구비된 제어실린더부(190)의 에어로타리 죠인트부(192)로부터 각 에어실린더(194)측으로부터의 에어 공급에 의한 신장 작동이 실행되게 하여 도 8A의 표시와 같이 집게편들(162-2,182-2)의 사이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제1,제2클램프들(162,182)의 작동을 제어하고 있는데, 이때 에어실린더(194)는 도1의 표시와 같이, 제1,제2클램프들(162,182)이 양품 이송 디스크(166)와 불량품 배출 디스크(186)에 의해 회전되면서 캠(163-1,183-1)을 따라 돌때 캠선도(163-1,183-1)의 모양에 의해 집게편들(162-2,182-2)이 도1의 P1위치 및 P2 위치에서 벌어질때 마다 집게편들(162-2,182-2)의 사이로 들어가서 제1,제2클램프들(162,182)이 도 8A의 표시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상기 제1,제2클램프들(162,182)이 캠(163,183)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구름롤러들(162-4,182-4)만이 회전으로 상태를 이루어 제1,제2클램프들(162,182)은 벌어진 상태로 그대로 있게 하면서 제1,제2클램프들(162,182)의 집게 작동이 실행되지 않게 제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지 공정품 공급부(120)로부터 검출부(140)에 의하여 양품(10)임이 검출된 경우, 검출부(140)에의하여 감지된 감지 신호는, 양품 이송부(160)에 구비된 제어실린더부(190)의 에어로타리 죠인트부(192)로부터 각 에어실린더(194)측으로부터의 에어 공급 중단에 의한 에어실린더(194)의 수축 작동 실행으로 도 8B의 표시와 같이 집게편(162-2)의 사이로부터 에어실린더(194)가 빠지게 하여 제1클램프들(162)가 자유롭게 작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한다.
즉, 제1클램프들(162)로부터 에어실린더(194)의 수축은 제1클램프들(162)로 하여금 제1캠(163)의 캠선도(163-1)를 따라 접촉되는 작동에 의해, 상기 제1클램프들(162)의 집게편들(162-2)은 캠선도(163-1)의 모양에 따라 도1의 표시와 같이, 고정축(162-1)을 지지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회동되면서 확개되었다가 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122b)와 접하는 지점에서는 캠선도(163-1)의 모양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좁혀지는 상태를 이루면서 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122b)와 맞물리게 회전시 그 사이로 공급되는 양품(10)을 안전하게 잡은후 가이드(164)를 따라 회전하면서 양품 이송컨베이어(168)측에서 캠선도(163-1)의 모양에 의한 집게편들(162-2)의 개방으로 양품(10)을 자연적으로 놓으면서 양품(10)이 양품 이송컨베이어(168)를 타고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게 한다. 이러한 작용은 검출부(140)로부터 양품 검출 신호가 계속적으로 출력되는한 계속하여 실행된다.
이와는 반대로 검출부(140)로부터 불량 공정품(10a)(도10참조)임이 검출되는 경우, 이때의 전기 신호는 양품 이송부(160) 및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에 각각 구비된 제어실린더부(190)를 제어하는 신호로 작용하여, 양품 이송부(160)의 제어실린더부(190)는 에어로타리 죠인트부(192)에 의해 각 에어실린더(194)가 다시 도 8A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하여 제1클램프(162)의 작동을 구속되게 제어하는 반면, 상기 불량품 배출부(180)의 제어실린더부(190)는 에어로타리 죠인트부(192)에 의해 각 에어실린더(194)가 도 8B의 표시와 같이 제2클램프들(182)의 집게편들(162-2)의 사이로부터 빠지게 하여 상기 제2클램프들(182)가 자유롭게 작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해제 한다.
따라서 양품 이송부(160)의 양품 이송 디스크(166)가 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122b)와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 작동시 양품 이송 디스크(166)와 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122b)의 사이로 위치되는 불량품(10a)은 제1클램프(162)와는 상관 없이 그대로 양품 이송부(160)의 양품 이송 디스크(166)에 의하여 그대로 가이드(164)를 따라 불량품 배출부(180)로 이송되는데, 이때 양품 이송 디스크(166)의 반원형 지지홈들(166-1)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불량품(10a)이 불량품 배출 디스크(186)와 만나는 사이로 위치하게 되면 제2클램프(182)의 집게편들(182-2)이 캠선도(183-1)의 모양에 의해 불량품을 자연적으로 집어서 안전하게 잡은후 가이드(148)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배출 컨베이어(188)측에서 집게편들(182-2)은 캠 선도(183-1)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불량품 공정품(10a)을 놓게 됨으로써 불량품(10)은 양품 배출컨베이어(188)를 타고 배출할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검출부(140)로부터 양품 혹은 불량품에 대한 검출되는 신호가 출력되는한 계속하여 실행된다.
이러한 작동시 양품의 배출과정 혹은 불량품 배출과정에서 충격 감지용 센서(50) 혹은 (70)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있는 경우, 이 때의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구동부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신호로 제공되는 안전 수단 역활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불량 건전지 배출장치는 건전지 설비에 적용하여 생산속도를 유지하면서도 배출시 발생 할 수 있는 충격이 전혀 없게하는 유용성이 있다.
10 : 양품(良品)
10a : 불량품
20 : 전지 공정품
50 : 양품 충격 감지용 센서
70 : 불량품 충격 감지용 센서
100 : 불량 전지 배출장치
120 : 전지 공정품 공급부
122a,122b: 제1,제2공정품 공급 디스크
140 : 검출부
144 : 엔코더(Encoder)
160 : 양품 이송부
162 : 제1클램프
163 : 제1캠
166 : 양품 이송 디스크
180 : 불량품 배출부
182 : 제2클램프
183 : 제2캠
186 : 불량품 배출 디스크
190 : 제어 실린더부

Claims (6)

  1. 기체(機體)에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전지 공정품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공정품 공급 디스크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정품 공급 디스크들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지 공정품의 불량유무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설치된 전지 공정품 공급부;
    상기 전지 공정품 공급부의 어느 하나의 공정품 공급 디스크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정품 공급 디스크로부터 공급되는 전지 공정품 중 양품의 공정품만을 잡아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수직으로 입설된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캠선도를 갖는 제1캠과 이 제1캠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축부를 중심으로하여 회전되게 설치된 제1회전축부에 설치되며 주연부에는 양품의 공정품을 수용 지지하는 반원형 지지홈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원판상의 양품 이송 디스크와 상기 반원형 지지홈들과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양품 이송 디스크의 주연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어느 일단부는 상기 제1캠의 캠선도와 구름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축부를 중심으로하여 회전시 상기 제1캠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캠선도에 따라서 양품을 잡는 집게 작용을 하도록된, 상기 양품 이송 디스크에 고정 지지된 한쌍의 고정축들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오무려졌다가 펼쳐지는 집게 작용을 하는 집게편들과 이 집게편들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인장 스프링과 그리고 어느하나의 집게편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캠에 구름 접촉되게 설치된 구름롤러로 이루어진 제1클램프로 구성된 양품 이송부;
    상기 양품 이송부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양품 이송부의 상기 제1클램프에 의해 잡혀서 이송되지 못하고 통과하는 불량품만을 잡아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상기 제1축부와는 높이를 달리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제2축부와 상기 제2축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캠선도를 갖는 제2캠과 이 제2캠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축부에 회전되게 설치된 제2회전축부에 설치되며 주연부에는 불량 공정품을 수용 지지하는 반원형 지지홈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원판상의 불량품 배출 디스크와 상기 반원형 지지홈들과의 대응 위치에서 상기 불량품 배출 디스크의 주연부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어느 일단부는 상기 제2캠의 캠선도와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2회전축부와 같이 회전시 상기 제2캠과의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캠선도에 따라서 집게 작용을 하는, 상기 불량품 배출 디스크에 고정 지지된 한쌍의 고정축들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오무려졌다가 펼쳐지는 집게 작용을 하는 집게편들과 이 집게편들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인장 스프링과 그리고 어느하나의 집게편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캠에 구름 접촉되게 설치된 구름롤러로 이루어진 제2클램프로 구성된 불량품 배출부; 및
    상기 양품 이송부와 상기 불량품 배출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클램프들과 제2 클램프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검출부에 의한 양품 혹은 불량품 인지의 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양품 이송부의 제1클램프들과 상기 불량품 배출부의 제2클램프들중 어느 하나의 클램프들과 결합되는 상태로 신장되어 해당 클램프의 작동을 구속하거나 혹은 해제하는 상태로 수축되어 상기 제1 혹은 제2클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기 기체의 상부로부터 현수(懸垂) 상태를 이루어 상기 양품 이송부와 상기 불량품 배출부와 각각 대향 설치된 에어로타리 죠인트부와 상기 양품 이송부의 제1클램프들 및 상기 불량품 배출부의 제2클램프들의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에어로타리 죠인트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해당 클램프들의 작동을 구속 혹은 불구속 상태를 이루게 상기 에어로타리 죠인트부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에 의해 신장 혹은 수축 작동되게 한 에어실린더들로 구성된 제어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불량 전지 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양품 이송부의 어느 일측에는 양품 이송과정에서 충돌로 발생되는 충격음을 감지하는 양품 충격 감지용 센서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불량품 배출부의 어느 일측에는 불량품 이송과정에서 충돌로 발생되는 충격음을 감지하는 불량품 충격 감지용 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충격음 감지시 메인 구동수단을 정지시키는 신호로 제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전지 배출장치.
KR1020170035086A 2017-03-21 2017-03-21 불량 전지 배출장치 KR101858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86A KR101858393B1 (ko) 2017-03-21 2017-03-21 불량 전지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86A KR101858393B1 (ko) 2017-03-21 2017-03-21 불량 전지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393B1 true KR101858393B1 (ko) 2018-05-16

Family

ID=6245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086A KR101858393B1 (ko) 2017-03-21 2017-03-21 불량 전지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9206A (zh) * 2023-11-10 2023-12-15 惠州市成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封口装置及封口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56B1 (ko) * 2013-02-28 2013-06-10 (주)자비스 배터리 자동연속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556B1 (ko) * 2013-02-28 2013-06-10 (주)자비스 배터리 자동연속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39206A (zh) * 2023-11-10 2023-12-15 惠州市成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封口装置及封口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04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edge protectors
CN105699393A (zh) 一种适用于磁瓦外观缺陷检测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858393B1 (ko) 불량 전지 배출장치
US4457420A (en) Apparatus for diverting objects from a main conveyor path
JP2002114367A (ja) スパウト付き袋の搬送装置及びロータリ式受渡し装置
US7079236B2 (en) Appearance inspection machine for flat tablet
JP3262400B2 (ja) チップ自動分離送給装置
KR20100115677A (ko) 대형필름 검사 및 적재장치
KR101882611B1 (ko) 불량전지 배출 및 비상정지 장치
JP3537164B2 (ja) チップテープのチップ装填装置
JP4057672B2 (ja) タブ付き部品製造装置
CN211100243U (zh) 分拣机构及短路检测机
KR200416589Y1 (ko) 오링 자동검사장치
CN109775284B (zh) 一种产品零件的检测生产线
US4385701A (en) Article elevating apparatus with inclined roller carriers
JPH09136723A (ja) ウェーハ取出し装置
JP3688362B2 (ja) 開封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た紙葉類処理装置
JP2817766B2 (ja) 合剤搬送機
JP5430135B2 (ja) 物品投入装置
CN219402800U (zh) 一种全自动引脚焊接机
CN220920082U (zh) 一种模块化卧式分拣机
JP2003033834A (ja) ディスタックフィーダ
CN210882786U (zh) 一种用于瓶状容器自动话包装设备的换向装置
CN217878946U (zh) 一种六面外观检测设备
JP6883675B1 (ja) トリム立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